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부터 30세기까지 시간예술로 연주한 백남준, 그래서 시대의 문맥을 읽고, 미래를 예견하다 백남준 공간(땅)의 연결보다 시간(하늘)의 연결에 더 관심 높았다 / 탈영토주의와 위성 초연결주의 / 백남준은 서구 미술판에서 미술만 아니라 세계 보편의 음악의 지평을 열면서 가지고 놀다 동서의 소통과 융합을 추구하면서 진정한 지구촌의 새로운 장을 열다
[제16회 백남준포럼] -일시 : 2월 14일(금), 15시 -주제 : 백남준 사후 국내 최대 규모 회고전 관람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 -장소 : 부산현대미술관 전시실 4~5(1/2층) -참가 : 백남준포럼 회원 모두 #이번 백남준 포럼은 부산으로 떠납니다. BTS의 RM도 방문한 국내 최고 인기 전시중 하나인 백남준 전시 관람 후 부산 커피 담화로 진행합니다. <작성 중>




최초의 비디오 예술가이자 세계적인 작가인 백남준의 대표작을 총망라하여 그의 예술적 도전을 조망하는 백남준 사후 국내 최대 규모회고전에 백포럼 회원님들을 초대합니다^^*

1964년 백남준 사이버네틱스(인간과 기계를 동급으로 보는 테크놀로지) 기술로 만든 전자 로봇은 바로 선사시대 상상력에서 나온 것이다 /

백남준 I '전자로봇 로봇(K-456)' 철 알루미늄 고무 70×55×18cm 1964. 슈아 아베와 공동작. 이 작품은 2019년 런던 '테이트모던' 백남준 전에도 소개되다
<과거불(석가모니)과 미래불(백남준: 전자 미륵불)이 만나다> / 부처(고고학)가 TV(아방가르드)이고, TV(아방가르드)가 부처(고고학)이다. 부처와 TV이 Feedback(거울과 반추와 명상) // [부처(佛陀, 산스크리트어: बुद्ध 붓다)] 산스크리트어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으로,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은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불교에서 모든 생물은 전생의 업보를 안고 살며 그 업보가 사라질 때까지 윤회한다고 하는데, 해탈에 이르러 완전한 깨달음을 얻으면 윤회를 벗어난다고 한다. 석가모니 부처는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설하였으며 이 부처가 됨을 성불(成佛)이라 한다. 깨달은 자는 누구든 부처라고 할 수 있지만, 보통은 석가모니불(Gautama Buddha)을 가리킨다. 과거불(석가모니)이 있다. 상좌부 불교에서는 현재까지 출현한 부처가 총 28명이라고 한다. 미래에는 미륵불이 출현한다고 한다.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 어린이 오디오가이드 안내 youtube.com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 전시에서는 큐피커(Qpicker) 앱을 통해 오디오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보다 쉽고 재미있게 전시를 감상하실 수 있도록 어린이용 오디오가이드도 마련되어 있으니 많은 활용 바랍니다.


















거대한 전자 조각 걸리버는 음악이 아닌 소설에 영감을 얻은 작품도 인상적이다.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가 모티브다. 전시 전경 ⓒ백남준 에스테이트
'걸리버'는 백남준이 2001년에 제작한 3채널 비디오 설치 작업이다. 바닥에 누워 있는 거인 걸리버는 총길이가 4미터가 넘는 거대한 로봇이다. 총 11개의 오래된 텔레비전 케이스와 라디오 케이스 등이 몸을 이루고 있다. 11개의 CRT 텔레비전에서 두 종류의 비디오를 보여준다.
1 걸리버 // <걸리버>는 백남준이 2001년에 제작한 비디오 설치 작업이다. 바닥에 누워 있는 거인 걸리버는 총 길이가 4미터가 넘는 거대한 로봇이다. 총 11개의 오래된 텔레비전 케이스와 라디오 케이스 등이 걸리버의 몸을 이루고 있고 모두 11개의 CRT 텔레비전에서 두 종류의 비디오를 보여준다. 하나는 사이보그가 첨단 미디어 환경 위로 성큼 걸어가고 있는 장면과 컴퓨터그래픽으로 구현한 자율주행이나 전자도로를 질주하는 비디오이며, 또 하나의 비디오는 (로봇 K-456)과 전 세계 곳곳의 풍경과 컴퓨터 그래픽을 번갈아 보여준다. 걸리버와 함께 제작한 로봇 릴리푸티언은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다. 각종 기계 부품, 나사, 전선, 파이프 등이 릴리푸티언의 몸체를 다채롭게 구성하고 있으며 머리는 5인치 LCD 텔레비전으로 만들어졌다. 이 작품에서 백남준은 생기발랄한 릴리푸티언 로봇과 상대적으로 무기력하게 누워 있는 거대한 걸리버의 대비를 연출할 뿐 아니라, 릴리푸티언 로봇들이 사다리를 타고 오르내리며 걸리버의 온몸을 전선으로 포박하고 있는 연극적 상황을 재미나게 보여준다
2 걸리버 <부산현대미술관 전시> / 이 작품의 메시지는 뭔가? / 걸리버 여행기에 당시에 영국에서 금서였다. 왜?
3 걸리버여행기는 조지 오웰이 극찬한 소설로 오웰의 <동물농장>을 닮았다. 소설가 스위프트는 이 소설에서 몇 나라를 여행하면서 만나게 되는 법관, 의사, 변호사, 귀족을 날카롭게 풍자하고 있다. 무능하기 그지 없는 그들은 단지 형통과 집안 내력이 좋다고 해 이 세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쓰레기처럼 살다가 인생을 낭비한다는 이야기가 여러 나라 여행기에 공통적으로 나온다
4 걸리버 여행기는 왜 영국에서 금서였나? / 알겠다. 스위프트가 여행을 하다가 한 나라에 도착했다. 아시아 끝이다. 가만히 보니 백성들을 굶어 죽어 가는데 윤석열이라는 대통령은 아무 쓸 데 없는 쿠데타만 일으켜 국민을 괴롭히고 있었다. 그런 내용이네요. 무능한 정치 지도자(국민을 즐겁게 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을 화나게 하는)를 풍자한 동화 같은 소설이군요 /백남준은 왜 이런 주제를 가진 걸리버를 비디오 설치 조각으로 만들었나? 결국 주제는 소통의 부재 아닌가? / 소통이 잘 되는 나라는 천국이고, 소통이 전혀 안 되는 나라는 지옥이고 뭐 그런 이야기인 것 같다 / 걸리버는 주변 릴리푸티언에 놀아나 무기력하게 누워있는 지도자를 대칭하는 존재인가?
5 걸리버 여행기는 왜 금서가 되었을까? - 책 속 비판적 풍자 youtube.com
6 여기 나오는 비디오는 어떤 내용입니까? / 하나는 사이보그가 첨단 미디어 환경 위로 성큼 걸어가고 있는 장면과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한 자율주행이나 전자 도로를 질주하는 비디오입니다. 또 하나는 '로봇 K-456'과 전 세계 곳곳의 풍경과 컴퓨터 그래픽을 번갈아 보여준다.
걸리버와 함께 만든 소인국 로봇 '릴리푸티언'은 무엇으로 만들었나? 전시 전경 ⓒ백남준 에스테이트 / 각종 기계 부품, 나사, 전선, 파이프 등이 릴리푸티언의 몸체를 다채롭게 구성하고 있고요. 머리는 5인치 LCD 텔레비전으로 만들어졌다. 이 작품에서 백남준은 생기발랄한 릴리푸티언 로봇과 상대적으로 무기력하게 누워 있는 거대한 걸리버의 대비를 연출할 뿐 아니라, 릴리푸티언 로봇들이 사다리를 타고 오르내리며 걸리버의 온몸을 전선으로 포박하고 있는 연극적 상황을 재미나게 보여주었다.


1989년 절정기, 프랑스 혁명가 제작 / 로베스피에르와 장 자크 루소 / 뒷배경은 부제가 '전기 요정(19세기 상징)' Dufy 회화 작품과 앞부분은 부제가 '전자 요정(20세기 상징)' 백남준 전자 로봇 / 프랑스 정부로 부터 제작비를 많이 받았는지 작품 완성도가 높다
예술의 최전방, 새로운 실험정신을 상징하는 ‘아방가르드’와 선사시대의 역사를 발굴하는 ‘고고학’이 만나는 변증법적 영역은 백남준의 예술적 성향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 - '아방가르드의 고고학' : 미래를 제대로 보려면 과거를 깊이 파라》은 백남준아트센터와 부산현대미술관이 공동기획하여 경남 지역에서 최초로 열리는 백남준의 대규모 회고전이다.
오늘날에도 백남준을 이토록 흥미롭게 만드는 힘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우리는 그 열쇠말을 백남준이 주창했던 “아방가르드의 고고학”에서 찾고자 한다. 백남준은 비디오와 위성을 거쳐 레이저까지 항상 새로운 기술 매체에 도전하는 한편, 자신의 예술적 성향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돌아보며 그 근본을 탐구했다.
백남준은 이 과정을 ‘아방가르드의 고고학’이라고 불렀다. 예술의 최전방, 새로움과 실험정신을 상징하는 ‘아방가르드’와 과거의 것을 발굴하는 ‘고고학’이 만나는 변증법적 영역은 백남준의 예술적 성향을 그대로 드러낸다.
이번 전시는 그동안 국내에서 많이 선보이지 않았던 1960년대 작품과 자료들을 비롯하여 1980년대 로봇 조각과 대규모 비디오 설치 작품들이 함께 전시된다. 백남준의 생애와 작품의 중요한 순간을 돌아보며 백남준의 예술을 관통하는 아방가르드 정신을 새롭게 해석하는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100년을 100년으로 사는 것은 일반인 / 100년을 100000000000000년(무한대)으로 사는 것은 예술인 / 다빈치와 백남준이 그런 사람이다. / 이건 주역의 말대로 하늘의 운이 따라야 한다




인생은 백발번뇌(모든 순간이 고통이다), 지옥과 다름 아니다. 그러나 예술은 그 지옥을 천국으로, 백발번뇌를 절대적 환희의 세계로 이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today/article/6661904_36523.html
[문화연예 플러스] 사후 최대 규모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전
'미디어아트의 아버지' 백남준 작가의 사후 최대 규모 전시회가 부산에서 열렸습니다.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지난달 30일부터 시작된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은 시대를 앞서가며...
imnews.imbc.com
인생은 백발번뇌(모든 순간이 고통이다), 지옥과 다름 아니다. 그러나 예술은 그 지옥을 천국으로, 백발번뇌를 절대적 환희의 세계로 이끈다
First-time filmmaker Amanda Kim explores the life of the ‘father of video art’ Nam June Paik - The Boston Globe
“Nam June Paik: Moon Is the Oldest TV,” premiered at the Sundance Film Festival in January and will air through the PBS “American Masters” series May 16 at 9 p.m. on GBH 2.
www.bostonglobe.com
[백남준 백남준 백남준 부산현대미술관] '필름 속의 백남준'은 백남준의 대표적 비디오 15점을 대형 스크린을 통해 감상하는 영화관이다. 이번 전시 기획의 시발점이었던 1973년작 '글로벌 그루브'와 아만다킴 감독의 110분 길이의 다큐멘터리 '백남준:달은 가장 오래된 TV'(2023)를 볼 수 있다. / 이런 다큐 영화 기획에 박수를 보낸다
[백남준 백남준 백남준 부산현대미술관] '필름 속의 백남준'은 백남준의 대표적 비디오 15점을 대형 스크린을 통해 감상하는 영화관이다. 이번 전시 기획의 시발점이었던 1973년작 '글로벌 그루브'와 아만다킴 감독의 110분 길이의 다큐멘터리 '백남준:달은 가장 오래된 TV'(2023) 볼 수 있다. / 이런 다큐 영화 기획에 박수를 보낸다
<29살 백남준, 부처가 깨달았다는 그런 단계에 올라서다 그의 득도한 모습을 아래 영상에서 볼 수 있다> 백남준, '손과 얼굴'. 1961, 비디오, 흑백, 무성, 1분 42초. 백남준아트센터 비디오 아카이브 / 그리고 30세 그는 예술가로 대선언하다 / "내가 황색 재앙이다(Yellow peril, C'est Moi)". 네가 전 세계 미술을 다 쓸어버리겠다. 문화 칭기스칸이 되겠다 / 30년이 지나 60세에 백남준은 "세계사에서 서구와 게임을 하다가 이기지 못하면 그 룰을 바꿔라!"라고 말했다.

부산현대미술관 백남준 전시의 모든 것
부산현대미술관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 전시회 다녀왔어요!
날씨맑은 12월의 첫날, 오랜만에 부산현대미술관을 찾았습니다. 아트페어에 자주 보이는 비디오 아트의 대...
blog.naver.com
백남준은 파우스트 연작을 통해서1992년 백남준 회갑전 <비디오 때(시간) 비디오 땅(공간)> 과천 전시 때, 백남준의 '문명사 해석학' <파우스트> 13점 연작이 같이 전시되었다 김양수 기획자의 공로다 / 미국 소장자(칼 솔웨이)가 100만 달러 요구했는데 하여간 어떤 방법을 다 써서라도 전시 했다 그 중 4분의 1 가격으로 대여한 것 같다

백남준 90년대 작품 사진 자료들 / 적지 않은 작품을 남겼다
백남준과 로댕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전자 로봇(전자 조각)의 창시자

백남준 전자 로봇 설계도 드로잉 볼 수 있다 / 백남준과 로댕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전자 로봇(전자 조각)의 창시자가 되다 / 신문에 기사화되다
부산 전시 한겨례 기사 - 노형석 기자
부산 을숙도에 가면, 백남준의 작업 연대기를 한눈에
미디어아트의 아버지로 꼽히는 비디오 거장 백남준(1932~2006). 그의 이름이 연말 한국 미술판에서 새삼 뜨겁게 호명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30일부터 부산 낙동강변 을숙도에 있는 부산현대미술
www.hani.co.kr
전시를 단박에 풀이하는 열쇳말은 ‘많다’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 국내 어떤 백남준 관련 전시보다도 작품이 많다. 고인이 몸담았던 1960년대 서구 전위 예술그룹 플럭서스와의 작업과 미디어아트 전시의 시원 중 하나로 꼽히는 1963년 독일에서의 첫 개인전에 관한 사진 아카이브,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기본 골격을 형성했던 1973년 작 ‘글로벌 그루브’ 등 초중반기 대표작들, 1980~2000년대 ‘티브이 로봇 시리즈’, 1990년대 이후 작업한 걸작인 대형 비디오영상 설치작품 ‘108 번뇌’, 레이저 설치작품 ‘삼원소’ 등이 줄줄이 나온다. 출품 물량만 160점이 넘는다.
그가 곁에 누웠다...부산현대미술관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 전
예술가의 역할은 미래를 사유하는 것이다. 백남준의 앞선 예술 정신을, 작품을 통해 제대로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왔다.부산현대미술관(관장 강승완)은 백남준의 예술적 도전을 조명하는 대규모
weekly.cnbnews.com
강승완 부산현대미술관장은 “백남준의 기술 미디어 시대에 대한 낙관적 비전의 중심에는 늘 인간이 있었고, 그는 기술 미디어를 통한 정보의 연결과 확산을 꿈꿨다”며 “백남준이라는 세기를 뛰어넘는 선각자의 대회고전을 통해 인간과 예술, 그리고 기술 문명의 관계를 되짚어 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백남준 발명가를 좋아하다 '라이트형제' 세계의 안테나 작가 그의 로봇에는 안테나가 붙어 있다 시대의 패턴을 읽어내는 능력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방탄 RM도 다녀갔대” 부산 백남준展 주말 2000명 북적
- “성지순례 가자” 팬들도 우르르 - 작가 사후 최대 전시로 큰 관심 - 현대미술관, 토크 콘서트 마련 세계적 명성의 미디어아트 거장 백남준을 향한 관..
www.kookje.co.kr
백남준 혁명과 BTS혁명은 60년을 넘어 상통하는 주제가 있다 서구중심문화에 대혼란을 일으키다. 원자폭탄 떨어뜨리다 빅뱅 지각변경이 일어나다

2020년대 BTS혁명: 백인-남성-서구-영어 중심주의 해체/ 대중예술 분야에서
1960년대 남준혁명: 백인-남성-서구-영어 중심주의 해체/ 고급예술 분야에서
1963년 백남준 첫 전시 부제: 바로 백인-남성-서구-영어 중심주의 '추방(Exil)'
1960년 벽두부터 백남준 서구중심문화에 대혼란을 일으키다. 원자폭탄 떨어뜨리다 빅뱅 지각변경이 일어나다 / 유럽문영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킨 프랑스 독일 68혁명은 결국 백남준이 시작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기존의 유럽사회의 전반의 시스템을 붕괴시키다 백남준 말대로 추상시키다. 서양귀신을 쫓아내다 서구에서 이런 운동을 먼저 시도한 예언자가 있었다. 바로 유럽에서는 쇤베르크(7음계을 12음계로 바꾸다)이고 미국에서는 존 케이지(화음의 세계 뛰어넘어 소음의 세계를 발견하다)이다 그래서 백남준은 두 천재 작곡가를 좋아한 것이다
독일인보다 독일문명을 더 탁월하게 해석한 서구문명비평가

https://www.youtube.com/watch?v=AIWd4GPW8ZI
'백남준포럼(For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7회 백남준 포럼: 세종문화회관] <로봇드림: 백남준 팩토리 아카이브> (2) | 2025.03.07 |
---|---|
[제16회 백남준포럼: 부산현대미술관I] '백남준 백남준 그리고 백남준' 전 (0) | 2025.02.20 |
[제15회 백남준포럼] 하이테크 기술의 인간화(사이버네틱스) (0) | 2025.01.17 |
[제14회 백남준포럼] 백남준과 쌍방소통 네트워크 아트 착안 (1) | 2024.12.16 |
[제13회 백남준포럼] 백남준: 샤머니즘, 플럭서스 그리고 메타버스 (4) | 2024.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