본문 바로가기

최근전시행사소개

[유현경전] 선 하나 그을 때도 자신감으로 넘쳐 갤러리 2(서울시 종로구 평창길 204 )에서 2019.03.28-04.27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118-17 네이처포엠 315호에서 종로구 평창길 204 이사 "무의식적인 인간내면의 충동적 욕망을 낙서처럼 자유롭게 신나게 그리다" 이번 전시는 2014년 해외 레지던시(런던, 뉴욕, 취리히 등)중 제작한 연인들의 사랑을 그린 초대형 풍경화 8점 및 작은 크기의 인물화 64점 등 총 72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같지는 않지만 미국의 낙서화가 싸이 톰블리위 화풍과 독일의 신표현주의의 화풍의 중간지점에 놓인 것 같이 독특하다. 그림 속에서 수많은 사연이 담겨 있다 그런 수수께끼를 캐는 재미가 있다 야하고도 코믹한 남녀 사랑이야기가 많다. 그의 그림은 타자와의 상화작용에 따른 자신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데이터다.. 더보기
[문화역서울284] 이불 '한반도 평화염원' 작업 이불 작가, 올해 2019 베니스비엔날레에서 전시할 철조망 작품 `오바드 V`를 20분의 1로 축소한 모형 작품 발표[문화역서울역 284] 에서 열리는 비무장지대(DMZ)에서 이불 작가 비무장지대(DMZ) 감시 초소 철조망을 녹여 20분의 1로 축소한 만든 타워 작품 '오바드 V'를 선보인다. 이불 작가는 "감시초소 철조망만을 녹여 타워(tower)를 만들고 있다"며 "오바드(Aubade)는 사랑을 나누고 이별하는 연인을 위한 새벽의 노래"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작품에 대해 설명하는 이불 작가 [사진] 연합뉴스[이불 베니스작품 20% 축소판 소개] 오는 5월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제58회 베니스 비엔날레 본 전시에 출품될 비무장지대(DMZ) 감시초소(GP) 철조망 활용 작품의 모형 ‘오바드 V를 위한 .. 더보기
[데이비드 호크니 서울시립] 영국의 문화대통령' 21세기 피카소, 우리 시대 가장 받는 사랑 받는 회화의 황제 [서울시립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ey)전] 2019.3.22.(금)-2019.8.4.(일)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2, 3층 서울시립미술관, 영국 테이트미술관 영국문화원 이 전시는 독일과 북경에서도 열린 예정이라고 한다. 데이비드 호크니 오픈닝 행사, 오늘은 오래간만 서울시립미술관 활기를 되찾다. 요즘 드물게 관객과 전시 관계자, 미술인들 많이 왔다.[오마이뉴스기사] http://omn.kr/1iiqs 서울시립미술관, 호크니전 오프닝 행사. 백지숙 관장도 새로 부임하고 오래간만에 활기를 띠다 서울시립미술관, 호크니전 오프닝 행사 서울시립 호크니전 오프닝 행사 이런 장소에 가면 거물급 예술가도 종종 만난다. '안은미' 안무가 그녀의 할.. 더보기
[국현] '정보민주화시대' 모든 데이터는 모든 이에게 [불온한 데이터(*VERTIGINOUS DATA)]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3-4전시실에서 2019년 3월 23일-7월 28일까지 1995년 백남준이 기획한 광주비엔날레 특별전을 전승하는 전시 *우리 혼을 빼 먹는 것 같은 데이터 이번 전 총괄자 박덕선 학예연구사와 수퍼플렉스(야콥 펭거), 레이첼 아라(Rachel Ara), 크리스 쉔(Chris Shen), 하름 판 덴 도르펠(Harm van den Dorpel) 이번 전시 개요 참여작가: 포렌식 아키텍쳐(Forensic Architecture), 자크 블라스(Zach Blas), 수퍼플렉스(Superflex), 레이첼 아라(Rachel Ara), 차오 페이(Cao Fei), 사이먼 데니(Simon Denny), 하름 판 덴 도르펠(Harm van d.. 더보기
[국현] [불온한 데이터(융복합전)] 7월 28일까지 [국제 융복합 주제전《불온한 데이터》] 립현대미술관 서울 3, 4전시실에서 3월 23일(토)부터 7월 28일(일)까지 - 국내·외 작가 10팀(명)의 작품 14점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빅데이터, 블록체인, AI 등 데이터 기반의 작품을 통해 공공재로서의 데이터가 예술에 창의적으로 활용되는 다양한 방식을 보여준다. 레이첼 아라, 나의 값어치는 이정도 (자가 평가 예술작품) 한국 버전, 2019, 네온 127개, 재활용된 서버룸 장비, 전자 장치, 컴퓨터, IP 카메라, 프로그래밍, 756×204×105cm, 약 400kg, 사진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전시명 ‘불온한 데이터’는 데이터가 중립적 속성이 아님을 지칭하며 데이터가 갖는 공동체의 경제적, 윤리적 측면에 주목한다. 개인의 일상부터 국가 단위 조직까지.. 더보기
[나나랜드전] ‘사비나미술관’에서 7월 7일까지 [나나랜드전] ‘사비나미술관’에서 2019년 7월 7일까지 기사제목 : 내가 나 다울 때 가장 아름답다[전시명: 나나랜드: 나답게 산다 (Na Na Land: It’s My World)] 2019년 3월 14일(목) - 2019년 7월 7일(일)까지 장소: 사비나미술관 기획전시실( (서울시 은평구 진관1로 93 은평구 한국고전번역원 옆) [참여작가] 국내외 작가 21명(팀) 고재욱, 구혜영, 김명숙, 김미루, 김승현, 김준, 김화현, 노세환, 박영숙, 쁘레카(신재은+최진연), 신형섭, 안지산, 유화수+이지양, 윤정미, 이순종, 이원우, 조영주, 천경우, 황영자, 안띠 라이티넨, 엠마 핵 내가 좋아하는 것을 내가 좋아하는 때에 나 좋을 대로 하는 것, 그것이 나에게는 자유인의 정의다” -일본 소설가 무라카.. 더보기
[한효재전] 머리와 오브제로 그리는 레디메이드 [한효재 전: 강한 것 약한 것] 플래이댓(Playthat: 서대문구 연세로 5다길 36 3층) 갤러리 및 카페 2019년 3월 7일부터 전시 !!!!!!!!!!! 진짜 회화 작업은 정말 노가다 중노동에 속한다. 유화라는 것이 화학물질이라 엄청난 공해 속에서 시달려야 한다. 전통조각을 더 말할 것도 없죠. 그런데 뒤샹의 개념미술(레디메이드)은 오브제를 전시장에 가져다 놓는 머리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 좋은 아이디어만 있으면 그렇게 고생하지 않고 작품을 완성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브제 아트는 1000가지 생각을 1개의 오브제에 다 농축시켜 표현해야 하기에 그리 쉽지 않다.[1분유머] 21세기 화가들의 가장 큰 고민은 뭔가? 잘 그리는 것은 쉽다. 그런데 못 그리기와 틀리게 그리기는 .. 더보기
[성민우-제미영 2인전_WITH SILK] 한옥갤러리 [성민우, 제미영전 'WITH SILK'] 2019. 03. 02 ~ 2019. 03. 12 한옥갤러리 https://www.facebook.com/galleryHANOK/ 섬과 사람, 그리고 풀여의도는 한강에 위치한 ‘섬’이다. 섬은 강 또는 바다 등의 수역으로 둘러싸인 육지의 일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다소 외로움의 정서가 묻어나는 단어이다. 한편으로는 번잡한 세속은 잠시 멀리한 채, 오롯이 한적함과 여유로움에 빠져들 수 있는 공간이 떠오르기도 한다. 그러나 심리적 차원이 아닌 실재적인 공간으로서의 여의도라는 섬은 한국 금융의 중심지이자 현대 도시 문화의 면모가 대표적으로 잘 드러나는 곳이다. 하루 종일 환하게 불을 밝히는 높은 빌딩 사이로, 가야할 목적지를 향해 앞만 보며 가는 사람들, 혹은 숫자에 .. 더보기
[김은진: 푸가전] Place Mak(연희동)에서 3.23까지 [김은진: 푸가(Fugue)전] Place Mak(서대문구 홍제천로 4길 39-26 대표 유디렉 큐레이터 김민이)에서 3.2-3.23까지 이 서대문구 연남동에 있는 이 갤러리는 미술공간의 불모지인 이 곳에 2010년 가정집을 개조해 만든 것으로 10년이 상 유지해오고 있다. 작가를 선정하는 방식이 포트폴리오 중심이 아니고 작가와 인터뷰 작업실 방문 위주로 선별한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http://www.placemak.com 작성 중 "2010년 6월 불모지였던 연남동에서 시작된 플레이스막은 2016년 7월 연희동에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고 예술적 행보를 지속하고 있다. 예술이라는 영역에 드리워진 묵직한 장막을 걷어내고 대중과 작가, 기획자, 어린이, 과학자 등 다양한 개인과 집단이 경계없이 예술적 관계를.. 더보기
[리킷(Lee Kit)전] 슬픈 미소의 울림_일상의 미학 [리킷(Lee Kit) 슬픈 미소의 울림]금)일) 2,3기획 :김해주 (아트선재센터 부관장전효경 (아트선재센터 큐레이터) 12 – 7( ) 02-733-8949 wkim.pr@gmail.com 리킷, 《슬픈 미소의 울림》, 설치 전경, 2019아트선재센터는 3월 1일부터 4월 28일까지 홍콩 작가 리킷(Lee Kit)의 국내 첫 개인전 을 3월 1일부터 4월 28일까지 연다. 평범한 경험과 감정에서 비롯된 복합적인 설치 작업 선보여 2013년 베니스 비엔날레 홍콩관 대표작가로 미국, 벨기에, 일본 등 활발한 국제적 활동 중이다. 1978년 홍콩에서 태어나 1980년대와 90년대의 복잡한 홍콩의 지정학적 변화를 겪은 리킷은 현재 타이베이에 머물며 세계 곳곳의 도시에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제 55회 베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