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립현대미술관

[MMCA] 국립현대미술관 2025년 전시계획 및 주요사업 공개 국립현대미술관 2025년 전시계획 및 주요사업 공개>◇ 서울관·과천관 상설전 부활, 국가대표 소장품으로 한국 근현대미술 한눈에 ◇ 광복 80주년, 신체 다양성, 인류세 등 동시대 사회적 맥락 주제전 ◇ 이대원, 김창열, 신상호 등 독보적 한국 작가 재조명 ◇ 국제 거장전 및 세계 미술계와 협력, 한국미술 전 세계 확장 - 론 뮤익, 싱가포르·일본 교류, 이탈리아·중국 순회, 이건희컬렉션 미국 순회 ◇ 현대미술의 실험성을 제시할 《MMCA x LG OLED 시리즈》 첫 해 ◇ 과천관·청주관 운영부제 도입 및 신규 수장고 공간 확보 추진 ◇ MMCA리서치 펠로우십 첫 연구자 내한, 네덜란드 스테델릭미술관 공동출판 프로젝트 ◇ 예술 기반 돌봄, 치유, 인문으로 개인과 사회의 관계성 ‘회복’하는 미술관교육국립현.. 더보기
[MMCA] '프로젝트 해시태그' 5주년, 차세대 문화예술 이끌 유망주 발굴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 차세대 문화예술을 이끌 유망 창작자를 발굴하고 다학제간 협업을 지원하는 개방형 공모사업 《프로젝트 해시태그》의 5주년을 기념하여 《프로젝트 해시태그 5주년: 경계 너머 마주한 것들》을 1월 8일(수)부터 9일(목), 11일(토), 12일(일) 4일간 개최한다.현대자동차의 후원으로 2019년부터 시작한 《프로젝트 해시태그》는 5년간 작가, 기획자, 연구자 등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가의 협업을 지원해 새로운 예술창작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해왔다. 《프로젝트 해시태그 5주년: 경계 너머 마주한 것들》은 매년 2팀씩 역대 선발된 10팀의 창작자들과 그들의 작업을 통해 오늘날 다학제적이고 융복합적인 예술에서 협업의 창발성에 주목하고 그 의미를 관람객과 공유하고자 한.. 더보기
[국립현대미술관] 온라인 플랫폼 『MMCA 리서치랩』 성과 및 연구세미나 월 13일(금) 오후 1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다원공간 개최> / 국립현대미술관, 한국미술 전시 연구 세미나 // [1] 한국미술 연구 온라인 플랫폼 『MMCA 리서치랩』의 성과 및 전시 연구 세미나 - 미술사학자, 큐레이터, 비평가 등 전문가 10인 참여 - 〈근대와 현대〉 〈글로벌라이제이션〉 〈매체와 형식의 다변화〉 총 3개 주제 - 온라인 플랫폼에 세미나 결과 국영문 탑재하여 국내외 확산 예정 [] 12월 13일(금) 오후 1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다원공간 개최 - 사전 예약 12월 2일(월) 오전 10시부터 미술관 누리집에서 선착순 250명 //《MMCA 리서치랩 연구모임 2: 한국미술과 전시사》 개최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은 올해 초 출범한 한국미술 연구 온라인 플랫폼인 『M.. 더보기
[제13회 백남준포럼] 백남준: 샤머니즘, 플럭서스 그리고 메타버스 [제13회 백남준포럼(대표이상미)] -주제 : 백남준과 샤머니즘, 플럭서스 그리고 메타버스 -장소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2 전시실 -일시 : 11월 27일(수) 14시  -특이사항 : 전시 관람자에 한하여 전시티켓 비용 전액 지원# 이번달 포럼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올해의 작가상 2024] 전시작품들 관람과 토론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샤머니즘을 표현한 카이젠, 플럭서스의 윤지영, 부리콜라주의 양정욱은 물론 메타버스의 권하윤 작가의 작품들을 둘러보고 토론을 나눌 예정입니다. // #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티켓 구매 비용은 백남준포럼에서 전액 지원해드립니다. (티켓 제시 후)[제 13회 백남준포럼(대표 이상미)] 백남준 텍스트 같이 읽고 해석하기 혹은 같이 감상하기]  / 백남준 '굿'이론 혹은 .. 더보기
[MMCA]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 김인혜씨 임명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 김인혜씨 임명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은 2024년 9월 12일(목)자로 김인혜(金仁惠)씨를 신임 학예연구실장으로 임명했다.이번 임명은 공개모집과 심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전문임기제 가급으로 임명된 김인혜 신임 학예연구실장의 임기는 2년(’24. 9. 12.’26. 9. 11.)이다.김인혜 신임 학예연구실장은 2002년 9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약 20년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학예연구사 및 학예연구관으로 재직하며 전시 기획, 소장품 및 아카이브 수집, 서울관 개관 준비, 근대미술 연구 및 전시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했다. 특히, 2017년 9월부터 2023년 6월까지 덕수궁관 프로그램을 총괄하며 뛰어난 전시 기획을 선보였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월간미술대상(.. 더보기
[MMCA] 전 세계 어디서나 즐기는 VR전시!360°VR 전시투어 전 세계 어디서나 즐기는 VR전시! 국립현대미술관, 360°VR 전시투어 시리즈두 번째 –건축전> 첫 공개 ◇ 360° VR 전시투어 《연결하는 집: 대안적 삶을 위한 건축》 - 360° 카메라 촬영, 다양한 컴퓨터그래픽 활용한 몰입형 전시투어 콘텐츠 - 영문 음성해설, 국‧영문 자막 서비스로 전 세계 어디서든 누구나 관람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이 현재 과천관에서 성황리에 진행중인 《연결하는 집: 대안적 삶을 위한 건축》전시를 360°VR 전시투어 영상으로 제작한 – 건축전>을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한다.‘MMCA VR’은 한국미술의 진면목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국립현대미술관의 작품과 전시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로 담아낸 영상 시리즈이다. 2021년.. 더보기
[국립현대미술관](서울) '접속하는 몸-아시아 여성 미술가들' 9월 2일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접속하는 몸-아시아 여성 미술가들>] 2024년 9월 2일부터 // 1960년대 이후 주요 아시아 여성 미술가들의 작품을 조망하는 자리로 국내외 기관 소장품,신작 및 구작 발굴 등 11개국 작가 60여 명의 작품 130여 점을 소개합니다. 다양한 아시아여성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신체가 가지는 소통·접속·연대의 가치에 주목하고, 동시대적 의미를 현 시점에서 새롭게 살피고자 마련하였다. 더보기
[MMCA]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조폐공사 업무 협약(MOU) 1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은 한국조폐공사(사장 성창훈)와 한국미술 문화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MOU)을 지난 8월 14일(수)에 체결했다.국립현대미술관과 한국조폐공사는 서울관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미술품을 활용한 사업 개발 △ 한국조폐공사 화폐제조기술을 활용한 제품 사업화 △ 사업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판매 및 홍보 협력 △ 수익금 기부를 통한 예술문화 발전기여 등에 합의했다. 양 기관은 교류 활성화를 통해 한국미술의 우수성을 알리고 국민들의 문화향유권 증진을 위해 상호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이번 협약은 국립현대미술관이 보유한 한국 근현대 미술작품을 국민이 쉽게 소장하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조폐공사만의 화폐제조기술인 요판기술을 접목하여 문화상품으로 개발하고.. 더보기
[MMCA]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4 '우주 엘리베이터' 1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은 다원예술 2024 《우주 엘리베이터》를 5월 25일(토)부터 2025년 2월 23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한다.박민희, 신들이 모이는 산에서 바람이 불어온다 2023 ⓒ 강문식국립현대미술관은 2017년부터 장르의 경계를 허물어 영역을 확장하는 다학제, 융복합 프로그램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을 매년 진행해왔다. 《모두를 위한 미술관, 개를 위한 미술관》(2020), 《멀티버스》(2021), 《미술관-탄소-프로젝트》(2022), 《전자적 숲; 소진된 인간》(2023) 등 퍼포먼스, 공연, 전시와 수행적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미술관 문턱을 낮추고 관객에게 기존과 다른 형태의 예술과 경향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해 선보이는.. 더보기
[MMCA]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9월 22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은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를 4월 5일(금)~9월 22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연다 / 4월 5일(금) 식목일부터 9월 22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1세대 조경가 정영선의 삶과 종합과학예술 세계를 조명 - 한국 자생식물을 중심으로 땅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작가의 태도 조명 - 아시아선수촌(1986), 여의도샛강생태공원(1997), 선유도공원(2001), 서울식물원(2014), 경춘선숲길(2015~2017), 두내원(2025) 등 60여 개 프로젝트 조경설계 도면과 사진, 모형, 영상, 수채 그림, 청사진 등 기록자료 500여 점 총망라 - 종친부마당, 전시마당에 인왕산의 아름다움 담은 정원 조성 전시는 한국 1세대 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