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전시행사소개

[백남준아트센터] 언어 끝에 그려진 신세계

<동영상 자료 김윤서 학예연구사가 직접 쉽고 친절하게 작품 내용 설명함. 언어에 대한 주제를 다차원의 시각예술로 접근하는 전시, 역시 백남준 아트센터 전시라 좋네요> https://njp.ggcf.kr/archives/exhibit/the-future-of-silence >

[2020 백남준아트센터 기획전]《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The Future of Silence: When your tongue vanishes)》 온라인 공개 2020. 2. 27- 6. 28.백남준아트센터는 잠정 휴관 중이며, 코로나19 안정화 추이에 따라 재개관시 별도 안내할 예정/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에서 먼저 공개 참여작가 : 김우진, 로렌스 렉, 로렌스 아부 함단, 문재원, 안젤리카 메시티, 염지혜, 이주호 & 이주승, 제시 천 (총 8명/팀) 큐레이팅: 김윤서 김현정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연구사)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관장 김성은)는 2020년 첫 기획전시인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을 4월 8일(수)부터 백남준아트센터 홈페이지에서 공개한다. 이 전시는 2월 27일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예방 및 관람객 안전을 위해 2월 24일부터 아트센터가 임시 휴관하면서 관객과 만나지 못했다. 백남준아트센터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고 있는 시민들의 지친 마음에 예술이 힘을 보탤 수 있기를 바라며, 일찍 준비해둔 전시를 온라인에서 소개한다. 백남준아트센터는 현재 잠정 휴관중이며, 코로나19 안정화 추이에 따라 재개관시 별도 안내할 예정이다.

기획전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은 소설가 김애란의 단편소설 《침묵의 미래》에서 포착한 질문을 단초로, 말과 글이면서 신체이자 정령, 실체이자 관념, 그리고 체제이자 문화인 언어를 들여다본다. 동시에 지배 언어가 낳는 계급과 소외, 생존 도구로서 인권과 직결된 언어의 힘을 시각예술로 제시한다. 전시는 일상에 서서히 스며든 언어 양극화와 연동한 문제들을 환기함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언어의 힘과 다양성을 새로이 바라보게 한다.

8_안젤리카메시티_말의색깔_전시전경1

“미디어에 대한 모든 연구는 언어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백남준의 말은 그가 한국에서 태어나 일본, 독일, 미국에서 살며 언어의 권력 체계가 어떻게 인간의 신체와 생각을 지배하는지 경험한 것에서 비롯한다. 8명의 참여 작가들은 전시 제목처럼 사용자가 점점 줄어들어 사라지거나 소멸될 위기에 처한 언어에 주목하거나, 역으로, 우위를 점한 특정 언어의 권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다양한 언어에 새로운 지위를 부여한다.

나아가, 비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에도 구체적인 형태와 리듬, 목소리가 있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작업은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결국, 기술의 발전과 연동한 언어의 변화와 삶의 태도를 들여다보는 작가들의 탐구는 우리 내면에 잠재된 편견과 혐오, 문명사회 전체에 들이닥친 양극화의 명암을 드러낸다.

본 기획전에는 한국은 물론 미국 뉴욕,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레바논 베이루트 등 다양한 지역에서 참여한 작가 8명의 영상 8점, 설치 3점, 총 11점의 작업이 전시된다. 전시 제목 그대로 소멸하는 언어를 주제로 작업해온 김우진은 <완벽한 합창> 4채널비디오 작업으로 제주어와 함께 해녀라는 삶의 형태 또한 사라지고 있는 현실을 드러낸다. 역으로, 한국에서 태어나 뉴욕에서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는 제시 천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라는 영어의 권위와 파급력에 의문을 제기하며, 기존의 영어 학습 교구, 동영상, 학습지를 재료로 영상, 사운드, 설치 작업으로 언어의 물리적 형태와 심리적 태도를 재구성한다.

로렌스 아부 함단의 <논란의 발화>는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영어라는 언어를 사용하면서 빚어내는 결정적인 오해나 오역의 순간들을 실제 입 크기와 유사한 디오라마로 제작해 발화의 순간이 한 사람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을 직접적인 사례와 증거로 드러낸다.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활동하는 로렌스 아부 함단은 2019년 영국 미술상 터너프라이즈를 공동 수상하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기도 했다.

50,000개의 레고 브릭을 사용해 <오즈의 마법사> 영화 스크립트를 점자 언어로 나타낸 문재원은 시각 뿐 아니라 촉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신작을 구상했고, 이주호 & 이주승 형제는 두 눈의 시력이 서로 다른 장애를 가진 작가의 직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신작 <두 개의 시선>을 통해 장애를 대하는 편견과 숭고한 시선 사이에서 질문을 던진다.

언어의 끝에서 만난 음악을 매개로 한 형제의 짧은 다큐멘터리는 백남준아트센터 커미션으로 처음 선보인다. 최근 2019년 베니스비엔날레 호주관 대표 작가로 선정되기도 했던 안젤리카 메시티는 3채널 영상 <말의 색깔>을 통해 그간 꾸준히 탐색해온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살아 움직이는 신체의 몸짓 언어와 음악, 그리고 침묵에 대한 새로운 방식과 관점을 제안한다.

전시는 기계의 생성과 소멸을 좇으며 기술 발전과 연동한 인간의 사고와 소통 방식의 변화에도 주목한다. <커런트 레이어즈> 연작으로 당대의 인간이 생각하고 존재하는 방식에 주목해온 염지혜는 컴퓨터의 시작에서부터 사용자의 죽음에 이르는 거대한 서사를 통해 컴퓨터에 접속한 인간이 눈으로 보고, 듣고, 말하고, 표현하고, 배포하는 방식, 나아가 모니터 앞에서의 권력에 대한 작가의 통찰을 보여준다. 가상현실을 주제로 탐구해온 로렌스 렉은 예술가가 되기를 꿈꾸는 AI의 생성과 소멸을 다룬 영상 <지오맨서>를 통해 젊은 인공지능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여정에서 오히려 인공지능을 만든 인간의 언어와 윤리, 욕망을 드러냄으로써 미래에 대한 상상이 우리의 현실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한다.

“나는 누구일까. 그리고 어찌될까.” 어떤 언어가 스스로의 행방을 묻는 소설의 물음에서부터 시작된 전시는 결국 자신과 다른 존재에 대한 인식이기도 하다. 《침묵의 미래: 하나의 언어가 사라진 순간》은 우리가 낯선 존재와 다름 앞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 우리의 불안이 과연 다른 종, 다른 대상, 다른 언어로부터 비롯하는지, 미래에 하나의 목소리만 남는다면 그 불안은 과연 사라질 것인지 질문한다. 전시를 기획한 학예사의 전시투어 영상을 통해 다양한 응답과 이야기들이 이어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