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가론미술사

[호크니] 영국왕립미술학교 수석 졸업

<호크니는 왕립미술대학 수석 졸업생이다 서양미술사에 정통하다 그의 모든 발언에는 언제나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과거 유럽회화의 대가들 이야기다 백남준이 전자붓으로 그림을 그렸다면 호크니는 카메라 붓으로 그림을 그렸다 그만큼 카메라를 좋아했다 그러나 그는 카메라에 갇히지 않았다. 항상 회화의 우월성을 강론한다 [오마이뉴스기사] http://omn.kr/1iiqs

사진은 움직이지 않기에 지루다하는 것은 좋은 그림은 바로 움직인다 고흐의 별밤처럼 그는 말했다. "보고 그리는 것은 움직인다는 것이다. 움직이는 인간의 시선과 시점들로 그리고 본다는 것이다" 그의 '움직이는 초점'은 세잔의 '다초점'에서 온 것이리라. 그는 그런 모방을 전혀 가리지 않는다. 그래서 그의 대부분 그림에는 서양미술 족보가 있다. 그림 속에 대가들이 숨어있는 것이다>

호크니 동성애를 비롯해 하고 싶은 것 다 하고 살았다. 그게 예술가다 워홀 피카소 남준이 다 그랬다. 예술은 시대의 과학만큼 발전한다. 아트와 테크(art & technology)는 긴밀한 상호관계 속에 있다. 백남준을 보면 알 수 있다.

말년의 호크니

서양미술사 대가들 그 뒤에는 다 그 당시 유사 카메라가 있었기에 가능하다. 호크니의 그림이 진전이 된 것은 21세기 첨단 카메라 덕분이다. 1620년 네덜란드 화가들도 그 나름의 옵스큐라 카메라(어두운 카메라방)가 있었다. 자크 루이 다비드가 그렇게 그림을 잘 그린 물론 지금과 같은 것은 아니지만

호크니가 위대한 화가가 된 것은 누구보다 서양미술사를 제대로 꿰뚫고 있기 때문, 고전을 모르고 현대를 창조할 수 없다. 그의 그림은 첨단 카메라가 가능하게 했다. 그렇지만 그는 사진은 움직임을 주는 면에서 회화에 못하다고 본 것인가.

호크니 방식의 서양미술사를 호쾌하게 해석한 책이 바로 아래의 책이 아닌가 싶다 아직 보지는 못했지만 그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움직임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고흐의 별밤의 별은 끊임없이움직인다. 호크니의 미덕은 대중지향적이다 그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서 대중들에게 아주 친근하게 설명한다. 그는 어린아이처럼 사람들을 좋아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