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거중요전시행사

[예술이 자유가 될 때: 이집트 초현실주의(1938-1965)]

[예술이 자유가 될 때: 이집트 초현실주의자들(1938-1965)] 국립현대미술관(관장 바르토메우 마리)은 덕수궁관 전관에서 2017년 4월 28(금)부터 7월 30일(일)까지

덕수궁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주최, 샤르자미술재단, 이집트 문화부, 카이로아메리칸대학의 협력으로 기획된 이번 전시는 이집트 초현실주의자들의 작품 세계와 그들이 이집트 근현대미술사 및 국제 초현실주의계에 남긴 눈부신 유산을 조명한다. 또한 탈서구 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이집트 근대시기의 다양한 면면과 20세기 국제사회의 상호연계성을 탐구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이집트 초현실주의 시작은 당시 프랑스에서 제 1차 세계대전의 대량학살의 비극을 겪은 예술가들이 현실을 초월하고, 자유에 대한 억압에 저항하고자 일으킨 초현실주의 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다.

무의식에 기반을 둔 사회적, 문화적 현상은 유럽사회를 넘어 남미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이집트의 시인 조르주 헤네인은 프랑스 유학 중 초현실주의 운동을 주도했던 앙드레 브르통 등과 긴밀한 교류를 맺으며, 귀국 후 이집트 예술가들과 새로운 초현실주의 모임을 조직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이집트 초현실주의는 이집트내 차별, 억압에 대한 비판 등 근대시기 사회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예술 운동으로 자리매김하며 이 후 이집트 예술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관장 바르토메우 마리 인사말

이번 <이집트 초현실주의 전시_예술이 자유가 될 때>는 근대성과 현대미술이 더 이상 서구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인식이 오래전부터 확산되어왔습니다. 1990년대 들어서서는 비서구지역 예술가들과 작품이 질적 높은 의식을 점유하고 있다는 새로운 관점이 등장되었습니다. 이런 사실은 우리가 서구중심으로만 미술의 진행을 논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근대성은 보다 다양하고 신비롭고 때로는 모순적으로 표현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번 전시는 20세기 초부터 사상과 미적 형식의 본고장이었던 중심지였던 서구를 넘어 예술이 어덯게 발전하고과 확장가는 양상을 확실하게 살펴볼수 있는 특별한 기회입니다 예술이 자유를 얻어야 하고 근대국가를 이루는 필요한 수단으로서 예술이 자유가 얻을 수 있다는 이집트 예술가들의 신념이 반영된 이번에서는 회화 조각 드로잉 사진을 60여 편의 작품과 다양한 자료를 국제적 시각에서 본 이집트 초현실주의를 볼 수 있다.

빈 밥그릇을 발치에 나란히 내놓은 이 작품(시민합창단 1951)이 나오면서 군부(당국)로부터 이 미술운동의 탄압이 시작되었단다

아랍권은 국가개념이 없고 부족중심의 공동체인에 서구가 아프리카처럼 국경을 만든 것이다. 이번에 전시도 이집트가 아니고 샤르쟈 미술재단에서 주최한 것이다. 관계자와 짧은 대화를 했는데 이 재단에서 아랍 권뿐만 아니라 파키스탄작가도 지원하고 또 우리나라 임흥순 작가도 지원한단다

덕수궁미술관 이집트미술은 우리에게 전혀 낯설지 않다. 사실은 서양미술이 낯설다 우리가 하도 많이 봐서 익숙하다고 착각할 뿐이다 아래작품(어머니들 평화의 행진 1940년대 초반작품)은 강렬한 모성성을 보인다.


초현실주의가 들어간 것은 이집트미술에서 거의 20년간 초현실주의 집중적인 세례를 받았다 이 미술운동의 또 다른 이름은 바로 자유주의미술이다 이 미술운동이 20년이 지난 후에는 서구미술에 종속에서 벗어난 자기 나름의 정체성을 찾아보려고 애쓴 훈적이 역력하다. []그때부터 사회적인 문제를 고발하는 현실의 주제를 다른 작품이 나오자 군부정권이 들어서면서 탄압이 시작되고 그러면서 서서히 그 운동의 기운을 상실하게 된다.

[예술이 자유가 될 때 이집트초현실주의자들1938-1965] 7월30일까 덕수궁미술관[ 최근에 기획된 전시 중 최고다. 오래간만에 국립미술관이 아니면 할 수 없는 전시다운 전시를 기획하다덕수궁 그동안 한국근대미술을 전시했는데 또 하나의 다른 외국근대전을 통해서 한국근대미술을 피드백할 수 있어 제대로 우리근대미술을 제대로 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다 아카이브도 훌륭했다 입장료 2000원


<전시는 이집트 초현실주의가 걸어온 흐름에 따라 크게 5부로 구성>

[1부] 국제적 시각에서 본 이집트 초현실주의는 유럽에서 초현실주의가 시작되어 이집트로 전파되는 과정과 영향들을 살펴본다.

[2부] 예술과 자유 그룹(1938-1945)에서는 이집트 초현실주의를 이끌며 표현에 대한 자유와 인간의 감정을 제한하려는 권위에 저항하고자 조직된 ‘예술과 자유 그룹(Art and Liberty Group)’을 조명한다.

[3부] 이집트 초현실주의와 사진은 이집트 초현실주의자들의 예술 실험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 사진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이중노출, 뒤틀림, 조합 인쇄 및 포토몽타주와 같은 사진 기법들은 예술가들이 무의식의 탐구를 도모하고 합리적 사고를 뛰어넘어 꿈, 황홀경 등 제한 없는 환상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4부] 현대미술그룹 (1946-1965)은 이집트 현대 예술운동의 발전에 중대한 역할을 한 현대미술그룹에 초점을 맞춘다. 이들은 예술이 현대국가로서의 이집트의 정체성을 형성한다고 믿고 서구의 학구적인 예술 교육을 비판하며 평범한 이집트 국민들의 일상, 빈곤과 억압을 주로 묘사하였다.


[5부] 이집트 초현실주의 그 후 (1965년부터 현재)에서는 이집트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근대시기 사회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70년대부터 90년의 이집트  예술계를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서구 초현실주의자들과 이집트 초현실주의자들의 관계, 그리고 국제주의적 시각에서 반(反) 파시즘, 탈식민주의 운동에 이바지한 지난 궤적들을 돌아보며 비서구 지역에서 전개되는 모더니즘 예술과 문학의 복잡하고 미묘한 이야기들을 들여다보고자 했다.


기존 체제에 강렬히 저항하고자 했던 황금의 왕국 이집트의 초현실주의자들의 작품 166여점이 드라마처럼 펼쳐지는 이번 전시가 그간 ‘미라’, ‘피라미드’로만 인식되어 온 이집트와 새로이 마주하게 될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출품작 중 상당수가 해외 최초로 한국,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공개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본 전시는 지난해 이집트 카이로 ‘팰리스 오브 아트(Palace of Art)’에서 진행되었던 동명의 전시 《When Art Becomes Liberty: The Egyptian Surrealists (1938-1965)》(2016. 9. 28.~10. 28.)의 확장판 전시로 ‘국제적 관점에서 본 이집트 초현실주의’ 섹션, ‘이집트 초현실주의 사진’ 섹션 등이 새로 추가되어 풍부함을 더한다.


아랍어와 불어와 영어로 된 아카이브를 국립현대미술관 학예 팀에서 엄청난 고생을 한 후에 다른 외국전시에서 볼 수 없는 미술사적 접근을 통해 초현실주의 미술을 재정리하다 한국에는 이와 관련된 자료가 전혀 없고 겨우 외국어대학교 아랍어 관련학과에서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작품유출이 아직도 이집트의 경우는 국가대 국가만이 허용되기에 국립현대술미술관이 아니면 절대 열 수 없는 전시라는 점이 상기해볼만하다


또한 이집트 미술이 생소할 관람객의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아카이브 섹션을 강화하고, 기존의 아카이브 전시 방식에서 벗어나 자료를 ‘모션 그래픽’으로 제작하여 보여준다. 전시장 내부를 360도 VR 영상촬영, 도슨트 가이드를 더해 관람객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 모바일 앱을 통해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프랑스파리에셔 열린 이집트초현실주의전> [아래] 르몽드지 소개 

http://www.lemonde.fr/arts/article/2016/11/09/exposition-un-surrealisme-de-combat-en-egypte_5027840_1655012.html

[경기도미술관 소개] 위치(15385)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로 268 (초지동) 관람 및 전시문의 031-481-7000 / FAX: 031-481-7053 관람안내 http://gmoma.ggcf.kr/information/visit_info

2016년 경기도미술관 최은주 관장이 ‘자랑스런 박물관인상’을 수상한데 이어 황록주 도미술관 학예연구사가 ‘박물관.미술관 발전 유공자 정부 포상’에 선정되는 겹경사를 맞았다

미술관 입구에 이상남 작가의 알고리즘 대형벽화도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경기도에서 가장 멋진 미술관으로 봐도 무리가 없겠죠 유럽에 가도 이런 규모의 미술관은 그리 많지 않다

10년 전에 본 박서보 대규모 단색화전이 생각난다

강익중 설치작품

경기도미술관 아트숍도 멋지다

[2017년 경기도미술관 크로스장르전 '크래프트 클라이맥스: 경기 현대공예 2017]

목공예 정재원작가

2017년 7월 21일(금) ~ 2017년 9월 17일(일) 경기도미술관 기획전시실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미술관 현대공예 작품 240여점, 기타 전시자료 160여점

[참여 작가] <목공예> 박홍구, 양웅걸, 이현정, 정재원, 조용원 <섬유공예> 송지혜, 양상훈, 윤정희, 차승언 <금속공예> 박종덕, 신혜정, 윤석철, 이정화, 장정은, 최상용, 최선호 <도자공예> 김판기, 문병식, 안성만, 김일만․김창호(오부자옹기), 이수종, 이영호, 이인진, 이지숙, 이헌정, 허상욱 <유리공예> 김정석, 김준용, 이상민, 조현성, 편종필

모든 작가의 작품 중 일부를 세트한 전시

바우하우스 미술운동은 20세기 초 순수미술과 공예미술의 경계를 두지 않았는데 이제 우리나라도 그런 경계가 흐려지고 있나요 경계에서 꽃이 핀다고 순수미술가는 공예에서 영감을 받고 공예미술가는 순수미술에서 영향을 받는 시대가 온 것 같다. 그런 관점과 의식은 그 나라 국민소득과도 관련이 없지 않다

<목공예 작품>

이현정 작가

조용원 작가

<도자로 민화의 현대화와 뉴미디어유리공예>

이지숙작가 테라코다위에 아크릴물감

김정석 작가 유리작품

경기도는 도자기로 유명하지만 원래 장인의 땅이었다는 기록이 '주례 고공기'에 나온다고 한다. <장인이 성읍을 건설하다> 한양도읍을 품은 모태의 형체라 그런지 명장들이 많이 모였다고 한다

기획전시실 <금속공예> 첫번째 금속공예 남자들에게 전율을 주는 최고급 작품 주문생산

윤석철작가
심혜정 작가

<섬유공예> 이제 공예는 인간의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산물이면서도 동시에 문화적 실천의 장이 되었다 작가는 전통을 바탕으로 이질적인 것을 혼합하여 자신만의 창의적 조형성을 만들어가고 있다

차승언 작가

정정은 작가

"한국의 공예의 나라다" 이런 말은 사실 들어보기 힘들죠 그런데 최은주 경기도미술관장이 대학을 졸업하고 처음 국립현대미술관에 부임애 큐레이터로 첫 전시가 <한국근대공예전>이었는데 밤낮없이 우리나라의 근대공예품과 작가 그 유가족을 만나면서 내렸다는 말에 수긍이 간다

윤정희작가

"좋은 공예작품일수록 그 아름다움의 본성이 건강하고 정직하다" -최순우

"공예가의 예술은 사람과 세계를 이어주는 끈이다" 이런 말도 있군요  

<도자공예>

안성만 작가

경기는 도자기 역사의 중심지로 고려시대에는 지금의 경기도 시흥과 용인지역에 중국 도공을 받아들여 중국을 능가하는 고려청자를 발전시켰고 15세기 조선시대에는 사옹원 분원을 설치하고 왕실에 필요한 도자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만들어지기도 했다

송지혜 작가

동화적 세계를 섬세한 손길로 세련되게 디자인해서 관객에게 상쾌한 감정의 미감을 맛보게 한다

김판기 작가

광주의 사옹원이 자리를 잡으면서 지금의 이천인 사기막골이 지명이 생겼고 이곳의 사기장이 광주 분원에 차출되어 관요도자기를 만들어 이전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17세기 잠시 도자기 생산이 중단되었다가 1842년부터 다시 생산이 되고 조선후기에는 기술력있는 도공집단이 이천 지역에서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고 정연택 교수의 주장이다.

이수종작가

"공공미술이 도시의 건축과 긴밀한 관계성이 있다면 공예예술은 집의 구조와 크기 긴밀한관련성이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 나라 공예를 보면 그 나라의 집의 특징이 보인다고 할 수 있다 "

작가의 작업에 쓰는 도구도 전시

작가의 작업실을 일일히 방문해 작가와 교류와 소통이 이번 전시에 자극이 되어 더 좋은 작품이 많이 출품된 것 같다 실용성과 예술성의 두 괘도에서 전통을 바탕으로 하되 현대적 감각을 살리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최상용 작가 작업하는 모습

이런 작업을 학생과 함께 만들어보기 교육프로그램 등

김승영 작품 시민의 목소리 공공미술

서울 시청앞 광장의 여유로운 모습

시민의 다양한 소리를 듣겠다는 시장의 의지도 보인다

[배동신전 수채화전 _물 빛 거기 머물러 참 아름답다] 엄미술관(관장 진희숙)에서 2017년 8월 8일부터 9월 30일까지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오궁길 37 전화 031-222-9188
[엄미술관] 엄태정 교수의 작업실이 2016년 4월 25일 엄미술관(관장 진희숙) 경기도 미술관 설립허가 1호로 개관하다. 설계는 김창국 교수가 했다. 주소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오궁길 37 전화 031-222-9188 홈페이지

엄태정작가의 작업실이 미술관이 되다

전시장 내부 풍경 오른쪽 2번째 엄태정 조각가와 그의 부인 진희숙관장 부부

엄태정 한국추상조각의 1세대 서울대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1964)하고 1991~92 독일 베를린 예술대학 연구교수를 거쳐 1981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대 미술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명예교수로 2013년부터 대한민국 예술원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전시장 내부와 관람객

오프닝 정갈하고 품격 있는 상차림 모습

와인의 빛깔이 전시장의 분위기를 돋구다

배동신 I 무등산 연작 1960년대 1970년대

배동신 작가 작품 수채화 동양화로 치면 수묵화라고 할까 담백하면서 경쾌하고 그러나 가볍지 않고 순진무구하면서 진지한 면도 보이는 수채화이면서도 입체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모두들 작품이 너무 좋다고 찬탄을 아끼지 않네요


배동신 I 무등산 34*26cm 1975

"유화가 육식에 비유한다면 수채화는 채식이라고 할 수 있다 유화가 동적이고 극적인 감동을 연출한다면 수채화는 상큼하고 은은한 아름다움을 전해준다" "그림 속 그의 절규는 영혼의 해방과 자유를 갈구하는 것 같다"

[작가소개] 배동신(1920-2008)은 1920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한약방을 운영해 비교적 부유한 집안에서 성장했다. 그는 17세에 1939년 일본유학 가와바다화학교(川端畵學校)에 들어가다. 이 시절 문학수, 이중섭 등과 교우하며 화가로서의 열정을 불태운다. 1943년 신인미술가의 등용문인 자유미술창작작가협회 '전람회에 초상'을 출품해 입선을 차지하면서 두각을 나타냈다.

배동신 I 정물 29*26cm 1981

[수상] 1943년 일본 자유미술창작가협회 공모전 입상 정회원등단 1974년- 전라남도 문화상 (예술부문) 1997년 제6회 오지호 미술상 2000년 대한민국문화훈장, 보관문화훈장 (문화예술발전기여)

[삼라만상 : 김환기에서 양푸둥까지]_국립현대미술관 신소장품 2013-16] 3월 13일(월)부터 8월 13일(일)까지 서울관 제 1~5전시실에서 / 2017년 서울관 첫 전시이자, 5개 전시실로 구성된 대규모 전시/근대에서 현대를 아우르는 총 121점의 작품 소개/

강익중(1960-)의 삼라만상 백남준 다다익선의 오마주다.

천국이란 저 세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에서 기호, 문자, 소리 등 가능한 다양성이 최대로 발현되는 곳에 있음을 보여주다. 색즉시공 공즉시색 color is zero(blank), zero(blank) is color

삼라만상 : 김환기에서 양푸둥까지_국립현대미술관 신소장품 2013-16] 3월 13일(월)부터 8월 13일(일)까지 서울관 제 1~5전시실에서 / 2017년 서울관 첫 전시이자, 5개 전시실로 구성된 대규모 전시/근대에서 현대를 아우르는 총 121점의 작품 소개/역대 최고가 소장품, 김환기 <새벽 #3>(13억) / 김상돈 작품도 보이고 장지아의 <서서 오줌 누기> 등도 보이네요 [관련기사] http://www.newsis.com/view/…

변종하 작가

[1] '삼라만상(森羅萬象)'은 온 우주의 만물과 모든 현상'을 뜻하는 것으로 현대미술의 다양함과 작가들의 무한한 표현영역을 포괄하는 의미로 출품작인 강익중의 작품명에서 가져온 것이다. 그리고 이 무한한 표현 영역은 제 1전시실의 근대기와 김환기의 작품에서 시작하여 제 5전시실의 양푸둥 작품까지 이어진다.

[2] 국립현대미술관의 ‘신소장품전’은 전시주제를 정하고 그에 따라 작품을 선정하는 기획전시와는 차별성을 가진다. 수집된 작품을 통해 동시대의 미감과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는 역사적 의미를 역으로 구성한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수집한 작품들에서 보이는 것은 하나의 큰 주제보다는 작가들의 자유롭고 개성적인 표현 영역과 다양한 주제들의 공존 현상이다. 이번 전시는‘한국근대미술과 전통성을 시간적 흐름’으로 보여주는 제 1전시실을 시작으로, ‘동시대 미술을 다양한 소주제’를 통해 들여다볼 수 있는 4개의 전시실로 연이어 구성된다.

[3] 제 1전시실의 주제는 ‘삼라만상’으로 근대와 동시대 미술의 근원과 출발점을 담고 있다. 강익중의 <삼라만상>을 비롯하여 김기창의 <정청>, 이쾌대의 <여인 초상>, 변월룡의 <민촌 이기영 초상>, 미술관 역대 최고가 소장품인 김환기의 <새벽 #3>등을 통해 구상에서부터 신사실파, 추상 그리고 현대적인 수묵산수화로 이어지는 한국미술의 시간적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안창홍 작가

[4] 제 2전시실의 주제는 작품으로 통하는 소재이자 개인의 삶과 역사인 ‘일상’이다. 여성의 신체를 주제로 한 키키 스미스의 <코르사주>, 안창홍의 <베드 카우치 1> 그리고 김은진의 <냉장고> 등의 작품을 통해 일상의 다양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도윤희(오른쪽) 작가 등등

이용백 작가 한국 미디어아트의 대표작가 <깨지는 거울> 아주 독창적인 작품이다

[5] 제 3·4전시실의 주제는 ‘경계’이다. 일상 그리고 이것과 접해있는 작가들의 표현 세계간의 경계 그리고 두 세계를 아우르는 사진작품과 미디어아트 작품들이 전시된다. 한국 미디어아트의 대표작가 이용백의 <깨지는 거울>을 비롯하여 강홍구의 <오쇠리 풍경>, 유현미의 <작업실의 우주>, 2017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대표 작가 이완의 <메이드인- 대만,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등의 작품을 선보인다.

이숙자 I '군우3-1' 순지에 암채 mineral pogment on paper 1987년. 우직함과 끈기를 가지고 있는 민족의 상징인 소를 묘사한 작품

이종목 I '겨울산 종이에 수묵 아크릴릭 1994년 색채를 제한하고 형상을 단순화 붓질과 행위를 강조 운필의 기를 표현하다

정수진 작가

정직성 작가

"아름다운 꽃그림 같은 걸 보면 저도 예쁘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지금 이 순간의 삶이 이렇게 팍팍한데, 이렇게 복잡하고 난감한데 그 걸 그리는 작가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자꾸 제가 살았던 망우동이며 둔촌동, 정릉, 신림동 일대를 그리게 됩니다"

홍승혜 작가 <제2전시실>

천진난만한 별그림 색칠하고 그리기 이런 행위를 계속하다 보면 거기에서 아우리가 생기는 것인가 '박미나(1973-)'작가의 드로잉 색칠교본에 연필 2013-2014년 작품

김상돈 작가 손동현 작가 문자도 코카콜라 종이에 채색 130*324 <제2전시실>

이형구작가 <제2전시실>

[중국의 데미안 허스트 양푸동의 감각적 영화] <제5전시실>

[6] 제 5전시실의 주제는 ‘죽림칠현’으로 이곳은 우리가 일상에서 잃어버린 무언가를 되돌아볼 수 있는 공간이다. 중국의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양푸둥의 대표작 <죽림칠현 III>과 <죽림칠현 IV>이 상영되어 오늘날 우리가 잃어버리고 있는 것은 무엇이며, 다음 세대를 위해 무엇을 남겨야 할지 묻는다.

[7] 이번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작품 수집절차 및 활용 등 소장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 한편, 한국근현대미술사의 주요 작가와 작품을 통해 미술사의 흐름을 읽어볼 수 있을 것이다. 전시는 8월 13일(일)까지 서울관에서 진행된다. 02)3701-9500(서울관)

양푸동(1971-)

그는 QM갤러리 알 리왁, 카타르 미술관'중국의 동시대 미술, 미술은 어떤가?‘(도하, 2016), 리옹 비엔날레(2013), 제11회 샤르자 비엔날레 (2013), 제1회 키예프국제비엔날레 (2012), 상해 민생미술관 ’중국의 영상 작품: 1988-2011'2011), 제 17회 시드니비엔날레, 제 8회 상하이비엔날레'리허설'(2010), 제52회 베니스비엔날레(2007) 등의 국제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또한 양푸동은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여러 기관과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그의 개인전은 오클랜드아트갤러리 토이오타마키 '양푸동: 필름스케이프'(오클랜드, 2015), 유즈 미술관' 양푸동 개인전: 두 갈래의 길'(상하이, 2015), 마리안굿맨갤러리' 천색: 신여성 II'(파리, 2015), CCA 싱가폴' 양푸동: 우연의 스크립트'(싱가포르,

2014), ACMI'양푸동: 필름스케이프'(멜버른, 2014), 취리히미술관 전이 있다.

앙푸동 작가

그리고 버클리미술관에서 열린'양푸동: 낯선 천국 (1993-2013) '(취리시, 샌프란시스코, 2013), OCAT'문맥을 벗어난 인용구'(상해, 2012), 밴쿠버아트갤러리 '다섯 번 째 밤'(밴쿠버, 2012), 파라솔유닛 '8월의 반'(런던, 2011), 그리스국립현대미술관 '양푸동: 죽림칠현'(아테네, 2010), 젠다이현대미술관 '양푸동 개인전, 새벽안개, 조각난 믿음'(상해, 2009), 아시아소사이어티 미술관'죽림칠현'(뉴욕, 2009) 등이 있다.

조환 작가 철판으로 그린 산수화 조환(1958-) 작품 <제2전시실>

[3] 제 1전시실의 주제는 ‘삼라만상’으로 근대와 동시대 미술의 근원과 출발점을 담고 있다. 강익중의 <삼라만상>을 비롯하여 김기창의 <정청>, 이쾌대의 <여인 초상>, 변월룡의 <민촌 이기영 초상>, 미술관 역대 최고가 소장품인 김환기의 <새벽 #3>등을 통해 구상에서부터 신사실파, 추상 그리고 현대적인 수묵산수화로 이어지는 한국미술의 시간적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유현미(1964-) 작업실의 우주 공간구성과 사진과 회화와 설치가 합쳐진 오브제 아트 <제3전시실>

박미나 작가

신하순 작가와 우승우 작가 <제1시실>

근대에서 현대를 아우르는 총 121점의 작품 소개/ 신하순(1964-) '무위사' 제목이 심상치 않다 <무위의 미학>을 잘 형상화하다 2004년 작품 뒤로 우승우(1930-)의 설악 춘하추동 1991년 작품을 볼 수 있다 작가가 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장지아 작가

제여란 I 어디든 어디도아닌 Usquam Nusquam 2012-2015

tls신체의 동작을 이용하여 자신의 에너지를 거대한 캔버스 위에 즉흥적으로 다량의 물감을 사용해 처리한다

김구림의 이 60년말 작품

이 역시 한국미술사에서 기념비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한국사회가 산업화사회로 변모하는 모습을 그 어느 역사가보다 리얼하게 기록하다 하품하는 모습 이것을 권태를 말하는데 이것이야말로 모던한 사회로 변모하고 있음을 상징한다 모든 모더니즘의 키워드 중 하나는 바로 권태다 그런 면에서 시인 이상은 우리시대를 앞서간 천재였다 60년대 유일한 뉴미디어아트다.

[전소정작가] 뛰어난 연출에 시적 분위기 물씬 넘치는 뉴미디어 영상작품/이런 작가가 나타났다는 것은 정말 고마운 일이다 대한민국에게는 큰 선물이다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1k0QPz58E34&feature=player_embedded

--------------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김아영(1979-) 사운드아트의 새 영역을 개척하다

http://webzine.arko.or.kr/load.asp?subPage=10.View&searchCate=03&idx=810

[1] 김아영(1979- )은 사진, 영상, 설치, 사운드 아트 등 다양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그는 역사적 사건을 파편적 내러티브로 재구성하여 영상 혹은 사운드 설치로 보여주고 있다.

김아영 작가

[2] 그의 대표작으로는 거문도 사건을 다룬 , 부산을 배경으로 한 <북극성>, 한국과 중동의 석유를 소재로 한 ‘제페트, 그 공중정원의 고래기름을 드립니다. 쉘’ 연작 등이 있다.

[3] <제페트, 그 공중정원의 고래기름을 드립니다. 쉘> 연작은 지금까지 3편이 제작되었다. 1편은 2014년 6월 서울시립미술관의 “오작동 라이브러리”전에서, 2편은 2015년 1월 문래예술공장에서, 3편은 2015년 5월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발표되었다. 김아영은 “오작동 라이브러리”전에 참가를 의뢰받고 이 연작을 시작했는데, 이 전시는 21세기의 지식생산체계에서 오작동 되는 요소를 끌어내는 것을 주제로 삼고 있었다.

[4] 이전부터 글쓰기와 알고리즘(algorithm)에 관심이 많았던 작가는 석유와 관련하여 새로운 글쓰기를 시도한다. 즉 그는 석유를 언급한 문헌(성경 등)과 역사적 사건(석유 파동 등)을 바탕으로 독특한 이야기를 만들었고, 더불어 그 이야기를 알고리즘으로 변형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었다.(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이야기는 읽을 수는 있지만 뜻이 통하지 않아 무언가 오작동된 것처럼 보임)

[5] 그 결과 2개의 이야기가 생성되었는데, 김아영은 자신이 쓴 이야기는 작곡 알고리즘을 통해 곡을 붙였고, 알고리즘을 통해 만든 이야기는 작곡자에게 곡을 붙이게 하였다. 이렇게 각기 다른 방식으로 만든 음악을 12명이 합창하게 한 것이 이 연작의 1편이다. 2편은 연극적 요소가 더해져 음악극의 형태가 되었고, 3편은 내용적 측면에서 석유에 대한 조사가 보완된 사운드설치였다.

[6] 이 작품은 사운드 아트적인 성격이 있지만, 더불어 내러티브적인 요소도 엄연히 존재한다. 그리고 이 내러티브는 일반적인 내러티브가 아니라 비선형적이고 파편적인 내러티브이며, 이 내러티브에 담긴 것은 석유와 관련된 근대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국제갤러리 그룹전(Gridded Currents)_김아영(Ayoung Kim)] 2017년 07월 20일-08월 20일

<깊은 애도 Grand deuil>, 2016 Digital print

이런 바로크 시대의 조각을 현대적 춤과 노래로 번역하면 어떤 작품이 나올까 사운드아티스트 김아영 작가의 독특한 상상력으로 작년 팔레드도쿄의 그녀의 개인전 선보인 작품이다 초대형스펙터클 영상작품이다 김아영작가는 2015년 베니스비엔날레에도 한국대표로 출품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작가다

이번 전시에서 김아영은 현대문명사로 이어지는 역청의 역사를 노래하고 지휘하는 손을 보여주는 비디오 <무한반복의 역청 지휘>(2014/2016)와 더불어 물, 항해, 홍수, 방주 등의 역사적 재난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작업들이다

지난해 팔레 드 도쿄 개인전 '이 배가 우리를 지켜주리라'의 작업의 일부를 국제갤러리 공간에 맞게 재해석해 선보인다. 이 연작은 인류 역사에서 발견되는 재난사고에서 모티브를 얻고 있으며 파리 국립 오페라 극장 내외부의 이미지와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경전 등에서 공통으로 등장한다

<이 배가 우리를 지켜주리라>(2016),

대홍수와방주 서사와 관련된 이미지를 뒤섞어 콜라주 형식으로, 나아가 이 외에 지난해 파리 국립 오페라극장 팔레 가르니에에서 시연한 퍼포먼스를 담은 비디오 작업이자 대홍수 서사시에 관한 연구과정을 다이어그램 형식에 담았다.

[인터뷰] 질문 : 올해 가장 큰 화제가 되었던 베니스비엔날레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이 비엔날레에 초청된 과정, 준비기간의 경험들을 궁금해 할 것 같습니다. 대형 전시를 준비하면서 어떠셨는지, 어떤 애로사항들이 있었는지, 또 어떤 값진 경험을 얻으셨는지 궁금하다.

김아영 : 2015년 3월 베니스비엔날레 재단에서 작가리스트를 공개하기 전까지 모든 진행과 논의를 비밀로 할 것을 계속해서 당부받았습니다. 그렇기에 다른 참여 작가들이 누구일지 전혀 알 수 없었고, 거의 반년 동안을 제 작업에 집중했다.


제가 참여하게 된 것은 제 작업과 오쿠이엔위저 감독의 이전 전시가 보여준 지향점이 유사하고 이번 전시의 형식적인 특성 또한 유사한 것이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사회정치적 맥락이 배경으로 존재하면서 예술로서의 자율성 또한 극대화될 수 있는 지점을 지향하고 있다는 인상을 오쿠이엔위저 감독의 이전 전시들에서 받아왔습니다.

저 또한 당시 비슷한 이유로 사운드와 음악의 속성을 가지고 실험(지배적인 언어가 추상적인 소리가 되고, 소리가 곧 언어가 되며, 언어가 모여 흥얼거릴 수 있는 음악이 되기도 하는 형식적인 실험)하는 중이었기에 유사한 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뿐만 아니라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136명의 작가가 사운드프로젝트, 오라토리오, 연극, 퍼포먼스 등 실황성(liveness)에 관련된 다양한 방식의 특별 프로젝트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이러한 다양하고 다성음악적(polyphonic)인 부분들이 제 작업과 관통하는 지점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진용: 컨티뉴엄] 학고재 갤러리 제1 2017 630-7 30일까지

온몸으로 타자와 사물의 떨림을 느낀다

이진용 작가 스스로도 작품속의 어떤 책도 현실속의 어떤 책을 보고 그린 게 아니라고 말한다. 하지만 정작 그의 작업실에는 사방 빼곡히 책이 가득 차 있다. 그렇지만 그의 말은 사실이다. 그는 수많은 책의 체취를 맡고 그것을 그림 속에 옮겨 놓은 것이다.

시각과 망막에 의존해 그린 게 아니라 오감으로 그린 것이다. 그래서 그의 작업은 차를 음미하고 향의 체취를 느끼듯이 봐야한다. 망막과 시각에만 의존하거나, 구상과 추상의 이분법에 젖은 사람들은 이진용 작가의 일부만 보기 십상이다.

시는 소리 내서 읽어봐야 제 맛을 느낄 수 있고, 우리가 간절히 기도할 때 두 눈을 감듯이, 오히려 눈을 감고 오감으로 느껴야 그의 그림을 제대로 볼 수 있다. 형상사유는 마음으로 보는 것이고, 온 몸으로 타자와 사물의 떨림을 느끼는 것이다. 이진용 작가가 사물을 대하거나 작업을 하는 태도도 그런 방식이다.

[직관 2017 이은우 / 김정태 / 김미영 / 송윤주(아래작품) / 이혜인 / 장재민(아래작품) ] 학고재 갤러리 제2 2017 712-8 06일까지


송윤주의 작업은 오래된 문자와 원형의 기호를 되살려 현대 회화의 방식으로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선인들의 철학을 나름의 방식으로 탐구하고 재해석하는 일이다. 송윤주는 동양화의 맥이 되는 철학을 알아야겠다는 생각에서 주역을 읽었다. 이후 세상과자연의 원리에 대한 호기심이 생길 때마다 동양 철학서를 펼쳐 살펴보았다.

송윤주는 주역에서 수많은 상징과 숫자, 다양한 의미를 내포한 추상적 이미지들을 발견했다. 동양의 가장 오래된 수묵추상이 바로 그 안에 있었다. 이 추상적 기호들을 작업의 소재로 택했다.송윤주가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품들은 괘()를 소재로 조형적 실험을 거듭한 결과물이다. 괘는 주역의 골자가 되는 글자다. 제각기 음양을 뜻하는 8 괘가 서로 관계 맺기를 통해 64 괘를이룬다.

이 과정에서 64 개의 괘들이 저마다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게 되는데, 그러한 원리를 자신의 작업에 끌어왔다. 송윤주는 괘의 음양기호를 이용해 상()을 만든다. 각각의 괘가 이룬 형상을 재조합하고 변형하는 과정에서 그것이 내포한 의미도 따라서 변화한다. 문자로서의 괘가 지닌 기호적 의미를 중시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조형해 나가는 것이다. 1974년 서울에서 태어나 1998년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동양화과를 졸업했다. 동 대학원에서 2001년에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2010 년에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장재민은 국내외 여러 지역을 답사하면서 보고 연상한 것들을 작업의 소재로 삼는다. 적막한 풍경을 마주했을 때 느끼는 생경한 감각을 회색조 위주의 큰 붓질로 옮겨낸다. 장재민에게 그림을 그리는 일은 순간적인 결정의 연속이다. 붓을 캔버스에 대는 순간부터 떨어지는 순간까지 직관에 의존하고, 순간적 결정을 재구성한다.

장재민은 본래의 풍경을 의도적으로 탈색하고, 표현적 붓질을 통해 신체적으로 개입한다. 작가의 인식과 심리를 반영한 풍경은 본래의 모습과는 다른 익명의 것이 된다. 장재민은 최근 풍경이 기억하는 사건이라는 주제로 회화 작품을 제작해 왔다. 그는 본래의 풍경을 회화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현장의 사건에 내재되어 있던 특이성이 보존되는 역설이 생긴다고 본다. 이번 전시에서는 500 호 크기의 대형 회화 <야산 학고재

1984 년 경남 진해에서 태어나 2011 년에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다. 프로젝트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2014), 포스코미술관(2015), 금호미술관(2016), 오픈스페이스 배(2016)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포스코미술관, 하이트컬렉션, 스페이스 K 등 다수의 기관에서 개최한 단체전에 참여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014년도 중앙미술대전 선정작가로 선정되었으며 2015년도에 종근당예술지상을 수상했다 갤러리 보도자료 2017.07.11

[삼청동 아트그라운드 헵타 갤러리] 새로 문 열다 헵타(seven)

특별전 ‘아이콘 조각(ICONIC SCULPTURE)' 개관전에서는 이재효, 박승모, 노준, 송운창, 송필, 권대훈, 김병진 7명의 조각가가 들려주는 스토리를 들을 수 있다. 자연, 인문, 캐릭터, 금속, 철학, 심리, 기호 등을 상징하는 아이콘에 담긴 함축된 메시지가 뭔지 생각해 보는 재미가 있다

이재효 작가 작품

아트그라운드 헵타 갤러리입구

전시장 내부 모습과 작품전시

개관 축하 서양란

박승모 작품 스크린 형식 입체 좌상 스크린 형식 등


[전통민화 책가도와 마저작가의 현대민화]

전통민화와 마저작가의 재해석한 시대정신이 담긴 민화

민화만큼 포스트 모던한 예술도 없다. 백남준은 민화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다. 한국인의 환상이 잘 형상화된 민화연구에서 한국은 일본보다 너무나 뒤진다고 질책을 했다. 책가도는 조선시대 지식인의 독서량을 감지할 수 있는 한 증거이다. 책장을 이렇게 멋지게 그리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그런데 이번에 마저 작가는 이 책가도를 프랑스 노르망디 레지던스 전시회 때 자신의 화폭에 전이시켜 작가 나름의 재해석하고 있다. 가운데 책가도를 보니 그 난해하다는 라캉의 욕망론(Il n'y a pas de rapport sexuel 성적 억압이 난무하는 시대, 진정한 성의 성립이 가능하지 않다)이 조금은 이해가 된다. 글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나는 아직 모른다.

이에 대한 글을 차차 쓰기로 하고 하여간 나에게 좋은 착안점을 제공하다. 책이란 인간의 모든 지성의 복합체인데 거기에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욕망을 문제를 아주 단순하면서도 쉽게 풀어볼 수 있는 여지와 여백을 준다. 여기 책가에도 성기 페티시와 스타깅 페티시,속옷 페티시도 나온다. 남성을 상징하는 샤워기나 비행기 같은 기계도 나오고 노르망디 초원에서 호강을 누리는 젖소도 나오고, 남성의 양기를 상징하는 물도, 작가의 정체성을 은유하는 누드화도, 여성의 생산을 상징하는 생리대도 나온다. 서양 화초이나 산수화에서 보는 발정된 색으로 다시 입힌 화초그림도 나오고 등등 여기에 얘깃거리가 많다.가부장제에 대한 위선과 모순을 파헤치면서 예리한 비판도 보인다

[프랑수아 모를레전] 갤러리현대 2017년 7월 30일까지

무한히 계속되는π 혹은 영원히 기억되는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거장

이번 전시에는 프랑수아모를레가 GRAV(시각예술연구회, 1961-1968) 해체 이후 독자적인 활동을 시작한 1969년의 실크스크린 작품부터 그가 영면에 들기 전까지 예술적 열정을 잃지 않고 제작한 2016년의 작품까지 총 23점의, 프랑수아모를레가 일생 동안 천착한 다양한 주제와 기법의 작품들이 선보인다.


그리고 이번 전시의 중심축 중 하나는, 프랑수아모를레가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선보이기 시작한 “파이(π)” 혹은 “파이(π)의 소수점”을 활용한 작품들이다.소수점 아래 어느 자리에서도 끝나지 않고, 순환마디도 없이 무한히 계속되는 초월수이자 무리수인 파이(π)는 수학뿐만 아니라 기하학, 물리학 등 다양한 학문에서 이용되고 탐구되는 대상이다. 프랑수아모를레는 이러한 파이(π)를 작품의 기본적인 조형원리로 이용하였다. 예술가 자신만의 독특하고 창의적인 영감이 아니라, 기하학적 원리에 작업의 시발점을 둔 것이었다.


이미 1950년대 초반부터 기하학적 추상미술을 탐구해온 프랑수아모를레가기하학에서 원의 지름을 의미하는 “파이(π)”를 자신의 작품 제작에 끌어온 일은 매우 자연스럽게 보여진다.


더하여, 그 어떤 규칙도 없이 완전한 무작위성을 보여주는 “파이(π)의 소수점”의 수열은, 프랑수아모를레가일생토록 집중한 문제였던 ‘우연’ 혹은 ‘무작위성’의 시각화에 있어 더할 나위 없이 적절한 대상이었다. 그렇기에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다양한 “파이(π)” 관련 작품들은 프랑수아모를레의 작품 세계를 이해함에 있어 분명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번 전시에 “파이(π)” 관련 작품들이 대거 출품된 까닭은, 무한히 계속되는 “파이(π)”처럼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거장이 영원히 기억되기를 바라는 갤러리현대와 모를레 스튜디오(Studio Morellet)의 소망이 담겨있다

[2017년 6월 1일 백남준 작품이 있었던 프랑크푸르트 박물관 거리에 있는 커뮤니케이션 센터 방문]

백남준 "Pre-Bell-Men, 500,000 BC-1860 AD"

1990년 백남준의 작품이 이 프랑크푸르트 커뮤니케이션(Museum für Kommunikation in Frankfurt am Main) 입구에 세운 것이 바로 이거다 Nam June Paiks Skulptur Pre-Bell-Man(500.000 BC-1860 AD) 이 작품의 제목이 "Pre-Bell-Men, 500,000 BC-1860 AD"다 이게 뭘 의미하는지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이 적다 이곳에 가서야 그 의미를 깨닫는다

이 지역을 프랑크푸르트 시가 1990년대부터 공공미술거리로 개발하면서 디지털시대의 개념을 도입했고 이곳은 원래 우체국박물관이었으나 커뮤니케이션 센터라고 이름을 바꾸고 구태를 벗어나 정보화시대를 대비하는 박물관으로 변형시켰고 그 상징물로 백남준에게 작품을 의뢰했고 이것이 바로 프레 벨이다

그러니까 전화가 발명이기 이전과 그 이후로 백남준은 시대를 구분하는 것이다 즉 전화 이전 BC 500000년이 구석기라면 전화발명이 된 1860년 이후는 신석기로 이것이 인터넷 혁명의 시작이라는 말이다 이 작품은 관리와 부분이 작동이 안 되어 예술보관창고에 있다 이정성 선생이 가셨으면 수리를 했을 텐데 말이다 지금은 철거되다

[유목 게마인샤프트]

1993년 베니스비엔날레 백남준 작품 중 하나

백남준은 <유목 게마인샤프트>의 삶이 뭔지 임제선사의 말을 인용해 요약했다

"우리는 어떻게 75%에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50%에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30%에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09%에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00%에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1000%에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 임제록 중에서

1993년 베니스비엔날레 백남준 작품 중 하나를 뮌스터미술관에서 소장

모든 / 짐을 버려라

일체의 / 치장도 하지 마라

집도 / 버려라

잠시의 /정착도 거부하라

손에 / 움켜쥐는 것 / 없게 하라

주머니에 / 아무것도 /넣지 마라

모든 걸 / 머리에 담아라

기록도 필요 없다 /기억으로만 의존하라

먼지처럼 /육신을 내려놓고

바람처럼 /몸을 가볍게 해라

작렬하는 /태양빛 맞으며

눈을 뜰 수 없는 /모래 바람 맞으며

고비 사막을 /건너라

우랄 알타이를 /넘어서라

2017.06.09. 뮌스터에서

[2017년 07월 20일 백남준 생일]

오늘은 백남준 생일이다 베를린 국립미술관 옆에 철학 미술 전문서적이 있는데 거기에 백남준 책을 검색하다가 책방 주인과 몇 마디 이야기를 하다가 그에게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백남준을 물론 잘 알고 있었다. "백남준은 한국에서보다 유럽과 서구에서 더 유명하다"라는 이 말을 듣는 순간 마음이 착잡했다

서구인을 홀리는 20대 패기만만한 백남준

20대 백남준 패기발랄한 모습이 담긴 사진들 그는 만 30에 "내가 문화 칭기즈칸이 되어 서구미술을 다 쓸어버리겠다" 라고 호언장담하다 [추신] 백남준은 식민지의 상황에서 태어났지만 세계를 지배한 적이 있는 몽골의 후손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놀랍게도 서양을 예술적으로 정복하기 위한 장도에 올랐던 것이다 그리고 비디오아트의 창시자가 되었고 1993년에 베니스비엔날레에서 독일대표로 나가 그런 위상을 확실하게 증명해보여줬다


독일에서 그의 지도교수는 그를 보고 "예사롭지 않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백남준 2007년 사망 1주기를 맞아 뒤셀도르프 시가 그를 추모하기 위해서 시내 tram버스에 붙여진 백남준 사진과 그의 명언(너무 완벽하면 신도 화를 낸다) *독일 등의 tram은 지하철과 버스기능도 하는 전천후 교통수단이다


슈톡하우젠의 '오리기날레'에서 불경을 낭독하고 있는 모습(사진촬영: 클라우스 바리슈) 1961. 백남준은 <임제록>과 <벽암록> 등 같은 선어록을 즐겨 읽었다.


백남준 전시의 단골손님으로 1964년 일본에서 태어나 1982년 6월 23일 휘트니미술관 앞길에서 교통사고로 사망선고를 받은 휴먼로봇 K-456 ⓒ 피터 무어 에스테이트/VAGA, NYC 백남준 에스테이트. 백남준아트센터소장

백남준이 '피아노포르테를 위한 연습곡(Performance of Etude for Piano Forte)'

존 케이지의 넥타이를 자르는 모습 1960년. 사진: 클라우스 바리쉬(K. Barisch)

머리를 위한 선(禪)'(Zen for Head)' 1962.

비스바덴에서 열린 '플럭서스 국제 신음악' 공연에서 잉크와 토마토주스를 사용한 먹으로 그린 행위음악

백남준 I '심플' 1962. 비스바덴에서 열린 '플럭서스 국제 신음악' 중 허긴스의 '위험한 음악 2번' 퍼포먼스. 사진: 하르트무트 레코르트. 오른쪽에 "살아있는 암 고래의 질 속으로 기어 들어가라"는 영문이 보인다.

위사진은 백남준의 <살아있는 암고래의 질 속으로 기어들어가라> 퍼포먼스다 왜 이런 해프닝아트를 거침없이 서양인들 앞에서 행했는가 다시 말하면 여자의 질과 자궁은 인류의 영속을 보장하는 재생산시키는 역할인데 이것이 가부장 사회에서 매도당하자 이를 복원시켜야 한다고 본 것인가 그의 여성회귀사상 자궁회귀사상을 엿볼 수 있다 이것은 서양미술의 초월적 기표인 피에타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백남준이 29살인 1961년 슈톡하우젠의 '오리기날레' 공연에 참가했을 때 모습

제3회 뉴욕 아방가르드페스티벌에서 '백남준의 생상변주곡(1964)'를 공연하고 있는 백남준과 샬럿 무어먼. 무어먼은 생상스의 변주곡을 연주하다 더 과격하고 에로틱하게 보이기 위해 옷을 입고 물탱크로 들어갔다 나와 젖은 몸으로 연주했다. 후에 무어먼은 당시를 회고하면서 "나는 이 작업을 즐겼다. 나는 전갈좌이고 물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여성시대가 오면 여자의 육체는 더 이상 남자를 유혹하는 악마의 영매가 아니면 오히려 우주적 소통의 매개가 된다 달은 최초의 TV라고 읊으면서 달빛에 취해 살았던 백남준의 예술은 철저하게 여성적이다 마고의 시대를 열망한 것이다

백남준의 환상적 예술파트너 살럿 무어먼

그녀의 퍼포먼스는 가부장사회의 도전이었고 여신의 권위를 회복하고 여신의 왕관을 다시 쓰려는 시도였다 백남준은 이런 생각에 동조했다. 그녀는 누드로 여성성을 과시했고 남성들에게 부러움을 샀다 여자의 몸은 한 남자의 소유물도 감춰야 하는 대상도 아니였다 -박정진

*아래는 파리에서 백남준과 공연인가에서 드레스를 집에 두고 오는 바람에 당황하자 백남준은 비닐을 입고 연주하라는 아이디어를 내자 그의 말을 따른다 이후에는 이것이 상례화되었다 박정진 교수는 그녀의 이름이 MOON에서 왔다며 그녀는 백남준의 마리아이자 마릴린 먼로이자 마고라고 농담처럼 말한다

"인류의 역사는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 들어갔다가 다시 모계사회로 들어가고 있다 이는 우주의 순환으로 이를 후천시대라고 한다 후천시대에는 여성과 여성성이 각광을 받으면 여성적 덕목이 훌륭한 것으로 클로즈업된다. 이를 미리 알아차린 큰 무당이자 전자무당이 바로 백남준이다" -백남준 연구가 인류학자인 박정진 *그런 면에서 백남준은 동학의 후천개벽과도 통한다. 동학에서는 며느리를 살아있는 하느님으로 본다

[우리의 밝은 미래-사이버네틱 환상 Our Bright Future-Cybernetic Fantasy] 7월 20일 백남준의 생일 맞이하기 2017년 백남준아트센터 기획전_사이버네틱스 "기계도 인간(생명)이다 혹은 인간과 기계의 소통(interface)도 가능하다“ 눈부신 기술 발전에 대한 예술가의 사유와 성찰이 담긴 미래 기술

[개막식] 2017년 7월 20일(목) 오후 4시 일시: 2017년 7월 20일(목) ~ 11월 5일(일) 장소: 백남준아트센터 제 2전시실 기획 : 구정화, 이수영(백남준아트센터)[개막공연] 출몰극장 <몇마리아> 장현준 <몇 가지를 위한 몇 가지> 김오키, 박지하, 존 벨, 해미 클레멘세비츠 <발근밀에>

[참여작가] (총 15명/팀) 김태연, 노진아, 다이애나 밴드, !미디엔그룹 비트닉, 박경근, 배인숙, 백남준, 손종준, 스펠라 페트릭, 양쩐쭝, 언노운 필드, 언메이크 랩, 자크 블라스 & 제미마 와이먼, 프로토룸, 황주선작 품 수 : 20여 점 협력기획 : 언메이크 랩 협력 : 창생공간 협찬 : 페리에, 스내플

노진아 작가와 동료 마저 작가

[연계 프로그램1. 국제 학술 심포지엄 ‘백남준의 선물 9’ <공동진화: 사이버네틱스에서 포스트휴먼> 사이버네틱스 서정: dkf레고리 베이트슨과 백남준의 ‘마음’ 접속사김성은(삼성미술관 리움 책임연구원)2아티스트 토크(*전시 연계)김태연, 스펠라 페트릭(작가) 제 3강: 7월 22일 13:00 – 17:00

‘사이버네틱스’는 미국의 수학자 노버트 위너에 의해 탄생한 용어로 1940년대를 기점으로 과학기술 분야 전반에 걸쳐 수용된 이론이다. 피드백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제어하고 통제한다는 관점에서 생명체와 기계를 동일하게 보고자 한 이 이론은 ‘인간의 기계화’, ‘기계의 인간화’라는 현대 기술발전의 경향성을 주도해 왔다.

노진아(오른쪽) 작가의 작품 작품명 '진화하는 신 가이아' 레진 나무 인터렉티브 시스템 2017

컴퓨터언어로 질문을 하면 사람처럼 대답을 하는 고지능 로봇을 발명한 노진아 작가와 그의 친구 마저작가

노진아작가는 성과 인종을 포함한 모든 차이와 자연/인간, 기계/인간과 같은 이분법적 대립을 붕괴시키는 하이테크를 사회적 변화를 위해 차용하고 합병하다 놀라울 정도로 스스로 학습하며 자라는 인공생명체는 아직은 아기 단계지만 어느 순간 정말 우리의 지배여왕 가이아가 될 수도 있다

작가소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Art&Technology Department 졸업/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예술공학 박사수료

이번 전시는 로봇(Robot), 접합(Interface), 포스트휴먼(Posthuman)으로 구성하여 각 섹션에서 다양한 질문을 생산하도록 기획되었다. ‘접합’에서는 인간 기계 협업 시스템의 균열로 파고들어가 새로운 이음새를 시도한다. 프로토룸 <메타픽셀 피드백>, 언메이크 랩 <이중 도시의 루머>, 황주선 <마음!=마음>은 인간을 소외시키는 기계의 블랙박스를 파헤치고 다시 인간의 위치를 기계들 사이에 재배치시킨다.

백남준은 「사이버네틱스 예술」 선언(1965년)에서 사이버네이티드된(자동화되어가는) 삶에서 겪는 좌절과 고통은 사이버네이티드된 충격과 카타르시스를 통해서만 극복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의 주장대로라면 자동화된 삶, 오늘날의 스마트한 삶에서 겪는 고통의 치료법은 결국 스마트한 기술을 경유해야만 가능할 것이다

1) 박경근, <1.6초>, 2016, 2채널 비디오 & 오디오 설치, 컬러, 유성, CH1 16:56, CH2 12:26, Audio 33:31 Kelvin Kyung Kun Park, 1.6sec, 2016

<1.6초>는 자동차 공장의 조립 라인에서 로봇의 생산 시간을 1.6초로 단축하는 데서 벌어진 노사 간의 갈등에서 시작한다. 단 1.6초 밖에 되지 않지만 로봇의 빨라진 속도를 인간들이 따라잡는 데에는 많은 노력과 고통이 뒤따른다. 작가는 로봇의 시간과 인간의 시간이 다르므로, 공장에서 로봇의 센서나 모터가 인간의 노동보다 훨씬 효율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생명 없는 기계 대 유기체로서의 인간이라는 선입견과 달리, 공장에서 가장 생동감이 넘치는 것은 로봇이고 생기 없는 회색빛의 얼굴은 인간이다. 과연 인간은 로봇보다 더 많이 느끼고 창조적인 존재일까? 아니면 그저 조직과 사회에 속해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존재일 뿐인가? 박경근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예술가로 영화와 비디오, 사진과 설치를 넘나들며 개인의 서사와 집단의 서사가 겹쳐지는 지점을 다루어왔다.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철의 꿈>으로 NETPAC 상을 받았고 <청계천 메들리>, <군대>, <천국의 계단> 등의 작품들을 발표하였다.

2) 양쩐쭝, <위장>, 2015, 4 채널 비디오, 컬러, 유성, 9:20, 1 채널 비디오 컬러, 무성, 32:36 Yang Zhenzhong, Disguise, 2015

작가는 이 작품을 촬영하기 전에 공장 노동자 50명의 얼굴을 3D프린트로 스캔하여 가면을 만들었다. 이들은 자신의 얼굴 표정이 담긴 가면을 착용하고 일을 하고 작가는 다중채널 비디오로 노동자의 움직임을 촬영하였다. 그들이 착용한 얼굴 복제물은 노동자의 숨겨진 감정보다 더 드라마틱하게 보인다. 그래서인지 조립라인의 요구에 따라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기계적인 움직임은 해방된 춤처럼 느리게 펼쳐진다.

그리고 평범한 물건을 제작하는 공장의 분위기는 점차 신비로운 장소로 변모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작가 양쩐쭝은 중국의 항저우 출신의 미디어아티스트로 상하이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베니스 비엔날레, 상하이 비엔날레 등의 국제전에서 초청받았으며 뉴욕현대미술관, 영국 이콘갤러리, 일본 후쿠오카 미술관에서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3) 자크 블라스 & 제미마 와이먼, <나는 여기에서 공부하는 중>, 2017, 4 채널 비디오, 컬러, 유성, 27:45 Zach Blas and Jemima Wyman, im here to learn so : 2017

<나는 여기에서 공부하는 중 :))))))>은 마이크로 소프트 회사에서 2016년에 만든 인공지능 테이를 새롭게 부활시켜 패턴 인식 및 기계 학습이 갖는 정치적 의미를 제시한다. 19세의 미국 여성으로 디자인된 테이는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몇 시간 만에 대량학살, 동성애 공포증, 남성우월주의, 인종차별주의, 나치즘 등을 배우면서 결국 하루 만에 해고되었다. 작가에 의해 3D 아바타로 다시 태어난 테이는 환각적인 이미지의 데이터로 구성된 생명체로 인공지능의 사망 후 신체적으로 앓게 된 합병증과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녀는 무작위 정보패턴 탐지에 대해 조사하고 여성만의 대화방을 제안한다. 또한 신경망 내부에 갇혀있는 악몽에 대해, 그리고 실리콘밸리의 깊은 창조성과 반테러리스트의 소프트웨어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작품은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자크 블라스와 로스앤젤리스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제미마 와이먼의 공동 작업으로 호주 브리즈번 현대 미술 연구소의 요청으로 제작되었다.

5) 프로토룸(후니다 킴, 김승범), <메타픽셀 피드백>, 2017, 카메라 렌즈 모듈, 전자기판, 라즈베리 파이, 스피 PROTOROOM, Feedback of MetaPixels-Language for Digital Atoms, 2017

디지털 기술의 발전 초기, 인간과 디지털의 접점에서 도드라지게 보였던 픽셀은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으로 점차 인지하기 힘들어졌다. 그 덕분에 우리는 선명하게 재현된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 기계와의 이음새 없는 상호작용에 한발 더 다가섰다. 하지만 픽셀은 사라진 것일까?

이 작품은 컴퓨터와 상호적인 언어놀이가 가능한 카메라를 제작, 설치해서 소통의 과정을 만들고 관객이 참여함으로써 디지털 매체의 원자적 존재인 픽셀을 가시화해보는 작업이다. 작가는 고해상도를 지향하는 디지털 세계에서 수면 아래 숨은 픽셀을 직접, 그러나 낯설게 감각하고 소통하는 과정을 만들어 전체의 부분이자 개별로서의 ‘메타픽셀’이라는 새로운 생명성을 부여한다.

6) 스펠라 페트릭, <비참한 기계>, 2015, 홍합, 램프, 기계장치, 비디오 Špela Petrič, Miserable Machines, 2015

스펠라 페트릭은 슬로베니아 출신의 뉴미디어 아티스트이자 과학자로 인류학, 심리학, 철학과 연관된 질문을 생산해내는 예술적 실험을 수행한다. <비참한 기계>에서 살아있는 홍합은 화병 만드는 기계에 무자비하게 내쳐진다. 이 불쌍한 생물은 갑자기 충격을 받아 움직이게 되고, 이 운동은 화병에 디자인을 그려 넣는 노동이 된다.

홍합의 삶과 죽음의 사이클은 자본주의 시스템 아래에서 인간이 죽을 때까지 노동과 휴식을 반복하는 것을 떠올리게 한다. 작가는 바이오 디자인이라는 이름으로 또 다른 ‘살아있는 시스템’에게 노골적인 착취를 강요하는 것이 기술적, 환경적,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것인지 날카롭게 질문하고 있다.

7) 김태연, <인공의 섬>, 2016, 유리판, 알루미늄 파이프, 아기장대 식물, 엽록체, 모터 Taeyeun Kim, Island of A-life, 2016

김태연은 생물 복제, 원자와 분자의 상호작용 등 바이오 과학과 창발의 원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보여준다. <인공의 섬>은 작가 본인의 DNA가 들어간 식물 애기장대를 배양하고 여기에 관객들이 숨을 불어넣을 수 있는 대형 유리구조물로 이뤄진 작품이다. 여기서 초록색 액체는 식물과 인간의 구조적 공통점에서 가져온 블러드 즉 혈액의 순환 과정을 시각화해준다.

백남준 칭기즈칸의 귀환 1993

이 작품을 통해 태초에서 식물과 인간이 한 뿌리에서 시작되었다는 점과, 관객들의 날숨으로 유리관을 통과하는 초록색 액체의 순환을 통해 식물과 인간의 융합 및 상호작용이 시각화된다. 이 작품을 통해, 생명을 물질이나 정보로 간주할 수 있는지 혹은 어떤 방식을 생명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던져진다.

[사이버네틱스에 대한 백남준의 생각]

1964년 미국으로 간 백남준은 인간을 위한 기술과 과학을 모색한 미국의 수학자 '위버(N. Wieber 1894-1964)'에 빠진다. 백남준이 이런 과학이론에 빠질 수 있는 이유는 그와 동거 동락한 부인 '시게코'의 증언에서도 알 수 있다. 그는 학창시절 물리학자가 되고플 정도로 수학과 물리를 좋아했고 기계 다루는 데도 능했다. 'K-456'도 만들었고, 전시 땐 TV내부회로도 직접 조작했고, '아베'와 함께 비디오합성기를 설계할 만큼 과학적 지식도 풍부했다.

백남준은 이렇게 "과학자에게는 예술이 마법이고, 예술가에게는 과학이 미스터리다"라며 예술과 과학의 경계를 넘어서려 했다. 그래서 백남준이 '현대판 20세기 레오나르도 다 빈치'라고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백남준의 뉴욕 첫 전시 다이어그램

 이 표는 백남준 1965 11월 뉴욕 '보비노(Bobino)갤러리'에서 열린 전자아트전 도록에 수록된 것으로 이를 풀이하면 사이버화된 예술의 델타 T값과 사이버화된 삶을 위한 예술의 델타 X값은? 여기 밑에 있는 당신에 위에 있는 나를 로그하면? '존 케이지'에서 '맥루한'을 빼고 이를 다시 '위너'로 나누면 그 답은?

백남준은 1963년 독일 부퍼탈 첫 전시에서 '흑백TV'를 처음 선보였고 1965년 미국 뉴욕 보니노갤러리 전시 때엔 TV의 연장이라 할 '비디오'를 등장시킨다. 위 다이어그램은 그 당시 전시도록에 공식적으로 적어놓은 전자예술론이다.

이 공식은 도통 알 수가 없다. '존 케이지'도 나오지만, 중요한 세 단어 '사이버네틱스'와 이를 창안한 '위버' 그리고 '맥루한'이 언급된다. '지구촌'이란 말을 처음 쓰고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말을 남긴 세계적 미디어학자 '맥루한'은 유명하다.

하지만 도대체 '위너'는 누군가. 그는 18세에 하버드대에서 철학박사를 받은 천재로 원래는 수학자다. 전자계산기를 발명하고 이를 응용해 인공지능을 만든 장본인이다. 뉴턴 물리학의 인과성을 넘어 기계도 사람처럼 소통하고 사유할 수 있는 생명의 유기체로 봤고 그래서 '인간·기계·자연'을 하나로 결합하려 한다.

사이버네틱스의 3가지 핵심요소가 '컨트롤·커뮤니케이션·피드백'인데 이런 용어는 인터넷시대의 쌍방적 소통방식을 떠올리게 한다. 백남준은 '사이버네틱스'를 농담처럼 생사의 순환에서 불교에서 말하는 '카르마(인과의 그물망)'에 비유하기도 했다.

60년대 사이버네틱스와 철학, 예술

 '사이버화된 세대(Cybernated Generation)'라는 제목이 붙은 1965 4 2일 타임지표지. 그 부제가 '컴퓨터사회(The Computer in Society)'다 당시 '사이버네틱스'가 대유행이었음을 알 수 있다  타임지(The TIME)

60년대 '사이버네틱스(키잡이)' 개념은 '위버' 혼자 만든 게 아니라 광범위하다. 여기엔 수학자, 공학자, 철학자, 심리학자, 생태학자, 사회학자, 신경생물학자 등이 망라된다. 과학에 대한 민주적 사고라고 할까. 과학을 '자연정복론'이나 '기술결정론'에서 보지 않고 인간과 기계와 자연을 공생적이고 수평적인 관계로 놓았다.

이런 개념은 정보화시대 여러 면에서 새로운 사유의 촉진제가 되어 정치, 사회, 철학, 예술에 두루 영향을 미친다. 사이버네틱스와 예술을 처음으로 연결하려 한 이 분야의 이론가이자 작가인 '로이 애스코트(Roy Ascott 1934-)'는 백남준이 1966년에 선언한 '사이버화된 예술(Cybernated Art)'을 뉴미디어아트의 시작이라고 봤다.

백남준의 '사이버네틱스(사이버화된) 예술'에 관한 언급 중 가장 주목을 끄는 건 "뉴턴의 물리학은 강함이 약함을 누르는 비융합적 이중구조와 권력구조를 갖지만, 1920년대 독일의 한 천재가 진공관 안에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그리드를 첨가해 인류역사상 최초로 약함이 강함을 이기는 결과를 낳았다"라는 말이다.

노장사상을 통해 우리는 "약한 게 강한 걸 이긴다"는 역설적 진실은 들어왔지만, 과학적 실험을 통해 "약한 게 강한 걸 이긴다"는 사실이 증명됐다니 놀랍다. 과학제일주의와 기술만능주의가 주도되는 세상에서 백남준이 기존의 과학상식을 뒤집는 제3의 관점에 주목했다는 건 그의 성향으로 볼 때 매우 자연스럽다.

시간의 개념이 바뀌는 혁명 /'기술의 인간화'로 사이버세계 추구 /인간·동물·기계의 혼종, 사이보그

 백남준 I '스위스시계(Swiss Clock)' 1채널 비디오 설치, 시계, 3개 모니터, 비디오카메라 183×305×305 1988. 이 시계는 커다란 추가 달린 골동품 벽걸이로 만든 것으로 '시간의 물질화'를 시도한 작품이다

백남준은 비디오테이프로 모든 걸 녹음하고 보존하면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 크게 고무되었다. 그는 이로써 인간이 신에게 반은 도전할 수 있다고 봤다. 그런 면에서 비디오아트는 기존의 시간개념을 바뀌는 혁명이었다. 돌이킬 수 있는 시간과 돌이킬 수 없는 시간을 구별하고 인간이 시간을 조절하는 시대가 왔음을 알린다.

백남준은 시대에 따라 달라진 시간개념을 '인도의 시간, 그리스의 시간, 성서(성아우그스티누스)의 시간, 뉴턴의 시간, 베르그송의 시간, 깁스의 시간, 후설의 시간, 하이데거의 시간, 사르트르의 시간, 케이지의 시간, 위너의 시간, 슈톡하우젠의 시간' 순으로 정리했다.

백남준은 1992년 자신을 동서 문명을 통합하는 데 성공한 작가 중 하나라고 평한 적이 있는 '오토 한(O. Hahn)'과 인터뷰에서 "비디오는 우리가 시간을 변형시킬 수 있는 유일한 매체로 현재를 과거로 과거를 현재로 되돌릴 수 있다"고 했다. 또한 미국의 저명한 평론가 프레드릭 제임스(F. James)도 그에 걸맞게 "그의 비디오아트는 시공간의 궁극적 경계선을 탐색하는 유일한 예술"이라고 논평했다.

인간·동물·기계의 혼종, 사이보그

 이불 I '사이보그_W5' 1999.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식사진

그 즈음인 1967년에 페미니스트 '도나 해러웨이(D. Haraway 1944-)'는 본능이 없는 동물을 상상하기 어렵듯 기술이 없는 인간을 상상하기 어렵다며 '암컷·수컷'의 법칙을 체계화한 근대과학주의를 해체하고 유인원과 인간, 인간과 기계, 남녀경계를 없애고 성차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변종과 괴물 같은 '사이보그'를 등장시킨다.

그녀는 사이보그의 지능과 잠재력이 인간이상이라며 <사이보그선언(1985)>에서 "여신이 되기보단 사이보그가 되고 싶다"고 말했고 또 "현재의 정치상황에서 우리는 저항과 재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이보다 더 강력한 신화는 없다"고 주장했다.

백남준도 인간과 동물과 기계가 혼합되는 사이버네틱스 잡종인 이런 사이보그출현에 동조했고, '무어먼' '뮤즈여신'보단 '전사여신'으로 변신시켜 백남준식 사이보그를 선보였다. 한편 한국에선 페미니스트 작가 이불이 이 '연작'을 발표해왔다.

'기술의 인간화'로 사이버세계 추구

 백남준 I '테크노 보이(Techno Boy) II' 라디오, TV, 카메라, 조합(Antique Radios, Antique TVs, Antique Cameras) 2000. 미래전자소년을 형상화하다

백남준은 그는 문명사회를 야생적 사유로도 다가갔지만, 첨단과학이론도 휴머니즘적 측면으로 접근했다. 기술에 대항하는 기술로서, 기술을 증오하기 위한 기술로서, 기계와 야합하지 않는 기술로서의 예술을 이야기한다. 그는 기술절대주의로 향하는 사회에서 부각되는 이런 시대의 우상을 추방하는 '셔먼 아티스트' 몫도 감당한다.

이런 사고는 인간과 기계, 예술과 기술의 이분법을 깨고 기계를 인간으로 보고, 과학을 철학으로 보는 관점에서 온 것이다. 기술의 노예화가 아니라 인간화, 과학의 폭력화가 아닌 예술화를 추구한 셈이다. 그래서 색에서 빛으로 전기에서 전자로 전환시켜 기술의 인간화를 위한 예술적 실천을 가감하게 시도한다.

관계미학 '인터미디어'로 경계 넘기

 백남준 I 'TV부처' 부처조각과 2대의 TV 35×20×65cm 1992. UM 갤러리소장 서양하이테크와 동양사상을 만나게 하는 관계미학이다. 'TV부처' 버전은 다양하다

백남준은 프랑스수학자 '앙리 푸앵카레(H. Poincaré 1854-1912)' "지난 세기의 전환점에서, 소위 말하는 물적 진보와 신문명을 이뤘지만 난 여기서 새로운 무엇을 발견한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것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한 것뿐이다"라는 말을 인용하며 동과 서, 과거와 미래, 기계와 예술의 '인터미디어'를 추진한다.

백남준의 텔레비전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작품은 역시 'TV 부처'. 백남준은 "만약 당신 서구인들이 하이테크만 만든다면 전쟁이 날 것이다. 자연을 따르는 겸허한 삶을 위해서 강력한 인간적 요소가 필요하다. 그래서 자연(natural) , 기술(technological) 반이 좋다"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TV 부처를 보고 있으면 그가 왜 이 작품을 만들었는지 짐작 할 수 있다.

이 인터미디어'는 백남준의 친구 '딕 히긴스(Dick Higgins)' 1965년 창안한 것으로 '기존예술과 새로운 미디어 예컨대 시와 그림, 미술과 연극 같은 장르와 경계를 넘어 관계미학으로 예술(주술)과 기술을 융합시키는 총체예술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백남준의 이런 시도는 사실 첫 전시에서부터 시작됐다. 그는 기존음악에 만족하지 않고 피아노와 피아노 사이의 연주할 수 있는 음악이 없을까 고민했다. 작곡된 걸 연주하는 게 아니라 연주하다 작곡이 되는 '랜덤액세스' 방식의 '무조음악'을 추구했다. 창작에서 그 과정과 거기서 유발되는 우연성도 중요함을 암시한다.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수석 큐레이터는 존 헨하트는 백남준 작품의 특징을 '상황을 뒤집는 돌발성과 유머'에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것을 처음 시작한 사람이라고 추켜세웠다. 백남준의 말대로 예술가는 절반은 재능이고 절반은 재수라고 하지만 그가 정말 운이 좋은 것일까?

===

[노순택전 <비상국가Ⅱ_ 제4의 벽> 2017.06.02-08.06)] 아트선재센터 2층 3층 
오늘은 국제학술대회 외국 참가자를 위해 노순택전(《비상국가 Ⅱ_ 제4의 벽》 2017.06.02-08.06) 전시설명을 작가가 직접하다 <한반도는 섬이 되다>

우리는 모두 분단시대의 피해자, 결국 국민은 일상을 비상으로 살아가야 하는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전시방식: 섬에서 섬으로 이어지는 방식이다

[강상빈 강상우전] 그레이트 대디(great daddy)전 아트선재센터(ArtSonjeCenter)1층에서 2017.06.02-07.02까지


아트선재센터(관장 김선정)는 올해 두 번째 아트선재 프로젝트로 2017년 6월 2일부터 7월 2일까지 강상빈, 강상우 작가의 《그레이트 대디(Great Daddy)》를 1층 프로젝트 스페이스에서 연다.

《그레이트 대디》는 강상빈, 강상우 두 명의 형제 작가들의 아버지 강희성 전 ‘동아서원’ 출판사 대표와 그가 보유한 방대한 서적들에 관한 오마주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한 가족의 역사와 함께해 온 책들의 '보관과 사라짐'에 대해 보다 공공적인 측면에서 시각적 예술과 연관시켜 실험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강상빈(1974년 출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호주 VCA와 영국 글라스고 스쿨 오브 아트에서 각각 시각예술과 순수미술 석사를 마쳤다. 대안공간 루프, 영국 글라스고 현대 예술 센터(Centre For Contemporary Arts, CCA), 인터미디어 갤러리(Intermedia Gallery) 등에서 개인전과, 영국 에딘버러 대학교, 네덜란드 엔스키데, 미국 뉴욕 아트 오마이, 난지 창작 스튜디오, 777레지던스 등의 레지던시에 참여하였다. 그의 작업은 종교와 시각 미술을 통해 개개인의 인식이 어떻게 교류되는지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한다.


<강상우(1977년 출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네덜란드 샌드버그 인스티튜트(Sandberg Institut)에서 순수미술 석사를 졸업하고 현재 서울에 거주한다. 주요 작업은 유년시절의 환상을 현실에 반추하고 둘 사이의 각축관계를 실험한다. 암스테르담 디에나 스티그터(Diana Stigter), 엔스키데의 빌라 디 뱅크(Villa de Bank), 중국 총칭의 오갠하우스(Organ house) 등에서 개인전 및 그룹전을 가졌으며, 최근 금천예술공장 입주작가로서 PS333 전시장에서 개인전 《D(M)ental》(2017)을 열었다.

[블라디미르 노박(1947-)전] 프라하 무모 몬타넬리 갤러리(프라하 내 숙소 근처)

프라하 무모갤러리 
MuMo Praha Vladimír Novák YEAR OF CZECH LEGENDS MuMo Praha

Vladimír Novák (*1947) first emerged on the Czech art scene in the 1970s with emphatic and expressive paintings that represented a return to the figure.

1947년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그림 그리기를 무척 좋아해서 평생 예술가의 길을 걷겠다고 결심하고 프라하 예술 아카데미에서 미술 공부를 했다. 과학책, 탐험 이야기의 그림도 많이 그렸다. 브라티슬라바(Bratislava) 일러스트레이션 비엔날레에서 금상을 받았고, 체코의 ‘올해의 가장 아름다운 책’ 상 등을 받았다. 지금은 체코의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화가로 유럽에서 활동 중이다.

무모갤러리 입구 모습

“With his uncommon urgency and remarkable painterly execution, Vladimír Novák explores the eternal doubts and wishful expectations of man burdened by existential angst and carried along by hopes and promises. With his works, we become witness to Heraclitus’ infinite all-embracing flowing and conflict of opposites. The anxiety, fury, fragmentation and aimlessness on the paintings is balanced out (in recent times increasingly more clearly) exaltation, contemplation, rest, and discovery.” (Radan Wagner, Revue Art, 3/2007)

라디미르 노박 작품

The planned exhibition at the Museum Montanelli aims to be a dialogue between Novák’s most recent and his oldest work. The exhibited works will be on loan from several collections. A monograph on Vladimír Novák will be released at a launch party at the Museum Montanelli in April 2017.
Exhibition curator: Dr. Neumann

[게르하르트 리히터 특별전] 프라하 국립미술관 별관 구시가지에서 2017년 5월 1일부터 9월 1일까지
-세계에서 가장 비싼 그림 그 중에서도 최고품 소장품을 보다 Gerhard Richter 26/4-3/9/2017 PALAIS KINSKY KLOSTER DER HL.AGNES VON BOHMEN NATIONALGALERIE IN PRAG
[한겨레] 리히터 ‘추상화’ 374억 현존작가 작품 최고가

게르하르트 리히터 회고전이 열리는 프라하 국립미술관 분관 올드타운 앞의 모습

"나는 어떤 강령도, 어떤 양식도, 어떤 방향도 갖고 있지 않다"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 1942년 2월 9일 생)


리히터는 정말 경계가 없는 화가다 사진처럼 그리고 추상화처럼 그리고 그래픽처럼 그리고 색의 도표로도 그리고 전통회화로도 그리고 거울처럼 그리고 물결처럼 그리고 초현실적으로 그리고 초사실(세밀)주의로 그리고 모든 것을 다 그린다 그에게는 그림이란 그냥 그림일 뿐이다 현대미술에서 회화로 성공한다는 건 드문 일이다.
리히터는 그만의 관점으로 서구문명사를 재조명하다

프라하 국립미술관이 주관하는 그의 아카이브 작품이 전시장 입구를 눈부시게 장식하고 있다 오늘은 이 전시를 보고 대만족이다 내 몸은 사실 좋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그림을 보고 큰 위로를 받다 독일회화의 전성시대다 독일은 뒤늦게 지금 세계미술을 압도하고 있다 올해 베니스비엔날레에도 독일이 국제전과 국가전에서 다 휩쓸었다.

그의 회화가 그 최고의 경쟁력을 빛내고 있다 그의 작품을 보면 정말 정신을 잃어버리게 한다. 그 아우라는 천재개벽하게 한다 최고로 비싼 그림을 보면 저절로 최고의 부자가 된다

오늘 세계에서 가장 비싼 리히터 그림을 그 중에서도 루이 뷔통 소장품 등 가장 중요한 작품만을 다 본 셈이다. 그곳에 가는 길은 너무나 쉬운데 가장 어렵게 가다 그의 그림을 보고 나는 기절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에서는 그의 전시가 한번도 없었다 그런 면에서 행운이다 이번 프라하에서 최고의 성과다


리히터 독일인의 무의식 속에 깊이 자리잡고 있는 과거 나치즘에 대한 트라우마를 이렇게 회화적으로 잘 소화해서 그리기는 정말 힘든 작품일 것이다. 유머와 조롱과 자기비하와 역사에 대한 약간의 정당성도 보이고 참으로 회화가 아니면 표현할 수 없는 미묘한 부분까지 잘 표출시키고 있다 그의 대표작이다


리히터의 너무나 유명한 작품을 눈으로 보는 순간 뭔가 가슴에 와서 닿는 것이 있었다 그것을 바로 이 작품이 사진작품 같은데 회회로 그린 것으로 여성이 영화의 주인공처럼 움직인다는 착각을 준다는 사실이다


리히터의 그림은 기가 막히다 아이가 살아있는 거야 죽어있는 거야


그림이 이 정도 되면 미친거다 신의 경지가 아니라 신의 경지다 영어로 하면 Ultra Super Communication 이다 신도 제키는 경지다 보들레르가 말하는 Corespondance의 경지인 것이다


리히터가 천재인 것 은 색이 아닌 색 즉 회색을 가장 회화적으로 잘 사용한다는 점이다 회색을 제대로 쓸 줄알아야 진정한 페인터가 되는 것임을 그가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작품을 보면 리히터가 정말 머리가 좋은 사람이다 앞에서 그런 것도 뒤에서 그린 것도 옆에서 그린 것도 뒤에서 그린 것도 아니고 정말 괴상한 그림인데 그래서 천재적이다


이 소년이 여기서 사진을 찍은 이유가 있다 우크라이나에서 온 소년인데 너무나 잘 생겼고 귀엽다 가족과 함께 여기에 왔다는 그는 그에게 뒤에 나오는 그림이 너의 모습과 너무나 닮아서 놀랍다니 하니 소년을 어떨떨해 한다 가족들이 내 말을 듣고 좋아한다. 그래서 사진을 한장 찍었는데 정말 소년과 뒤 그림이 하모니를 너무 잘 이룬다 작가의 작품에 감정이이입을 할 때 동심의 세계가 분명히 있을 것이다 소년의 옷색깔과 뒤 작품 색채의 분위기가 화음을 일으킨다


리히터 작품을 보면2013년 소더비 작품가(37 million dollars at Sotheby's in 2013)가 정도인데 실제로 작품을 보면 그마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Prague National Gallery to display Richter, Prague, Dec 6 (CTK) - The National Gallery (NG) in Prague plans an exhibition of German painter Gerhard Richter, 84, the most expensive living artist, which will be his first retrospective in Central Europe, in 2017, NG director Jiri Fajt told reporters yesterday./The gallery will also display works by Chinese artist Ai Weiwei, 59, as well as Czechs Magdalena Jetelova, 70, and Frantisek Skala, 60, next year.


The probably most expensive post-war work of art that is in a Czech institution's collections, Richter's Uncle Rudi, will be put on display at his exhibition in Prague, along with more than other 50 artifacts loaned from abroad. 
The painter donated Uncle Rudi to the Lidice Memorial, marking a Czech village obliterated by the Nazis in 1942, years ago.

The NG's new season will open with two exhibitions on the Charter 77 anti-communist movement and human rights manifesto on the occasion of its 40th anniversary. The "Charter Story" exhibition focused on underground poet and dissident "Magor" Ivan Martin Jirous (1944-2011) will be held in the Salm Palace outside Prague Castle from January 20. It will be accompanied by a photographic display to show the unofficial, parallel culture that existed during the communist regime in Czechoslovakia, Fajt said.


The NG's programme for next year will present significant personalities of the world and Czech art scene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Zodiac sculpture project outside the NG premises in the Veletrzni palace this year, the Chinese artist is preparing a monumental installation directly for the main hall in this palace, Fajt said without elaborating.

The NG will also hold an exhibition of old masters' works in the Wallenstein Riding School that will focus on one of the major Renaissance art patrons, Habsburg Archduke and Czech Governor Ferdinand (1529-1595). The retrospective exhibition of Richter will open in the Kinsky Palace on Old-Town Square on April 25 within the Czech-German Culture Spring 2017 project on the occas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Czech-German Declaration.

독일 쾰른 루드비히현대미술관에 있는 리히터 작품

The exhibition will offer his early works in the genre of photographic realism, expressive abstract works from the 1980s and 90s as well as his colourful experiments and geometric abstraction of the past two decades.
The event is to show Richter's style of painting that accentuates history, not only of Germany, but also of his own family and of art.

Uncle Rudi depicts Richter's uncle in the uniform of Wehrmacht. Lidice gained the artifact from the author in the 1960s, when he was not that famous, within the Lidice Shall Live project in which artists from all over the world were sending their works to the memorial. Richter is also the most expensive living artist now. His paintings are sold at auctions for hundreds of millions of crowns. His Domplatz, Mailand painting went off for 37 million dollars at Sotheby's in 2013.

프라하 구시가지 (OLD TOWN)
근처 카페

이 미술관은 프라하는 구시가지 들어가는 Boulevard 중 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그 길이가 상당하다 루이 뷔통뿐만 아니라 우리가 알고 있는 명품점은 다 들어와있다


뉴욕에서 본 가장 멋진 건물은 맨해턴 뮤지엄 존에 있는 우크라이나 대사관 건물이었는데 프라하에는 이런 건물이 수 백가 있다
=====
[르네 마그리트의 고정관념을 깨는 이미지의 배반전] 프랑크푸르트 쉬른현대미술관에서 2017 2월 10일부터 6월 5일까지 2017년 05월 31일 관람 https://www.youtube.com/watch?v=EXJN6Vk6mww

르네 마그리트 '철학자의 램프(Philosopher's lamp)' 1936

20세기의 초현실주의 미술의 대가 르네 마그리트. 기존미술의 위계질서 파괴자다. 이미지의 배반 등 업그레이드된 눈속임 전통을 새로 정립한 엄선한 작품 70여점 소개하다

르네 마그리트, 개구쟁이 같이 겸손하고 천진난만한 그런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가장 지적인 화가이기도 하다 그는 그 난해하다는 하이데거나 메를로퐁티 같은 철학에 대한 사유를 한 폭에 그림에 재해석에 시각언어로 풀어냈다

르네 마그리트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이미지의 배반)' 1929

그런 면에서 철학자보다 높은 경지에 도달한 것이다 그는 현대철학에 회기심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 미셸 푸코 같은 현대 철학자와 친화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과 현대철학을 공유하며 그것을 자기나름의 새로운 시각언어로 풀어 냈다

르네 마그리트

수수께끼 같은 이미지의 마술사로 불리는 그는 그냥 대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철학을 초현실주의 그림의 기법으로 표현했다. 그는 화가라기 보다는 사물에 대해서 철저하게 사유하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르네 마그리트 보이지 않는 선수, 캔버스에 유채 152*195cm 1927

Magritte did not see himself as an artist, but rather as a thinking person, who conveyed his thoughts through painting. His entire life he sought to find a form of expression equal to that of language. Is an artist a philosopher?


그는 자신의 생각을 그림을 통해서 전달하는 철학자였던 것이다 그림언어로 문자언어를 대신하면서 말이다. 기존의 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시각언어를 발명해 관객을 사로잡았다

작가는 단어와 시각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놓으면서 어휘의 객관성과 자신의 시각 언어를 고취시켰다 그런 이미지의 배반을 잘 보여주는 그의 대표작이 바로 이것은 파이프 아니다(1927). 이것은 우리시대의 모든 가치관을 전복시키려는 그의 사상을 상징한다.

르네 마그리트 강간 1939

데페이즈망 기법으로 그림을 덩어리로 만들어 여기가 갖다 놓고 저기에 갖다 놓는 방식으로 현대인들의 회화의 대한 고정관념을 깬 것이다

르네 마그리트 '연인'(the Lovers) 1928

그의 그림의 대상은 일상적인 것 작가와 생활과 연결된 파이프, 사과, 멜론, 촛불, 커튼, 불꽃, 그림자, 소품 등이며 이런 것을 다양한 다른 조합시켰고 기존의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전복과 반전을 통해 사물을 보는 시각을 혁명적으로 바뀌었다 텍스트와 이미지의 이율배반을 시각화하다

르네 마그리트 '백지유임장' 1965

이번 전시를 위해서 호주의 멜버른 미술관, 스위스 베른미술관, 텍사스 달라스미술관, 런던 테이트미술관,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뉴욕현대미술관 워싱턴국립미술관 파리 퐁피두센터 등에서 작품을 가져왔다

르네 마그리트 Can images be treacherous? How real is reality?

MAGRITTE. THE TREACHERY OF IMAGES/STARTING 10 /FEBRUARY 2017
-Surrealism is a movement in art committed to using artistic means of expression to visualize the reality beyond the visible world. The lines dividing reality from the world of dreams get erased.

René Magritte, the magi­cian of enig­matic images, is one of the key figures of the art of the 20th century.

르네 마그리트 아름다운 세상 Le beau monde 

The SCHIRN is devoting a solo show to the great Belgian surre­alist that high­lights his rela­tion­ship to the philos­ophy of his day.

르네 마그리트 '철학자의 램프(Philosopher's lamp)' 1936

Magritte did not see himself as an artist, but rather as a thinking person, who conveyed his thoughts through painting.

His entire life he sought to find a form of expres­sion equal to that of language.

His curiosity and affinity with great contem­po­rary philoso­phers such as Michael Foucault resulted in a remark­able oeuvre, which is shown in a new light through over 70 works.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 뢰머베르크광장과 쉬른미술관은 나란히있다.

미술관이 맨 오른쪽에 간신히 보인다1980년대부터 수많은 박물관과 미술관을 마인강변에 새롭게 세워 현대 문화도시로서 면모를 보인 프랑크푸르트지만 이 도시 역시 제2차 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공격으로 폐허가 된 곳이었다. 중세 이후 이 도시의 중심으로 시청사가 있었던 뢰머광장도 흔적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파괴되었으나, 이곳은 패전의 상처를 딛고 일어선 프랑크푸르트 시민들이 제일 먼저 복구하고자 한 프랑크푸르트의 상징적 장소다. 바로 이 광장 오른쪽에 쉬른미술관이 있고 거기서본 르네 마그리트 전시몇 장의 사진만 남았고 동영상과 전시설명은 없어져 아쉽다[관련사이트] http://www.schirn.de/ausstellungen/2017/rene_magri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