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거중요전시행사

프리다 칼로, 플럭서스, 백남준, 이중섭 외

[프리다 칼로와 디에고 리베라] 예술의 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에서 2016.08.28까지

[Content] 오마이뉴스 블로그 http://blog.ohmynews.com/gakgol/128239 <수정예정>

칼로 볓 번 가겹게 찌르기 1935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디에고 리베라 I '자화상' 젊은 시절 모습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멕시코 현대미술을 대표하며 멕시코 벽화운동의 주역인 디에고 리베라의 작품과 함께 확고한 조형세계를 제시하며 내면의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킨 20세기를 대표하는 여성화가 프리다 칼로의 작품을 선보인다.

전 세계 단일미술관으로서 유일하게 프리다와 디에고의 그림을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멕시코 올메도 미술관'의 국보급 대표 소장품으로 구성되는 이번 전시에서는 그림 속 주제들이 각각의 사건을 나열하며 프리다 칼로의 총체적인 삶과 예술을 스토리텔링 해주게 된다.

기억, 희망, 슬픔, 자기이해, 사랑 등 많은 작품으로 하여금 예술을 정의 내릴 수 있는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상반되면서도 완벽한 만남에서 고통스러운 사랑으로 이어지기까지 그들의 기묘한 사랑 이야기는 서로의 작품을 통해 표현되고 있다.

멕시코를 대표하는 두 거장의 예술작품을 동시에 접할 수 있으며 더불어 멕시코를 사랑한 열정까지도 살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전시가 될 것이다 [미술관자료]

디에고 리베라 I '꽃으로 장식한 카누 1931 민중적 건강성과 역동성이 잘 드러나다
이는 곧 자유주의자 마데로, 농민출신 F. 빌랴와 E. 사파타에 의해 혁명으로 이어진다.(1910년 멕시코 혁명 발발) 이런 사회적 환경 속에서 성장한 프리다는 그녀가 21세 되던 해에 당시 멕시코에서 망명생활을 하고 있던 쿠바의 사회주의자 ‘훌리오 안토니오 메야’를 알게 되고, 그와 함께 살고 있던 ‘티나 모도티’와의 깊은 우정은 그녀를 곧 열성적 사회주의자로 변모시킨다.
디에고 리베라 I '양배추 상인' 1936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여기서 만난 운명적 사랑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 1886~1957)’, 그리고 그 이전의 교통사고가 프리다의 일생을 지배한 두개의 커다란 전환점이 된다. 사고는 이전까지 의사를 꿈꿔왔던 그녀를 화가의 길로 들어서게 했으며 그러한 고통은 곧 마치 거울에 비친 자신에 대한 끝없는 ‘탐구와 고백’이라는 작품의 성격을 규정하게 하였으며 또한 ‘디에고’와의 사랑은 통상적으로 그녀에게 붙여진 ‘초현실주의 작가’라는 범위를 넘어 ‘디에고’가 그랬듯이 당시 유행했던 코비즘이나 모더니즘을 넘어 가장 멕시코적인 작품만을 집요하게 고집하게 된 그녀 작품의 정체성이 되었다
디에고 리베라 I '여인상'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프리다처럼 캔버스에 고통스런 시를 표현한 여성은 그녀 이전에는 아무도 없었다."-디에고 리베라

인생에서 세기의 연애와 최고의 명작을 남기는 것이 목적이라면 목적일 텐데 프라다 칼로는 그런 2가지 몫을 해냈지만 그의 사랑은 자신의 목을 박아 피를 흐리게 하는 것보다 더 고통스러운 일이었다 그녀에게 지옥이자 천국이었다 결국 칼로는 그의 사랑인 디에고 리베라와 이혼을 했다 결국 다시 재혼했죠


"일생 동안 나는 심각한 사고를 두 번 당했다. 하나는 16살 때 나를 부스러뜨린 전차이다. 부서진 척추는 20년 간 움직일 수 없었다. 두 번째 사고는 바로 디에고와의 만남이다(I suffered two grave accidents in my life. One in which a streetcar knocked me down. The other accident is Diego)"


프리다 칼로 I '작은 원숭이가 있는자화상'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프리다 칼로는 1907년 멕시코 '코요아칸'에서 독일인 아버지와 멕시코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지어준 ‘Frida(평화)’라는 이름은 어쩌면 그녀의 조금도 평화롭지 못했던 험난한 삶을 예고하는 역설의 전조에 지나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나는 나를 그린다. 왜냐하면 나는 혼자이기 때문이다. 내가 제일 잘 아는 내 그림의 주제는 바로 '나'다 -칼로
프라다 칼로 자료사진 샌프란시스코시립대학 강당벽화 앞에서 선 칼로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그녀가 태어난 시기의 멕시코는 대지주와 외국자본의 이익만을 대변해온 디아스 독재정권의 폐해가 한창 극에 달해서 곳곳에서 농민봉기, 노동자 파업, 지식인의 무장투쟁이 끊이지 않고 있었다
척추수술 받을 때 모습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낙태와 세 번의 유산으로 인한 영구적 불임 남편 디에고의 너무도 자유분망한 생활에 대한 반동이었을지도 모를 조각가 '이사무 노구치', 혁명가 ‘트로츠키’, 사진작가 ‘니콜라스 머레이’와의 짧은 사랑과 이별들 그리고 심한 우울증...하지만 그런 그녀에게도 집요한 운명의 굴레가 너무도 버거웠던 것일까 1954년 7월 13일, 그녀가 쓴 마지막 일기, "내가 거리로 나간 것이 다행스런 일이었으면 좋겠어요. 나는 더 이상 고통스런 삶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아요."라는 말을 남기고 47세의 짧은 생애와 허무하게 이별한다. 
칼로 자화상 1936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프라다 칼로 어려서 치명적인 교통사고 여러 차례 수술과 다리 절단 등 평생을 터질 것 같은 폭탄으로 묶인 고통의 다발 속에서 열렬한 연애와 애증 숙에서 파란만장의 삶을 살다]
헨리 포드 병원, 1932, 프리다 칼로. 금속 위에 유채, 31x38.5cm,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아버지의 죽음, 강철 코르셋을 착용하고 나서야 지탱하는 몸, 거듭된 척추수술, 오른쪽 다리 절단 수술, 폐렴...그러나 계속되는 이런 불운 속에서도 그녀는 휠체어에 몸을 의지하고  혁명시위에 참여하는 등 그녀의 정치적 신념을 표현할 작품 활동에 몰두한다.
프리다 칼로 I '부서진 기둥' 1944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그러나 그녀는 이런 모든 최악의 경우에서도 결코 자신의 삶에 대한 저항을 멈추지 않는다. 마침내 그녀는 1939년 파리 ‘르누와 콜 겔러리’에서 열린 ‘멕시코전’에서 당대의 거장 ‘파블로 피카소(Pablo Ruizy Pacasso)’,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등의 찬사를 한몸에 받으며 미술계에서 ’세계적 초현실주의 작가‘로서의 위상을 우뚝 세운다.
칼로 볓 번 가겹게 찌르기 1935 돌로레스 올메도 미술관 소장
7세 때 소아마비에 걸려 다리를 절고, 18 세에는 첫사랑 ‘알레한드로 고메스 아리아스’와 같이 탄 버스가 열차와 충돌, 철봉이 배를 관통하여 척추와 오른쪽 다리, 자궁을 크게 다치며 온 하반신 마비... 이로 인해 평생 30 여 차례에 걸친 수술과 반복되는 사랑의 좌절과 비애 어쩌면 삶이란 참으로 눈물겨운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고통이 단지 ‘고통’으로서만 머물 때 차라리 그것은 ‘죽음 보다 못한 병’으로서 그 삶을 쉽게 결정지워 버린다. 하지만 이런 최악의 모든 ‘고통과 좌절’을 ‘저항과 예술’로 승화시킨 여인, ‘프리다 칼로’의 ‘불멸하는삶’을 읽어낼 수 있다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2016] 당선작「신스랩 아키텍처(신형철 건축가): ‘템플(Temp'L)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마당 및 제 8전시실에서7월 6일(수)-10월 3일(월)까지,

공동 주최:국립현대미술관, 뉴욕현대미술관(MoMA) 버리기 직전의 폐선(레디메이드)을 찾아내고 그것을 다시 조형예술품으로 살려내다

당선작(외 후보작 4군) [1] 김성욱(1972-) / Kim Sung-Wook, 전유창(1971-) / Jeon You-Chang [2] 김영아(1980-) / Kim Yung A, 이강준(1979-) [염상훈 (1978-) 전진홍(1982-) / Jeon Jinhong, 최윤희(1982-)

신스랩 아키텍처(신형철 건축가) 파빌리온 건축조형물: ‘템플(Temp'L)’ 레디메이드 재활용(경제적), 친환경, 등 동시대 문제를 환기 이곳은 도심 속 명상과 휴식 공간을 마련해주었다 올해 당선작인 ‘템플(Temp'L)'은 신형철 건축가가 ‘템포러리[temporary]’와 ‘템플[temple]’을 합성하여 만든 신조어로 뜨거운 여름 한시적으로 제공되는 명상 공간이자 휴식을 제공하는 파빌리온 형태의 건축물이다.

심사에 참여한 뉴욕현대미술관 현대건축 큐레이터인 '션 앤더슨(Sean Anderson)'

심사에 참여한 뉴욕현대미술관 현대건축 큐레이터인 '션 앤더슨(Sean Anderson)'은 "2016년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에는 뛰어난 건축가들이 많이 참여해 최종 건축가를 선정하기가 쉽지 않았다"며 "특히 올해의 당선작은 기존의 작품들과는 다른 독창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많은 기대를 모았다"고 밝혔다.

이번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2016 심사과정과 진행과정에 참여한 뉴욕현대미술관 큐레이터가 이번 건축전에 대한 그 유래와 선정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다 이 작품은 현대미술의 새로운 창작 방식인 ‘레디메이드(Ready-Made[기성품], 일상의 사물을 변형하고 사물의 본래 용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현대 미술의 창작방식)와 동시대 미술의 화두인 ‘재활용’ 개념이 접목된 건축물이다.

이번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2016 박근태 학예연구사의 심사과정을 설명하다

기능과 수명이 다하여 폐기된 선박에 예술적 상상력을 더하여 형태를 변용하고, 사물 본래의 기능을 친환경적인 건축 설계를 통해 생태 휴식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심사위원:바르토메우 마리(국립현대미술관 관장), 이지윤(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운영부장), 강승완(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1실장), 정태영(현대카드 대표이사), 박길룡(국민대학교 명예교수), 민현준(홍익대학교 교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설계자), 션 앤더슨(Sean Anderson, 뉴욕현대미술관 현대건축 큐레이터), 피포 쵸라(Pippo Ciorra, 로마 국립21세기미술관 건축 선임큐레이터), 자넷 플로트(Jeannette Plaut, 산티아고 컨스트럭토 관장)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2016]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마당 및 제 8전시실에서7월 6일(수)-10월 3일(월)까지, 공동 주최:국립현대미술관, 뉴욕현대미술관(MoMA) 당선작(외 후보작 3개) 발표「신스랩 아키텍처(신형철 건축가) 파빌리온 건축조형물: ‘템플(Temp'L)’ 이번 작품의 아이디어를 준 것들 Idea Materials에 대한 설명

신형철 작가는 예술적이면서 건축적 가치를 내포한 ‘선박’에 주목해왔다. ‘르 꼬르뷔지에’의 저서 <건축을 향하여>에 소개된 파리의 건축물과 그 뒤에 등장하는 대형 여객선 그림자의 규모감 그리고 베네치아의 작은 건물 사이를 통과하는 큰 배의 모습에서 강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이처럼 작가는 20세기 산업화 시대의 대표적 부산물인 선박에 건축적 개념을 접목하여 ‘템플(Temp'L)’을 완성시켰다.


이와 더불어 작가는 대형 선박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각종 오염물질이 바다에 배출되어 극심한 환경문제를 낳는 현실을 환기하고자 했다. 이번 작품에 활용된 폐선박은 체계적인 해체 작업으로 환경오염 발생을 줄이고 해체된 선박으로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부분을 기술적으로 분리해내는 작업을 진행했다


목포에서 버려질 뻔한 배(폐선)를 재활용해 작품이을 만들다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으로 볼 수도 있겠죠 산업사회의 낡은 유물도 시간이 가면 골동품 같은 멋을 발휘할 수 있다는 설명이네요 건축가는 다른 사진 35년된 배의 역사와 흔적을 그대로 살리려고 애썼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마당 설치된 신형철건축가의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2016 당선작 건축은 감동을 주는 기계라는 개념에 충실하게 하려고 노력했다 "내부는 숲처럼 정원처럼 많은 분이 와서 쉬는 공간 조경에 신경을 많이 썼어요 발견하는 입장에서 작업을 하기에 작업 후에 템플이라는 제목이 나왔어요. 오래된 사원 같은 템프이라는 제목을 붙이게 되었다"


[신형철(1974-)] 작가 소개 신스랩(Shinslab) 설립하고 프랑스와 한국을 오가면 활동하는 프랑스 건축사이다. 서울에서 태어나 1980년 이후에는 프랑스에서 자랐다. 공간 속에 인체가 중심인 설치 미술 및 패션 디자인 그리고 도시계획 등 다양한 영역에서 건축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실험들을 하고 있다. 회화, 사진, 영화, 과학, 철학 등 타분야에 영향을 받아 작업을 발전시키고자 하며 최근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리-플레이: 4개의 플랫폼&17번의 이벤트>전에도 참여한 바 있다. 현재 그레노블(Grenoble) 국립대학교 정교수로 재직중이다.

노아의 방주라는 신화가 21세기에 다시 재현된 것 같네요 재앙에서 완벽히 보호된 도피성인가 지상의 작은 낙원을 만든 것인가(?)

‘템플(Temp'L)’은 심사위원들로부터 건축과 현대미술의 경계를 확장했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재활용 개념을 작품의 중심개념으로 설정한 작품의 제작 의도와 현대미술의 창작방식인 레디메이드를 파빌리온 건축 설계에 접목한 점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심사위원들은 “재활용 개념을 사용한 것이 흥미롭고 가장 돋보이는 작품 수준을 보여 준다”, “산업혁명과 인간과 생태문제라는 가장 전 지구적이고 흥미로운 이슈를 다루고 있다”, “건축과 미술을 함께 생각하는 좋은 작업이다”라고 평하면서 ‘템플(Temp'L)’의 예술적인 탁월함에 압도적으로 높은 점수를 주었다.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22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최종후보군 5팀 이력
[1] 김성욱(1972-) / Kim Sung-Wook, 전유창(1971-) / Jeon You-Chang:에이디 랩(aDLab+)
에이디 랩(aDLab+)은 2009년에 김성욱과 전유창에 의해 설립되었다. 김성욱은 홍익대학교에서 건축학을 공부하고 예일대학교에서 건축학 학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에서 다년간 실무를 쌓았다. 전유창은 인하대 건축공학과를 수석졸업하고 콜롬비아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뉴욕에서 실무를 했다.
모두 미국건축사와 미국 친환경 건축 인증을 받았으며 현재 아주대학교 건축과 조교수로 활동하며 연구실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실무와 연구의 상호반응을 중심으로 물성의 재발견을 통한 기술의 구축방식, 알고리즘 기반의 파라메트릭,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건축디자인 방법론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건축 작업 및 패브리케이션 기술 관련한 프로젝트 <남서울대학교 프로젝트> 등이 있으며 2010년부터 2012년까지 <W파빌리온>을 비롯하여 파빌리온 프로젝트도 다수 작업하였다.
[2] 김영아(1980-) / Kim Yung A, 이강준(1979-) / Lee Kang Jun: 스튜디오 오리진(STUDIO ORIGIN)
스튜디오 오리진(Studio Origin)은 수년간의 건축적 교감을 통해 만난 김영아와 이강준에 의해 2014년 설립되었다. 김영아는 홍익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을 공부하고 일리노이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시카고 SCB와 포스터 앤 파트너스(Foster and Partners) 런던 및 베이징 지사에서 실무하고 현재 한양대과 홍익대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이강준은 한양대학교와 런던 AA스쿨을 졸업하고 런던 포스터 앤 파트너스(Foster and Partners)에서 다년간 실무를 쌓았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건축학부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로 다른 교육배경을 가진 두 사람은 공간과 형태가 가지는 아우라를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구축적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표 작업으로는 2014년 UIA 더 반 세계건축대회 서울관 공모에서 수상한 <Seoul, the city of hidden dimension>이 있다.
[염상훈 (1978-) / Youm Sang Hoon
염상훈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뉴욕 컬럼비아대학원을 졸업하고 뉴욕 SOM, GDS에서 실무를 쌓았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C.A.T 건축디자인 연구소를 운영하며 도심밀도, 재개발 및 재사용에 대한 연구와 함께 기술변화를 이용한 건축작업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파빌리온씨 <움.터> 계획안과 서울역 앞에 설치된 <댄싱 포레스트(Dancing Forest)>를 선보였으며 <네덜란드에서 온 새로운 메시지>, <스위스 포지션, 스위스 스케일>전 등 전시기획에도 참여하였다.
전진홍(1982-) / Jeon Jinhong, 최윤희(1982-) / Choi Yunhee:[바 래 BARE]
바래(BARE)는 전진홍, 최윤희에 의해 2014년 서울에 설립된 리서치 기반의 스튜디오이다. 전진홍은 런던 AA 스쿨에서 공부를 하고 로테르담 OMA, 공간건축사사무소에서 다년간 실무를 쌓고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한다. 최윤희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와 AA스쿨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윌킨스 아이어 건축사사무소, 제이슨 브루지스 스튜디오 그리고 황두진 건축사사무소에서 실무를 했다.
현재 고려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출강하고 있다. 건축 및 환경디자인을 통해 선택적 풍경으로 대변되는 인간의 삶에 분석을 통한 합리적인 정보전달과 기억에 대한 감성적 가치를 통한 고민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광주아시아문화센터<뉴 유라시아 프로젝트>전 파빌리온 설치 및 전시참여를 했다.

다른 후보작품과 신형철 건축가 작품 심사과정 자료 이번에 당선작 작업 난이도가 너무 높다 고생을 많이한 것 같다 *신형철건축가: 그르노블 국립 건축 대학교 디자인과 교수
[총정리]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Young Architects Program, YAP)은 뉴욕현대미술관(MoMA-PS1)이 젊은 건축가를 발굴하고 그들에게 프로젝트의 기회를 주기 위해 매년 개최하는 공모 프로이다. 1998년 시작되어 로마 국립21세기미술관(MAXXI), 이스탄불 현대미술관(Istanbul Modern), 산티아고 컨스트럭토(Constructo) 등이 국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프로그램을 전개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2014년부터 현대카드와 함께 아시아 최초로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뉴욕현대미술관과 오랜 기간 파트너십을 구축해 온 현대카드와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기획의도, 국내 건축가들에게 갖는 의미에 주목하고 있다 매년 '쉼터', '그늘', '물'이라는 주제로 서울관 마당을 관람객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2014년 문지방(권경민, 박천강, 최장원)의 작품 ‘신선놀음’과 2015년 SoA(이치훈, 강예린)의 작품 '지붕감각'으로 큰 화제를 모은 바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국내 건축학계, 언론계 등을 통해 23팀의 건축가를 추천받았다. 이중 국내·외 9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첨부1)의 심사를 거쳐 최종후보군 5팀(첨부2)이 선정되었다. 그리고 최종후보 5팀의 프레젠테이션을 거쳐 최종 건축가로 신스랩 아키텍처(신형철)가 선정되었다.
신스랩 아키텍처(신형철)가 제안한 '템플(Temp'l)'은 버려진 선박의 내부를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작품으로 규모와 조형성, 재활용이라는 세 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이다. 작품 제목 템플(Temp'l)은 건축가가 템포러리(temporary)와 템플(temple)을 합성하여 만든 단어로 여름 한 철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파빌리온 형태의 명상 공간을 나타내는 작품의 핵심개념이다.
뉴욕현대미술관 현대건축 큐레이터인 '션 앤더슨(Sean Anderson)
산업․환경․인간․생태의 문제 등 글로벌한 현안들을 생각하게 해주는 작업으로 주제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측면에서도 독창적인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초현실주의적인 건축조각이 웅장하게 서있는 느낌의 '템플(Temp'l)'은 오는 7월 6일(수)부터 10월 3일(월)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마당에서 선보인다.
또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제8전시실에서는 최종후보군에 오른 5개 팀을 포함하여 추천받은 23개 팀 및 2016년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국제네트워크 작품들을 조망하는 전시가 동시에 진행된다.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22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2016>의 우승자를 비롯한 최종후보군 5팀의 계획안은 뉴욕 현대미술관, 로마 국립21세기미술관 등에서도 전시될 예정이다.
심사에 참여한 뉴욕현대미술관 현대건축 큐레이터인 '션 앤더슨(Sean Anderson)'은 "2016년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에는 뛰어난 건축가들이 많이 참여해 최종 건축가를 선정하기가 쉽지 않았다 특히 올해의 당선작은 기존의 작품들과는 다른 독창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많은 기대를 모았다"고 밝혔다. 최종 선정된 건축가는 1천만 원의 상금을 받으며 이와는 별도로 작품 제작 및 설치를 위한 지원을 받는다
[국립현대미술관 현대차 시리즈의 세 번째 작가 김수자 선정]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에서  2016.07.27-2017.02.05 한국적인 정체성을 기반으로 국제적인 활동을 선보이다

국립현대미술관 현대차 시리즈는 현대자동차의 후원으로 2014년부터 10년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중진 작가의 개인전을 지원하는 장기 연례 프로젝트이다. 본 시리즈는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해온 작가에게 대규모 신작을 실현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작업 활동에 새로운 전환과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고 한국 현대미술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기획되었다.

2014년 이불, 2015년 안규철 작가에 이어 올해는 한국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보따리 작업으로 잘 알려진 현대미술 작가 김수자(Kim Sooja, 1957년생)가 선정되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오는 7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신작을 선보일 예정이다. 김수자는 자아와 타자 그리고 관계를 통해 지역을 넘어 동시대를 포괄하는 치유와 재생의 문제를 독창적인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 특수성과 보편성을 넘나들며 꾸준히 활동해온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최종심사에 참여한 김성원 선정위원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학과 교수)은 “김수자 작가가 제안한 프로젝트가 국립현대미술관에 적합하다고 판단했으며 한국에서 김수자의 개인전을 선보일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했다”라고 전했다.

최종심사에는 김성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학과 교수, 고동연 미술비평가, 조선령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 국립현대미술관 바르토메우 마리 관장, 강승완 학예1실장, 이지윤 서울관 운영부장 등 총 6인이 참여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직들의 작가추천 경쟁 프레젠테이션을 거쳐 2016년 최종작가로 김수자를 선정하였다.

[그룹전_유명한 무명(wellknown unknown)] 국제갤러리1, 2관 (K1, K2)에서 2016년 6월 28일-2016년 7월 31일까지 기획자: 김성원

(이번 전시는 오늘날 젊은 작가들에게 진정한 유명을 위해 ‘무명’과 ‘사라짐’의 전략을 제안해 본다) 참여 작가: 1) 김영나 2) 김희천 3) 남화연 4) 오민 5) 이윤이 6) 김경태(EH) 7) 베리팅즈(Verythings) 

흥미롭게도 카프카는 은둔과 사라짐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있었고, 그의 문학과 삶이 알려지지 않도록 죽기 전에 자신의 작업을 불태워 달라고 유언해으나 이것이 역설적으로 그를 주목 받게 한 것이다. 이러한 무명하고자 한 시도가 오히려 작가와 작품을 유명하게 만들고, <속도와 정치(폴 비릴리오저)>책에서 20세기 독일실존주의 작가인 프란츠 카프카를 ‘유명한 무명’으로 칭하기도 하다


김영나 I 'SET'의 연작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디자인과 미술을 구분하지 않으...며 전방위적 활동을 하고 있는 김영나는 순수미술의 형식을 통해 그래픽 디자인의 조형요소들을 보여주는 작가로, 2013년 미술가가 운영하는 공간인 <커먼센터>의 창립멤버로 활동한 바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2006년부터의 작업을 하나로 엮어 2015년 뉴욕 개인전에서 선보인 'SET'의 연작 'SET v.4'(2016)을 K1와 K2 1층 공간에 설치한다. 

'SET'는 해당 개인전 이전에 출판된 동명의 도록을 전시공간에 설치한 벽화작품으로, 과거의 커미션 디자인과 개인작품과 자신이 참여했거나 기획한 전시이미지를 모아 재조합, 재배열하며 제작 연도, 매체, 커미션 등에 관계없이 각 개체에서 발견되는 시각 요소에 새로운 질서를 부여한다.


남화연 작품

전시가 역시 신세대답게 비선형(랜덤액세스) 낯설고 생경하고 당황스럽다. 그럼에도 새로운 자극을 준다 아래작품은 2015년 제 56회 베니스 비엔날레의 본전시에 비디오 작업으로 참여하며 주목을 받은 바 있는 남화연 작품이다

이번 그룹전에서 자신의 전공이었으나 대학 졸업 이후 한번도 선보인 바 없었던 조각 작업을 출품한다. 작가는 작년 5월 후쿠시마 인근 지역에서 발견된 기형의 데이지 사진이 화제가 된 사건과 식물이 자연적으로 기형화되는 ‘대화현상 (fasciastion)’이라는 개념에 착안한다. 
여기서는 기존의 ‘자연적’이라는 개념과 아름다움에 의문을 품고, 세포분열의 오류로 탄생된 돌연변이로서 포스트 네이처와 포스트 휴먼 시대를 예고하는 듯한 흑백의 거대한 백합조각 <White Madonna>(2016)와 <Black Madonna>(2016)을 소개한다.


그룹작가(Verythings) I <베리키피디아 (VERYKIPEDIA)>(2016) 백남준의 TV정원개념이 주축으로 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모던 유토피아 리빙’ 콘셉트를 기본 철학으로, 식물학의 실험적시각화시도하다  

어번네이처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시대적 트렌드에 대한 예리한 비평을 서슴지 않는 미술창작그룹 Verythings는 우리 삶에서 가장 중요한 ‘자연’과 ‘음식’을 흥미로운 시점으로 실험하며 발전시킨다. 

이번 전시에는 현재 전세계에 흐르고 있는 도시자연에 관한 전문 콘텐츠부터 자연과 관련된 테크놀로지, 라이프스타일, 패션, 리빙, 디자인, 그리고 아트프로젝트까지 다양한 가치를 한 자리에 모아 폭넓은 아카이빙을 표방하는 <베리키피디아 (VERYKIPEDIA)>(2016)를 소개한다.

2013년 온라인으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최근 2년동안 전시, 교육, 워크샵 등을 통해 지속되어왔으며,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 선정한 정보들을 국제갤러리 2관에 오브제로 설치함으로써 동시대적인 ‘도시자연 문화’와 ‘식물을 둘러싼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남화연 욕망의 식물학 The Botany of Desire 2015



미술과 그래픽과 설치미술과 자연의 경계를 구분하지 않고 넘어서며 전방위적 활용을 보여주는 전시다
[2016 여름문화축제_신미경 개인전] 2016.07.11-09.09 경기도 과천시 코오롱로11 space K /일요일 휴무
신미경 작가는 우선 재료사용에서 독창적이다. 바로 비누다. 2번째 그녀는 말한다 작가는 49%라고 한다. 51%는 관객이 완성한다는 것이다. 그의 재료인 비누는 관객이 사용하지 않으면 그의 작품은 완성이 되지 않는다.
그는 수백 수천 년의 세월이 쌓아 올린 서양예술품의 권위에 대한 그의 신선한 도전이기도 하다. 일종의 현대예술개념을 해체하는 시도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작가만의 박물관을 가장 빠른 속도로 쉼 없이 수시로 만들고 있다.
신미경 작가는 서울대와 동대학원 조소를 공부하고 영국 슬레이트 스쿨을 졸업한 후 서울과 런던을 오가며 왕성한 작업을 하고 있다.
그의 비누조각은 겉으로는 가장 느린 방식인 고전적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속을 보면 가장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현대적 삶을 담고 있다. 오랜 세월이 그의 초고속 번역이 가능한 것을 바로 비누라는 재료 때문이다. 서양의 착시라는 미술의 본질을 극적인 효과를 잘 활용하는 작가라는 생각이 든다
조각으로 그린 회화 다만 이미지는 생략하고 그 이미지를 상상하는 것은 바로 관객의 몫이다
비누조각이 뿜어내는 시각적 후각적 즐거움은 언제나 관객의 마음을 풍성하게 해 준다

유물의 오래된 역사성과 시간성을 순식간에 현대적 조각으로 변화시키며 재현할 수 있는 기동성은 그의 바로 21세기 살아가는 작가임을 자리매김하게 해준다

[궈웨이 개인전Guo Wei Solo Exhibition인간(人)에서 인류(人)로 2016년 7월 1일(금)-8월 14일(일) 44일간장 소 : 학고재갤러리 본관 [오마이뉴스관련기사] http://omn.kr/kif2

질문(1): 회화가 이제 미술의 주류가 아니라 한 장르가 되었다 이에 대한 생각은 대답: 나는 미술보다 회화를 더 좋아한다 질문(2): 왜 그림 속 인물이 서양인 같은가 대답: 이것은 중국의 인물이라기 보다는 그림의 인물이다

그는 아이웨이웨이처럼 중국당국의 표현의 통제를 완전히 거부하지는 않고 약간의 타협형으로 그는 중국의 4개 미술명문학교 중 하나인 쓰촨미술학원(四川美術學院) 출신이다 이 학교를 1989년에 졸업한 궈웨이는 중국 전역에서 일어났던, 1985년의 ‘85미술운동’을 20대의 저항과 열정의 눈으로 목격한 세대이다. 당시 중국은 문화혁명이 종결되고 그 상처가 아물어 가는 10년의 세월을 지나 ‘예술의 자유’를 외쳤던 젊은 청년들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던 시기였다. 특히 쓰촨미술학원은 <아버지(父親)>라는 대형 유화를 제작해 문화혁명이 쓸고 간 아픈 상처를 미술로 드러낸 뤄중리(羅中立)가 교수로 있었다. 뤄중리의 작품이나 미국화가 척 클로스(Chuck Close)의 자화상에서 보여지는 거대 초상화의 포토리얼리즘의 양식은 궈웨이 작품에서 단독 인물의 형상으로 드러나며, 이는 확대된 공간감과 표현 양식으로 어느 정도 작가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1980년대 중국의 상흔미술에서 보여준 인간성 회복으로서 인물 표현은 적어도 궈웨이 작품에서 사회주의•현실주의의 전통 양식에 대항해 새로운 창작의 세계로 확대 발전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세상에 사자를 이렇게 그리는 사람도 있나 일종의 ‘상흔미술(상처를 받은 입장에서 그리는 회화)’이다 이는 문화혁명 이후 첫 중국미술의 변화를 알리는 신호로서, 중국사회의 문화적 전체주의라는 벽을 부수고 인도주의로 회귀하고자 하는 노력이자 이미 오래 전에 끝났어야 할 씁쓸하면서도 그리운 지난 시대를 매듭짓는 일이다. 회화의 막다른 골목에서 새로운 회화의 가능성을 보인다

도미에의 풍자화를 연상시키는 이런 작품은 수작이네요 검은 바탕에 우울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상흔미술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제대로 인간의 존엄이 인정되지 않고 표현의 자유가 제대로 인정되는 못하는 사회에서 생겨나는 일종의 현상인가요. 미술관자료 <무제(Untitled)>(2013)을 보면 어는 역사의 한 장면의 광경처럼, 단색조의 영상을 보다가 일시정지를 누른 것처럼 보인다. 이런 작품의 모습은 마치 긁어진 오래된 필름을 인화한 듯,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감각을 서로 교차시키고 있다. 궈웨이의 작품에서 인물과 인류는 차별되어 표현되는데, 왼쪽의 작품처럼 우리 주변에서 본 듯한 대중적 미디어 혹은 개인적인 복제를 통한 이미지는 ‘인물’로 표현된다.

미술관자료 <근육(Muscle)>(2014)은 ‘인물’과 다른 ‘인류’로 볼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고의로 직립한 육체의 근육의 건장한 남성을 정면이 아닌 돌아 선 자세를 포착했다. 정면으로 맞설 수 없는 진실이 있는 듯 인간의 실존을 드러내는 인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건장한 근육질 남성의 몸에서 균형적인 신체는 오히려 숨겨진 인간의 파괴적 속성을 인류로 향하는 듯하다. 즉 매끄럽고 탄력 있는 균육질이 아닌 거칠고 세련되지 못한 자태를 통해 과시해야할 근육미가 대중의 갈채를 조롱하는 듯 희화시키고 있다. 또한 이는 대중적 이미지에 대항하는 인류를 생각하는 작가 자신의 고민을 투영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중국은 표현의 자유가 보장된 나라가 아니다 우울한 정서의 표현이 주류다. 인간의 황량한 내면에 쌓인 감정과 억압의 감정을 속도감 나는 이런 즉흥적인 붓질로 해소시킨다고 하는 것인가 마음을 비어내는 것인가 반영웅주의 반국가주의적 화풍이 특징이다. 이런 풍을 '화천미술'이라고 하는데 이 지역이 한국의 광주처럼 1970년대 많은 탄압을 받은 곳이란다 개인의 내면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어떤 결과적인 완성보다는 미완성된 과정을 보여주고 싶다고 하는군요 거기서 관객의 개입의 여지를 주는 점이 흥미롭네요 샌프란시스코현대미술관(1999)과 퐁피두센터(2014) 그의 작품이 소장

마스크를 한 인물화가 등장하는 것은 역시 인간내면에 쌓인 억압을 완전히 다 해소하거나 드러내지 못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 같다 이렇게 해서 상흔미술이 잉태하게 되었군요 

[미술관자료 상흔미술] 1977년 문화혁명이 끝나면서 중국 사회는 일련의 이데올로기적 변화를 경험한다. 이 시기, 역사의 진실을 환원시키고, 마음 속 상처와 의문을 표현하고 인도주의 정신을 부르짖으며 상흔미술은 탄생했다. 쓰촨미술학원이 위치한 총칭은 문화혁명의 무장 투쟁이 가장 치열했던 지역이다. 당시 쓰촨미술학원 학생이었던 가오샤오화(高小华, Gao Xiaohua)의 <why>(1978), 청충린(程丛林 Cheng Conglin)의 <1968년 X월 X일 눈>(1979), 왕촨(王川, Wang Chuan)의 <Good bye! 작은 길>(1980)을 발표했다. 이들이 담아낸 비극적인 주제와 어두운 정서는 중국 전역의 미술계에 충격을 가져다주었다. 1982년 쓰촨미술학원 학생이었던 허두어링(何多苓, He Duoling)은 『깨어난 봄바람』으로 다시 한 번 전국을 흔들어 놓았는데 작품 속 정서에 개인적 시각을 더하고, 내재적 상처에 대한 인식을 다채롭게 표현하고, 거시적 역사의 배경 속에 이성(理性)에 대한 주변 화된 의문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앞에서 이야기한 작품들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미술관자료 <무제 14(Untitled 14)>(2015)을 보면 소녀상의 얼굴에 파란색 바디 페인팅을 하고 히잡을 쓴 것처럼 묘사하고 있다. <무제 13(Untitled 13)>(2015) 작품에서 종이 가면을 쓴 남성상과 달리, 얼굴에 물감을 바른 소녀상을 표현함으로써, 종이 보다는 물감의 표현이 더 현실성을 입증해 보여주는 듯하다. 이 화면에서 소녀상의 흰색 긴 히잡은 자연스러운 천의 질감으로 표현하고 있어 그다지 비실재적인 공간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작가는 실재로 착각하는 공간을 다시 반격해서 비실재적인 평면 공간으로 드러낸다. 즉 화면에 붙인 듯한 히잡 천의 질감 표현은 소녀가 쓴 히잡인 동시에 화면 벽에 붙인 콜라주 기법처럼 표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품에서 화면의 배경은 그 전부터 사용한 실크스크린 판화의 전사 기법을 사용해 네거티브 필름의 영사식 표현처럼 드러난다. 이러한 표현은 팝아트에서 사용되는 복제성 이미지와도 부합되고 

한국미술에 관심이 있는지 혹시 아는 작가가 있는지 물었더니 그가 아는 유일한 작가는 백남준이고 이우환은 모른다고 하고 다만 물방울 작가만 안다고 이름은 모르고 김창열 작가를 말하고 있겠죠



[실향민 꿈 담은 강익중 신작 '집으로 가는 길'] 런던 템스강에 전시 2016년 9월 1일 – 9월 30일 [작품]강익중, 집으로 가는 길 (Floating Dreams) 스케치, 2016, 한지등과 로봇, 크기(11×10×10m)

"아이들은 미래라는 창으로 오늘을 보고, 어른들은 과거의 창으로 현재를 봅니다. 올 가을 템스 강에서 과거 현재 미래가 만나 희망의 창이 열립니다" -강익중


한국이 낳은 세계적 멀티미디어 아티스트인 강익중의 신작 '집으로 가는 길(Floating Dreams)'이 2016년 9월 한달동안 영국 런던 템스강에 설치된다. 대규모 설치 작품인 '집으로 가는 길'은 템스강 밀레니엄 브리지 바로 옆에 띄워져 올 가을 런던을 찾는 사람들의 눈을 사로잡을 것이다.


이 작품은 실향민 어르신들의 그림 500장 (각각 가로70cm x세로 70cm)으로 이루어졌고, 500개의 조명등이 작품 안에 설치되어 올 가을 템스강의 밤을 한반도 ...통일의 꿈으로 밝힐 것이다. 3층 건물 높이의 연등 작품은 한국전쟁 중에 고향을 잃고 가족과 헤어진 수백만 사람들의 기억을 담는 가슴 아픈 상징물이자 한반도 통일의 염원을 담은 희망이기도 하다. 작품 위에는 로봇으로 만들어진 손전등을 든 우리나라 어린이가 서있다. 아직도 통일의 꿈을 놓지 않는 실향민 어르신의 70여년 전 모습이다.


'집으로 가는 길'은 올해 20년째를 맞는 런던의 대표적 문화행사인 토탈리 템스(Totally Thames)의 의뢰로 제작되었으며, 오는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전시된다. 토탈리 템스에는 전세계에서 200여명의 아티스트들과 퍼포머들이 초청되어 약 68km 길이의 템스강 주변을 문화의 축제장으로 만들게 된다. 강익중은1000만명 정도가 찾을 예정인 이 행사의 2016년 메인 작가로 초대 되어 템스강 위에 작품을 전시하는 유일한 예술가가 된다.


강익중은 "임진강물과 템스강물이 하나로 이어진 것처럼 분단의 아픔을 가진 우리 민족의 희망이 강물을 통해 전세계로 퍼져 치료의 백신이 되기를 바란다. 이 설치작품은 고향을 떠난 모든 이에게 바치는 작품이기도 하다"라고 말한다.


아드리안 에반스(Adrian Evans) 토탈리 템스 디렉터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한국작가인 강익중에게 영국에서 처음으로 작품 제작을 의뢰하게 되어 기쁘다. 이 작품을 볼 수백만의 사람들이 작품을 통해 영감을 얻기를 바란다. 이 작품에 들어간 500명의 그림과 삶은 그 자체로 이미 뛰어난 기록의 의미가 있으며, 나는 깊이 감동했다. 템스강에 새로운 작품을 제작의뢰하는 것은 매우 도전적이 일이다. 나는 아티스트 강익중의 뛰어난 비전에 감동받았다. 또 이번 작품 제작에 후원을 해준 트리니티 부오이 와프 트러스트(Trinity Buoy Wharf Trust),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 통일부에게도 감사를 전한다"고 했다.


토탈리 템스의 오프닝인 9월 1일에는 새로이 런런 시장에 선출이 된 사디크 칸 시장이 참가해 축제의 개막을 알린다. 이 작품이 전시되는 기간 중 한국의 추석인 9월 17일에는 런던 대영박물관에서 작가와의 대화 프로그램이 열린다. 대영박물관에는 현재 강익중의 작품인 '12개의 달항아리(12 Moon Jars)' 와 '삼라만상'이 전시되어 있다


[이중섭 백년의 신화 전 그의 탄생 100주년] 국립현대미술관(덕수궁미술관) 2016년 6월 3일-10월 3일까지

[오마이뉴스관련기사] http://omn.kr/k7i3

국립현대미술관과 조선일보사, 서귀포시 이중섭미술관은 올해 이중섭 탄생 100년, 작고 60년을 기념하여 미술관 역사상 최초로 이중섭의 개인전을 연다 이번 전시에는 뉴욕현대미술관(MoMA)을 비롯하여, 총 60개 소장처로부터 대여한 이중섭의 작품 200여점, 자료 100여점이 2016년 6월 3일부터 덕수궁미술관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은 그의 탄생 100주년을 계기로 산발적으로 보존되고 있는 이중섭의 원작을 최대한 한 자리에 모아 대중들이 감상하고 연구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중섭의 은지화 3점을 소장하고 있는 뉴욕현대미술관(MoMA)을 비롯하여 총 60개 소장처로부터 200여점의 작품, 100여점의 자료를 대여하였다. <황소>, <욕지도 풍경>, <길 떠나는 가족> 등 그의 대표적인 유화 60여점 외에 드로잉, 은지화, 엽서화, 편지화, 유품 및 자료 등이 총망라되었다. 

한국 사람들 이중섭 원화를 본 사람은 거의 없다 다 도판으로 본 것이다. 그런데 이번 전시에 가면 진본을 볼 수 있다. 나도 갤러리 현대에서 보고 이중섭은 처음 본다. 이중섭은 유명하지만 우리는 이중섭에 대해서 너무나 모른다

이중섭은 김환기와 마찬가지로 당시 자유문학 현대문학 등 다양한 문학지 표지를 많이 그렸는데 그것이 유일한 그의 돈벌이였는지 모른다

"나는 한국이 낳은 정직한 화공이라오" -이중섭, 한국성을 추구하면서도 천재의 덕목이기도 한 '정직'이라는 세계 보편성도 역시 추구한다.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이중섭 사과를 주면 먹지 않고 그림부터 먼저 그렸다고 한다. 이렇게 잘 생긴 남자가 있나 부잣집 딸인 일본 여자(야마모토 마사코)가 반한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중섭의 키워드는 '상락(常樂)' 라캉의 말로 표현하면 '주이상스(jouissance)' 이것은 고통이 담긴 최고의 쾌락세계 혹은 열락을 말한다. 이를 대표하는 작품이 바로 '도원(桃園)'이다 '조르주 바타이유'는 "죽음 속에서 삶을 찬양하는 것이 에로티시즘의 핵심이라다"라고 했는데 이중섭이 바로 그런 개념을 시각화한 작가로 봐도 좋은 것 같다. 그의 미학에는 에로티시즘과 긴밀하게 관련성이 있어 보인다

이중섭의 사랑은 누가 봐도 당시 상황을 볼 때 이루기 어려운 사랑(주변의 반대가 많을 수 있고 그의 어머니마저도 반대할 수 있는)이었다. 원수의 나라인 일본의 상류층 딸과 사랑한다는 것도 그렇고 전쟁과 피난의 시기에 가난과 고통을 피할 수 없는 시절 그들의 사랑은 험한 격투와 같다고 할까 그러나 이중섭은 그런 지난한 길에서도 굴하지 않고 자신이 선택한 사랑에 대한 엄청난 자부심으로 넘치고 있음을 이 편지에서 엿볼 수 있다. 이것은 어찌보면 예술가가 아니면 할 수 없는 보석 같은 사랑인지 모른다. 相思不忘 그리워하며 잊지 못하다 그런 순애보를 용기 있게 보여준 셈이다 이중섭의 호는 대향 '큰 향기' 혹은 '큰 고향'이라는 뜻인가

야마모토 마사코, 이남덕: 이렇듯 이중섭은 일본 유학 시절 작품 세계의 지경을 넓혔다. 그러나 이중섭의 일본 유학이 그의 인생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더 큰 것은 따로 있다. 1938년, 이중섭은 같은 동경문화학원에 재학중인 야마모토 마사코라는 이름의 일본 여학생을 만나 사랑을 꽃피웠다. 마사코는 훗날 이중섭이 귀국한 뒤 1945년에 단신으로 현해탄을 건너와 원산에서 이중섭과 혼인한다. 태평양 전쟁 말 미군의 공습 속에 목숨을 걸고 일본과 부산을 오가는 임시 왕복선에 몸을 맡겨 한국 땅을 밟은 것이다. 야마모토 마사코는 동경문화학원 재학 시절만해도 비교적 일본의 상류층이라 할 수 있는 집안의 재원으로 프랑스 유학을 꿈꾸며 화가로서의 자신의 길을 준비하고 있었던 여성이다. 그런 그녀가 당시 일본에 비하면 폐허나 다름 없는 한국으로 건너와 한국식 이름으로 개명하여 한국 남자와 사는 것이란 여간 용기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었다. 일제 강점기, 창씨개명정책으로 인하여 조선인들이 강제로 이름을 일본식으로 고쳐야만 했던 시대에 마사코는 거꾸로 야마모토 마사코에서 ‘이남덕’이 되었던 것이다.

이중섭의 <어머니가 있는 가족>라는 작품은 다른 작품에 비해 덜 소개된 작품 같은데 여기서는 구원의 여인인 아내와 사랑하는 아이들만이 아니라 그의 정신적 모태가 되는 어머니까지 등장하여 그의 유토피아의 절정을 이룬다. 이중섭은 붓 터치를 중시하는 작가라고 하지만 여기서는 색채의 퓨전에서도 역시 탁월함을 엿볼 수 있다

전시포스터 이중섭의 자화상 소 그림은 이중섭의 삶에 따라 달라진다

이중섭의 소 그림은 확실히 오리지널하다 전통적 소박한 어찌 보면 여성적인 소 그림과는 다르다 박력이 넘치고 남성적인 이중섭 내면에 도사리고 있는 분노와 격정이 여과 없니 뼈를 드려낼 정도로 파워풀하다. 격렬한 운동감을 말할 것도 없고 우리민족의 순박함 이면에 담긴 역동성을 신명과 신기를 보여준다. 너무나 괴롭고 힘든 시대를 이겨내 보려는 몸부림 같다. 또한 이것은 이중섭 자신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소의 통방울 눈 이중선 눈을 닮았다 그 누구도 그와 싸워 이길 수 있는 것은 없을 것 같다. 호랑이 접근하기 힘들 정도다 씩씩거리는 콧김이 나고 뿔다귀 난 소는 온 세상을 뒤집어엎어 놓을 것 같다. 그러나 스페인 투우와는 판이하게 다른 소 그림이다. 순간적 감정이 영원한 찰나처럼 그려져 있다. 이중섭의 소 그림은 역시 가장 한국적이다. 일종의 변종이기는 하지만 그 표정에 무서움과 함께 선량함도 보인다. 만약에 내면의 억압과 여러 모로 짓눌림으로 찌든 이중섭이 소 그림을 그리지 못했다면 그는 자멸하고 말았을 것이다 덕수궁미술관에 이중섭박물관이 열리다 2015.6.3-10.3 도판으로만 보던 이중섭 그림, 진본을 보다

이중섭 I '도원(Paradise)' 현실의 삶이 너무 비참하고 힘드니 지상낙원을 화폭에 그릴 수밖에 없었군요 여기서는 하늘과 땅 천지인 우주만물이 하나이고 인간과 자연 동식물의 구분이 없는 그야말로 질투와 미움과 증오와 혐오가 없는 그야말로 조화와 균형과 공존과 평화로움이 꽃피우는 곳이군요

이중섭 전 아트숍

이중섭 작가 그 자신과 날마다 피 터지게 싸우는 모습을 상징하는 소 그림 같다

이중섭(춤추는가족2번)과 마티스(춤 2번)는 우연인지 우연이 아닌지 뭔가 서로 통하는 면이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죠

이중섭의 절친인 한묵이 그린 이중섭 초상화(1954) 이중섭의 말년 1951-1956까지 5년은 보통사람의 50년을 살 사람처럼 미친 사람처럼 치열했고 말년에는 정말 거의 미친사람이 되어 여러 병원은 입원하고 퇴원했다

"인간의 소박한 마음을 떠난 그림은 있을 수 없다" -이중섭 이중섭의 설화에는 과장이나 지어낸 이야기 많을 것이다 "이중섭 소 때문에 고발당했다" 등등이 그런 것인지 모른다. 이점에 대해 최열 평론가가 그에 대해 재정비한 책을 내기도 했다 "이중섭의 대표적인 그림은 단연 <흰 소>이다. 하루 종일 소를 관찰하다가 소 주인에게 고발당한 일화가 있을 정도로 그는 소를 사랑하고 잘 알고 있었으며, 소라는 대상에 자신을 투사했다. 이중섭의 <흰 소>(1954) ⓒ 이중섭미술관

은(박)지화 이중섭이 창안한 새로운 미술장르로 새긴 선의 긁힌 자국이 예상하기 힘든 조형적 효과를 내면서 참으로 매력적인 작품이 된다. 무엇보다 이중섭의 탁월한 조형능력과 구성미 넘치는 선묘 그리고 현대적 미감각 등 그의 천재성이 잘 드러난다 그리고 무엇보다 에로틱하다 그래서 원시적 생명력을 잘 보여준다. 방 하나가 다 은지화로 꾸며져 있다

이중섭 식민 분단 전쟁이라는 비극을 부여앉고 절규하는 소 같다 삶은 외롭고 서글프고 그리운 것 -이중섭

남덕씨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자랑스럽고 고귀하며 더할 나위 없이 상냥스러운 나만의 사랑 건강히 잘 지내나요 당신 생각으로 가슴은 늘 터질 것만 같다오 -1954년 12월 말 일본에 있는 -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 첫 부분에서 이중섭은 가족과 떨어져 부산 제주 대구 서울 등에서 아주 극빈한 생활을 했지만 그의 아내에게 편지를 쓸 수 완벽한 모멘트만은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시간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 압축된 질 높은 사랑의 시간은 절대적 시간이었을 것이고 또한 그의 예술의 에너지이자 기반이 아니었겠는가 그 짧은 그러나 그 영원한 순간이었을 것이다

이중섭 I '통영앞바다_욕지도 풍경', 종이에 유채, 39.6×27.6, 1953. 개인소장 통영은 이중섭의 흔적이 많은 곳이라고 한다. 내가 어려서 우리 집 가정교사(누나선생) 선생님 고향이 통영(고성)이라 그분의 초대로 간 적이 있는데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원(桃園) 중 하나였다. 여기에서 많은 문화인이 나왔다. 박경리 김춘수 김상옥 김용익 유치진 세계적 음악가 윤이상 등등 [자료] 1953-54 통영 전쟁이 끝날 무렵부터 전쟁 직후 1954년 6월경까지 이중섭은 공예가 유강렬(1920~76)의 주선으로 통영 나전칠기전습소에서 강사로 재직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에서 의욕적인 작품 활동을 펼쳤다. 통영에서 이중섭의 개인전이 열리기도 했고,《4인전》에 참여하는 등 본격적으로 화가의 경력을 쌓아갔다. 이 때 아름다운 통영의 풍경을 그린 유화작품들이나 유명한 ‘소’ 연작들이 제작되었으며, 생애 최고의 작품들이 쏟아져 나왔다.이 그림은 1953-1954 통영시대의 그림으로 가장 안정기(월남한 공예가 유강렬의 주선으로 통영 나전칠기 전습소 강사로 재직)였고 그의 그림의 르네상스시기에 속한다

지상에 유토피아가 있다면 이런 모습일 것이다

[김광균 시인과 이중섭 화백] 아래작품 '물고기와 아이들' 사람과 물고기도 평등하게 하나다. 물아일체 우주만물의 조화로운 교합의 미학을 잘 보여준다 이중섭은 구상시인은 물론이고 김광균시인과도 친밀하게 지냈다 김광균 시인은 피난지 부산에서 만난 이중섭을 높이 평가했다 1955년 미도파 백화점 화랑에서 열린 이중섭 작품전의 안내장에 김환기와 함께 김광균의 추서가 실린 것은 이때의 인연 덕분이다

1953년 6월 10일 편지에서도 보면, 사랑스럽고 소중한 남덕 씨, 김광균 형을 만나 뒤에 보내준 6월 4일자 편지 기쁘게 받아보았어요. 1953년 6월 15일 편지에도 보면, 나만의 귀여운 남덕 씨, 5월 30일 6월 4일 6월 10일자 그대의 성심 가득한 편지 고마워요 바쁜 가운데도 거듭 편지를 보내줘서 깊이 감사드려요. 2-3일 안에 도쿄에서 돌아온 김광균 시인을 만나려고 김광균 씨의 회사를 찾아갈 생각이에요

이중섭 1956년 말기 작품 처연하다

이중섭 I '길 떠나는 가족1'(1954)은 이중섭 가족 그림의 핵심이다. 그림엽서에는 “아빠가 엄마, 태성이, 태현이를 소달구지에 대우고 아빠가 옆에서 황소를 끌고 따뜻한 남쪽 나라로 가는 그림을 그렸다. 소달구지 위쪽은 구름이다.”라고 쓰여 있다. 현해탄을 사이에 두고 한국과 일본으로 헤어져 있는 아내와 아이들을 데리고, 험난한 현실에서 벗어나 가족들이 영원히 헤어지지 않고 다시 하나가 되기를 바라는 염원이 깃든 그림이다. 그는 가족과 헤어지기 이전의 행복했던 그 순간에 사로잡혀있었다. 그 정지된 시간, 추억만이 고통스런 현실을 견디게 해주었을 것이다. 그때의 행복이 영원히 고정되기를 염원한 것이다. 여기에는 마치 어린 아이적 무시간성이 들어있다. 이 그림 속 황소는 선량하고 평화스러운 존재이며 힘과 노동, 희생력의 위력이자 동시에 자신의 분신이다. 새는 정신적 해방과 평화를 보여주며, 어린아이는 단연 그의 아들이자 다산과 풍요, 행복을 표상한다. -박영택. 우리민족의 수난사를 온몸으로 겪으며 고통과 가난과 이산에 찌든 온 가족이 하나로 만나 천국으로 가는 길을 염원하고 있군요

프랑스의 역사학파에는 조르주 뒤비가 주축이 되어 기술한 <사생활의 역사(3세대 아날학파)>라는 책이 있다 이것은 역사를 서술하는데 개인의 사적 삶을 통해서 사회문화사와 역사를 조망하는 방식이다. 오늘날 페북과 비슷한 방식인데 우리는 이중섭이라는 예술가의 삶을 통해 당시 한국경제문화사와 역사도 조망할 수 있을 것 같다.

“세상에 나만큼 자신의 아내를 광적으로 그리워하는 남자가 또 있겠소. 만나고 싶어서, 만나고 싶어서, 또 만나고 싶어서 머리가 멍해져 버린다오. 한없이 상냥한 나의 멋진 천사여!! 서둘러 편지를 나의 거처로 보내주시오.”(1954년 11월 10일 편지 중에서) 이중섭, <부인에게 보낸 편지>, 1954.11월경, 종이에 펜, 채색, 26.5×21.0, 국립현대미술관 소장[이중섭 명문장] "예술은 무한한 애정의 표현이오. 참된 애정의 표현이오. 참된 애정에 충만함으로써 비로소 마음이 맑아지는 것이오. 마음의 거울이 맑아야 비로소 우주의 모든 것이 올바르게 마음에 비치는 것 아니겠소? 나는 한없이 사랑해야 할, 현재 무한히 사랑하는 남덕의 사랑하는 모든 것을 하늘이 점지해주셨소. 다만 더욱 더 깊고 두텁고 열렬하게,무한히 소중한 남덕만을 사랑하고 사랑하고 또 사랑하고 열애하고,두 사람의 맑은 마음에 비친 인생의 모든 것을 참으로 새롭게 제작 표현하면 되는 것이오…" -아내에게 보내는 이중섭 편지

'봄의 아동(1952-1953)' 이런 작품은 장자의 경지에 도달하다. 아이와 나비와 꽃 등이 구분 없이 동급으로 소통을 한다 물아일체라고 할까 디테일한 초기소묘를 기초로 하여 이런 작품에는 레이어가 수없이 많다고 한다

한 경지를 이루는 세상 어린이와 물고기는 구분할 수 없다. 상호 평화공존 긴밀한 연결성 보이지 않는 인연과 끈으로 이어져 있다 완벽한 네트워킹(인터넷)의 세상이다

지옥같이 고통스러운 삶을 살면서도 천국의 시간을 얼마나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중섭의 그림 속에 천국의 시간은 그 어느 화가보다 길다. '사나이와 아이들', '춤추는 가족' 등을 보면 알 수 있다. 이중섭은 '도원'이라는 작품을 통해 그만의 유토피아를 그렸다 거기에 담긴 생각은 결국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교합에서 이루어진다고 본 것 같다. 그의 가족시리즈에서 보면 모든 가족이 벌거벗고 석류도 있고 닭과 게 비둘기 등 새와 꽃바구니 물고기와 신선처럼 함께 춤추면서(마티스의 춤이라는 작품을 영향을 받은 듯) 신명나게 놀고 있다 거기에는 도원(지상낙원)을 연상시키는 역동적 이미지로 그득 넘친다. 무엇보다 대전제가 원시적 누드로 돌아가야 한다

온 인류의 염원이자 유토피아이기도 하지만 이중섭이 추구한 사무치는 친밀성의 미학은 독특한 매력과 경쟁력이 있다

이중섭 I '신문 보는 사람들' 알루미늄 박지에 긁어 그리고 물감으로 채움 9.8*15 모마소장 1955년 1월 18일부터 27일까지 서울 미도파 화랑에서 개인전을 연다. 당국의 검열과 철거와 같은 소동을 거치고서도 대중의 호응은 대단했다고 한다. 미국인 문정관이던 '맥타가트'가 이 전시회에 출품한 알루미늄 박지에 그린 그림 3점을 사 미국 뉴욕 모마에 기증하게 된다 1956년 뉴욕 모마에서는 만장일치로 이중섭의 은박지 작품을 소장하기로 결의했다 다름아닌 독특한 재료개발 때문이다. 현대미술에서 재료의 독창성은 최우선가치다.

이중섭 I '부부 2번' 1953 사랑의 싸움처럼 보이는 아니 무엇보다 애틋한 부부의 애정을 황홀한 두 사람의 춤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상서로움을 표상하는 봉황이 이중섭의 고향 평양 근처에 이 고구려 벽화에서 온 것이겠죠 기가 막힌 키스장면을 연출하고 있군요 "어떤 부부가 서로 사랑한다고 해도, 어떤 젊은 사람들이 서로 사랑을 한다고 하더라도 현재 내가 당신을 사랑하고 소중하게 여기고 있는 열렬한 애정만 한 애정이 또 없을 것이요 일찍이 역사상에 나타나 있는 애정의 전부를 합치더라도 대향(이중섭의 호),남덕이 서로 열렬하게 사랑하는 참된 애정에는 비교가 되지 않을게요….

''예술은 무한한 애정의 표현이오. 참된 애정의 표현이오. 참된 애정에 충만함으로써 비로소 마음이 맑아지는 것이오. 마음의 거울이 맑아야 비로소 우주의 모든 것이 올바르게 마음에 비치는 것 아니겠소? 다른 사람은 무엇을 사랑해도 상관이 없소. 힘껏 사랑하고 한없이 사랑하면 되오. 나는 한없이 사랑해야 할,현재 무한히 사랑하는 남덕의 사랑하는 모든 것을 하늘이 점지해주셨소. 다만 더욱 더 깊고 두텁고 열렬하게,무한히 소중한 남덕만을 사랑하고 사랑하고 또 사랑하고 열애하고,두 사람의 맑은 마음에 비친 인생의 모든 것을 참으로 새롭게 제작 표현하면 되는 것이오….'" -아내에게 보내는 이중섭 편지 중에서

전시장 한쪽 방은 완전히 사랑의 편지(이중섭이 이남덕에게 보낸 편지)가 점령하다

인류원형의 평등한 원시공동체다 나라가 자신을 지켜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가족은 이중섭에게 그에게 자신을 버티게 해주는 힘과 고향 같은 곳인지 모른다

이중섭과 절친인 '한묵'은 원산시절 그의 집을 들렸다가 우연히 목격한 장면이다. “소리 없이 대문 안으로 들어가서 장지 틈으로 들여다보았더니 네 식구 모두 홀딱 벗은 나체가 되어 이불 위에서 뒹굴고 있지 않겠는가. 엄마 아빠의 이불을 아이들이 마구 잡아당길라치면 아빠는 ‘요놈’ 하면서 소처럼 엉금엉금 기어 좁은 방을 돌더군. 아이들은 깔깔대었고 중섭의 불알이 덜렁덜렁하는 것을 볼 수 있었지. 우리들은 킥킥거리며 참다가 도저히 참을 수 없어 후다닥 도망쳐 나왔다.” 이중섭의 성은 생명 그 자체였지만 그의 그런 에로티시즘은 당시에는 소화하기 힘들었나보다. 1955년 미도파전시회 대성황을 이루었지만 한편 외설시비도 있었다. 경찰이 들이닥쳐 50여점의 그림을 철거하는 소통이 벌어졌다. 이중섭의 에로티시즘에는 인간 동식물 무기물까지도 차별 없이 함께 어울려 즐기고 있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이중섭의 엽서화, 이중섭은 정말 지독하게 열심히 그림을 그린 작가다 다만 사이즈가 작아서 그렇지 엽서고 은박지고 종이고 캔버스가 뭐 하나 손에 닿기만 하면 그림을 그린 사람이다.

이중섭 I '떠 받으려는 소 1953-54, 34.2×53.0, 개인소장' 종이에 유채 34.5×53.5cm 사람마다 이중섭의 소 그림에 대한 취향이 다르다 나는 이 소 그림이 좋다. 이 작품은 역경의 삶을 몸부림치며 헤쳐 나오려는 이중섭의 초인적인 강렬한 의지가 엿보인다.우리민족의 자화상 같은 소 그림 시대의 소용돌이를 치받는 소 그림. 이중섭이 이런 사투를 벌리는 격정의 소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면 그는 산화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런 것이라도 그릴 수 있었기에 그의 생명은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이중섭 화백 부인 야마모토 마사코(96·한국명 이남덕여사)는 아직도 살아계시지요 아래는 2013년 사진 설명: 이중섭의 일본인 부인 이남덕씨가 2012년 11월1일 이중섭이 생전에 쓰던 팔레트를 서귀포시에 기증하는 행사에 참석한 모습. 다산책방 제공

덕수궁 이중섭 전 볼거리가 많다 사진 2014년에 일본 다큐작가가 찍은 영상 아카이브 편지 등등

이중섭은 아내도 무지막지하게 사랑했지만 피카소처럼 시인도 너무 사랑한 것 같다 그에게는 남다른 우정의 철학이 있었나보다 그 주변에는 화가이상으로 시인이 많았다. 구상시인, 김광균시인, 김광림시인, 김춘수시인, 등등등 그리고 오산학교 선배인 백석시인의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를 외우고 다녔다고 그리고 폴 발레리의 시 <해변의 묘지>도 외우고 다니고 그런 면에서 이중섭을 압축파일 같은 문학양식인 시를 좋아한 것 같다.

이중섭의 초기 자료 1916년생인 그는 확실히 고향이 평남 평원인 만큼 고구려 벽화에 낙랑 전설에서 영감을 얻는 것 같다. 이중섭은 시인 이상처럼 당시로는 프랑스시를 술술 외울 정도로 서구적인 것에 밝았지만 그는 고구려 벽화나 낙랑의 문화를 자기나름으로 소화해서 현대화하는데 주력했다고 할 수 있다

이중섭은 평생 소 그림을 그렸는데 어폐가 있기는 하지만 소를 말처럼 그렸다. 소의 소박함 뒤에 숨겨진 박진감이 그의 소 그림에 잘 드러난다


이번 전을 기획한 국립현대미술관 김인혜 학예연구사에게 이번 전시가 지난 이중섭 전시와 차별성이 뭐냐고 물었더니 "기존의 이중섭 연구 성과가 모든 다 반영되었고 그동안 연보 등 잘못된 오류도 바로 잡았고 최초로 공개하는 일본유학시기 자료, 전쟁기 자료, 사진자료 등이 많아 전시의 완성도를 훨씬 높였다."라고 답했다

[피난민의 지독한 삶] 1950년 혹한의 그 겨울에 이중섭 일가는 모친과 형수를 원산에 남겨둔 채 피난길에 오른다. 첫째 아들을 생후 1년도 되지 않아 병으로 잃은 이중섭에게는 그 후 얻은 태현(47년 생)과 태성(49년 생) 두 어린 아들도 함께 하고 있었다. 이중섭의 정처없이 떠도는 인생험로가 시작되는 순간이었다   



원산항에서 부산항에 도착하자마자 피난민 수용소에 갇힌 이중섭과 그의 가족. 피난 수도 부산에 몰려든 피난민들이 그러했듯 이중섭 일가 또한 전쟁통에 부산에 난입한 불청객 가운데 하나일 뿐이었다. 북에서 넘어온 피난민들의 통과의례인 몇 가지 조사를 마치고 풀려난 이중섭은 당장 가족을 먹여 살리는 것은 물론 제 한 몸 뉘일 곳을 찾는 일도 어려운 지경이었다. 부둣가에서 날품을 팔고 부산 시내를 헤매고 돌아다녀도 끼니를 거르기 일쑤. 아이들은 점점 피골이 상접해 가고, 한 때 프랑스 미술 유학을 꿈꿨던 고상하고 품위 있는 여대생 남덕은 거지꼴이 된 피난민 처지가 되었다. 이중섭은 그의 가족을 이끌고 제주도로 향한다. 이 때 두 아들의 나이 각각 다섯 살과 세 살이었다.

천경자 1주기 추모전 2016.06.14-8.7 / 백남준 10주기 추모전 <백남준-플럭서스> 2016.06.14-7.31


천경자 1주기 추모전 / 백남준 10주기 추모전 <백남준-플럭서스 대형전시홍보물

천경자 여인들 1964 왜 천경자는 그림을 시립미술관에 기증한 것 같냐고 물으니 천경자화백은 관객과 더 많은 소통을 하고 싶어서 그런 것 같다고 대답한다 어쨌든 대단한 결단이다

천경자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 1977년작 22살 때의 자화상인가

천경자는 뱀 그녀의 가장 독창적 작품이다. 그런데 왜 그녀는 이런 징그러운 뱀을 그렸을까? 그녀의 답은 뱀을 천 화백도 너무 무서워하지만 이런 그림을 통해서 자신을 극복해 보려고 했다고 자료화면에서 말한다

천경자 I '초혼(Invocations of the Spirit of the Dead)' 1965 color on paper 153*125cm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이 작품은 환상여행 연작 중 하나로 어딘지 모르게 미완성인 것처럼 보이는데 당시 자유롭고 싶은 여자였던 그녀의 환상여행의 미완성을 그린 것인가요. 견딜 수 없는 자아의 갈등과 번민 속에 빠져 있는 자신을 스스로 치유하려는 의지이자 막혀버린 듯한 세상의 벽을 뚫어보려고 하는 강렬한 열정이 엿보이네요. 그녀에게 해외스케치여행이라는 비상구가 없었다면 미쳐버리거나 자살을 했을지도 모르죠.

천경자의 환상 시리즈 작품 중 하나 코끼리와 누드여인이 주는 환상과 상상력의 세계는 경이롭고 황홀하다 코끼리가 보라색이라니 역시 환상을 연출하기에 좋은 색채인 것 같다

천경자 생존에 스케치를 정리하는 모습

“꿈을 꾼다. 선명한 총천연색이 무서워 거칠게 헐떡거리는 심장을 움켜쥐고 깨어나선 새벽을 기다린다. 그 새벽과 함께 커피를 끓여 마시며 나 혼자의 아침 향연이 시작되는 것이다. 그리곤 종일 그림을 그린다. 그림을 그릴 때에 한해서 나는 행복하다.” - 천경자, 『탱고가 흐르는 황혼』(세종문고, 1995) 

천경자 작품 소개 영상자료 중에서 그녀의 작품 
추상미술이 주도하던 근대 한국화단에서 자신만의 형상화 양식으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해온 대표적인 여성작가이자 미술계의 큰 별 천경자(1924~2015)는 지난 2015년 8월 6일, 그녀의 작품 속에 등장하던 미지의 세계로 영원히 그 발걸음을 옮겼다. 

자신의 작품이 흩어지지 않고 영원히 사람들과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는 의지 아래, 작가는 1998년 분신처럼 아끼던 주요 작품 93점과 전작품의 저작권을 서울시에 기증했다. 이번 전시 《천경자 1주기 추모전: 바람은 불어도 좋다 어차피 부는 바람이다》는 작고 1주기에 맞추어 작가의 화업을 기리고자 마련된 전시로, 서울시 기증 작품 전체와 함께 개인 콜렉터들의 주요 소장품을 작가의 글, 사진, 기사, 삽화, 영상 등의 아카이브와 함께 선보인다. 

전시장 자료화면

전시의 부제는, 작가의 저서 『자유로운 여자』(집현전, 1979)에 등장하는 문장 “바람은 불어도 좋다. 어차피 부는 바람이다. 어디서 일어 어디로 가는지 모르는 바람들—그 위에 人生이 떠있는지도 모른다.”에서 인용한 것으로, 삶의 희로애락을 매 순간 솔직하게 마주했던 작가 특유의 시적 감성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백남준기념관 조성사업 발대식, '헬로우 백남준'] 7월 20일 17:30-19:00,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한 백남준기념관에서

백남준기념관 조성 사업은 서울시가 지난 10월 창신·숭인 지역 주민의 건의에 따라 작가의 집터가 있던 창신동 197번지 소재 한옥을 매입하고 시립미술관이 조성 및 운영을 담당하여 추진 중인 사업이다. 
그동안 음식점으로 쓰였던 단층한옥(연면적 93.9㎡, 약 28평)은 건축가 <최욱>에 의해 설계되어 최종 금년 11월 완공을 목표로 해체와 보수를 거치는 리모델링 과정을 거쳤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영종 종로구청장, 유가족을 비롯한 문화계 주요 인사 8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발대식은 서울시립미술관의 사업경과보고와 함께 백남준의 예술적 영향을 오마주하는 후배 예술가들의 축하 공연과 퍼포먼스가 동반되는 예술 행사로 개최된다.

조형예술가 김상돈은 창조와 파괴를 하나로 본 백남준의 키워드와 참여적 조형성을 유쾌하게 재해석한 고사 퍼포먼스 '百+Paik'을 문화계 인사, 창신동 주민들과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상설전은 소리, 영상, 글, 사진 등의 복합매체 콘텐츠를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소개하는 버츄얼 뮤지엄과, 사물과 전자장치가 혼합된 아날로그 디오라마 전시물로 구성되어 전시 서사가 기념관 실내외 공간 전체에 입체적으로 연출되도록 할 것이다.

9월에는 기념관 조성에 참여한 예술가와 연구자들이 백남준의 예술세계와 40년대 창신동의 기억을 소개하는 대화 시리즈, 10월경에는 도슨팅 지원자를 대상으로 도슨팅 교육 워크숍을 진행할 계획이다.

기념관 실내에는 상설전시 외에 서울시와 지역 주민들의 협의를 통해 탄생한 주민 활동 공간이 조성될 예정이다. 이 공간은 관람객 휴식 공간 및 주민의 모임방이자 백남준에 대한 간단한 자료 열람이 가능한 북카페, 도슨팅 교육공간으로 사용될  계획이다.


[백남준 10주년 추모전] <백남준 플럭서스>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2016.06.14-07.31

[오마이뉴스관련기사] http://omn.kr/kfth 조각, 사진, 설치, 자료 등 200여점



<플럭서스는 ∞>는 1962년 조지 마키우나스(1931-1978)가 플럭서스를 조직한 이래, 그 일원이었던 백남준의 아방가르드 예술정신과 위대한 아티스트의 탄생을 예고한 시기를 조명한다. 본 공간에서는 존 케이지, 요셉 보이스, 오노 요코, 조지 마키우나스 등 플럭서스 멤버로 활동했던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들과 순수한 우정에 기반한 파격적인 아방가르드 예술 활동을 펼치는 청년 백남준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참여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독일 브레멘 쿤스트할레 소장품 <세 대의 카메라 참여>는 CCTV에 찍힌 자신의 모습을 컬러 코드로 볼 수 있는 작품으로 관람객이 직접 작품 안으로 참여하여 주체가 된다. 뿐만 아니라 참여 갤러리 공간에서는 작가 양아치가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1969-1971) 작품 제작 원리에 대한 연구와 재해석한 새로운 비디오 신디사이저를 선보인다. 살아생전 새로운 지식과 기술들을 결합하고 연구자와 기술자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하며 비디오 아트와 퍼포먼스를 접목시켰던 백남준의 정신을 계승한 새로운 형태의 비디오 신디사이저는 관람객들의 참여로 완성된다.

천경자 1주기 추모전 / 백남준 10주기 추모전 <백남준-플럭서스> 기자간담회 두 거장의 만남이다 

플럭서스 초기 멤버인 덴마크 출신 에릭 앤더슨은 이번 전시를 위해 제작한 <크라잉 스페이스>를 만들어 관람객들에게 개인적인 추모의 장소를 제공한다. 동료를 추모하는 전시에 초대된 작가는 관람객들이 전시장에 들어서는 순간 눈을 향해 불어오는 강풍과 눈이 시릴 정도의 과잉된 색채에 압도되어 억지로 눈물샘을 자극함으로써 ‘추모’의 의미를 전복시키고 진정한 눈물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개막식 다음날인 6월 15일에는 에릭 앤더슨의 아티스트 토크를 개최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백남준은 ∞> 공간은 1990년대 전성기를 누린 백남준의 멀티 모니터 설치 작품과 비디오 조각을한 자리에 선보이는 공간이다. ‘예술가의 역할은 미래를 사유하는 것’이라고 얘기했던 그는 자신의 시대를 넘어 다음 세기를 예견했다. 이번에 소개되는 <W3>(1994)나 <암페어>(1992)등의 작품은 본격적인 전자 시대로의 도입을 암시했던 전자무당 백남준의 면모를 보여준다. 또한 백남준의 유가족이 소장한 <시집 온 부처>(1989-1992)가 처음으로 공개된다. 

백남준과 플럭서스에서 같이 활동한 덴마크 아티스트 에릭 앤더슨 인터뷰 장면. 
플럭서스는 물의 흐름이라는 뜻이죠. 물(혹은 눈물) 같은 액체가 돌 같은 고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가 생각한 것이 바로 플럭서스의 정신이라고 하네요 백남준 청년시대 문화놀이터 같은 플럭서스에서 다양한 실험을 거침없이 시도하며 세계를 보는 안목을 키우다 미술을 미술로 하는 것이 아니라 악기와 몸짓과 놀이와 침묵과 소음과 오브제 등등으로 하는 미술을 시도하다. 백남준 없이 플럭서스 없고 플럭서스 없이 백남준이 없다.

2016년 6월 14일 백남준과 플럭서스 오프닝 행사 백남준의 친구이자 덴마크 출신 플럭서스 회원이었던 에릭 앤더슨 인사말 "신체에서 나오는 가장 약한 것으로 보이는 눈물은 바위 같이 강하고 단단한 것도 변화시키고 바꿀 수 있다"(액체가 고체를 변화시킨다)

플럭서스 초기 멤버인 덴마크 출신 에릭 앤더슨(75)이 백남준을 위해 헌정한 ‘크라잉 스페이스’ 코너는 신선하다. 80년대부터 작가가 선보였던 이 작품은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이번 전시에 백남준에 대한 헌정작으로 나왔다. 온통 연두색인 공간에 의자와 테이블 모양의 설치물 있고, 두개의 대리석에는 호박씨 크기의 원 두 개가 눈물자국처럼 있다. 14일 개막식에 참석한 앤더슨은 “눈물은 견고한 대리석도 뚫을 수 있다는 고대 그리스의 경구에서 착안한 작품”이라며 “감정이야말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라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고 했다. 전시장의 강풍과 네온사인, 강렬한 원색이 주는 물리적인 자극 때문에 눈물이 찔끔 나며 눈물의 진정한 의미를 생각하게 만든다고.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하는 축제 같은 우리의 장례문화 같은 추모 공간이다

백남준의 <자화상 달마 힐> 1998년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뒤에 보이는 작품은 WWW 즉 인터넷 시대가 오고 있음을 암시하다 백남준 뇌졸중으로 쓰러진 후 휠체어에 의지해온 자신의 자화상을 배설물로 하체가 녹은 달마의 고행 비견하며 바퀴의자를 탄 로봇형식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이 자화상이다 

<자화상 달마 휠> 추가정보
1996년 뇌졸증을 맞이 한 이후 휠체어 의자에 의지해 작품활동을 했던 백남준은 바퀴의자를 탄 로봇을 자화상으로 이름 붙이고 전륜성왕, 즉 Dharma wheel을 탄 예술가로 자신을 피력한 작품이다. TV 겉면에 드로잉한 천진한 표정의 아기 미소는 바로 부처의 미소이자 동시에 백남준 자신의 이상적 모습이다
.

백남준의 절친인 요셉 보이스의 모자 
백남준 <세 대의 카메라> 참여, 1969/2001설치CCTV,RGB 프로젝터, CRT모니터,아베 변환기가변 크기© 쿤스트할레 브레멘 소장 독일 브레멘 쿤스트할레 소장품 <세 대의 카메라 참여>는 CCTV에 찍힌 자신의 모습을 컬러 코드로 볼 수 있는 작품으로 관람객이 직접 작품 안으로 참여하여 주체가 되고 이로써 완성된다.

백남준 보이스 복스, 1961-1986 설치 병품, 빈티지TV, 액자, 판화, 드로잉, 사진 등 ©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보이스 복스>는 백남준이 1986년 그의 예술적 파트너이자 우정을 나눴던 요셉 보이스가 세상을 떠나자 그를 기리며 만든 추모 작품으로 백남준이 처음 요셉 보이스를 만난 1961년부터 요셉 보이스가 사망한 1986년까지 그와 관련된 소품, 드로잉, 사진 등을 모아 제작하였다. '요셉 보이스의 음성'이란 의미의 이 작품은 두 거장의 인연과 예술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백남준태내기 자서전, 1981, 1932년 뉴욕타임즈에 드로잉 후 양장제본 가변크기© 개인소장

<태내기 자서전>1982년 12월 백남준이 자신의 독일친구 디터 로젠크라츠에게 선물한 작품으로 자신이 태어나기 110일전 1932년 실제 뉴욕 타임즈 신문뭉치 위에 백남준이 낙서한 작품 모음집이다. 그는 자신이 진정한 골동품수집가라고 주장했는데 오래된 신문뭉치를 모으는 취미가 있었다. 이 골동품은 단순히 객관적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직접 조각하고 선택된 오브제로 본다. 신문뭉치는 백남준의 상징적인 오브제이자 미래를 사유하는 예술가적 상상력을 함의하고 있다. 1932년 4월 1일 만우절의 신문은 어머니와 가상대화를 통해 체험하지 않은 날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백남준은 자궁 속에서 어둡고 축축하고 무섭다고 느꼈다"라고 적혀있다.

정말 해맑은 백남준의 미소

이은주사진가가 찍은 '백남준의 미소' 오늘 이은주사진가를 직접 뵙다

이 세상을 구원하는 사람들은 바보들뿐이다 헛똑똑한 소피스트는 아니다. 소크라테스가 바보처럼 죽음으로 서양철학은 구원을 받은 것이다. 천재들은 커다란 바보들이다 백남준은 정말 바보처럼 항상 웃고 다녔다 그 내면에 엄청난 서구근대주의의 어리석음을 해체시켜려는 결기를 품고 있었지만 말이다. 결국 그는 서구의 하이테크를 예술로 해방시켰다

백남준 나는 비트켄슈타인을 읽은 적이 없다

백남준의 비트켄슈타인의 "말할 수 없는 것을 침묵해야 한다"는  유명한 명제를 거부하다. 말이 아니라도 말을 해야 한다는 말은 또 다른 의미에서는 비트겐슈타인과 같은 의미로 볼 수도 있다

백남준 10주기를 맞아 그의 예술세계와 그의 예술적 동지인 플럭서스를 함께  조명하는 전시[총절리]

-독일 쿤스트할레 브레멘과 국내기업 및 개인 소장가들의 소장품 200여 점으로 구성 196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초기 백남준 작품을 비롯하여 전성기 시절 제작한 대형 비디오 설치 작품들을 한 자리에 소개 -전시의 제목 <백남준∞플럭서스>는 백남준이 다음 세대와 미술계에 끼친 무한한 영향력과 순환적인 연결고리를 함의 -플럭서스를 중심으로 1960년대 이후 백남준의 활동과 관련된 아방가르드 운동을 미술사적으로 재조명함으로써 오늘날까지도 유효한 플럭서스의 의미를 재고함 -전시에 기하여 백남준 탄생일인 오는 7월 20일 현재 개보수중인 백남준 기념관에서 기념행사를 개최. 백남준 기념관은 창신동 집터에 있는 한옥을 개보수하여 운영할 예정

이지 라이더(easy rider)

이 작품은 언제 어디서나 온 인류가 보다 더 쉽게 소통하는 세상을 염원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비디오아트를 보면 완전히 무당색이다. 그가 전자 셔먼이기도 하지만 그의 색채와 분위기는 휘황찬란한 엑스터시의 경지를 연출한다. 엑스터시란 어원은 자신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온다는 뜻으로 자신을 초월하는 신령한 경험인데 이런 예술적 주이상스를 맛볼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셔먼의 강력한 에너지와 예술가의 놀라운 상상력이 합쳐질 때 가능한데 이것을 백남준은 전자빛으로 통해서 21세기적 방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백남준 이지 라이더  

정보초고속도로를 상징하는 그의 작품 중 하나이다

백남준 코끼리의 문 Elephant Gate 1994

"나는 TV 안에 인간의 뇌를 심고 싶다" -백남준 1982/ 1982년은 백남준과 김순기의 인터뷰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1982년 백남준 연구가 장-폴 파르지에와 인터뷰다 여기서 프랑스소설가 스탕달과 시인 발레리 문학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드러내 프랑스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 인터뷰에 나오는 유명한 말 중 하나가 바로 인공지능에 대한 언급이다 이제 인간이 인간지능과 대결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고 말한 것이다

<여기는 백남준기사 중 일부> 백남준은 또 미국뿐 아니라 70년대 말 독일 뒤셀도르프 조형대 교수가 되면서 이웃 나라 프랑스에서도 그 명성이 자자했다. 미국에서 백남준의 진가를 발견하고 그를 알린 '핸하르트'가 있다면, 프랑스에서는 소르본대 영상학 교수인 '장 폴 파르지에(J. P. Fargier)'가 있었다. 그는 백남준을 '20세기 최고의 예술가'라며 극찬했다.

'파르지에'는 1982년 백남준 퐁피두센터 개인전을 앞두고 1981년 ...백남준의 사상적 기원(L'Arche de Nam June 22분)'이라는 인터뷰영상을 제작한다. "'색(color)'이란 시간을 뜻하고, 섹스를 뜻한다"라는 백남준의 말로 시작하는 이 대담에서 한 발언은 단순하나 깊이가 있고 파격적이라 당시 프랑스예술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여기서 백남준은 '자아형성·사랑과 금전·시간과 공간' 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그의 사상을 형성하는 데 기원이 된 맑스는 물론 그의 예술적 이론과 실천에 큰 영향을 준 맥루한, 케이지, 보이스, 마치우나스 그리고 프랑스소설가 스탕달과 시인 발레리 등에 대한 명쾌한 해석을 내놓아 프랑스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드디어 퐁피두센터에서 1982년 12월 15일부터 1983년 4월 11일까지 백남준의 회고전이 열렸다. '파랑·하양·빨강' 프랑스국기를 '전자국기로 변형한 '삼색 비디오(Tricolor Vidéo)'를 선보였다. 256대의 컬러TV와 128대 흑백TV(총 384대)와 8개 비디오테이프가 오색찬란한 영상을 연출해 이곳 전시장 한 코너를 점령했다.

그러면서 백남준은 이 전시에서 "나는 TV 안에 인간의 뇌를 심고 싶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고 작품설명을 하면서 예술과 일상을 반반씩 뒤섞었다고 말한다. 이는 자신의 예술에서 대중의 참여와 취향이 매우 소중함을 피력한 것이다. 그런 면에서 최근 영국에서 유행한 '일상으로 내려가는 예술(down to earth)'과도 일맥상통한다.

김광우 미술평론가의 설명에 따르면 헝가리출신의 프랑스조각가 니콜라스 셰퍼(N. Schaffe 1912~1992)는 레이저로 쏘아 300m가 넘는 인공두뇌조명탑을 세워 프랑스국기를 만들겠다고 장담했으나 그의 아이디어가 물리적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하지만 백남준은 그걸 비디오아트로 구현해 프랑스인에게 흡족함을 줬단다

백남준 시집 온 부처 
그의 유가족이 이번 전시를 위해서 한국에서 처음 공개하다

[백남준 횡설수설: 나는 다른 사람의 글을 쓰다가고 마지막에는 결국 나도 모르게 백남준에 대한 글을 쓰게 된다] 백남준 스위스 시계를 보면 그는 시간을 가지고 노는 것을 좋아했다 백남준은 1974년 전자초고속도로라는 가설(아이디어)을 록펠러재단에 제출해서 지원을 받기도 했는데 이것을 바로 인터넷개념이다. 이지 라이더(easy rider)라는 작품은 보다 더 쉽게 소통하는 세상을 염원했음을 알 수 있다 노마드라는 영토개념이 없는 사람들이다 이런 노마디즘은 맑스즘과 통한다. 모든 땅에 우리 것이기에 소유자는 없는 것이다 이들은 탈영토제국주의라는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백남준이 바이올린을 개처럼 질질 끌고 다닌 것은 서구근대주의 조롱하고 그것을 해체할 뿐만 아니라 그런 파괴를 통해서 21세기형 새로운 문명을 창조하려고 한 것이다 백남준 상대벅으로 중국을 언급하지 않고 비중국 즉 몽골문화를 언급했다. 요셉 보이는 정말 기인이다 그는 토끼를 합리적인 것에 맹...목적으로 축구하는 인간보다 더 나은 생명체로 봤고 그는 그래서 죽은 토끼에게 정말 열심히 그림에 대해서 설명하는 퍼포먼스로 유명해진다. 플럭서스운동에서는 저작권이라는 것이 없다 무소유주의자들이다 그래서 남의 작품 어느 것도 내가 할 수 있다. 백남준 첫 전시 음악의 연주가 아니라 음악의 전시라고 한 것을 바로 플럭서스 정신의 100% 반영이다. 예컨대 소리를 이미지로 만든 것처럼 요즘말로 통섭의 개념이다. 백남준은 윤회설을 믿었고 그의 친구인 마치우나스는 나중에 다시 태어나면 개구리가 될 것이라고 믿어 그는 개구리로 그리기도 했다. 백남준 모든 신체의 움직임이 춤이라는 머스 커밍행의 개념 너무 좋아했늗데 이런 것도 다 플럭서스에 정신에서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4분 33초에서 보여준 존 케이지의 침묵음악도 같은 것이 이런 것에 자극을 받고 크게 고무되었으며 이 역시 플럭서스적인 것이다 백남준은 정말 요셉 보이서 존 케이지 샬럿 무어먼이라는 예술동지를 만나 그의 예술은 최고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었다 동양의 문화 테러리스트 백남준은 바이올린 부수기 퍼포먼스를 할 때 2가지 극단적인 철학을 보여준다 바이올린을 들어올릴 때는 가장 느리게 하고 내릴 칠 때는 가장 빠르게 한다. 그의 예술에는 이렇게 가장 느린 선불교와 가장 빠른 전자파가 동시에 공존한다.


백남준의 유가족이 보관해오다 이번에 처음 공개된 백남준작 <시집 간 부처> 자세히 보면 작품 안에 금강경이 들어가 있는데 금강경은 원효대사가 중국경전이나 인도경전과 다르게 직적 쓴 경전으로 이에 대한 주해도 달았다. 이 작품을 이해하려면 원효사상부터 이해해야 하기 그 주제를 파악하기가 쉽지는 않다. 여기 장은 처녀가 시집갈 때 가져가는 3층장을 사용하고 있다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소개되고 있는 백남준 작품 시집 온 부처의 내용물 중 하나로 훈장이 보인다. 백남준은 뉴욕 구겐하임전과 새천년 준비위원 활동 등 공로로 김대중 정부로부터 2000년 '문화의 날'에 '금관문화훈장'을 받는다. 이날 수상 소감에서 "내가 이런 좋은 상을 탈 줄 알았다면, '백'씨 대신 '천'씨 성을 타고나 천년을 오래오래 살면서 훌륭한 작품을 더 만들면 좋았을 것"이라며 농담을 던지는 여유도 보였다.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소개되고 있는 백남준 작품 <시집 온 부처>의 내용물 중 하나로 가족사진이 보인다 이렇게라도 가족에 대한 애틋한 정을 남기고 싶었던 것인가. 그는 17살에 한국을 떠나 한번도 제대로 가족과 오붓한 시간을 보낸 적이 없는 참으로 고아처럼 외로운 존재이기도 했다 그런 마음을 이런 아주 한국적인 분위가 물씬 나는 삼층장이라는 오브제 속의 담아 그의 씁쓸하고 쓸쓸한 심경을 토로한 것 같다




백남준의 패션은 멜빵(바지)과 큰 주머니가 있는 얼룩와이셔츠 그리고 특수 제작된 신발 그런데 사진에서 보면 멜빵이 제자리에 놓은 적이 없다 거의 꼬여있다 그가 이런 패션을 한 것을 옷입는데 1초도 안 걸리기 때문일 것이다 작업시간을 더 확보하겠다는 시도인가

아래 사진에서는 아예 멜빵 끈이 하나가 없다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은 게 기적(?)이다. 이런 그의 천진난만한 모습을 거기에서 자연스러운 멋이 나오는 것이다. 그는 작품에 너무 몰입하기에 옷에 신경을 쓸 기운도 여유도 없다. 그는 작업시간을 더 확보하기 위해서 잠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해서 그래서 우리나라로 치면 박카스 같은 드링크를 가지고 다닌 모양이다.

조지 마치우나스 1981 개인소장 정영삼

빈티지TV 라디오캐비넷 바이올린 개구리 망치 소니 TV 안경 전화기 넥타이 등 234*190*60cm  여기서 개구리가 나오는데 개구리는 조지 마치우나스의 별명 같은 것이다

플럭서스의 창시자이자 작가, 이론가이며 백남준의 절친한 동료인 조지 마키우나스를 형상화한 작품, 바이올린을 들어 올렸다가 내려치며 깨뜨리는 백남준의 퍼포먼스 작품을 공연하는 마키우나스를 표현하고 있다. 윤회설을 믿고 자신이 개구리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고 말한 마키우나스를 회상하여 몸통에 개구리를 부착시켰다.

여기에 기록 코끼리의 문, 마치우나스로봇, 라이더, www 인터넷 주소, 스위스시계 플럭서스의 선언문 속 백남준 못박은 피아노 백남준첫전시에 쓰인 소대가리10년간 그의 휠체어사진과 비트겐슈타인 베를렌의 시가 플럭서스의 놀이매누얼과 여러가지 도구들 그리고 백남준의 절친 요셉 보이스 병풍 그의 한국이름을 지워주다 보이수 普夷壽

사진 이은주

백남준이 세계적 예술가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창조적 예술뿐만 아니라 지구촌시대에 걸맞은 글로벌한 우정과 네트워킹의 철학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예술과 철학은 이렇게 완벽하게 일치했다

[플럭서스 맴버 중 2명이 체코와 리투아니아 대통령으로 선출되다] 플럭서스 예술가들은 이름만 들어도 그 집단의 개성을 금방 이해할 만큼 독특한 성격의 소유자들이다. 만능 예술가로 불려온 1)요셉 보이즈가 그러하고 플럭서스의 창시자인 2)조지 마치우나스, 그리고 3) 퍼포먼스의 창시자 앨런 카프로우 4) 비트 새대의 대표시인 앨런 긴즈버그, 6) 미니멀리즘 작곡가 라몬트 영, 7) 개념미술과 전위작곡가 조지 브레히트, 8) 한국에 온 적이 있는 뮤지션 벤저민 패터슨, 9) 안무가 트리샤 브라운, 10) 전위작가 오노 요코, 11) 프랑스 작가 보티에, 12) 여성 퍼포머 앨리슨 놀즈, 13) 독일 시인 토마스 슈미트, 14) TV아트 볼프 포스텔, 15) 영화감독 조나스 메카스가 그러하다. 그리고 역사상 최초의 극작가 대통령으로 불리는 체코의 16) 연극연출가 바츨라브 하벨과 구 소련으로부터의 독립 이후 리투아니아의 초대대통령이 된 17) 탈소(脫蘇)독립운동가 비타우타스 란즈베르기스가 여기 회원이었다는 사실은 덜 알려져 있다

스백남준 스위스 시계 기존의 시간개념을 새롭게 해석하다 

인터넷 주소를 상징하는 백남준 작품 www 

백남준W3, 64대의 모니터 25min 1994 © 학고재 갤러리 W3는 인터넷 주소를 지팅하는 ‘world wide web’의 약로 정형성을 벗어나 자유롭게 구성되는 비디오 설치 작품이다. 총 64개의 모니터로 구성된 이 작품은 작가가 1974년 예술기금 신청을 위해 “일렉트로닉 슈퍼하이웨이” 계획서를 록펠러 재단에 제출한지 20년 후 동일한 이름으로 개최된 전시 출품작 가운데 대표작으로 대형 멀티 모니터 작품의 진수를 느낄 수 있다


백남준 독일 부퍼탈 첫 서진때 전시장에 건 소대가리

사진 이은주 작품  백남준 베를렌 시의 패러디하다

백남준의 플럭서스론 

-플럭서스가 당신(백남준)에겐 어떤 의미? "나의 젊음이에요 나의 순결, 나는 아주 순수한 젊음에 대한 이상이었다.

-그 이상이란 게 뭐죠? "가능한 순수하지는 거죠 -예술적인 면에선가요 "예술가서는 살아가는 인간으로서 그저 살아가는 겁니다. 될 수 있으면 순수하게 나는 플럭서스의 잔 스타기질 협동적인 면을 좋아한다. 플럭서스는 전례 없는 재능이 모였던 집단이고 전후의 흔하지 않은 예술운동가운데 하나였죠. 모든 문화적 국수주의가 배제된 진실하고 의식적인 국제운동이었죠 나는 군사적 국수주의보다 문화적 국수주의를 더 증오했다. 그것은 위장된 국수주의이기 때문에 더욱 위험하죠

-그런데 어떻게 해서 선생님은 음악과 해프닝에서 비디오로 행로를 바꿨나요? "그 변화는 아주 천천히 이루어졌다. 전자음악이 한계가 있다는 건 알고 있었다. 누군가 전자TV예술을 할 거라는 것도 알고 있었다. 하지만 나는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건 무엇보다 화가의 직업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러던 어느 날 내가 하면 오 안 되지 의문이 들었던 거죠. 1960-61년에 나는 진지하게 전자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다. TV수상기 열세 대를 구입하려고 내가 가직 있던 모든 걸 팔았다. 부퍼탈 파르나스갤러리의 예를링에게 첫 비디오 녹화기를 사는 사람이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화가가 될 거라고 말했다. 그 당시에는 가격이 10만 달러나 되어서 도저히 살 수 없었다. 그런데 그렇게 빨리 가격이 내려갈 거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1963년 3월 나는 파르나스갤러리 음악의 전시-전자 TV이란 제목으로 첫 전시회를 열었다. 13대의 TV수상기를 전시장에 배치하는 같은 프로그램의 열세 가지의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이어 나는 실험TV전시회의 후주곡이라는 글을 썼다. 거기에 내가 어떻게 작업을 시작했는지를 밝혔다.

-어려웠나? "네 생전 처음 정말 열심히 일했다. 아무도 모르는 초특급 비밀 스튜디오를 빌렸다요. 기술자 두 사람의 도움으로 나는 13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변형했다. 특히 회로를 수직 수평으로 변형했다. 어느 날 나는 여러 사람을 초대했다. 딕 히긴스, 앨리슨 놀즈, 아서 쾨프케, 볼프 포스텔 그리고 파르나스갤러리에서 내 작업을 선보였다. 관객은 아무 반응이 없었다. 그렇지만 내가 옳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내가 전자TV의 성공을 볼 때까지 살 수는 없을 것 같아 1965년 1월 내 작업결과를 발표한 거죠.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나. 새로운 형태의 그림을 창조하려고 했는지? "그래요 한때는 내가 회화에 관한 이론을 발전시켰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그것은 경험에 대한 사랑을 위한 경험, 이전에 아무도 해 본 적이 없는 것을 하는 경험에 관한 이론이었다.

-정치가의 모습을 TV영상을 통해 일그러뜨리는 작업이 공격적이라고 생각했나? "맥언 변주들(Les variations McLuhan)을 말하는 건가요. 아니기도 하고 그렇기도 하기도 하다. 어떤 면에서는 주제가 정치가의 희극적으로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그게 제 목적은 아니다. 내가 원하는 것은 조지 마치우나스와 아주 잘 맞았다. 그나 나나 특정한 예술을 정식으로 배운 적이 없기 때문이다. 나는 처음에 작곡가로 시작했지만 사실은 미학자 산문가였다. 나는 심지어 수줍음을 탔다. 그래서 나는 TV를 연구했다. TV는영화가나 화가의 분야이지만 사실 난 이 두 분야에 자격도 없었다. 나는 아무도 가보지 않은 곳을 가고 싶었던 거다. 조지는 나중에 잠시 부동산 중개업자가 되기도 했다. 나는 주식을 한번 해 봤다. 만일 그 분야에서 성공했다면 비디오에 뛰어들지 않았겠죠. 하지만 나는 모든 것을 잃었고 그래서 TV수상기를 샀다. 누구나 당연한 든 TV봤죠. 나는 그래서 그것을 가지고 순수파 플럭서스가 뭘 할 수 있을지 알아보고 싶었다. 플럭서서는 바로 처녀지로 가는 곳이다. 거기에 처녀지가 있었다. 그러니 그곳에 갈수밖에 없었다. 에베레스트 산과 같이 올라가야 했다

"He dealt with people in collaboration way more like a musician"

백남준은 음악을 전공하지 않았다면 절대로 비디오아트의 컨텐츠를 그렇게 음악적인 톤과 리듬감과 박진감을 가지고 재미있게 재치가 넘치게 복잡하면서 아주 단순하게 만들지 못했을 것이다 백남준와 같이 협업을 한 사람은 백남준이 작업하는 모습을 보고 그는 마치 오케스트라 지휘자처럼 그렇게 협업 협주곡을 연주했다고 증언한다 TV는 그에게 재미있게 가지고 노는 장난감 같은 악기였다

백남준의 전시도록 1부 
내가 본 것은 여기서 반 정도 되는 것 같다 반도 못 봤다 이 중에서 독일 브레멘 도록이 최고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브레멘 미술관 관장 불프 헤르조겐라트 박사덕분이다

백남준의 전시도록 2부 

백남준의 전시도록 3부

백남준 그는 거지패션을 너무 좋아하는데 그는 실제로 한국에서도 여러 번 수위(경비원)로부터 출입금지를 당했다. 이어령 장관이 재직 시에도 그를 만나러갔다고 출입금지 당했다. 백남준은 노마드 작가로 전 세계를 돌아다니는데 그가 미국국적을 가진 이유 중 하나가 아마도 그의 패션으로는 공항통과가 힘들었을 것이다. 그래서 미국국적이 편리하지 않았을까 싶다.

워싱턴 스미소니언 한국출신 큐레이터의 증언에 의하면 그는 워싱턴에서 미국장관이나 미국국회의원이 오는 그의 오프닝행사에도 1주일이상 멀리를 감지 않고 참석해 냄새가 나서 가까이 가기가 힘들다고 그럼 이런 배짱은 어디어 왔나 싶지만 그는 이렇게 말한다. "남의 시선을 신경을 쓰지 않으면 만사가 편하다" 이것은 프랑스의 철학자 사르트르의 말 <타자는(타자의 눈은) 지옥이다> 타자의 시선을 의식하면 자신의 주체적 삶을 살 수 없다는 말을 했는데 백남준은 이 말을 정말 그대로 실천한 셈이다

백남준이 뉴욕에 간지 1년 후인 1965년 그의 스승격인 존 케이지가 작곡한 Theatre Piece를 우산을 쓰고 연주하는 모습이다. 사진: Peter Moore 그의 나이 33살 때다 자신만만해 보인다

백남준 1988년 10월 11일 215강의실에서 뒤셀도르프 미술대학 교수 당시 수업하는 모습 그의 학생들의 증언에 의하면 절대 어떤 지식을 강요하기보다는 설득하는 방식이었고 그의 미학의 골자인 쌍방형 방식으로 최고급 민주주의 방식으로 수업을 주고받는 방식 그리고 수업이 끝난 후에서 예수가 광야에서 기적을 일으킨 밥상공동체의 체험을 실제로 학생들을 고급식당에 데리고 가 배부르게 먹이는 일과로 수업이 끝났다고 한다. 그것은 그가 독일에서 교수를 하면서도 뉴욕에서 작업을 했기에 학생들에 대한 미안한 마음을 그렇게 밥사주는 것으로 대신한 것이다


백남준은 그의 TV 안에 관객을 집어넣어 관객이 전시에 중심이 되는(관객이 주도하는 전시) 개념을 도입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관객 대신 부처가 들어가기도 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들어가기도 한다. 여기서 또한 백남준은 생각하고 TV 사유하는 TV 명상하는 TV 철학하는 TV 전시를 관람하는 TV를 만들고 싶었나 보다

1977쾰른에서 TV부처 백남준은 소비사회의 상징물인 TV를 명상하는 구도의 도구로 자신의 모습을 비쳐보는 피드백의 상징물로 바꾸다 자신의 작품에서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여기서는 운주사의 와불로 변신하고 있는데 그는 자신이 용화세계를 꿈꾸는 와불이 되어 1000년 후에 일어날 것을 믿은 것인가

[백남준 기념관 기념행사] 2016.07.20(수) 백남준 선생의 집터: 종로구 창신동 197번지 현재 개보수 중이다. 2016년 11월 완공예정 그의 생일날 기념행사 <백방으로 안녕하세요>백남준을 기념하는 사람들이 만드는랜덤액세스 종로의 끝자리 동대문은 이제 서울문화의 중심지로 몽골바람 같은 백남준의 천년의 바람이 불 것 같다 새로 태어날 것 같다. 백남준생가의근처에 박수근 살았던 동네도 있고 등등

[유튜브][백남준기념관 발대식 헬로우 백남준 2016.7.20 Hello Nam June Paik NJ Paik Memorial House]https://www.youtube.com/watch?v=iDP2ClhUdFk

이어령 전문화부장관의 백남준 증언 "뭔 남기려고 해!!" "몽골에는 아무 것도 없어 문명을 남긴다는 게 오히려 부끄럽지" 무화예술 무로 가는 예술 결국 그리다 또 그리다 또 그리다보면 그냥 하얀 그림만 남는다

서울시립미술관은 백남준 작가 서거 10주기를 기념하여 백남준이 1937년부터 1949년까지 12년의 성장기를 보낸 집터가 위치한 종로구 창신동에 ‘백남준기념관: 면적 93.9㎡(약 28평)의 단층 한옥’을 11월 완공할 예정이다.서울시립미술관 중 하나로 기념관 조성사업은 서울시가 창신·숭인지역 도시재생선도지역 주민들의 매입 건의에 따라 지난해 10월 백남준 선생의 집터가 있던 창신동 197번지 소재 한옥을 매입하고, 조성한다.

서울시립미술관은 백남준기념관이 예술가의 어린 시절 공상과 놀이, 독서, 교육이 이루어졌던 장소에 건립되는 만큼, 거장의 주요작품을 소개하는 기존의 미술관 전시와는 달리, 작가의 삶의 족적을 부각시키는 한편, 그의 예술적 발상과 40년대 종로 일대 생활문화...의 관계 잇기를 시도한다.이를 위해 서울시립미술관은 백남준 선생 친지와 지인들로부터의 유년시절 기억채집, 백남준의 생애와 예술세계를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소개하는 가상미술관이다

백남준 예술의 모태가 된 40년대 창신동 시절의 문화지리적 경험과 생각을 소개하는 아날로그 디오라마 등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다층적, 입체적 콘텐츠를 위해 백남준 연구가와 전시서사 구성작가, 미디어 UI 설계자, 시각예술가, 그래픽 디자이너, 인테리어 연출가가 협업한다.

기념관 실내에는 상설전시 외에 서울시와 지역 주민들의 협의를 통해 탄생한 작은 주민활동 공간도 마련된다. 이 공간은 관람객 휴식공간 및 주민들의 모임방이자 백남준에 대한 간단한 자료 열람이 가능한 북카페, 전시 도슨팅을 희망하는 주민을 위한 교육공간으로 사용될 것이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생소한 현대예술가를 맞이하는 주민들을 위해 9월경부터 기념관 조성에 참여한 예술가와 연구자들을 초대하여 백남준의 예술세계와 40년대 창신동의 기억에 대한 대화와 도슨팅 교육 워크숍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러한 여러 준비과정 중에 도래하는 7월 20일 백남준 작가의 탄생일에는 기념관 조성 현황을 주민들에게 알려 드리고 한국출신의 세계적 비디오 아티스트인 백남준 작가의 귀향과 함께 안전 준공을 기원하는 기념행사를 가질 예정


백남준과 같이 작업을 했던 한국 독일 미국의 테크니션 노만 발라드(레이저) 이정성선생 미국 신시내티에서 '백남준 공장' 작업한 마크 파스팔마크교수(TV공학) 폴 게린 작가(비디오편집) 요헨 샤유어라커(유럽담당) 왼쪽 첫 번째 분은 중국교수

<필름을 위한 선> 음악이 아닌 침묵과 먼지와 찍찍거리는 화면의 스크래치를 만든 영화 쏟아지는 영화의 외적인 이미지가 아닌 관객만의 독특한 내적 이미지를 각자가 만들어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기본의 영화형식을 해체한 안티영화

Nam June Paik «Zen for Film» In an endless loop, unexposed film runs through the projector. The resulting projected image shows a surface illuminated by a bright light, occasionally altered by the appearance of scratches and dust particles in the surface of the damaged film material. As an analogy to John Cage, who included silence as a non-sound in his music, Paik uses the emptiness of the image for his art. This a film which depicts only itself and its own material qualities, and which, as an «anti-film,» is meant to encourage viewers to oppose the flood of images from outside with one’s own interior images. -Heike Helfert

백남준 요코 시게코 샬럿은 델리케이트한 관계(?)

오노 요코 2006년 2월 백남준 프랭크 켐밸 장례식에 참석해 첫 번째 추도사를 하면서 “당신이 백남준으로 존재해 준 데 대해 감사한다(Thank you, Paik Nam June, for being you) 당신은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내가 외로울 때 언제나 나의 편이었다 ”라는 인상적인 말을 남기기도 했다.
[추신] 오노 요코는 1960년대 이후 서구에서 전위예술의 여사제였지만 그녀를 마녀라고 하는 등 그녀에 대한 비방도 이에 못지 않았다 그러나 백남준은 언제나 그녀를 여사제로 존중해준 것이다

2006년 4월 26일 오후 미국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메인홀에서 열린 고 백남준 선생 추모 행사 선생의 지인들과 관객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역시 오노요코는 ‘약속 조각-뼈(PROMISE PIECE-BONES)’라는 제목으로 백남준의 추모 퍼퍼먼스를 주도했다



백남준은 1997년 괴테상에 이어, 또 다음해 11월에는 일본의 노벨상이라 하는 '교토상The Kyoto Prize'(상금 약 5억 원)을 받았다. 백남준은 답례로 <위너와 맥루한: 커뮤니케이션의 혁명>이라는 수상 연설을 했다. 또한 수상 인터뷰에서 "표현은 인간에게 자유를 주며 예술은 인간의 배설행위로 사회의 안전벨트 역할을 한다"라면서 표현의 자유가 인간행복의 핵심임을 밝힌다. [추신] 마침 일본의 노벨상이라고 하는 최고권위를 자랑하는 1998년 교토상(철학 예술부문에서 메달과 증서, 부상 기금 5억원)을 받게 되어 사실은 별로 받고 싶지 않았지만 백남준 2000년 뉴욕 구겐하임 전시회를 앞두고 미술관에서 요구하는 제작비 등 재정적으로 너무 궁색해 마지못해 시상식에 참가했고 1996년 뇌줄중으로 몸이 불편한 그는 부인의 도움으로 휠체어를 타고 시상식장에 갈 수밖에 없었겠죠. 백남준은 싸구려 파란 점퍼를 입고 천왕에게 손짓으로 인사를 했고 일본어를 잘 하면서도 영어로 시상식에서 답사를 했다. 연설도중 바짓단을 돌돌 올린 것(??)을 부인 시게코가 보고 기성세대에 대한 그의 마지막 야유를 읽을 수 있었다고 부인을 말했단다. - 김영순 전 예술의 전당 전시감독의 증언 사진 이경희여사 기자로 참석

Computer and Audio-visual arts 비디오아트영감을 받는 예술가(음악가)Max Mathews−Jim Tenney−Peter Denes−Micro Noll (Bell Labs) L. J. Hiller (Illinois) K.O.Goetz−Max Bense−Xenakis (Europe) my own ideas and experiments -Nam June Paik

(time series)Conceptions of Time based on Nam June Paik: India−Greece−Bible−

Newton−Bergson−Gibbs−Husserl−Heidegger−Sartre−Cage−Wiener−Stockhausen

백남준은 인간이 시간에 구속받는 것을 못 견뎌했다 그래서 시간을 자유자재로 가지고 놀고 싶어했다. 거기에 안성맞춤인 것을 비디오다. 시간을 과거로 되돌릴 수도 있고 정지시킬 수도 있고 그의 예술이 시각예술이면서 시간예술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In a way McLuhan put Wiener inside-out, as Marx put Hegel upside-down -Nam June Paik 맥루한과 위너(사이버네틱스) 맑스와 헤겔는 어떤 관계? Wiener’s main theme was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animal AND machine” 백남준 위너(사이버네틱스)의 이 말에서 영감을 받았군요

[백남준과 플럭서스] 플럭서스의 선언문 유럽주의문화를 추방하라 플럭서스는 흐름(flow)이라는 뜻 시대의 흐름과 시대정신에 몸을 온전히 맡긴 선각적 예술가 구룹이다

[플럭서스 영상 one] https://www.youtube.com/watch?v=ADX5KnWGZDo

fluxus festival 1962 미치광이집단 플럭서스 여기서 백남준의 유명한 굿 '머리를 위한 선(禪)'(Zen for Head)' 1962. 압권 비스바덴에서 열린 '플럭서스 국제 신음악' 공연에서 잉크와 토마토주스를 사용한 먹으로 그린 행위음악

[플럭서스 영상 two] https://www.youtube.com/watch?v=cGZ9OS1Oj14

일체의 기존가치를 파괴하라 플럭서스 피아노는 불타고 있는가

1993년 예술의 전당에서 서울 플럭서스 공연이 있었다 김홍희 기획

백남준의 친구 딕히긴스 다다와 플럭서스는 같은 계열이지죠 흔히 플럭서스를 네오다다라고 하는데 그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군요 Dick Higgins on FLUXUS. interview by Carl Nørrested and Svend Thomsen in connection with "Metadrama" performances at SMFK, Copenhagen 1986 Video: TVF. © TVF 1986/2005

백남준 전 오프닝 끝날 무렵 또 다시 음악과 피자를 백남준이 선물하네

백남준 아버지가 지금이 삼성보다 더 큰 방직업을 했기에 그의 아버지가 친일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해방 50주년에 이 사실을 고백했지만 일제시대 CEO라면 하고 말고가 없었다 그래서 백남준은 아버지에 반발하여 사업가보다는 예술가가 되려고 했다 그리고 당시에 유행하는 맑시즘에 빠졌고 그래서 아버지가 백남준 경기중 4학년때 홍콩에 있는 영국계고등학교로 전학을 시켰다 

에릭 앤더슨 백남준과 플럭서스운동의 성격

- 액체로 고체같은 사회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이 바로 플럭서스의 혁명이다 눈물(액체)로 바위(고체)를 뚫을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원리다


질문: 플럭서스운동은 어떻게 백남준과 상통했고 왜 국제적이었나?
대답: 에릭 앤더슨(1940-), 백남준이 독일에 도착한 1957년 1958년 경은 독일중심으로 유럽 예술계가 회화적인 것보다 새로운 다른 시도를 하자는 분위기가 고조되었을 때인데 마침 음악이 상당히 개방적이었기에 미술(예술운동)도 음악적으로 전급하는 방식을 취했다. 음악을 전공한 백남준에게는 행운이었다. 그는 여기서 전자음악작곡가를 슈톡하우젠(쾰른중심)을 만나 그런 경향 등으로 이런 흐름이 더욱 속도를 내게 되었다.



플럭서스는 물의 흐름이라는 뜻으로 이 운동은 고체가 아니고 액체였던 것이다. 흐르는 것에는 당연히 전형성이 없었고 가변적이고 창조적이었고 사전에 의도적 합의도 없었다. 게다가 국경도 없었다. 그래서 미국 캐나다 유럽 등과 아시아에서도 연주를 했다. 그리고 국경을 가리지 않고 모든 예술장르를 다 수용했기에 다양한 형태의 예술적 실험이 가능하다고 봤다.

<고체(solid=하드웨어)>같은 50년대 60년대 미술관이나 연주장 중심의 예술에서 벗어나 액체(liquid=소프트웨어)같은 즉 일상생활에 파고드는 예술을 추구했고 그래서 지금도 플럭서스가 생생하게 살아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플럭서스는 그 당시 가장 위대한 예술혁명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MBC 광복50주년특집방송

백남준은 경기중학교 2학년때 박상희가 주도한 대구사건의 행동대원이었다 [위키사전]박상희(朴相熙, 1906년 9월 10일-1946년 10월 6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이다. 대한민국 대통령을 역임했던 박정희는 그의 동생이고 정치인 김종필은 그의 사위이다.일제 강점기에 신간회, 1934년 조선중앙일보의 지국장, 1935년 동아일보 기자 등 언론인으로 활동하였다. 일제강점기 1940년대 여운형이 결성한 건국동맹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해방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 구미지부를 창설하였고, 1946년에는 민주주의민족전선 선산군지부 사무국장을 맡아 활동하였다. 대구 10.1사건 중 경찰의 총격을 받고 사망했다 백남준 부친이 백남준을 홍콩에 유학시킨 원인이 된다

김순기 비디오작품 <봉주르 백남준 I편> 싱글채널 41분 25초 1982

김순기 작가 비디오작가이고 인터뷰아트 작가이기도 하죠 지금은 작고했지만 세계적인 철학자 자크 데리다와 인터뷰하면서 그를 당황하게 할 정도로 프랑스어에 능통한 김순기 작가는 비디오작가인데 백남준을 역시 인터뷰한 비디오작품을 만들었군요 그야말로 인터뷰아트작품이네요 서울시립미술관에서 백남준과 플럭서스 전에서 볼 수 있다 *한국의 굿과 노마디즘 그리고 미디어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여기가 뉴욕 백남준 집 머서스트리트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다

대부분 예술가를 한마디로 줄여서 말하면 쾌락(快樂)주의자라고 볼 수 있는데 백남준은 약간 다르다. 한마디로 줄여서 말하면 그는 쾌통(快通)주의자이다. 소통이 유쾌하게(원활하게) 되는 세상이 그의 유토피아다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린 김순기전: 자크 데리다와 대화(2002):  침묵이야말로 타자를 만날 수 있는 가능성

사진:2002년 3월 7일 철학자 데리다와 김순기 작가가 파리근교 리조랑지(Ris Orangis)에 있는 데리다 자택에서 대담하는 모습이다. 45분. 2002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영상작품으로 소개되었다 ⓒ 아트선재센터

[오마이뉴스관련기사] http://omn.kr/807a 

예술마저도 자본화 되어가는 시대, 이를 헤쳐 나갈 길을 모색 중이던 김 작가가 던진 질문은 크게 두 가지인데 첫째는 "자본이 미술시장을 잠식하는 세계화시대에 예술가의 미래가 있는가"였고 둘째는 "침묵이 진정한 예술의 통로가 될 수 있느냐"였다. 데리다는 미술에선 '고유성·희귀성·유일성'이 가장 중요한데 자본의 압력으로 이것이 박탈되고 예술이 '동질화·빈곤화·저급화'를 초래한다면 그런 미술시장은 경계해야 하고, 문화투자가 아니라 과잉투기로 왜곡될 수 있기에 저항해야 하고, 이를 막는 데는 작가만 아니라 수집가, 애호가, 전문가도 다 같이 동참해야 한단다. 
동양에선 "의미 있는 말이 침묵을 만든다"는 말도 있고, 존 케이지는 침묵도 음악이라 했지만 침묵에 대한 김 작가 질문에 데리다는 "말의 손실을 막기 위해 침묵이 필요하다", "전문가는 침묵이 뭔지 안다"는 말로 침묵의 예술적 가능성과 그 가치를 평가했다. 결론으로 침묵이야말로 타자를 만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이라는 말한다.

오프닝 후 애프터 파자를 백남준이 보내왔네요

[충결론] 현대예술은 선사시대 몸의 회복이 하나의 과제다. 그래서 퍼포먼스아트(해프닝아트)가 중요하다 프리미티브한 원생시대로 돌아가야 한다. 레비스트로스 말하는 야생의 사고는 그런 것의 함의 아닌가. 

[백남준 10주기 추모전<백남준∞플럭서스>] 2016.06.14-07.31 서울시립미술관서소문본관 3층 전시

시간 화-금 10:00-20:00 / 토,일,공휴일 10:00-19:00 / 매달 1,3주 화요일 10:00-22:00 연장개관 / 매주 월요일 휴관 참여작가: 백남준, 김순기, 에릭 앤더슨, 존 케이지, 요셉 보이스 등 도슨트 시간 2016. 6.15일부터 매일(화-일) 오전 11시, 오후2시, 오후3시 (매일 3회) 관람료 무료 전시문의 홍이지 ( 02-2124-8934)

존 케이지가 1956년부터 1961년까지 뉴욕 뉴스쿨(이 대학은 흩어져있다고 하지만 몰라서 미방문)에서 실험음악과 작곡을 가르치다라고 되어 있네요 The composer(J. Cage)'s financial situation gradually improved: in late 1954 he and Tudor were able to embark on a European tour. From 1956 to 1961 Cage taught classes in experimental composition at The New School, and from 1956 to 1958 he also worked as an art director and designer of typography Among his works completed during the last years of the decade were Concert for Piano and Orchestra (1957–58), a seminal work in the history of graphic notation, and Variations I (1958).

'플럭서스' 미지의 세계를 통찰하고 찾아가는 자유로운 활동으로 규정하면서 자신의 위상을 이런 지도(mapping)로 만들다. 창조성 우애결사회원들 미답의 지대(unexplored territories) 백남준, 존 케이지, 앨런 카프로우, 오셉 보이스, 오노 요코 등을 대표주자로 뽑다. 예술로의 플럭서스와 생활로의 플럭서스로 나눈다.

백남준은 독일에서 베토벤보다 더 존경을 받는다(?) 백남준이 독일에서 1997년 괴테상을 받을 때 새로운 작곡의 영역을 확대한 공로로 받은 것이다 그러니까 독일인에게 백남준은 전위적 작곡가인 셈이다백남준의 스승격인 존 케이지는 독일작곡가 중 누구에 비유할 수 있을까 재미있는 점은 백남준의 열렬하게 좋아했던 쇤베르크가 나중에 미국으로 건너갈 수밖에 없었는데 존 케이지의 스승이 쇤베르크였다는 점은 우연에 일치치고는 너무나 스릴이 넘치는 일이다. 그러니까 존 케이지와 백남준은 이래저래 인연이 깊다. 존 케이지가 말하는 우연성의 음악처럼 말이다. 존 케이지는 소음과 침묵을 음악으로 봤고 서구음계와 구조와 개념을 완전히 전복시킨 사람이었다

플럭서스는 세계주의(越境), 예술과 삶의 통일, 인터미디어, 실험주의, 우연성, 놀이성, 단순성, 함축성, 견본주의(?), 특유성, 시간 속의 현존, 음악성 등을 전제로 하면서 이 운동의 3가지 범주의 새로움을 들면 "[1] 이들은 주어진 예술가의 자리와 예술의 경계를 넘어서려고 노력했다 [2] 이들은 예술가라는 권위에서 벗어나 예술작품의 소유자로 남아있고자 하지 않았다 [3] 이들은 비물질적인 것의 예술성을 입증하려고 했다"고말한다 -조정환


서울시립미술관은 백남준 타계 10주기를 맞아 백남준의 예술세계와 그의 예술적 동지인 플럭서스를 함께 조명하는 <백남준 ∞ 플럭서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1960년대 등장한 플럭서스와 백남준의 관계를 통해 아방가르드 정신에서 싹튼 비디오 아트의 시작을 살펴보고자 마련되었다. 독일 쿤스트할레 브레멘과 국내 기업 및 개인 소장가들의 소장품 200여 점으로 구성된 본... 전시는 백남준, 조지 마키우나스, 요셉 보이스, 오노 요코 등 196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플럭서스 일원으로 활동했던 작가들의 작품을 비롯하여 백남준이 전성기 시절 제작한 대형 멀티 모니터 설치작품들을 한 자리에 선보인다.

전시의 제목 <백남준∞플럭서스>는 백남준이 다음 세대와 미술계에 끼친 무한한 영향력과 순환적인 연결고리를 함의하고 있다. 전시는 <플럭서스는 ∞>, <참여갤러리>, <크라잉 스페이스>, <백남준은 ∞> 총 4개의 섹션 구성을 통해 시작과 끝이 정해지지 않은 자유로운 관람을 제안한다. < 플럭서스는 ∞>는 1962년 조지 마키우나스(1931-1978)가 플럭서스를 조직한 이래, 그 일원이었던 백남준의 아방가르드 예술정신과 위대한 아티스트의 탄생을 예고한 시기를 조명한다. 본 공간에서는 존 케이지, 요셉 보이스, 오노 요코, 조지 마키우나스 등 플럭서스 멤버로 활동했던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들과 순수한 우정에 기반한 파격적인 아방가르드 예술 활동을 펼치는 청년 백남준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칸트의 '무목적적 합목적성'이라는 말도 있지만 플럭서스는 무엇보다 분할과 구획을 기초한 목적적인 것을 완벽하게 거부했다. 무목적(aimlessness)적이라는 말은 그 과정을 중시하고 순간순간의 살아있는 생동감과 생명력 그것이 유발시키는 축제와 열락과 환희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무목적(no perpose)은 노자의 무위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선(禪)은 서구와 몽골의 이동과 속도를 제어하면서 소통하게 하는 능력이다. 그것은 가난 속에서도 유토피아를 읽고 이동하지 않고도 소통하는 능력이다. 선을 통해서 백남준은 아방가르드를 <느림>과 결합시킬 수 있었고 <기술주의>에 함몰하지 않으면서도 <기술의 인간화>를 기술에 대항하는 기술과 자신의 미학적 과제로 설정할 수 있었다 [...] 서구를 향해 치달리던 아시아인 백남준이 서구출신의 보이스를 통해 샤머니즘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케이지를 통해 선불교의 의미를 깨달은 것은 아이러니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것은 예술정신의 국제적 소용돌이였고, 변화에 대한 사랑의 연결체였던 플럭서스의 힘과 효과에 다름 아니다 - 조정환

<참여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독일 브레멘 쿤스트할레 소장품 <세 대의 카메라 참여>는 CCTV에 찍힌 자신의 모습을 컬러 코드로 볼 수 있는 작품으로 관람객이 직접 작품 안으로 참여하여 주체가 된다. 뿐만 아니라 참여 갤러리 공간에서는 작가 양아치가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1969-1971) 작품 제작 원리에 대한 연구와 재해석한 새로운 비디오 신디사이저를 선보인다. 살아생전 새로운 지식과 기술들을 결합하고 연구자와 기술자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하며 비디오 아트와 퍼포먼스를 접목시켰던 백남준의 정신을 계승한 새로운 형태의 비디오 신디사이저는 관람객들의 참여로 완성된다.

플럭서스 초기 멤버인 덴마크 출신 에릭 앤더슨은 이번 전시를 위해 제작한 <크라잉 스페이스>를 만들어 관람객들에게 개인적인 추모의 장소를 제공한다. 동료를 추모하는 전시에 초대된 작가는 관람객들이 전시장에 들어서는 순간 눈을 향해 불어오는 강풍과 눈이 시릴 정도의 과잉된 색채에 압도되어 억지로 눈물샘을 자극함으로써 ‘추모’의 의미를 전복시키고 진정한 눈물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백남준은 ∞> 공간은 1990년대 전성기를 누린 백남준의 멀티 모니터 설치 작품과 비디오 조각을한 자리에 선보이는 공간이다. ‘예술가의 역할은 미래를 사유하는 것’이라고 얘기했던 그는 자신의 시대를 넘어 다음 세기를 예견했다. 이번에 소개되는 <W3>(1994)나 <암페어>(1992)등의 작품은 본격적인 전자 시대로의 도입을 암시했던 전자무당 백남준의 면모를 보여준다. 또한 백남준의 유가족이 소장한 <시집 온 부처>(1989-1992)가 처음으로 공개된다.

이번 전시를 통해 예술의 위계에 반대하고 독자적 활동을 펼친 플럭서스 시절의 청년 백남준부터 전성기 백남준까지를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곁을 떠난 지 10년이 지났어도 여전히 새롭고 무한한 백남준의 미학적 가치를 발견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Fluxus is an attitude. It is not a movement or a style] Fluxus is intermedia. Fluxus creators like to see what happens when different media intersect. They use found and everyday objects, sounds, images, and texts to create new combinations of objects, sounds, images, and texts. Fluxus works are simple. The art is small, the texts are short, and the performances are brief. Fluxus is fun. Humour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element in Fluxus.

바우하우스는 1919년 설립 이후, 1933년 폐교까지 다양한 무대실험예술과 퍼포먼스를 행했다. 이번 전시회는 당시 자료뿐만 아니라 바우하우스와 직·간접적인 영향을 보여주는 한국현대미술작가 6명의 작품을 함께 공개한다.

바우하우스의 최종목표는 모든 인류가 함께 손을 잡고 배움(건축, 디자인, 회화, 상상력, 예술, 패션, 가구, 타이포그래피, 염직 등)의 즐거움을 만끽하면서 축제의 일상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교육방식이 놀이로 시작하여 놀이로 끝난다. 산업화 사회에서 잃어버린 축제의 회복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보기 때문이다. 바우하우스 창립자인 '발터 그로피우스'는 "디자인은 직업이 아니라 태도이다"라고 했다. 바우하우스 교수인 '라슬로 모호이너지'도 "우리가 교육하는 디자인에 대한 생각은 지적이거나 물질적인 일이 아니라 문명사회의 구성원에게 필요한 삶에 즐거움을 주는 재료가 되는 것뿐이다"라고 말했다.

바우하우스(1919-1932)' 운동은 20세기 전반기미술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회화, 건축, 그래픽 디자인, 내부 디자인, 공업 디자인, 공예, 사진 특히 현대가구 등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후반기 미술사에는 백남준이 참여한 '플럭서스(Fluxus)' 운동이 바우하우스의 연장선상에 있다. 


딕 히긴스가 말하는 플럭섯의 특징을 12가지 : 세계성(globalism), 삶과 예술의 통일성, 인터-미디어, 실험성, 우상파괴성(Iconoclasm), 우연성, 장난기(놀이성), 단순(간결)성, 함축성, 표본성, 특유성(specificity), 현존성(presence in time), 음악성을 들기도 한다. globalism unity of art and kife intermedia experimentation-research orientation Iconoclasm chance playfulness simplicity parsimony implicativeness  exemplativism specificity presence in time musicality 

2014년 11월 바우하우스전(서울관)때 인터뷰 예술융복합 원류 '바우하우스'
Q:바우하우스(성인을 위한 유치원)와 플럭서스의 족보관계는?A: 전시기획자이자 무대미술가, 안무가인 블루메 큐레이터는 "바우하우스는 당시 산업화와 기계화가 시작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인간에 대한 배움, 그 과정자체를 예술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이라며 "함께 연구하고 무언가를 '짓는' 실험은 교육이 되고 또한 작품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바우하우스가 시발시킨 '기계와 접목된 예술'과 관련해 그는 "바우하우스 운동과 세계적인 플럭서스 운동을 다리 놓았던 연결고리가 바로 '백남준'"이라며 "독일에서 유학하며 간접적으로 바우하우스에 영향 받았던 백남준은 기계를 유희적 대상으로 삼고 더욱 실험적인 예술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1933년 바우하우스가 폐교된 이래 미국의 뉴 스쿨과 블랙 마운틴 칼리지, 울름 조형예술 대학과 일리노이 공과대학 등에서 유지됐던 바우하우스의 명맥은 백남준의 작품에서도 직간접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플럭서스 그룹의 멤버인 백남준이 보여준 예술과 삶의 통합, 놀이정신과 전복적인 퍼포먼스 등은 여러가지 면에서 바우하우스의 영향과 연관돼 있다.

백남준을 한마디로 줄이면 쾌통(快通)이다 유쾌한소통의 작가다 한국 출신의 비디오 아티스트로 1960년대 플럭서스 운동의 중심에 있으면서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공연과 전시로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예술가 백남준! [총정리] [백남준과 플럭서스 Fluxus 친구들] 의정부 예술의전당 2007.08.04.-2007.09.02 전시소개글

‘플럭서스 Fluxus’ 는 ‘흐름, 변화, 움직임’ 이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1960년대 초반 플럭서스의 조직자이며 이론가였던 조지 마키우나스에 의해 명명 되었다. 실험 예술가, 건축가,작곡가, 디자이너, 시인, 무용가 등 다국적 멤버들의 집단 활동을 통해 문화적 아방가르드 공동체로 성장하였다. 1958년경부터 뉴욕과 독일 등지에서 각기 다르긴 하지만 플럭서스적인 감수성을 지닌 예술가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활동을 벌였으나, 플럭서스는 1962년 백남준이 초기 멤버로 참가한 독일 비스바덴에서 열린 <플럭서스 국제 신음악 페스티벌>을 통해 공식 출범하였으며, 최근까지도 세계 각지에서 플러서스 및 후예 작가들의 공연 및 전시가 계속되고 있다. 


전통예술의 형식적 틀을 깨고 대중과 사회와의 소통을 갈구했던 플럭서스는 반예술적, 반미학적 예술을 추구하였고 스스로를 뒤샹의 후예들이라 칭하며 네오 다다적 성향을 띠었다. 이에 따라 플럭서스는 전총 순수예술이 갖는 유일한 희귀성을 부정하고, 웅용예술을 옹호하여 출판물 뿐만 아니라 단순한 디자인과 값싼 재료를 이용한 멀티플과오브제 등을 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형이상학적인 예술을 지양하여 직접적인 예술행위와 구체적인 방법을 통하여 플럭서스의 예술 이념을 표출하였는데 이는 특히 해프닝과 퍼포먼스, 우편예술, 관객참여 작품 등의 활동에서 보여진다.

플럭서스는 이들이 갖는 실험주의, 우연, 예증주의, 함축성 등의 특징으로 인하여 한편으로는 난해하고 심각한 현대미술의 면모를 지니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쉽고 유머러스하며 재미있는 대중미학을 띤 대중을 향한 고급예술의 이면을 보여준다. 또한 플럭서스는 여러 예술 장르가 하나의 작품에 혼재하는 ‘인터미디어’ 라는 개몀의 예술 형식을 도입하였다. 오페라의 프리마돈나와 같이 한 작품 속의 주역을 창출하기 위하여 타 장르의 예술이 부수적인 요소가 되는 전통적 양식의 종합예술과는 차별성을 갖는 인터미디어 공연은 하나의 작품을 구성하는 각기 다른 장르가 독자성을 유지하면서 편중 없이 혼합되는 종합예술이다.

'플럭서스' 멤버였던 벤자민 패터슨(Benjamin Patterson 오른쪽), 독일 비스바덴에서 82세로 조용히 사망 이 분은 백남준아트센터 초대로 한국에 온 적도 있죠 직접 퍼포먼스도 선보였고요

플럭서스 핵심 작가 딕 히긴스가 언급한 것처럼 플럭서스는 “아이디어, 일종의 작품, 사는 방법, 플럭서스 작품을 하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람들” 이며 아들은 시대를 거듭하며 새로운 멤버 구성과 다양한 작업의 확장으로 성장과 변모를 거듭하였다.

플럭서스는 일시적으로 나타난 유행이나 특정 사조라기 보다는 하나의 ‘정신’ 이며, 보헤미안적 그룹으로 시대를 넘어 이후 미니멀 아트, 개념미술 등의 현대미술은 물론 음악, 무용, 연극 등의 분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플럭서스 주요 멤버로는 창립자 조지 마키우나스(George Maciunas), 딕 히긴스(Dick Higgins), 앨리슨 놀스(Alison Knowles), 조지 브레히트(George Brecht), 잭슨 맥 로(Jackson Mac Low), 에멋 윌리엄즈(Emmett Williams), 벤자민 패터슨(Benjamin Patterson), 백남준, 데콜라주 창시자 보프 포스텔(Wolf Vostell) , 로버츠 왓츠(Robert Watts), 필립 코너(Philip Corner), 제프리 헨드릭스(Geoffrey Hendriks), 벤 보티에(Ben Vautier), 에릭 앤더슨(Eric Andersen), 래리 밀러(Larry Miller), 라 몬테 영(La Mante Young), 그리고, 플럭서스의 대부 존 케이지(Gohn Cage)와 초기 멤버였던 요셉 보이스(Joseph Beuys) 등이 있다

1962년 플럭서스가 이런 퍼포먼스를 할 수 있었던 것은 2차대전 나치의 끔찍한 학살사건의 경험 때문이다
Philip Corner’s Piano Activities, performed during Fluxus Internationale Festpiele Neuester Musik, Hörsaal des Städtischen Museums, Wiesbaden, Germany, September 1–23, 1962, gelatin silver print, 8 3/16 x 6 5/16 in. (20.8 x 16 cm). Performers: Emmett Williams, George Maciunas, Benjamin Patterson, Dick Higgins, Alison Knowles. Photographed by: Deutsche Presse Agentur. Collection Museum of Modern Art, The Gilbert and Lila Silverman Fluxus Collection Gift, 2125.2008 ©2015 Philip Corner. Digital image ©Museum of Modern Art/Licensed by SCALA/Art Resource, NY.

인간은 보이지 않는 끈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네트워킹을 말하고 있는 것인가 플럭서스 1967년

Todo es arte, el arte es vida”: FLUXUS  "모든 게 예술, 예술이 삶이다" -플럭서스 플럭서스에게는 소유권이 없다 그래서 사인을 하지 않는다 일종의 무소유주의이자 무위사상이다 무목적이다

피아노 역시 서구부르주아교양과 문명의 상징으로 서구인에게는 신성시하는 문화코드지만 이 역시 여지없이 파괴하고 해체시킨다. 서구문명의 죽음을 선언한 셈이다 플럭서스가 없었다면 서양문화는 정말 종말을 맞이했을지 모른다

서양근대주의를 상징하는 양복을 입고 그 위에 대포처럼 온몸에 물을 끼얹은 것은 서구의 유럽주의 근대주의가 종말을 선언한다. 이것은 백남준 뿐만 아니라 서구인자체도 인정하고 것이었다 일종의 자신성찰이자 반성인 셈이다 이성주의 합리주의 과학주의의 죽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동양의 지혜와 사유방식을 처음으로 인정하기 시작한 해이기도 하다

오노 요코가 이런 퍼포먼스(Bed Peace 1969)를 할 수 있었던 것은 그녀가 플럭서스회원이었기 때문에 가능했으리라 그리고 보면 비틀즈도 플럭서스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뉴 게임플레이 New Gameplay] 2016. 07. 20(수) ~ 2017. 02. 19(일) 백남준아트센터 제2전시실(2층) 개막식: 2016년 7월 20일(수) 오후 5시(1층 로비)
제프리 쇼(Jeffrey Shaw 1944~) I 읽을 수 있는 도시(The Legible city) 1989-1991 카를스루에 미디어아트 소장 2013년 소장 컴퓨터그래픽 설치

[해설] 50년 전에 백남준 아날로그 방식으로 sound를 image로 바꾸는 작업을 했듯 여기서는 50년 후에 제프리 쇼는 디지털 방식으로 moving을 image로 바꾸는 작업을 경계를 뚫고지나 새로운 이미지를 무한대로 확장생성시키다
[미술관자료] 어두운 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자전거 설치 작품 <읽을 수 있는 도시>에서 관객은 맨해튼, 암스테르담, 카를스루에 거리를 달린다. 각기 다른 도시의 3차원 거리 전경이 보이는 스크린 앞에 놓인 자전거를 타는 참여자가 작품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도시의 전경은 길의 방향을 따라 컴퓨터로 생성된 3차원의 ‘문자’ 빌딩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문자들은 그 장소만의 문학적,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다. (글: 키아라 마치니)
팡 망보, <대장정: 재시작>, 2008, 비디오 게임, PC
1990년대 이후부터 작가들은 비디오 게임으로 관심을 돌리기 시작했다. 중국 출신 작가 팡 망보 또한 디지털 게임을 향한 새로운 예술적 현상에 집중한 선구자들 중 한 명이다. <대장정: 재시작>은 16비트 시대의 2차원 평면 비디오 게임과 미학적으로 유사하다. 팡 망보의 게임에서 공산주의 선전의 상징물들은 서양의 소비 세계와 <스트리트파이터 II>와 같은 비디오 게임 속 정형화된 동양인의 이미지와 뒤섞인다[미술관자료][이 정도면 작품이죠

[체온미학이 주는 예상 밖 즐거운 게임놀이 Pain Station 부제 No pain no game] 간접적으로 체온을 느낄 수 있는 일종의 터치감성의 전자게임으로 이런 방식의 네트워크가 뜻밖에 소통을 열어주는 가교역할을 하고 게임에서 진 사람이나 이긴 사람이나 서로에게 큰 반감 없이 장난을 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게임에서 지는 사람이 당연히 더 고통스럽고 아픈 레이저 빛을 손바닥에 받으면서 앗 뜨거워라고 소리를 지르지면 그것이 오히려 지기도 기분이 좋은 효과를 내서 게임하는 사람 사이에 이상하게 긴밀감 교류와 교감의 징검다리가 놓이고 이런 엉뚱하고 효과가 예상밖이고 생뜻맞아 관중을 즐겁게 하면서 상당히 인기가 높단다 엽기적인 미학이라고 하면 지나친 과정이지만 말이다


[창조적 전복과 재미적 요소가 게임아트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어린이에게는 놀이적 요소가 없으면 창조적이고 못하고 성인들은 연애적 요소가 없으면 창조적이지 못하다. 그런데 게임을 놀이적 요소와 연애적 요소를 동시에 다 가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백남준의 <참여TV>만큼 재미있는 게임아트는 없을 것이다. 이것도 쌍방적인 것 방식으로 사실 게임은 사실 애니메이션처럼 스토리와 철학과 사회현상 등 경제문화적 요소와 기술과 미디어가 융합된 복합적인 인문학적 면도 있기에 이것이 결국 즉물적이고 상업적인 것만으로는 볼 수 없다는 것이죠. 사실 모든 예술은 장난기 넘치는 (playful) 놀이이고 미적 게임이고 인간의 잠재적 욕망을 대리만족시켜주는 것은 게임만의 고유한 세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죠


"이번에 새로운 개념어로 등장한 것을 바로 <인디게임>이라는 신조어인데 이것을 인디게임은 자본과 노동이 없이도 독립적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작업을 할 수 있기에 인디게임을 예술적 장르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볼 수 있지요. 초기에서는 상업적인 거에 독립하기가 힘들 기술이 발전할수록 백남준 언급한 대로 1인미디어 시대가 될 것이고 경비가 안 드는 변환된다고 했는데 프레임으로 보면 시간을 두고 보면 철학적 사회적 문제가 담겨 있어요 자신과 타자의 협업관계 리더가 없는 로켓 날리는 욕망을 가상공간에 구현 로마시대의 쾌락주의 적인 것을 게임을 통해서 대리만족시킬 수 있다 풀어나가는 방식은 저비용 고효율의 방식일 수 있다 이번에 전시된 작품이 너무 많아 다 설명할 수는 없지만 그속에는 기술적 개념 철학적 개념 서사적 개념을 잘 비빔밥처럼 하기에 더 없이 좋은 것이 게임이다. 이번에 독일문화원과 ZKM독일 미술관과 함께 백남준 아트센터에서 내년 초에 100여명의 게임머가참가하는 48시간동안 <인디게임>을 미술적 차원에서 접근하는전시도 예정하고 있다" -서진석 관장


백남준, <닉슨 TV>, 1965(2002), 장치된 TV, 코일, 앰프, 스위치, 가변크기, 백남준아트센터 소장

TV가 인간의 주인이 되려고 하니 백남준은 그런 의도를 파악하고 이를 장난치듯 전복시키려고 TV를 왜곡시키고 화면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제 자리를 돌려놓았다. 우리가 시공간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듯이 말이다. 여기서 인간이 미디어가 되어야 선거에서도 이길 수 있다는 메시지인가. 그래서 이런 작품을 만든 것인가 게임의 마인드인것같다

[미술관자료] 미국의 전 대통령 리처드 닉슨의 얼굴 영상이 담긴 두 대의 텔레비전에 자석 코일을 통해 전류를 보내면, 이로 인해 닉슨의 얼굴이 일그러진다. 백남준은 이러한 효과를 “TV 화면이 강력한 탈자기의 위치와 리듬에 의해 ‘방해 받는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닉슨은 1960년 존 F. 케네디와의 대통령 선거 후보 TV 토론회에서 미디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낙선하였고, 백남준은 미디어의 영향력에 주목하여 닉슨의 얼굴이 나타나는 이 작품을 제작하였다

백남준의 <참여TV>를 재해석해 아날로그 방식을 디지털방식으로 바꾼 작품


백남준의 참여TV 최초의 가장 재미있는 쌍방형 게임아트? 백남준이 쌍방형 아트를 하려고 한 것은 나치즘의 프로파간다 식의 일방형 방식이 얼마나 인간을 소외시키고소통을 방해하면서 비민주적으로 인간의 학살을 낳은 원인이 된다는 것을 뼈저리게 깨닫게 되면서 인간성의 회복과 교류와 평화적 공존을 위해서 인터렉티브한 방식은 최우선과제일 것으로 본 것이겠죠


사진 속 남자는 작가 마크 리, <10,000개의 움직이는 도시들>, 2015 버전, e-Installation과의 협업. Intelligent Sensor-Actuator-Systems Laboratory (ISAS) 와 ZAK | Centre for Cultural and General Studies at the Karslruhe Institute for Technology (KIT)의 프로젝트


인터렉티브 네트워크이자 텔레프레전스에 기반한 설치작품 <10,000개의 움직이는 도시들>은 세계화된 도시들을 주제로 다룬다. 관객은 <데이터 구글>을 이용해 가상현실 체계 안에서 세계의 어떤 도시든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선정할 수 있다.

최신 뉴스, 트윗, 이미지, 비디오, 혹은 소셜 네트워크에 올라온 정보 등 선정된 도시와 관련된 <사용자 생성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검색되어 <하나의 추상적 도시환경을 배경으로 다수의 콜라주 영상>이 표현된다.

이번에 백남준 아트센터 뉴 게임플레이 포스터 전시을 공동기획한 ZKM 독일현대 미술관 기획자: 베른하르트 제렉세 박사(ZKM 수석 큐레이터), 슈테판 슈빙글러 박사(ZKM 연구원),

미술관과 공동기획하다 ZKM 독일현대 미술관 홈페이지홍보사진 주소 Lorenzstraße 19 76135 Karlsruhe 카를스루에 독일 최남단 서쪽이다


[점·선·면·TV(Point·Line·Plain·TV)_백남준에게 점·선·면은?]

백남준아트센터 제1전시실(1층)에서 2016.07.05.-2017.02.05까지

참여 작가 : 백남준, 마리 바우어마이스터, 만프레드 레베, 만프레드 몬테베, 아베 슈야, 저드 얄커트(총 73점) TV모니터가 캔버스였던 백남준에게 점·선·면은 뭔가? 그것은 시간, 공간, 관객참여, 불확정성, 우연성 등등 [전시구성] 7개의 섹션으로 구성된다.

1. 브라운관이 캔버스 대체: 고풍스러운 금색 도장을 한 나무 액자 안에 20대의 컬러 모니터가 배치된 <퐁텐블로>는 브라운관이 캔버스를 대체할 것이라는 백남준의 언급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2. 백남준의 악보(스코어): 사운드로 이미지를 만드는 방식인 액션음악 이를 상징하는 그의 퍼포먼스(몸 철학)

3. 필름을 위한 선: 주인공이 화면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 서 있다(장 뤽 고다르의 카메라의 만년필화와 맥이... 통하는 영화) 1960년대 16mm 흑백 필름 영상을 에 다수 촬영했다. 그가 고민했던 퍼포먼스와 영상과의 관계, 영상과 사운드에 대한 실험 등과 같은 다양한 결과물로 보여진다.

4. 백남준의 장난감 TV: 1963년 그의 첫 번째 개인전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에서 예술 작품이 된 13대의 텔레비전을 선보였다. 백남준의 텔레비전 용도를 무한확장 맥루한 미디어의 확장이론을 실험하다

5. 비디오 신디사이저(1969) 개발로 위성아트 실험: 1탄 <비디오 코뮌: 처음부터 끝까지 비틀즈>였다. 이어 그는 위성 3부작으로 일컬어지는 대규모 위성오페라 프로젝트로 위성이 아트가 되다

6. 백남준의 노스탤지어론: 단지 과거의 회상이 아니라 미래를 창조하는 무한대원동력 매체와 시공간을 자유로이 이동했던 백남준이 삶이라는 긴 여정의 끝에서 다시 어린 시절로 회귀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



7. 백남준 예술론의 골자를 <고속도로로 가는 열쇠>에 새기다 ㄱ 미디어는 영매(샤머니즘+첨단전자기술)다. 나폴레옹 군대가 이집트 원정 당시 발굴한 로제타석의 형상을 그의비디어론과 미디어론 세계관 역사관 예술관을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어, 한국어로 기술하다



[가나아트 컬렉션 앤솔러지] 2016.05.03.-2017.07.31 서울시립서소문본관 2층

장르: 회화, 한국화, 판화, 조각(28점) 참여작가 강요배, 권순철, 김봉준, 김용태, 김정헌, 김호득, 김호석, 민정기, 박불똥, 손상기 24명 도슨트 시간 5월 10일부터 6월 19일까지 매일 1회 운영 15:30

서울시립미술관은 ‘가나아트 컬렉션’을 소개하는 상설전시실을 마련하고, 이를 기념하는 첫 번째 전시로 <가나아트 컬렉션 앤솔러지 GanaArt Collection Anthology>를 연다.

전시 제목인 '앤솔러지(Anthology)’가 말해주듯이, 이번 전시는 ‘가나아트 컬렉션’ 총 200점 중에서 선별한 24명 작가의 민중미술의 대표 작품 28점을 선보이는 전시이다.

'가나아트 컬렉션’은 지난 2001년 가나아트의 이호재 대표로부터 기증받은 한국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들이다. 기증 작품은 회화 160점, 한국화 10점, 판화 7점, 조각 23점으로 총 200점이며, ‘현실과 발언’,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 ‘두렁’, ‘임술년’ 그룹 회원 등 46명의 작가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주로 1980년대의 시대정신을 반영한 역사적 민중미술 작품들을 비롯하여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극사실주의, 표현주의 경향의 작품들로 한국미술의 흐름을 두루 살펴볼 수 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기증 작품을 비롯한 미술관 소장품을 시민들과 공유하는 한편, 지속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특화된 미술관 컬렉션 구축에 힘쓸 것이다.


[양혜규, 포르투 세할베스 현대미술관에서 개인전] Haegue Yang An Opaque Wind Park in Six Folds
전시기간: 2016.06.22 – 2016.12.08  Serralves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Porto, Portugal...
웹사이트: http://www.serralves.pt/pt/

국제갤러리의 양혜규는 포르투에 소재한 세할베스 현대미술관이 주관하는 제2회 소나에 | 세할베스 커미션에 선정되어 신작 <불투명 바람이 부는 육각 공원>을 선보일 예정이다. 공원 내 약 70 평방미터 상당의 공간을 차지하는 야외 설치작 <불투명 바람이 부는 육각 공원>은 다양한 크기의 무동력 흡출기와 함께 부분적으로 아치형을 띠는 총 다섯 개의 탑으로 구성된다. 이슬람 문화에서 발달한 대칭적인 기하학 구조를 조각적으로 차용한 탑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의 정사각형을 단위로 삼고, 서로 다른 세가지 색조를 띤 벽돌로 지어진다.

Haegue Yang unveils her major new work for the second Sonae | Serralves Commission at the Serralves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Porto, Portugal.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gardens at the Serralves Park, the artist presents a new work titled An Opaque Wind Park in Six Folds. The work, covering nearly 70 square meters is composed of five architectural fragments topped with industrial vents in various dimensions. Resembling the iconic arched entrance of Islamic architecture, the tower-like forms differ in design but occupy the same square footage and connected by paving stones set in a geometric layout.

<현대미술이란 무엇인가> 진중권 기고
[1부]'현대미술의 규칙을 왜 대한민국에서는 검찰이 제정하려 드는가?'

[진중권기사] "예술가의 터치를 회화의 진품성과 무관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 20세기 예술을 앞 세기들의 예술과 그토록 다르게 만들어준 개념적 혁명의 한 가지중요한 요소다." (David W. Galenson, Conceptual Revolutions in Twentieth-Century Art. Cambridge University [오마이뉴스기사]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223712&utm_campaign=share_btn_click&utm_source=facebook&utm_medium=social_share

[2부][진중권 기고] 유시민도 모르는 '조영남 사건'의 본질

이글을 너무나 전문적이라 읽기도 어렵지만 다시 읽어보니 백남준의 <예술은 사기다>라는 말이 생각난다. 백남준의 작품은 1988년 이후 다는 아니지만 많은 부분 이정성 선생이 만들었다. 백남준이 그려준 아이디어 지도를 보고 말이다. 법적 의미의 사기와 미적 의미의 사기는 다를 것이다. 나를 포함한 우리들은 현대미술이나 포스트모더니즘 그 자체를 아직 모르는 것이 아닌가 싶다 우리의 사고는 아직도 19세기나 인상파 이전에 있는지 모른다. 우리는 21세기에 살고 있지만 서양에서 모더니즘을 창시한 19세기의 보들레르를 이해하기 어렵다. 그는 유명한 말을 했다 "아름다운 것은 언제나 엽기적이다(아름다운 것은 언제나 관객을 화나게 한다)" 지금 우리는 과연 이 말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가 [오마이뉴스기사]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224343&utm_campaign=share_btn_click&utm_source=facebook&utm_medium=social_share


[오를랑 테크노바디 1966-2016] ORLAN TechnoBody Retrospective 2016년 6월 17일–10월 2일 June 17–October 2, 2016



본 전시는 50년 이상 자신의 몸을 대상으로 작업을 하고 있는 오를랑의 회고전이다. 오를랑은 정치, 사회, 종교가 우리의 몸, 특히 여성의 몸과 정신에 가해온 낡은 정체성을 벗어던지고, 생명과학과 의학,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을 통하여 인간의 몸 자체를 변형시킴으로써 첨단 기술시대의 새로운 개념의 신체를 제시하고자 시도한다. 오를랑은 1947년 생테티엔 출신의 프랑스를 대표하는 거장으로 1990년대 ‹성형수술 퍼포먼스 시리즈›로 세계적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외과수술을 예술 도구로, 수술실을 작업실로 삼아 수술대 위에서 작가...
자신이 수술 받는 전 과정을 위성중계 하는 퍼포먼스이다. 작가는 절개되고 변형된 자신의 몸을 창작을 위한 실험적 재료로 삼아 아홉 번에 걸친 ‹성형수술 퍼포먼스›를 시도하였다. 오를랑은 수술의 전 과정이 사회적 공론의 장으로 작동하길 바라며 다음과 같이 고백한다. “처음부터 내 작품은 신체에 가해지는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압력들에 대한 질문이다.” “신체를 작업하기, 그리고 내 몸 위에서 작업하기, 그것은 사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을 함께 나열하기 위한 것이다.” 오를랑은 예술의 지평을 인류의 역사와 전 지구적 문화 그리고 인간을 넘어 동식물계, 생명 창조의 초기까지 넓혀 나간다.



그는 이렇게 변형된 자신의 몸을 ‘수정된 기성품’이라 부르며, 더 이상 성형수술이 어려워진 이후에는 생명공학, 디지털 합성기술, 증강현실, 게임 등 다양한 첨단 기술들을 활용하여 오늘날 예술과 기술의 관계, 그리고 미래의 인간 정체성에 대해 질문한다.

그의 대표작 ‹성형수술 퍼포먼스›는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자신의 몸에 과감히 현대 의학 기술을 도입하여 정체성을 변형시키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의 변형된 신체는 과거에 대한 명백한 도전임과 동시에 새로운 인류의 도래를 예고한다. 그것이 바로 오를랑이 제안하는 인류 해방의 길이다. 기술 앞에서 벌거벗겨진 인간, 과거 인간의 정체성으로부터 탈피, 새로운 인류의 모색이 바로 오를랑 예술의 핵심이다.
[안철전시_TAXI Bolt-arry Night] 2016.08.09-09.09 


중소기업(엔지니어링)을 하는 나의 선배가 이번에 6번째 전시를 한다고 해서 보고 간단한 글을 쓸 수 있으면 좋겠다고 해서 봤다 그의 사무실은 예술의 전당 앞에 위치해 있다. 여기는 사무실 앞 작업실이다. 도록 작업을 위해서 사진가도 와서 작업을 하고 있네요 여기 갔다가 우연히 프리다 칼로 전을 보다 작품제목이 재미있다 반 고흐의 작품 St-arry Night 패러디해서 TAXI Bolt-arry Night이다

이번에 회사에서 한 가지 특허를 냈다고 하는데 그 기술은 바로 수도가 열선을 통해서 동파를 막는 이번 방식에서 하나 더 나아가 전기가 끊어져도 수도꼭지가 겨울에 동파가 되지 않는 기술을 이번에 개발한 것이다 이제 고객에게 이 작품에 대한 설명과 신뢰를 얻는 일만 남았단다.

그런데 이번 선보인 작품이 바로 사업의 속성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그의 그림을 보면 기계를 그리고 있지만 사람의 마음이 얼기 전에 동파가 되지 않도록 그렇게 사람들 마...음을 살짝 녹여주는 마력이 있다 기계의 톱니바퀴를 그린 것 같은 같은 사람들 마음을 찌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람들 마음이 풀어준다.

얼기 직전에 수도장치처럼 그의 그림의 온도는 항상 그런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것 같아 기계류의 그림이지만 친근하고 더 나아가 그림에서 보여주는 동파를 막아주는 그의 선이 천진난만하기도 하지만 매우 다정다감하다 어찌되든 그의 온도미학은 참으로 미스터리하다. 이 그림의 모태는 시계태엽의속모양에서 온 것임에 틀림없어 보인다

[중국의 차세대 대표작가 리우 웨이의 개인전<파노라마>] 플라토미술관에서 2016 4 28일부터 8 14

일까지

[중국의 차세대 대표작가 리우 웨이 개인전_<파노라마>] 2014.04.28.08.14 플라도미술관에서 리우 웨이는 건축 폐기물이나 버려지는 책을 노동집약적인 수공작업으로 중국 또는 아시아의 디스토피아적 도시에 대해 탐구하면서 해체와 재구축의 작업 프로세스를 통해 파괴되는 시간과 기억들을 재배치한다. 그 결과 익숙하지만 낯선 재료들이 새로운 도시풍경을 탄생시키고, 확장된 시간과 공간을 통해 인류 문명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에 도달한다.

건축적 규모의 설치작업은 물론, 재현과 추상의 접점에 있는 회화와, 그를 세계무대에 각인시킨 기념비적인 사진, 그리고 야심찬 초기의 비디오 작업 등 그의 중요한 작품들을 펼쳐 보인다. 그러나 완전한 풍경, 즉 전경(全景)을 의미하는 ‘파노라마’는 일종의 모순어로 제시되며, 모든 것을 시각적으로 통제하고 동시에 경험할 수 있을 것 같은 현대인의 욕망에 대한 그의 지속적인 관심을 반영한다.

분절된 파편들로 구성된 그의 작업은 출발선상에서부터 파노라마의 허구를 내포하면서도 조합의 메커니즘을 통해 인간의 끊임없는 추구를 읽을 수 있다. 리우 웨이는 反정치나 反상업주의를 표방하면서도 불명확하고 무심한 가운데 중국의 현실에 대한 비평과 풍자를 드러낸다. 이번 전시는 중국의 차세대라는 상징적 미래를 통해 삼성미술관이 지향하는 새로운 비전을 보여준다

리우 웨이 '파노라마' 다소 허접해 보이는 재료지만 공간을 풍요롭게 하면서 상당히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네요 중국의 도시화 과정을 하나의 유토피아적으로 변형한 것 같기도 하네요 하지만 뾰족한 것은 역시 인간의 삶을 소외시키거나 희생시키는 요소가 많다는 소리인가 부분적으로 보면 엉성해 보여도 전체적으로 통일성 coherence가 있다 그리고 어떤 리듬감과 함께 오케스트라를 연주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리우 웨이 '파노라마' 버려진 책으로 만든 조각 같은 설치작품 가벼움의 정신이 보이고요 시대의 변화를 읽을 수 있네요 백남준이 선언한 종이의 죽음을 연상시키는 그러나 상당한 볼륨감과 단색화 같은 색조는 역시 이 작가의 독특한 생동감과 단순하지만 단순하지 않는 조형미를 엿볼 수있다

풍경처럼 2004년, 12년전 작품 그를 유명하게 만든 작품 리우 웨이 영국 YBA처럼 상당히 반항아였던 그는 상하이 비엔날레 등에 초대받지 못하고 그래서 숨어들어가서 전시를 했다고 당국에 의해서 거절당하고 대신 다른 작품을 해 보라고 해서 엉뚱하게도 남녀의 엉덩이를 찍은 사진작품을 출품했는데 당국에서 고전 산수화같다고 해서 전시를 허락하고 반응이 일면서 스위스 컬렉터가 작품을 소장하게 되면서 유명해지고 작가로서 경제적으로 독립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네요 상당히 묘한 사진작품인데 사실 어떻게 보면 자연과 인간은 하나죠 예를 들면 여자의 누드가 더 아름다운가 아니면 사막의 누드가 더 아름다운가 사실은 여자와 사막 이것은 둘이 아니고 하나죠

[자신의회화를 재해석한 설치작품 3개] 리우 웨이 파노라마 플라도미술관 2016.-04.28-08.14

리우 웨이는 회화전공인데 이것을 조각이나 설치로 재해석하는 능력이 탁월하네요 역시 베이징과 시골 중간에 사는 작가는 중국이 근대화하면서 버려진 구가옥 나무를 모아서 이렇게 멋진 설치작업을 하네요 색채가 미색 부드러운 연두색이라 우아하기까지 하네요

이 작가는 워홀처럼 팩터리를 가지고 있고 회화작업을 할 때는 농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조수로 사용하는데 직접 다 그리지 않고 지시만 한다고 하네요 이 작가는 역시 중국인의 스케일이라고 할까요 스모그로 꽉 찬 중국의 도시의 모습 중립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지만 이전에 언급한 것처럼 중국미래에 대해서 희망적이고 의욕적으로 보는 것 같네요 대국인 중국작가답게 규모도 있고 상당히 웅장하죠

회화를 전공한 리우 웨이(중국2세대 신세대 1972) 조각을 전공한 사람 이상으로 공간을 아주 잘 활용하는 작가인 것 같다 회화를 공간으로 해석(번역)하고 공간을 회화로 변형하는데 탁월한 능력이 있는 것 같다 이 작품을 플라도미술관을 염두에 두고 만든 장소특정적 작품이다  이제는 중국작품도 중국만의 이야기가 아니고 세계의 보편적 이야기를 하면서 동시에 중국인으로서 자신감도 보인다.

[플라토] 리우 웨이 개인전 아티스트 토크 안내 2016. 04. 28 오후2시-3시반 홈페이지신청

<파노라마>로 명명된 이번 전시는 중국 현대화 과정의 사회현상에 주목해 온 리우 웨이의 건축적 규모의 다양한 작업이 소개된다 아트스펙트럼 2016 ARTSPECTRUM 2016 5.12-8.7 리움미술관 

리움 ARTSPECTRUM 2016 5.12-8 7 카푸어 야외설치 웅비하는 생명의 기상이 하늘로 치솟다

김영은, 박경근, 박민하, 백정기, 안동일, 옥인 콜렉티브, 옵티컬레이스, 이호인, 제인 진 카이젠, 최해리

삼성미술관 Leeum은 2016년 봄을 맞이하는 전시로 <아트스펙트럼 2016>을 열린다. 올해 여섯 회째를 맞이하는 <아트스펙트럼>은 역량 있는 신진 작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하여 리움이 격년으로 개최해온 전시입니다. 보다 다양한 시각을 반영하기 위해 리움 현대미술 큐레이터와 외부 추천위원으로 이루어진 추천위원단이 토론을 거쳐 10팀의 작가를 선정했다. 또한, 성장 가능성이 돋보이는 작가를 지원하고 격려하기 위해 전시 기간 중 심사를 거쳐 아트스펙트럼 작가상 수상자 1인을 선발할 예정이다.

아트스펙트럼 통계학의 시각화 현대미술의 가능성 다양성 진정성 등을 확인하다 사회문화적 문맥 접근이 좋다

이번 전시에는 . 올해 선정된 작가들은 회화, 사진, 영상에서부터 소리까지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고, 내용면에서는 분단과 근대화, 경제화를 거쳐 지금의 “삼포세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회의 특징적인 면면을 조명하거나 과거와 미래를 탐구하는 등 각양의 작업으로 한국 동시대미술의 생동하는 단면을 보여줍니다. 이번 전시에서 신진 작가의 새로운 시도와 지칠 줄 모르는 탐구를 마주할 수 있다.
옵티컬레이스 <가족계획>, 2016
옵티컬레이스는 그래픽 디자이너 김형재와 정보 시각화 연구자 박재현으로 이루어진 작가 그룹으로, 인구와 주거 등 도시 인프라에 관련된 통계 수치를 인포그래픽으로 가공하여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작업을 해왔습니다. <가족계획>은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 세대인 에코세대의 결혼에 초점을 맞춘다. 
먼저, 바닥에는 지역별 고용조사 마이크로 데이터를 기초로 산정한 에코세대 미혼 남녀의 소득 분포 조합을 작은 원들로 배치했습니다. 그리고 상부의 피라미드에는 이 남녀 소득 조합에 주택 소유를 기준으로 세 부류로 나눈 양쪽 부모의 상황을 적용한 조합 144개를 배치한다

여기에는 양가 부모와 남녀 본인의 소득 조합에 따라 통계에서 추출한 예비 부부의 결혼자금이 제시됩니다. 이 작품은 에코세대의 결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제성장이 둔화된 시대에 접어든 우리 사회의 현실을 모사한다. 


아트스펙트럼2016 예술지평의 또 다른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한국사회의 보이지 않는 이면을 보여주다 새로운 담론을 만들어내는 한 몫을 하고 있는 <옥인 콜렉티브>는 지적인 아카이브 역학을 잘 보여주고 있다 덴마크에 입양된 <제인 진 카이젠> 한반도의 분단비극이 집중된 제주도 4-3을 현실을 접목-상응-직시적인 영상미를 통해서 다양한 활동가들을 통해 보여주는 방식으로 조금이나마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며 그 트라우마를 예술적으로 씻어내고 정화하는 면모를 보인다. 


'한국 현대 미술의 미래를 만나다, 아트 스펙트럼 2016'전, 삼성미술관 리움 제인 진 카이젠 덴마크 입양작가, "제주 4.3, 떠남과 귀환의 살풀이"

모든 비탄은 슬픔의 노래 모든 슬픔은 배상에 대한 탄원 /모든 배상에 대한 탄원은 어떤 내지름/모든 내지름은 들어줄 이를 찾는다(중략)모든 기억은 망각의 먹잇감 /모든 망각은 어떤 감싸안음 /모든 감싸안음은 보호하는 방패/ 모든 방패는 무언의 금지 /모든 금지는 어떤 삭제 /모든 삭제는 소멸된 과거 /모든 소멸된 과거는 상상을 살찌운다
(중략)모든 귀환은 속삭임으로 둘러싸이며 /모든 속삭임은 어떤 생성을 예감한다 /(중략) 모든 지나감은 고요한 떠남 /모든 떠남은 귀환을 암시한다

모두 103행으로 이어진 '물결들'의 시구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순환 고리를 이룬다. 앞 문장의 뒷 단어는 바로 이어지는 문장의 첫 단어가 된다. 그러고보니 '모든 떠남은 귀환을 암시한다'는 마지막 행은 첫 행 '모든 귀환은 떠남을 전제한다'로 꼬리를 물며 이어진다. 작가는 떠남과 귀환, 기억과 망각, 생성과 소멸의 원리를 간직한 바다의 물결들을 지긋이 바라보며 사회 속의 개인, 역사 속의 개인이 가지는 고통을 직시하고 그 고통을 떠나보낸 뒤 생성의 물결로 충만함에 이르렀으리라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Public to Private: Photography in Korean Art since 1989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5월 4일(수)부터 7월 24일(일)까지 

서울관 개관이래 첫 대규모 사진전, 참여작가 75명, 참여작 300여점 패션사진 특별전 <패션을 넘어서>를 통해 대중문화 속의 사진매체 조명 기획:이지윤서울관운영부장


이번 전시는 지난 30년간 한국 현대미술사에 있어 사진매체가 어떻게 현대미술의 언어와 조우하며 새로운 작품세계를 구축하여 왔는지를 조망한다. 특히 53명의 작가, 총 200여점에 이르는 작품이 선보이는 서울관 개관이래 첫 대규모 사진전이다. 

<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은 당대 사진가들과 현대미술 작가들이 미술의 언어로써 사진이라는 매체를 어떻게 차용하고 사용하며, 어떻게 그들의 시각언어로 만들어 왔는지를 보여준다. ...디지털 혁명을 경험한 세대가 지난 30년의 변화를 조망하고 앞으로 새로운 사진의 가능성을 마주한 시점에서, ‘사진가’가 미술가(artist)로 불리는 맥락을 주목한다. 전시는 크게 4가지 챕터(실험의 시작/ 개념적 미술과 개념사진/ 현대미술과 퍼포먼스, 그리고 사진/ 이미지 너머의 풍경: 상징, 반 미학, 비평적 지평)로 구분되어, 지난 30여 년간 한국현대미술 속에서 미술의 언어로써 사진매체가 어떻게 사용되고 변화해왔는지를 조망한다.

이와 함께 대중문화 속에서 변화해온 사진 매체를 조명하기 위한 패션사진 특별전 <패션을 넘어서>(기획: 이명희 두산 매거진 편집고문)도 함께 선보인다. 이 특별전에는 패션매거진 분야에서 활동하는 22명의 작가, 80여점에 이르는 작품이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지난 30여 년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의 관계를 보다 다층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Public to Private: Photography in Korean Art since 1989 이번 서울관 사진전 제목이다 1989년은 어떤 해인가 1년 전에는 1988년 우리는 서울올림픽을 열렸고 이를 통해서 세계에 처음 데뷔한 해이다. 그러니까 세계화가 시작된 해이기도 하다. 그 이전에는 한국을 유럽에서 거의 몰랐다. 유럽에 가면 남쪽이냐 북쪽이냐 묻는다. 그리고 1년 후 1989년은 상당히 중요한 해다 한국으로서도 그 해가 프랑스 혁명 200주년이고 한국에서 처음으로 해외여행이 자유화되었고 중국에서는 천안문 사건 1989년 독일에서는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고 동유럽사회주의권이 붕괴되고 세계사적으로 냉전체제가 대변동과 함께 시대의 기운이 심상치 않았다

당시 한국경제는 최고였다. 한국사진계로 볼 때 그 이전의 사진은 그냥 사진을 찍었다. taking photography(사진가의 시대)일 뿐이다 그저 사진에서 기술만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making photography(미술가의 시대)일어난 것이다. 기술만이 아니라 예술로서의 사진은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독일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구본창을 자신의 누드를 찍어 이것을 꿰매는 작업을 하면서 한국사회에서 새로운 파문을 일으키고 어떻게 보면 하나의 사건으로 한국사진계를 당황스럽게 만들었다.

이 특별전에는 본격적으로 패션 화보가 시작된 1990년대 초중반부터 현재까지의 주요 작품이 소개된다. 가산오광대 등 한국적인 소재를 패션과 접목시킨 ‘구본창’의 패션 사진을 비롯하여, 패션, 건축 등의 문화콘텐츠와 동물복지라는 사회적 주제를 융합시킨 매거진 <Oh Boy!>의 편집장 ‘김현성’, 인물사진으로 잘 알려진 ‘조선희’, <무한도전>, <몸짱 소방관 달력> 등으로 알려진 ‘오중석’ 등 작가 22명이 참여한다. 최근 엘르 베트남, 보그 아랍에미리트 등 해외 매거진 화보를 통해 패션 사진계의 한류를 보여 준 홍장현, 최용빈 등의 작품도 전시된다.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Public to Private: Photography in Korean Art since 1989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5월 4일(수)부터 7월 24일(일)까지 -서울관 개관이래 첫 대규모 사진전, 참여작가 75명, 참여작 300여점 패션사진 특별전 <패션을 넘어서>를 통해 대중문화 속의 사진매체 조명 기획:이지윤서울관운영부장 .

[실험의 시작/Experiment Starts] 1989년은 올림픽 개최 이후 해외여행 자유화가 시작되었고, 독일이나 프랑스에서 유학한 작가들이 귀국하여 활동하던 시기였다. 당시 독일 함부르크에서 귀국한 ‘구본창’이 1988년 기획한 <사진, 새시좌>전과 김장섭, 김승곤 등을 중심으로 많은 주목을 받은 일련의 <한국사진의 수평전>(1991년, 1992년, 1994년)은 작가마다 각기 다른 특징과 태도가 드러나는 작품을 소개하며 사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별 것 아닌 버려진 물건을 찍은 민병헌 작가와 대지미술 풍의 사진을 찍은 이승택(이끼심는 예술가, 1975, 이끼1, 씨앗, 색소, 오브제)

사진으로 강물을 making photography하면 이런 작용이 나오나요 황규태 작품 탐미적 아방가르드 작가/박상우 중부대 사진영상학과 교수

지난 40여 년 동안 제작된 황규태 사진 아카이브는 형식과 내용 측면에서 다양하고 복잡하다. 그럼에도 그의 수많은 이질적 사진을 일관되게 관통하는 하나의 축이 있다. 그것은 바로 과거의 인습(因習)과 현재의 안주(安住)를 넘어서려는 끈질긴 ‘아방가르드(avant-garde)’ 정신이다. 아방가르드는 사상, 예술, 과학, 기술 분야에서 과거의 인습과 단절하고 혁신 혹은 새로움을 추구하는 정신이다. ‘혁신’ 혹은 ‘넘어섬’은 그가 스스로 고백하듯이 1960년대 사진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부터 현재까지 자신의 사진예술에서 줄기차게 추구해온 문제의식이다: “사진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어느 범위를 넘으면 사진이 아니라고 할까. 사진은 사진이어야만 되는 것일까. 그 시절의 의문들은 지금까지도 나를 괴롭히는 DNA 분자들이다

1부는 회화적 모노크롬(pictorial monochrome)을 특징으로 하는 ‘주명덕’의 <잃어버린 풍경>으로 시작하여, 1983년 출발한 ‘배병우’의 소나무와 오름시리즈, 1987년에 발표된 ‘민병헌’의 <별거 아닌 풍경> 등 작품의 소재가 작품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는 작품들을 보여준다. 한편 사진 매체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시도된 메이킹 포토(making photography)의 흐름과 사진의 표면적 이미지를 넘어선 추상적이고 비평적인 관점을 탐구하는 작품들이 소개된다

참여작가 강용석, 강홍구, 고명근, 고승욱, 구본창, 구성수, 김대수, 김상길, 김수강, 김수자, 김아타, 김옥선, 김용익, 김인숙, 김장섭, 노순택, 니키리, 민병헌, 박불똥, 박영숙, 박찬경, 박형근, 방병상, 변순철, 배병우, 배준성, 배찬효, 백승우, 성능경, 성완경, 송영숙, 신학철, 양혜규, 염중호, 오인환, 오형근, 이규철, 이명호, 이승택, 이윤진, 이정진, 원성원, 정동석, 정연두, 정희승, 조습, 주명덕, 천경우, 최재은, 플라잉시티, 한성필, 황규태, KDK

조습 작가 작품

김아타 작품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1989년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에서 7월24일까지

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1989년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에서 7월24일까지 뒤셀도르프출신 김인숙작가

이미지 너머의 풍경: 상징, 반미학, 비평적 지평/ Exterior & Interior Landscape

디지털 혁명을 통한 사진기술의 일상화와 현대미술의 매체로써 사진이 자리를 공고히 하면서, 작가들은 사진으로 만들어지는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매체적 연구를 시도한다. 리얼리티에 근거한 이미지들은 리얼리티와는 대조적으로 지극히 개인적인 상징을 만들며 새로운 내러티브를 구축하는 상징으로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4부 ‘이미지 너머의 풍경’은 현재 현대미술계에서 ‘사진’을 매체로 하는 작가들이 시도하는 이미지의 변화를 소개하고자 한다. 구축된 사실적 이미지들이 어떻게 전복되어, 반미학적(anti aesthetic)이면서, 초현실적(surreal) 성격을 지닌 이미지로 확장되는지 보여준다

한국여성이 힘을 전 세계에 떨친 김수자 그 통로는 바로 보따리다 전 세계를 보따리로 둘둘 말아 싸 가지고 유목하는 작가로 지구촌을 누빈다. 그것은 한국여성의 우주을 압도하는 큰마음을 상징한다. 퍼포먼스는 사진으로 남을 수밖에 없는 운명이기도 하다. 김수자 보따리트럭 2727킬로미터

현대미술과 퍼포먼스, 그리고 사진/Performance and Site Specificity in Contemporary Art

2000년 이후, 글로벌한 맥락에서의 전시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다양한 비엔날레와 아트페어를 통하여 국제미술의 흐름이 유입되고, 작품의 현장 제작과 설치라는 맥락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미 서구에서 70, 80년대를 통해서 시작된 해프닝과 퍼포먼스를 기록하는 사진 미디움은 본격적으로 한국작가들의 작품에서도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퍼포먼스는 극적인 미장센 이미지를 만드는 스테이징 포토에서부터 개인 혹은 사회적 기억에 대한 역사적 접근을 바탕으로 추상적 개념을 ‘사진’이라는 매체로 표현하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소개되었다. 이러한 사진매체의 다양한 표현은 사진과 현대미술과의 새로운 시작을 열었다.

예술은 연애다 소나무와 뜨거운 연애 걸려 수십년 이상 찍다보니 이런 작품이 나오는 것인가 동양은 자연을 떠난 인간의 비참을 노래해왔다 소나무를 애정 어린 눈길로 쉼없이 바라보고 소통하고 교감하고 대화를 나누다 보니 소나무는 배병우에게 너무나 많은 선물을 돌려준다. 그에게 세계적 명성과 돈과 좋은 작품과 인생의 풍요 등등을

[박찬경 포럼a] 포럼a는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작가, 이론가·평론가, 큐레이터들이 편집진으로 활동하며 예술작품과 예술실천에 대한 일상적인 비평, 토론, 발언과 미술제도에 대한 대담하고 적절한 비판과 대안제시를 위해 만들어졌던 대안미술저널이었다

[패션사진 특별전] <패션을 넘어서>에서는 시간의 흐름을 따라 적극적으로 변화해온 한국 패션사진의 현주소와 정체성을 소개한다. 패션 사진은 사진가뿐 아니라 스타일리스트, 헤어와 메이크업 아티스트, 세트 디자이너 등 여러 주체의 창조적 협업을 통해 탄생하며, ‘유행’과 ‘스타일’의 바로미터로써 시대에 따라 ‘새로움’을 찾아 변화한다는 특징이 있다.

최초의 한국 패션사진 기획전이 될 이번 전시는 한국 사회에 라이선스 패션지들이 등장한 이후 현재까지의 패션 사진들 중 흥미로운 네 가지 주제에 집중했다. (한국의 문화, 미적 정체성을 찾아서/ 패션사진과 현대미술, 창조적 대화/ 모드, 그 결정적 순간/ 스토리 텔링, 이야기를 담은 패션사진)

[이야기를 담은 패션사진]한 장의 패션 사진 속엔 많은 이야기들이 담길 수 있다. 이런 패션 이야기의 주요 재료는 ‘꽃과 계절’. 패션이 본래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변화하기에 패션 사진 역시 계절의 흐름에 따라... 쉼 없이 변화한다.

[패션사진과 현대미술, 창조적 대화]패션과 예술은 서로에게

이명희 객원 큐레이터  두산매거진 편집고문(상무) 참여작가:  강혜원  구본창  김경수  김보성  김상곤  김영준  김정한  김현성  박지혁  보리  안주영  어상선  오중석  유영규  이건호   이전호  조선희  최용빈  태우  한종철  홍루  홍장현

 
[김봉태KIM BONG TAE RETROSPECTIVE] 5월 25일(수)부터 7월 10일(일)까지 굴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제 2전시실, 중앙홀에서에서 개최 - 색, 형태, 선, 이차원과 삼차원성 등 조형의 본질 추구 하는 경향으로 원색의 색채와 기하학적인 조형이 두드러지는 김봉태 회고전 대표작 100여점을 

이번 전시는 2014년 <이건용>, <황용엽>, 2015년 <김병기>전에 이어 현대미술작가시리즈 회화부문 네 번째 전시이다. 김봉태는 1960년대 초 당시 제도권이었던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반발하여 조직한 ‘1960년 미술협회’, ‘악튀엘’의 창립멤버로 활동하였다.

1963년 파리비엔날레에 판화를 출품한 바 있으며, 같은 해 뉴욕에서 개최된 국제조형미술협회 심포지엄에 초대된 것을 계기로 LA.에 있는 대학원을 졸업, 1963부터 1985년까지 LA를 근거로 다양한 활동 및 작업을 전개해 나갔다. 1986년부터 국내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게 되...면서 한국에 정착하였다.

이번 전시에는 시기별 총 4개의 큰 흐름을 만나볼 수 있다. “표현적인 추상미술(앵포르멜)의 시기(1960년대 초반~중반)” 에서는 초기 표현주의 추상 미술 작품들을 살펴볼 수 있다. 이후 3개의 흐름은 작가의 특징인 기하학적 조형의 변화과정을 담고 있다.

“기하학적 조형 및 삼차원의 탐색(1960년대 중반~1990년대 중반)” 에서는 작가가 기하학적 조형을 가장 보편적인 형태라고 인식하여 평면성 보다는 삼차원의 입체성을 추구하게 되는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양관을 바탕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고 정립해가는 과정을 엿 볼 수 있다.

그리고 “색면의 유희성과 변형캔버스(1990년대 후반~2000년대 중반)” 에서는 순수 회화적 요소인 색채와 색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는 시기와 회화와 조각의 중간단계인 독립적 입체 조형이 나타나는 시기를 살펴볼 수 있다.

마지막 “재료를 통한 공간감의 확장(2000년대 중반~)” 에서는 빛을 투과하는 재료인 플렉시글라스(plexiglass)를 사용하여 깊이감과 공간감을 확장하는 작업 과정을 볼 수 있다. [60sec Art] 사비나미술관 전관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2016년 5월 21일(토) - 7월 10일(금) 장르 : 영상, 설치, 조각, 영화, 애니메이션, 웹툰 등 참여 작가 및 협력 : 작가 8팀, 협력 7팀-총 15팀 I 130 여 점의 설치와 필름오전 10시-오후 6시30분(*매주 월요일 휴관)

[이예승 / Scaffold Scenery (비계 장치)] 

"60초!" 그 찰나의 시간성과 영원성: 시단위에서 분단위로, 마침내 초단위로 하루를 계획하고 움직이는 현대인들에게 하루에 주어지는 24시간이 현대인에게는 결코 긴 시간이 아닐 것이다.

'60sec ART’에서 주목할 첫 번째 지점은 바로 ‘시간성’이다. 심래정, 손경환 작가와 숭실대학교 미디어대학원의 크로스디자인랩 연구원 등 60초 즉 ‘짧은 시간’ 그리고 학습되고 관념화된 시간성, 일상에서의 초단위가 아닌 전시를 통해 일분, 일초의 개념과 형식을 다양하게 살펴본다.

위 작품 [이예승 / Scaffold Scenery (비계 장치)] 이예승 작가와 미디어그룹 방&리는 쉽게 생산되고 쉽게 사라지는 영상, 이미지의 가변성과 임시성 그리고 재생산성을 작품을 통해 표현하였다. SNS에서 화면을 밀어올리며 순간적으로 소비하는 이미지들과 정보들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다만 우리의 기억 속에서만 지워 질 뿐 온라인의 가상공간 안에 분명 존재하고 있다.

앞과 뒤를, 위와 아래를 넘나들면서 구조물에 맵핑된 단편화된 이미지는 겹치고 해체되면서 온라인상의 그것처럼 순식간에 새로운 구조를 만들고 이야기를 재구성 한다. 언제든 해체될 수 있는 임시 구조물에 맵핑된 이미지는 카메라를 통해 비추는 관객의 모습과 겹쳐져 현실과 가상을 모호하게 만든다


강남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새로 개관
주소: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133길 11 우편번호 06053 info@platform-L.org
facebook.com/platfprmlartcenter instagram/platfprml_artcenter 
관람시간 11시부터 늦은 7시까지 화 수 목 일 11시부터 늦은 8시까지 금 토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위치가 갤러리오페라 근처, 강남구청에서 논현역으로 가면 보인다 지하철 7호선 학동역 10번출구 관란요금 5000원 4000원 강남 새로 문을 연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건물이 한강의 유려한 물결처럼 파도치고 있네요 아니면 전자아트시대 직직거리는 전자파의 물결 같기도 하네요 2층과 3층과 지하 2층이 전시장이다

플랫폼-엘 개막전 참여 작가: 배영환 양푸동 전시 기간: 5.12-8.7 전시장 2층 3층 지하 2층

배영환 I '새들의 나라 연작: 말 생각 뜻' 2016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박만우관장 난해한 현대미술 번뜩이는 예지와 노련하고 풍부한 언어구사력과 열정적 모습이 마치 오케스트라 연주자같이 보인다. 배영환작가의 새들의 나라 부엉이가 철학자처럼 눈을 감고 세상을 관조하며 고뇌하는 모습이 낯설지만 인상적이다 현대인의 자화상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우리가 새라고 하면 인간과는 비교가 안 되믄 하찮은 동물로 볼 수 있지만 여기서는 인간보다 더 현명한 철학자 혹은 현자로 보이기도 한다. 앵무새는 육중한 몸짓으로 관객을 압도하면 우리에게 많은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다.  

배영환 I '새들의 나라 연작: 바벨 I' 2016 현대인의 불통을 은유적으로 풍자한 작가의 기발한 아이디어와 풍부한 상상력이 돋보인다 여기서도 역시 21세기의 사회의 풍속화를 형상화한 것으로 세계 각국의 뉴스 사운드가 들려오는데 서로 뒤섞이다보니 제대로 구분하여 드를 수 없다. 여기에는 현대문명을 보는 작가의 냉정과 열정을 동시에 볼 수 있다 이런 암시와 상징이 많은 작품은 관객나름으로 자신만의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보게 하는 요소가 강하다. 이 세상과 저 세상의 경계가 없는 지금까지의 우리의 상식과 고정관념을 깨면서 우리에게 낯설음과 불쾌함 그리고 뭔가를 꾸짓는 것 같은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 관객이 이런 장면을 보고 롤랑 바르트의 말처럼 뭔가 옆구리가 찔리면 좋은 감상이 되리라.

[작가소개]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10 Autonumina, PKM 갤러리 | 바틀비 비클 & 뫼르소, 서울2009 도서관 프로젝트 내일(來日), 아트선재 센터, 서울 2008불면증, PKM 갤러리, 서울2005남자의 길, 대안공간 풀, 서울2002유행가 3–잘가라 내청춘, 일주 아트하우스, 서울2000소수자 프로젝트: 노숙자 수첩–거리에서 2001 1999유행가 2, 금호미술관, 서울 1997 유행가, 나무화랑, 서울

[사이트] http://topclass.chosun.com/board/view.asp?catecode=J&tnu=201205100012

플랫폼 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2,3층에서 배영환 작가의 개인전 '새들의 나라(Pagus Avium)' 사진:플랫폼엘


플랫폼 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2,3층에서 배영환 작가 ;추상명사' 사진:플랫폼엘>


매우 탁월한 영화연출가 사진 작가인인 양푸동(중국) 
그의 여성취향은 각별하다 나하고는 안 맞는다 매우 중국적이다 그가 만든 시공간(결합)에 들어가면 강력한 시각적 폭탄세례(이미지천국)로 완전히 혼을 빼앗긴다. 정신을 못 차리게 된다. 그런데 매우 오리지널하고 자신감으로 넘치고 대륙적 기질을 읽을 수 있다

양푸동 <천공지색> 양푸동은 중국 동시대미술을 대표하는 설치미술작가이면서 영화감독이다 사진 비디오 영화 등 다양한 표현매체로 중국사회를 탐구하고 중국 전통으 회회적 감수성이 묻어 있는 선정적이고 몽환적인 연출을 통해 서구와는 다른 독창적 색채미학을 스토리텔링이 아닌 이미지중심으로 그리고 여자의 몸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야기 한다 굉장히 급이 높다

양푸동 I '천색 신여성II' 연작 2014 양푸동의 작품에서 특징은 여성의 몸 이미지를 통해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점이다 
[관련기사] http://www.nocutnews.co.kr/news/4591180 양푸동, "젊고 아름다운 육체, 그 공허한 미래"


양푸동 작가의 작품에 대한 가이드 해설

[작가소개]1971년 베이징에서 출생한 양푸동은 중국미술학원 유화과를 졸업하고 90년대 말부터 영화와 비디오예술을 창작하기 시작하여 영향력 있는 중국작가로 손꼽히고 있다

[전시정보] http://www.opengallery.co.kr/exhibition/314/

양푸동은 상하이에서 거주하고 작업하는 작가이다. 양푸동은 1971년 베이징에서 출생했고, 1995년 항저우 소재 중국미술아카데미를졸업했다. 그는 그의 독특한 필름과 비디오 설치 작업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으면서 중국에서 가장잘 알려진 미술작가 중 하나가 되었다. 

양푸동의 작업은 주요 국제 기획전과 세계의 여러 갤러리에서 개인전의형식으로 보여졌는데, 300회 이상의 그룹전뿐만 아니라 유명 미술기관과 갤러리에서 60회 이상의 개인전을 가졌다. 양푸동의 작업은  작업은 신화, 사적인 기억, 삶의 경험을 들여다보면서 정체성의 구조와 형성을 탐구하면서다양한 층위를 가진다. 그의 작업을 보는 것은 실존적인 경험에 관한 것이며 어떤 도전을 받는 것과 같다.

또한 양푸동은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여러 기관과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그의 개인전은 오클랜드아트갤러리 토이오타마키 '양푸동: 필름스케이프' (오클랜드, 2015), 유즈 미술관 '양푸동 개인전: 두 갈래의 길'(상하이, 2015), 마리안굿맨갤러리 '천색: 신여성 II' (파리, 2015), CCA 싱가폴'양푸동: 우연의 스크립트'(싱가포르, 2014), ACMI '양푸동: 필름스케이프'(멜버른, 2014), 취리히미술관, 버클리미술관에서 열린'양푸동: 낯선 천국 (1993-2013)'(취리히, 샌프란시스코, 2013), OCAT'문맥을 벗어난 인용구'(상해, 2012), 밴쿠버아트갤러리'다섯 번 째 밤'(밴쿠버, 2012), 파라솔유닛'8월의 반'(런던, 2011), 그리스국립현대미술관'양푸동: 죽림칠현'(아테네, 2010), 젠다이현대미술관'양푸동 개인전, 새벽 안개, 조각난 믿음'(상해, 2009), 아시아소사이어티 미술관 '죽림칠현'(뉴욕, 2009) 등이 있다.

양푸동은 QM갤러리 알 리왁, 카타르미술관 《중국의 동시대 미술, 미술은 어떤가?》(도하, 2016), 리옹 비엔날레(2013),제11회 샤르자 비엔날레 (2013), 제 1회 키예프국제비엔날레 (2012), 상해 민생미술관《중국의 영상작품: 1988-2011》(2011), 제 17회 시드니비엔날레, 제 8회상하이비엔날레 《리허설》 (2010), 제52회 베니스비엔날레(2007) 등의 국제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아트상품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아트상품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아트상품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아트상품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아트상품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아트상품

우울증과 멜랑콜리가 사람의 마음과 거리를 지배하는 시대 이런 경쾌한 색채는 사람을 구원할 있을까(?) 

뒤로 보이는 벽화에는 텍스트 아트도 되고요 시간을 알려주는 숫자도 나오고 플랫트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라는 단어도 보이고요 변화무쌍하다 디자인 감각도 뛰어나고 첨단 디지털 기술도 결합된 작품이다


히피 모더니즘 

이런 책을 보니 머리에 뭔가 팍 들어옵니다 사실 미국이 가장 멋지고 아름다운 시절은 바로 70년대 히피시절이다 그때 달에도 도착했지만 미국이 꿈(Utopia)이 있었다 


[박성원 유리조형전] 2016.06.07.-2016.07.24 남서울미술관 유리조형, 조각, 회화 등 / 60여 전시문의 신성란 ( 02-598-6246)



박성원은 투철한 장인정신으로 유리예술의 진면목을 보여줌과 동시에 조각과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으로 한국 유리예술의 영역을 확장해 온 실험적인 예술가이다. <박성원 유리조형> 전시는 작가의 최근 작업을 중심으로 지난 15년간의 작품 세계를 총체적으로 조망한다. 즉, 유리 고유의 미적 감흥에 주목한 초기 작업부터 작가 개인의 심성을 표현하는 작업, 금속이나 나무를 접목하며 발전시켜온 가장 최신작까지의 대표작을 모두 전시한다.

유리는 실용적인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매체이지만, 유리를 조형 표현의 수단이자 예술적 가치로 탐구하는 유리조형예술은 우리에게 아직은 낯선 영역이다. 이러한 척박한 환경에서 유리의 아름다움과 표현매체로서의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탐구한 박성원 작가의 작업은 더욱 주목할 만 하다. 이번 전시는 박성원 작가의 작업과 더불어 유리예술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행복의 나라 Art in Society_
Land of Happiness] 2016. 05. 10.(화)-07. 06(수)

북서울미술관 전시실 1, 2 개막식 2016. 5. 10.(화) 오후 5시 전시장소 서울시립 전시부분 회화, 사진, 영상, 설치 등 70여 점 참여작가 김정헌, 민정기, 임옥상, 박찬경, 배영환, 함경아 등 53명(팀) 서울시립미술관 Art in Society – Land of Happiness <2부 이면의 도시> 김인순, 박불똥, 황재형, 이명복

행복의 나라 간담회 김홍희 관장 놀라운 발표 오래 전에 발견된 여의도에 있는 용도가 분명하지 않은 벙커가 이번에 미디어 전용 서울시립미술관으로 변신한다고 하네요 서울시 전체가 하나의 갤러리가 되는군요

안규철 '단결 권력 자유' 가변설치 천 혼합재로 1992 샘터화랑 소장

[행복의 나라 Art in Society – Land of Happiness] 2016. 5. 10.(화) ~ 7. 6(수) 북서울미술관 전시실 1, 2  일상적 삶 속에서 사용하는 사물과 언어를 통해서 세계와 삶의 모순을 드러내다

함경아 '오데사의 계단' 가변설치 나무와 폐기물 오브제 2007 경기도미술관 소장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모티브를 집요하게 추적하고 형상화하는 작가 함경아는 새벽시간, 경비원들이 지키고 서있는 전직 대통령의 문 앞을 서성댑니다. 연희동 집을 ‘리노베이션’ 하면서 공사기간 내내 버려지는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해서다. 작가는 밖으로 나온 잡동사니와 가구를 실어 날라서 근처 임대 공간에 쌓아두었다. 그 때의 폐기물로 만들어진 설치작품에 작가는 ‘오데사의 계단’이라 이름 붙인다. 나무로 짜인 거대한 계단 위에는 당시로선 희소했을 낡은 비데와 구형이지만 나름 인체공학으로 설계된 의자, 대형 마트에서 가져와 반환하지 않는 카트와 다수의 골프 공, 스피커들이 늘어져 있다. 피라미드 위계질서 속에서 우리사회에 도사리는 사회모순과 부패구조 통렬하게 풍자하고 있다

정정엽 식사준비 162*372cm 캔버스에 유채 1995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행복의 나라 Art in Society – Land of Happiness] 2016. 5. 10.(화) ~ 7. 6(수) 북서울미술관 전시실 1, 2  인간을 살리기 위해서(죽임의 반대 살림) 온몸을 던지는여성의 위대함이 느껴진다

김인숙 사회적 정서를 그리는 회화 그것이 사실화이든 현실화이든 나름의 환상과 환영이 있는 것이겠죠 그런 면에서는 회화의 기본에 충실한다고 볼 수 있다

김정헌 <1부 역사는 반복된다> 정치적 부조리함과 분단현실, 그리고 자본주의 병폐의 역사를 기억하는 개인의 내면을 통해 사회현실을 비판하고 ‘기억’이라는 내밀하지만 보편적인 장치를 통해 회복의 염원을 드러내고, 특히 ‘기억의 정치학’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인식을 고취하며 동시대 현상을 통찰한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구성. 참여작가- 손장섭, 정동석, 이명복, 최진욱 - 김정헌, 이종구, 황재형, 신학철, 임옥상 - 최민화, 홍성담, 박불똥..., 함경아 - 박찬경, 임흥순, 송상희, 노재운, 조해준, 조습, 최원준, 옥인콜렉티브, 김지평

손장섭

미술사학자이자 미술평론가 최열이 수집한 민중미술 관련 자료(아카이브가 됨) 중 1,500여점 중 일부 소개 당시 유실될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의 기록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셨군요 그림을 설명하는 사람은 이번 행복의 나라 기획에 참여한 신은진 서울시립큐레이터

황재형

<2부 이면의 도시>건설개발 중심의 급속한 근대화로 인해 발생한 도시의 어두운 이면과 모순된 현실들을 비판함과 동시에 여성과 노동자 등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인 약자들의 현실을 예술의 화두로 내세우는 ‘이면의 도시’를 주제로 함으로써 반복되는 역사의 기시감을 느낄수 있게 하는 작품으로 구성. 참여작가 김경인, 김인순, 정정엽, 김동원, 강상훈, 플라잉시티, 믹스라이스, 리슨투더시티, 노순택, 홍진훤

임옥상 <3부 행복의 나라로>일상의 매체와 미디어 이미지의 범람으로 변화된 문화지형 속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일상을 구현하는 작품들과 후기자본주의의 사회적 징후를 ‘부조리의 미학’으로 나타내는 작품으로 구성.참여작가- 오윤, 주재환, 안규철, 박이소, 강홍구, 최정화, 황세준, 홍성민, 고승욱, 박찬경, 배영환, 양아치, 김상돈, Sasa[44], 정윤석- 윤석남, 정정엽, 김정헌, 신학철, 손기환, 안창홍, 서용선, 민정기, 공성훈, 오원배

영상작품들 주제가 과거만의 문제가 아니고 지금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데올로기 문제, 도시빈민문제, 동남아시아 이주자, 소수자 여성문제 등등

최민화 '붉은 갈대' 캔버스에 유채 1993 웃음이 절로 나는 그림이다  [이주용사진관전] 북서울미술관에서2016-05-03 ~ 2016-08-15 전시장소 전시시간 : 평일 10:00–20:00 /토․일․공휴일 10:00–19:00 / 뮤지엄 나이트 매월 1, 3주 금요일 -22:00 / 매주 월요일 휴관 도슨트 시간 : 1일 2회 오전 11시, 오후 4시

특히 프로젝트갤러리1에서 전시장을 배경으로 사진 촬영이  있다 무료다

[전시내용]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은 이미지의 생산과 소비에 무감각해진 현재의 시점에서, 점차 사라져가는 사진관을 미술관 공간 안에 재현하는 《이주용 사진관》전을 연다 30여 년의 세월동안 수천 점에 달하는 사진이미지들과 카메라 등을 수집해온 이주용 작가는 사진발명 초기시대의 사진들을 비롯한 수집품들을 당대 사회와 문화에 대한 기록으로 ...인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아카이빙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최초의 사진관인 천연당 사진관을 재현하다 1907년 당시에서 여기서 사진을 찍으려면 지금 돈으로 거의 백만원 정도 이 미술관에 오면 공짜로 찍을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아카이브를 토대로 시간과 역사, 기억, 정체성 등에 관한 관심을 작업으로 풀어내는 이주용의 사진관을 통해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이주용 사진관》은 사진촬영이 이루어지는 프로젝트갤러리 1의 <천연당사진관 아트 프로젝트>와 사진촬영의 결과물이 전시되는 갤러리 2의 <길 위의 사람>으로 구성된다.
박미나 작가

북서울미술관 박미나 작가 귀신의 손이다 

[빨주노초파남보展 박미나MeeNa Park] 2016.03.02-2016.07.24

서울시립북서울어린이미술관 어린이작품 http://sema.seoul.go.kr/kore…/exhibition/exhibitionView.jsp…

국제갤러리 박미나 작가는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어린이갤러리에서 3월 2일부터 7월 24일까지 교육전시 <빨주노초파남보>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색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초대작가인 박미나 작가는 그 동안 색채의 내용과 형식을 실험하여 색 자체를 작업의 주제로 삼아왔으며, 이번 전시에서는 색 이면의 이야기들을 전달하고 새로운 감상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본 전시와 연계되어 오감체험교실, 미술하는 가족, 꿈꾸는 미술관 등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현장학습 프로그램이 준비되며, 3월 18일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아티스트 토크가 개최될 예정이다.

현대적 산수화 김영헌 작품 좋다

[백남준추모자료_7]

우리나라 사람들이 <백남준은 바로 나다>라고 말할수 있다면 우리나라가 뒤집어질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모두가 열등감제로 인간으로 돌아가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우리들의 타고난 재능과 열정(신명)을 백분 발휘해 한국을 단번에 선진국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1993년 베니스비엔날레 출품작 스키다이왕 단군


Robot K-456 1964 오페라를 부르며 문화도 향유할 줄 아는 이런 인간로봇을 만든 사람은 확실히 천재급이다 

백남준의 미소를 인류를 구한다 I

[사랑이란 두 사람이 진정 주인공이 되는 경험] 사랑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는다. 누군가를 죽이고 싶을 정도로 미워해본 사람만이 진정한 사랑을 할 수 있다. 사랑이란 두 사람이 진정 주인공이 되는 경험이다. 가부장제에서 여성은 결혼하면 주인공이 아니고 조연(며느리)으로 강등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진정한 사랑이 아니다. 인생도 고생살이 사랑도 고생살이 사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고통을 감수하는 것이다. 즐거운 마음으로 사랑한다는 것은 무엇보다 자신의 감정에 충실한 것이다. 누가 뭐라고 해도 나를 주인공으로 만드는 것이 사랑이다. 그녀가 주인공이라고 해도 더 빛나도록 오랫동안 주인공으로 만들면 된다. 내가 잔인해질 때 진정 사랑을 할 수 있다. 진짜 친해지려면 과거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다. 사랑은 이처럼 우리를 새로운 것, 낯선 것을 경험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섹스도 서로를 주인공으로 만들어줄 때 진정한 사랑이 된다. 키에르케고르는 "사랑이란 <목숨을 건 비약>이다"라고 했다. 사랑은 상처와 불행의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타자에로의 목숨을 거는 도약을 할 때 가능하다 -강신주 글 중에서


백남준의 미소를 인류를 구한다 II


1974년 시게코와 백남준 둘은 라이벌이고 동지이고 부부이고 등등 


요셉 보이스는 예술사기꾼답게 늘 착용한 그의 모자와 그가 입었던 양복을 예술화했는데 백남준이 1990년 보이스를 위한 추모 굿판에서 입었던 그의 갓과 한복도 예술화할 필요가 있다.

문화란 무엇인가? “[백남준] 문화는 잠자는 내 영혼을 바늘로 깨우는 것이다. 문화인은 나의 위치, 민족의 위치, 세계의 위치를 파악하는 사람이다. 나를 통해서, 세계를 통해서 나를 바라보는 것이 문화라고 본다.”


이 작품은 종이의 죽음을 상징한다

지금 뭘 제일 하고 싶죠? "아, 연애" - 2004년 조선일보 인터뷰 
- 지금 무엇이 제일 하고 싶으세요? "아, 연애" 
- 연애 많이 하셨잖아요."아직 부족해" 
- 선생님 보고 다 천재라는데요. "나 천재 아니에요. 괜한 말이야" 
- 미술사에 남을 위대한 예술가시잖아요."남긴 남을 거야" ...
- 어떤 예술가로요? "미디어 아티스트" 
- 그냥 그렇게만 기억되면 섭섭하지 않으시겠어요? "그럼 어떡해" 
- 비디오아트의 창시자 어때요? "관계없어요. 난 내 일만 하면 돼" 
- 연애 말고 예술 쪽에서 뭔가 하고 싶은 건 없으세요? 
"책 하나 쓰고 싶어. 내 자서전. 영어로


백남준 푸가의 기법 Art of Fugue 1991 음악을 전공한 백남준 역시 작품이 음악적이다  

백남준 사이버 펑크 1994

[백남준은 자기만의 모국어를 가지고 싶어 했는데 그게 바로 비디오아트다] 
"백남준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루카치나 카프카도 작품을 헝가리어나 체코어가 아니라 독일어로 썼다. 조이스나 존 레논, 쇼, 와일드, 혹은 베케트가 켈트어로 작품을 썼다면 세계 문화계는 꽤나 고생을 하지 않았을까? 위의 천재들은 자신들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지엽적인 자신들의 언어보다 독일어나 영어로 쓰려고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했을 것이다. 이처럼 그들은 모두 각자의 결점을 지닌 사람들인 것이다."

백남준의 자기 인식이 돋보이는 대목은 '모두 각자의 결점을 지닌 사람들'이라는 데 있다. 이 결점이 바로 언어와 언어 사이에 놓인 자의 갈등이기 때문이다. 조이스는 자신의 작품을 세계인들에게 읽히기 위해서가 아니라 아일랜드어와 영어 사이에서, 카프카는 체코어와 독일어 사이에서, 영어도 아니고 아일랜드어도 아닌, 독일어도 아니고 체코어도 아닌 독특한 글쓰기를 만들어야 했던 것이다. 결국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도, 그가 발견했던 세계도 이러한 언어와 언어 사이에서 찾아진 것이다." -함성호(시인·건축가)

철학자 백남준 

인류의 구원을 어디서 찾아야 하나 맑스는 재산과 권력의 공유에서 찾았지만 백남준은 지식과 정보의 공유에서 인류의 구원을 잦았다 정보화 시대정신에 맞는 전혀 폭력을 사용하지 않는 최선의 대안이다.

영혼의 신비한 새인 소문(루머)는 호모 사피언스가 만들어낸 최초의 라디오다 -백남준

사이버세상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다
이 사진은 언제 봐도 멋있네요 뒤에 백남준이 피아노를 연주하고 있다

백남준의 예술적 애인 Topless cellist 샬럿 무어먼 그 포즈가 멋지다 


신자유주의 금융자본주의 시대에는 모두가 너무 똑똑하여 오직 천치바보(진정한 의미의 천재)만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천치바보만이 세상을 변화시킬수 있다 이런 점을 학문적으로 다른 책이 진중권의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이다. 그는 아도르노(1903-1969) 말을 인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짐승·바보·광대가 되는 모양새, 이런 '어리석음'이 바로 현대예술의 특징이다. 합리성에 광적으로 미쳐 이를 추구하는 현대의 눈으로 보면 예술은 어리석어 보이나 진정 현명해지려면 어리석어야 한다. 예술가는 이렇게 어리석은 것으로 합리성에 미쳐버린 사회를 심판한다."

예술과 문화와 철학은 부조리에서 시작한다 말도 안 되는 것을 하는 것이다. 철학자들은 처음부터 바보짓과 긴밀한 관련성이 있다 오직 천치 바보만이 완전히 다른 세계로 전급할 수 있다 천치바보가 천재가 될 수 있는 것이 세상을 바꾸기 때문이다. (헛)똑똑이는 현 체제를 유지할 뿐 절대 세상을 바꾸지 못한다

뒷담화(after이야기) 같은 허구(지어낸 이야기 소설 같은 것)야 말로 치명적 진실이다. 인간은 밥이 없어도 살 수 없지만 인간은 이야기가 없어도 살 수 없다 물론 이야기에서 이미지가 나오고 이미지에서 이야기가 나온다

서양미술사(타센출판사) 속에 백남준 왜곡은 심각하다 / 백남준 약력을 보면 1984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과 2000년 백남준 구겐하임 회고전이 빠져 있다 1984년 작품은 예술적으로 인터넷개념을 발명한 그의 대표작을 뺀 것이나 2000년 나사의 도움을 받아가며 작업을 할 정도로 첨단하이테크와 과학이 필요했던 전시로 뉴욕미술계를 점령하다라는 찬사를 받은 전시 거의 최초로 재대로 된 레이저아트를 했는데 이렇게 중요한 전시를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군요

뒤샹의 변기는 기계만능시대 고도후기산업사회를 상징하는 것으로 현대미술의 최고정점이었다. 그러나 백남준은 변기가 아니라 (전자)회로를 통해 새로운 미술을 열었다. 디지털 인터넷 SNS개념을 중심으로 21세기형 예술을 창안한 것이다. 서구에서 일부러 바보천치처럼 처신하다. 똑똑이처럼 했으면 서구인들이 백남준을 제거시켰을 것이다 그러나 백남준이 21세기 미술의 최고정점이 될 때 서구인틀을 길들이는 방식은 그들을 하루 종일 웃기는 것이다 우리(지구인)는 지금 모두 백남준의 은하계에 살고 있다 백남준의 최고 라이벌이기도 한 뒤샹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뒤샹은 현대미술을 들어가는 문은 크게 만들었지만 거기를 빠져나가는 비상구는 너무나 작게 만들었는데 바로 내가 그것을 빠져나갈 구멍을 찾았다" 백남준은 21세기의 소통은 미술이나 조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인공위성이나 전자회로으로 하는 것 그리고 마음과 마음으로 하는 것이다(이영철)

백남준과 요셉 보이스, 백남준과 샬럿 무어먼은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죠

2016년 1월 말에 갤러리현대에서 백남준 연구가 장 폴 파르지에와 인터뷰한 적이 있는데 요셉 보이스 모자이야기가 하다가 못 다한 내용을 불문 3만 5천자로 다시 보내주었는데 이제야 겨우 알았네요 나는 불어를 모르는데 큰일났다. 그의 결론은 백남준이 요셉 보이스보다 한수 위다라는 것인데 백남준은 -셔먼아티스트 보이스는 +셔먼아티스트 -가+이긴다는 것이죠이 사람은 백남준 과에 속한다. 그는 백남준을 자신의 어머니라고 하던데 놀라울 정도의 지성을 갖춘 분인데 정말 겸손하면서도 유머가 넘치더라 이런 사람 만나기 힘들다. 마치 백남준을 만난 것 같은 착각이 들었다 Cher Hyung Soon, très honoré par votre attention, hier, à mes propos sur Paik Nam June...Voici le texte sur Beuys et Paik dont je vous ai parlé...Bien à vous JPF L’hypothèse du chapeau volé

Le fameux chapeau de Beuys, Nam June Paik l’a démontré (dans un film que j’ai fait), provenait directement du vestiaire de Bogie. Démonstration pas du tout bénigne. Elle constitue le dernier acte de la guerre Paik-Beuys. Guerre que Paik a gagnée. [전문] http://blog.naver.com/sulsong21/220687820594

요셉보이스 대단한 작품이군요 신령한 분위기입니다 현대화된 샤먼이죠 샤마니즘은 현대힐링의 원조다 A major figure of the postwar German avant-garde, Joseph Beuys viewed art as a vehicle for social change. His performance art "actions" were shamanistic experiences incorporating ritualized movement and sound, as well as non-traditional and even repulsive materials such as fat, felt, honey, blood, and dead animals. For example, in his groundbreaking 1965 performance How to Explain Pictures to a Dead Hare, Beuys—who was covered in symbolic materials such as honey, gold leaf, and iron—explained artworks to a cradled hare. Akin to Andy Warhol in influence but with a more widely (and wildly) ranging formal vocabulary, Beuys counted debate and teaching as part of his art and was a leader in many socioeconomic reform movements.

요셉 보이스: 인간의 능력은 꿀을 생산하는 게 아니라, 아이디어를 생산해내는 것이다

[백남준과 뒤샹은 여성의 옷을 벗기는 방식이 다르다]

'He was a guiding light' 서양미술사는 여성의 옷을 벗기는 역사 그런데 뒤샹의 방식이 최고다 [1분유머] 소유는 무한대 플러스이고 존재는 무한대 마이너스다 결국 마이너스가 플러스다.소통은 삶(생명)이고 불통은 죽음이다 기(氣)가 흩어지고 막힌 것이 죽음이고, 기(氣)가 모아지고 뚫린 것인 삶(생명)이다   

스미스는 “한국문학번역원 같은 기관들의 적극적인 활동이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도움이 된다”면서도 “한국인들이 노벨상에 너무 집착하는 것은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상은 상일 뿐이에요. 작가는 쓰고 독자는 그 작품을 즐기면 되는 겁니다. 그것만으로도 작가에게는 큰 보상이 되는 것이죠.” 이 번역가는 독특한 문체 때문에 배수아소설가를 한강 이상으로 좋아한다 “배수아의 소설은 매우 독특하고 개성이 넘칩니다. 그런 만큼 번역하기가 쉽지는 않지만 저는 그런 도전을 즐깁니다. 제가 관심을 지니는 작품은 문체가 흥미로운 것들이에요. 정보를 주는 데서 그치지 않고 다른 무언가를 지닌 문장을 선호하는 편이지요. 이번 방한 기간 중 한국 출판사들과 만나 다른 작가 및 작품들의 번역 출간 논의도 할 생각입니다.”

라캉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주체인 것처럼 보이지만 무의식적으로 주체가 아니라고 말한다. 인간은 충동은 있지만 욕망은 없다고 말한다. 진정한 욕망이 없는 사람이 겪는 가장 큰 정신병을 멜랑콜리라고 본다. 모든 인간은 정상적이지 않고 병리적이며 그러나 이것을 치유할 수는 없지만 인간이 진실과 대변할 때 불안을 느낀다는 존재를 자각하면 보다 덜 병리적일 수 있다고 말한다. 그에게 인간(소외된 존재)을 지칭하는 말은 바로 <강박증(집착증)·히스테리[신체질서를 무너트림]·멜랑콜리[욕망능력상실자]·성도착 혹은 화폐도착[물신주의]>라는 키워드는 끄집어낸다. 라캉은 <루브르박물관>을 인간의 강박증의 산물로 보고 그런 집착이 낳은 집단히스테리나 멜랑콜리로 보고 있다. 결론은 미술품이 가지고 있는 문명이 만든 환상(텅 빔) 뒤에 오는 허무(지대)를 보고 이것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환상을 사유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버지니아 울프는 단지 여자라는 것만으로 당시 옥스퍼드·캠브리지 대학의 잔디도 밟을 수 없었다니 놀랍네요. 버지니아 울프는 학력이 전무라고 하고요. 그의 아버지는 사립도서관 같은 서재가 있었고 백과사전을 편집하는 지성인임에도 불구하고 딸은 학교에 보내지 않았다고 놀랍죠. 그래서 책을 너무 좋아하는 그녀는 아버지 서재에 있는 책 중 하루에 4권의 책을 꺼내 운동선수가 벽돌을 격파하듯 그렇게 책을 독파했다고 하네요. 투표권이 있는 유럽 선진국인 영국사회에서도 그랬으니 예리하고 영민하고 지적인 여성에게는 큰 치욕이었겠죠. 1920년대이기는 하지만 말이죠 "여성은 지금까지 수세기동안 남성의 모습을 실제크기보다 2배 확대하고 반사하는 유쾌한 마력을 지닌 거울로 대상화되었던 것이다" - 버지니아 울프. 추신 1920년대의 말이네요

[박상미전 2016.0615-07.01 이화익갤러리]

자연을 오브제로 번역하되 자연의 속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동시에 문명화된 현대의 과학문명 속으로 끌어들이다


작가의 따뜻한 감수성에서 우러나오는 깊이는 우리에게 강물과 같은 흐름을 연상시키고 공간의 울림마저도 바꾸게 한다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미술관 소장

현대적 감성으로 새롭게 구성한 문명화된 자연풍경:인공적 도시적 감성의 풍부한 자연 작가의 섬세한 심성의 따뜻함 감각적인 색채와 형태의 현대적 조형언어로 변신 힐링이라는 너무나 통속화된 말을 뜻을 부끄럽게 하는 마음의 정화를 일으키는 화면의 색채구성과 물흐르듯 모든 화면이 너무나 자연스럽고 온화하다.


[佛國土(가 뵈고 싶은 그 곳)]
 2016.5.14.-7.1 아트링크갤러리 고려시대 철조 예술품과 현대미술의 만남 김종원·안종연·이수경 전

고려시대 철조 예술품
김종원 작품 법화경 2015

이수경 Flame Variation 4-2 2014
이수경은 서울대학교에서 서양화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를 수여하였다. 졸업 후, 프랑스 니스에서 Villa Arson Residency Program에 참여하였고 뉴욕 브롱스미술관과 Apex Art, 한국 쌈지스튜디오와 경기창작센터에서 레지던시를 하였다. 이수경은 조각, 설치, 영상, 회화, 드로잉, 퍼포먼스 등의 작품을 통해 전통과 현대, 동양성 및 미술을 통한 치유의 기능을 제시한다. 작가가 주목한 것은 깨어지고 버려진 도자기 파편들로 서로 다른 도자기에서 나온 조각들을 조합해 기존의 전형적인 도자기의 형태가 아닌, 작가에 의해 새롭게 변형된 모습의 도자기로 만들어 낸다.

[천미옥 千美玉 Chun Mee Ok] 갤러리 담에서 2016. 7.1-7.10까지


작가는 봄에 밭이랑에 채소를 심듯이 이랑을 만든 모습에서 작가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바라다본다. 때로는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자신의 모습을 숱한 별들 중의 하나가 되고 싶다는 마음을 표현한다. 
어렸을 때 작가는 한 할아버지가 장에 다녀오시다 산중에서 도깨비를 만난 옛날 이야기를 들었단다. 할아버지는 길을 막는 도깨비와 밤새도록 씨름하여 쓰러뜨리고 날이 밝아서야 마을로 돌아오셨단다. 걱정하며 기다리고 있는 마을 사람들과 쓰러뜨린 도깨비를 찾아 산길을 되짚어 가셨는데 그 추억을 담은 그림 같다

<쉬어 가는 코너> 한국경제신문 [고전읽기] 64. 푸코 <감시와 처벌>
http://sgsg.hankyung.com/apps.frm/news.view?nkey=7537...

[사진출처]http://politheor.net/michel-foucault-on-refugees-an-interview-from-1979/

"정상/비정상을 나누는 것만큼 정치적인 것이 없다" -미셸 푸코

1979년 난민에 대한 미셸 푸코의 인터뷰 Michel Foucault on refugees – an interview from 1979 ‘The refugee problem is a foreshadowing of the 21st century’s great migration.

"모든 사람은 예의 없이 정상적이고 비정상적인 것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누구는 정상적이고 누구는 비정상적이라고 규정하면서 정상인이 비정상인을 다스리고 고치려고 하는 당위론은 그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그 기준을 과연 누가 정한단 말인가 만약 그것을 권력자가 정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비정상적인 것이고 가장 정치적인 것이다" -미셸 푸코

"17세기 프랑스는 처벌방식이 신체형에서 18세기에 감옥형으로 바뀌었는데 그것은 계몽주의적 휴머니즘에서 온 것이 아니라 통치자가 보기에 그것이 효과도 없기 폭동의 빌미도 될 수 있고 통치자들에게도 부담감을 주었기 때문이다" -미셸 푸코. 그의 말을 들으면 우리사회 처벌방식은 20세기에는 몸을 감옥에 가두는 방식이었으나 21세기는 돈을 감옥에 가둔다고 할까 어마어마한 벌금(돈 스트레스)으로 메기는 방식으로 바꾸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는군요.

“정말 무서운 지배는 사람을 때리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바꾸고 또한 인식을 지배하려는 것이다” -미셀푸코 푸코는 비정상적으로 규정된 광기(비정상)와 감옥과 형벌을 다 정치적으로 보는 것이죠 당신이 나의 정신적 아버지를 죽였으니 그 대안을 알려달라고 하면 푸코는 이렇게 대답한다 “아버지 없이 사는 법을 배워라 프레임 전쟁이라는 것도 잘 들여다보면 그것은 전쟁이 정치가 아니고 정치가 전쟁이다" - 미셸 푸코

"감옥은 인간의 육체만 가두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정신과 영혼까지도 가두는 것이다 " - 미셸 푸코 / 니체는 신이 죽었다고 했는데 푸코는 인간이 죽었다고 선언하다 "영혼은 육체의 감옥이다 " - 미셸 푸코 푸코는 내 생각이 내 생각이 아니고 사회생각이라는 걸 깨닫게 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