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굿

[제14회 백남준포럼] 백남준과 쌍방소통 네트워크 아트 착안 [동대문 백남준기념관 약도] 지하철 동대문>이 아니라, 지하철 동묘앞(1호선 혹은 6호선)> 8번 출구에서 나와, 3분 거리 교통 아주 편리하다 / 가다 보면 BYC 보인다 / 그 골목으로 안으로 들어가면 된다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종로53길 12-1[제14회 백남준포럼] - 일시 : 12월 27일(금), 15~17시 -주제 : 백남준과 IT 소통 - 장소 : 백남준기념관(서울시 종로구 종로53길 12-1_창신동) - 참가 : 무료_조합원 및 후원자 우선 / 잔여석 있을경우 추후 선착순 모집# 이번 달 포럼은 백남준기념관(창신동)에서 진행하고자 합니다. 최근 비상계엄 및 탄핵 정세와 관련하여 소통에 대해서 백남준이 언급했던 양방소통에 관해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합니다.# 23년도, .. 더보기
[백남준] 백남준과 제주, 굿판에서 만나다 06.15~08.31 백남준과 제주, 굿판에서 만나다 제주 돌문화 공원 (5백장군갤러리)에서 2023.06.15~2023.08.31 기획: 송정희 누보갤러리 관장 1995년 백남준 광주비엔날레가 열렸을 때 " 나의 환희는 거칠 것이 없어라" 이렇게 말했을 것이다. 2023년 제주에서 백남준이 전자굿과 제주굿이 위성아트처럼 랑데부하는 전시를 봤다면 "이 보다 더 좋을 수가 없을 것이다"라는 소감을 밝혔을 것 같다. 지난번 목포에 이어 이번에 제주도에서 굿을 주제로 백남준 전시가 열린다. 아래에서 보듯 백남준은 선사시대 고인돌을 현대화한 미디어 디지털 인터넷 문명을 제주 전통굿과 함께 전자굿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시대 탁월한 예술감각을 발현한 사진가 최재영 선생님 1990년 갤러리 현대에서 열린 백남준 굿(보이스 추모굿) 사진전.. 더보기
[백남준] TV와 함께 놋그릇과 요강으로 연주하는 전자굿 TV와 함께 놋그릇과 요강으로 연주하는 전자굿 혹은 피아노는 걷어차고 요강으로 연주하는 백남준 굿판 - "백남준과 제주, 굿판에서 만나다"(제주돌문화공원 특별전) 백남준과 제주, 굿판에서 만나다 / 06.15-08.31 제주돌문화공원 굿, 백남준 어린 시절의 원경험 굿은 백남준에게 모든 예술의 원류였다. 어린 시절 추억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집안은 일 년에 한 번씩 음력 시월상달에 무당을 데려와 집안 사업 잘 풀어달라는 '재수굿'을 벌였다. 그때마다 애꾸 무당이 단골로 왔다. 음식을 차려 놓고 징과 북 치고 동네 사람들 다 모아 한바탕 잔치가 벌어졌다. 백남준은 어머니처럼 샤머니즘을 종교로 믿는 건 아니나, 여기서 예술적 영감을 받았다. 백남준 부인 시게코는"그가 미친 듯 무대 위를 뛰어올라 피아노와 .. 더보기
[백남준] 박생광의 무녀, 백남준의 전자무당 (지구촌 평화를 위해) 백남준이 비디오 아트로 펼친 전자 굿/백남준이 비디오 선으로 펼친 지구촌 태평 성대를 위한 전자 굿/(세계 평화를 위한) 백남준의 비디오 굿/비디오로 굿을 하는 지구촌 전자무당 백남준은 굿의 소통방식을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있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굿의 소통방식은 서양의 소통방식인 산 자와 산 자의 소통이 아니라, 그것을 훨씬 넘어서는 산 자와 죽은 자와의 소통마저도 가능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런 초능력 소통(super communication)의 철학을 전자매체예술로 실험한 예술가다. "무당이란 돈과 명예를 좇는 사람이 아니라 사람의 고통과 슬픔을 함께 하는 치료사다. 굿은 종합예술이면서 토속신앙이고 흥겨운 잔치다" - 큰 무당 김금화 * 우리는 큰 무당을 '만신'이라고 한다. .. 더보기
[백남준] 가장 한국적인 것은 바로 '굿'이다 [백남준은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 전자 샤먼킹 혹은 전자 만신(Electronic Shaman or Mansin)] 백남준, 노마드인데 그냥 노마드가 아니고 '디지털 노마드'다. 백남준은 샤먼킹인데 그냥 샤먼킹이 아니고 '전자 셔먼킹'이다. 백남준은 전통굿에서 쓰는 '칼과 방울과 부채' 대신에 'TV와 피아노와 로봇'을 굿판에서 신령을 끌어들이는 도구로 사용했다. 정말 창의적 발상이다. 아래 사진을 보면 백남준은 굿판에서 TV를 산처럼 쌓아놓고 굿판을 벌린다 우리는 110년 식민시대와 그 연장인 분단시대를 살면서 근대화라는 것을 한번도 스스로 해본 적이 없다. 식민시대에는 일본 것을 빌려 썼고, 분단시대에는 미국 것을 빌려 썼다. 그래서 우리는 한국적인 것이 뭐지라고 물으면 답이 안 .. 더보기
[백남준] 굿이란 모순된 사회 속에서 대안창출 아래는 백남준이 첫 전시에서 피아노 위에 굿판을 벌린 것이다. 서양미술판을 완전히 전복시키고 그걸 다시 초토화시킨 것이다. 이런 판을 갈아엎어 버리겠다는 백남준의 강력한 의지가 엿보인다. 그래서 첫 전시의 부제가 (서양미술 터줏대감) 추방(Expel)이다. 굿판은 서양의 전위예술보다 더 전위적이다. 왜냐하면, 전복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초토화시키기 때문이다. 이것이 백남준의 랜덤 액세스다. 게다가 소통의 범위가 서양보다 훨씬 차원이 높다. 산 자만 아니라 죽은 자도 와서 같이 소통을 하면서 전시를 보라고 초대하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은 미처 서양사람들이 못한다. 이 세상에 모든 귀신들아! 다 여기에 와서 내가 펼쳐놓은 전시굿판을 보라고 말하고 있다. "굿은 나에게 모든 예술의 원초적 근원이다" 백남준이 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