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전시행사소개

[갤러리현대]《55주년: 한국 현대미술서사》 I부 4.4~5.15 II부 5.22~6.29

55주년: 한국 현대미술의 서사Part I 2025. 4. 4 5. 15 Part II 2025. 5. 22 6. 29 갤러리현대 본관, 신관 // 1부 본관 전시 작가 도상봉 박생광 오지호 김환기 윤중식 박수근 이중섭 최영림 장욱진 박고석 황염수 김흥수 박래현 임직순 이대원 권옥연 천경자 문학진 변종하 김상유 김형근 김종학 류병엽 황영성 / 1부 신관 전시 작가곽인식 백남준 이승택 곽덕준 김차섭 임충섭 박현기 이건용 이강소 성능경 신성희 김명희

갤러리현대는 개관 55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55주년: 한국 현대미술의 서사를 갤러리현대 본관(현대화랑, 삼청로 8)과 신관(갤러리현대, 삼청로 14) 전관에 걸쳐 1부와 2부로 나누어 개최한다. 197044일 오전 10, 인사동에 현대화랑으로 첫발을 내디딘 이후 창작에만 몰두하는 전업 작가들의 전시를 개최하며 그들의 작업 세계를 대중과 국내외 컬렉터, 기업과 세계 유수 기관으로 널리 알리는 미션을 반세기 넘는 세월 동안 실천해 왔다. 이번 전시는 갤러리현대와 오랜 인연을 이어가며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역사가 된 작가들의 주요한 작품을 소개하고 갤러리현대와 한국 미술사의 지난 55년과 현재, 나아가 미래를 살펴보기 위한 자리이다.

55주년: 한국 현대미술의 서사1, 본관에서는 한국 1세대 모더니스트 작가들이라고 할 수 있는 도상봉, 박수근, 이중섭, 임직순을 비롯하여 사실주의 양식의 구상 회화 작가들, 모던아트협회, 신상회, 구상전 등 단체에서 활발히 활동했던 반추상 양식의 김환기, 장욱진, 이대원, 최영림 등 1941년 이전 출생 현대적 구상 회화작가 24명의 대표작 50여 점을 만나볼 수 있다. 신관에서는 2세대 화랑주인 도형태 부회장이 본격적으로 갤러리 프로그램에 관여하며 시작된 한국 실험미술 작가 다시 보기프로젝트를 대표하는 작가들과 도형태 부회장이 뉴욕대학교 재학 시절부터 파리 유학 시기에 인연을 맺어온 디아스포라 작가들 총 12명의 대표작 180여 점이 소개된다.

본관의 일제강점기 한반도에서 태어나 일본 유학을 한 1세대 서양화가들이 주축이 된 자연주의 경향의 서정적 향토색이 강한 구상회화와 신관의 한국전쟁 이전에 태어나 격동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아방가르드 정신을 현대미술로 실천한 12명의 작가는 작품을 통해 치열하게 우리의 본질을 성찰했다. 그룹 차원의 미술 운동 혹은 코리안 디아스포라 마이너리티(소외 받는 자)로서의 새로운 세계관을 창의적인 미술 언어로 사회와 역사를 사유하며 오늘날에도 울림이 있는 시대를 초월하여 변함없는 가치로 관객의 마음을 파고든다. 갤러리현대와 55년을 함께 해 온 미술가들은 국내외 다수의 연구자의 연구와 세계 미술시장에서 굵직한 위상을 남기며 역사로 쓰이고 있다.

동양화가 주를 이루던 1970년대, ‘현대화랑은 고객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취향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고 화단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작가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한편, 평론가들의 현대미술 트렌드에 대한 조언을 수렴하여 기획전을 개최하며 시장에서도 주목받는 성과를 이뤄냈다. 본관 전시장은 당시 모더니스트이자 한국 서양화의 1세대 작가 도상봉(19021977)1970년대 작품으로 시작한다. 백자, 라일락, 고궁 등 한국적 소재를 주로 다루었던 작가는 당시 한국 화단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 중 한 사람이었다. 현대화랑이 개관하던 1970년부터 1975년까지 도상봉은 현대화랑에서 총 5회의 개인전을 가졌고, 작고 후 1987년에는 현대화랑에서 도상봉 10주기전을 열었다. 이어서 한국적 감성과 인상주의적 기법을 결합하여 한국적 인상주의로 불리는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한 오지호(19051982)의 작업은 맑고 생동감 넘치는 색채와 대담한 붓 터치로 한국의 자연과 풍광을 담아낸다. 작가는 1973오지호 화백 초대전을 시작으로 갤러리현대의 다양한 그룹전에서 작품을 선보였다. 서민들의 삶과 일상적 풍경을 단순화된 선과 구도, 회백색의 화강암 질감을 연상하는 질감으로 담아낸, ‘국민 화가로 불리는 박수근(19141965)1950, 1960년 작품과 소, , 어린이, 가족 등 한국의 전통적 소재를 민족적 감성과 서정적 감수성으로 담아내고 소박하면서도 강렬한 감동을 전하는 작품으로 한국 현대미술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이중섭(19161956)1950년대 작품들이 소개된다. 박수근은 갤러리현대가 개관한 1970박수근 유작 소품전부터, 1985박수근 20주기 회고전, 20025월의 문화 인물 선정 기념: 한국의 화가, 박수근, 201045주기 기념 국민화가 박수근전을 개최하며 지금까지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 1970년대부터 갤러리현대와 인연을 맺은 장욱진(19171990)은 동양적 정신과 서양화 기법을 결합하고 일상적이고 소박한 소재를 통해 해학과 순수함이 담긴 독창적인 화풍을 통해 한국적 모더니즘을 확립한 작가이다. 1970년대부터 갤러리현대와 오랜 인연을 맺으며 다양한 전시를 개최한 바 있다.

1층 안쪽의 전시장은 권옥연(19232011)1992년 작업 여인으로 시작된다. 프랑스 유학 시절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미술 이론가 앙드레 브르통에게 동양적 쉬르레알리즘(초현실주의, Surrealism)’이라고 호평받은 그는 특정 사조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톤과 청회색조의 추상과 구상을 넘나드는 독창적 화풍을 이룩해냈다. 2023년에는 작가 탄생 100주년을 기념한 권옥연 100주년 기념전을 갤러리현대에서 개최했다. “뉴욕시대이전, 전통 산수화의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김환기(19131974)1950년대 작품들이 소개된다. 갤러리현대는 1977김환기 회고전 19541970을 시작으로, 1982WHANKI 19631970, 1989김환기 15주기 전: 김환기 데생 · 과슈부산 · 파리 · 뉴욕(19521966)1994김환기 20주기 회고전: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1999김환기 25주기 추모전: 김환기 서울 · 뉴욕시대, 2012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김환기, 2013Works on Paper: 김환기 탄생 100주년 기념전, 2015김환기의 선 · · , 2024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 김환기, 유영국, 이성자전에 이르기까지, 사후에도 갤러리현대는 지속적으로 그의 예술세계를 조명하는 전시를 개최해 왔다. 모자이크 기법에서 착안한 색면 분할과 화려하고 장식적인 화풍이 특징인 김흥수(19192014)1957년 작품 길동무120호 대형 작품으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의 명화를 만나다 - 한국근현대회화 100전에서 소개된 작업이다. 박명자 회장과 인연이 깊은 이대원(19212005)19501960년대 모노크롬과 미니멀리즘이 주류를 이루었던 화단에서 산과 들, 나무 등 자연 소재를, 풍부한 원색과 연속적인 붓 터치로 형태와 윤곽을 그리며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박명자 회장은 이대원이 운영하던 반도화랑에서 직원으로 1961년부터 8년간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화랑을 설립했다.

본관 2층 전시의 시작은 천경자(19242015)의 초상화에서 시작된다. 그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화의 채색화 분야에서 독창적인 화풍을 개척했다. '꽃과 여인의 화가'로 불리며, 고독하고 몽환적인 눈빛의 여인, 화려한 색채, 독특한 구성으로 신비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작품들을 선보였다. 본 전시에는 자화상뿐 아니라 보라색 코끼리 위에 자유로운 여인이 누워있는 1978년 작 초원 II를 감상할 수 있다. 천경자와 함께, 전통적인 한국적 소재와 강렬한 색채를 결합하여 독창적인 채색화를 개척한 인물로 평가받는 박생광(19041985)1980년대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박생광은 불교, 무속, 민속 등을 소재로 강렬한 색채와 독창적 조형 언어를 통해 한국적 정체성을 표현했다. 또 한 명의 동양화 작가 박래현(19201976)은 일본화의 영향을 벗어나 서구 모더니즘을 수용한 새로운 한국화 양식을 발전시킨 인물로, 1960년대부터는 추상화와 판화로 작업 영역을 확장하며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했다. 특히 앵포르멜 기법과 태피스트리 작업으로 주목받았으며, 그의 작품은 동양과 서양 미술의 융합을 실험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남편 김기창과 함께 부부전을 열기도 했으며, 미국 등 해외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였다. 전시에 소개되는 1956년 작품 는 작가가 막내딸을 임신했을 때이며, 대한미협전과 국전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해이기도 하다. 이외에도 김형근(19302023), 류병엽(19382013), 황영성(1941년생), 김상유(19262002) 등 한국적 구상화의 대가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갤러리현대 신관은 갤러리현대의 주요한 프로그램인 한국 실험미술 작가 다시보기를 대표하는 작가들과 디아스포라 작가들의 대표작으로 구성된다. 지하에서 2, 1층으로 이어지는 관람 동선을 통해 관객들은 작품이 제작된 시대순으로 그들이 사유한 세계관을 작품을 통해 마주하게 된다. 전시의 출발은 지하 전시장에서 시작된다. 곽인식(19191988)과 곽덕준(1937년생)은 실험미술의 선구자이다. 미술가로서의 커리어를 전후 일본에서 보낸 코리안 디아스포라 작가로서의 정서가 짙게 밴 실험적인 작품이 소개된다. 곽인식의 1962년에서 1963년에 걸쳐 제작된 깨진 유리판작업은 일본 유학 시절에 몰두했던 입체주의, 야수주의, 초현실주의 등 일본 화단에서의 최첨단의 경향에 조금도 뒤지지 않던 이전의 유화 작업과 결별하며 사물 자체가 미술작품이 되는 물성이 강조되는 실험미술로 나아간 작가의 선구적인 아방가르드 정신을 대표하는 작업이다. 곽덕준이 1966년에서 1969년 사이에 제작한 페인팅은 재일한국인으로 냉소와 조롱이 섞인 시선을 견뎌내야 했던 삶을 역설적인 유머로 승화시킨 회화다. 곽덕준이 1970년부터 개념미술 작품으로 완전히 방향을 바꾸며 국제적 인지도를 갖게 되면서 이 작업은 30년간 봉인되었다가 1998년 도쿄 유라쿠초 아사히 갤러리에서 열린 전시 곽덕준의 회화, 또 하나의 60년대를 통해 최초로 세상에 공개되었고, 2014년에 오사카 국립국제미술관에서 열린 초대 개인전 곽덕준, 1960년대의 회화를 중심으로를 통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한국 미니멀 비디오아트의 선구자로 알려진 박현기(19422000)1981년 작 도심을 지나며는 박현기의 퍼포먼스 작업 중 스케일과 컨셉 면에서 단연 최고로 꼽을 수 있는 작품이다. 갤러리현대 전시를 통해서는 처음 소개되는 작품으로 멀티미디어 퍼포먼스 작업을 처음으로 사진과 영상을 병치해 퍼포먼스의 스케일을 가늠해 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1981322, 40분간 진행된 도심 횡단 프로젝트를 위해 총 3개의 돌이 제작되었으며, 각각 작품 A, 작품 B, 작품 C으로 존재했으나 원본은 모두 소실되었다. 성능경(1944년생)1970년대 대표작인 수축과 팽창의 원본 필름, 1980년대 대표작인 현장시리즈와 더불어 2023년에 거행된 100인과 함께 진행된 신문 읽기: 100인의 퍼포먼스퍼포먼스 영상이 함께 전시된다. 또한, 아무도 상상 못했던 2024123일에 벌어졌던 계엄령 사태가 대서특필된 동아일보 신문을 읽은 결과물이 신문과 사진 작업으로 함께 전시된다. 반세기 동안 제작된 성능경의 일련의 작업을 통해 역사의 증언자로 살고자 했던 그의 예술관을 집약적으로 읽을 수 있다.

신관 2층 첫 번째 방은 1940년대생 코리안 디아스포라 작가들의 결이 다른 회화의 조우가 한국을 떠나 미술가의 길을 걸어간 남다른 정서를 담아낸다. 김차섭(19402022)1974년 미국으로 건너가 한국 실험미술 작가로는 가장 이른 시기인 1975년에 뉴욕현대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된 작가다. 그의 대표작인 역지도시리즈와 〈π〉 시리즈가 소개된다. 전시에 출품된 회화 모두에 π찾기의 재미있는 수수께끼가 담겨 있다. 김명희(1949년생)는 맨해튼 소호와 춘천 내평리에 있는 폐교를 개조해서 만든 작업실 사이를 오가며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김명희는 흰색의 캔버스가 아닌 흑색의 매끄러운 칠판에 분필의 느낌을 내는 오일파스텔로 그리는 칠판 화가로 알려져 있다. 폐교에 남아있던 분필 자국 가득한 칠판이라는 평면에 세계 일주를 하며 만났던 다양한 인물과 자연에 상상력을 더해 초상화와 풍경화를 그려간다. 칠판의 그림자를 바탕으로 파스텔의 옅은 색을 올려 생동감 넘치는 인물과 자연을 창조해 낸다. 신성희(19482009)2월 개인전이 파리 시기 이후의 작품을 조명했다면, 55주년 전시에는 파리 결행을 감행하기 전까지 매달렸던 작업이 소개된다. 멀리서 보면 모노크롬이지만 사실은 추상이 아닌 극사실로 마대 위에 마대를 묘사했던 1970년대 대표작 마대 회화1969년 작 2점이 전시된다. 한국(동양)과 미국(서양), 자연(시골)과 문명(도시), 과거와 현재, 여백과 채움, 평면과 입체, 추상과 구상 등 양자 사이에 다리를 놓는 독자적인 조형세계를 구축해온 임충섭(1941년생)의 부조 작업 및 드로잉이 함께 소개된다. 작가는 허드슨강 변을 거닐며 우연히 마주친 사물들을 수집하고 이를 작품에 활용하는데, 촉매-13는 그렇게 모은 오브제들을 특유의 조형이 돋보이는 작업으로, 만남과 인연이라는 주제를 풀어낸다. 함께 선보이는 드로잉 시리즈는 사잇개념을 시각화한 작업으로, 그는 이 연작을 통해 동양 서예의 방법론이 서구 추상미술 형성 과정에 미친 영향을 되새기며, 사잇에서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확장해 나갔다. 이승택(1932년생)비조각캔버스 시리즈와 1963년작 옹기 작업을 재제작한 설치 작업과 함께 처음으로 소개된다. 이승택은 버려진 물건 혹은 골동품상에서 우연히 눈에 들어온 각종 오브제적인 재료들을 평생에 걸쳐 모아 왔는데, 팔순을 넘기면서 미완성의 재료들을 작품으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에 2015년 개인전 이후로 집중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한 시리즈다. 서울에서 태어나 독일과 미국에서 첨단 미디어를 적극 활용한 작업을 통해 국제미술사에서 비디오아트의 창시자로 역사가 된 디아스포라 작가 중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백남준(19322006)의 대표적인 로봇 조각 프랑켄슈타인1점이 전시된다. 첨단의 기술을 사용하여 미래를 예측했던 코리안디아스포라 거장과 전통에서 한국현대미술의 정신을 찾으며 사라져가는 전통의 민속적 물건들을 현대미술로 승격하고자 했던 이승택의 완전히 다른 미술을 대하는 태도가 흥미로운 대화를 이끌어낸다.

1층은 한국실험미술의 거장이며, 미술시장에서도 사랑받은 두 작가의 신작이 나란히 걸린다. 이건용(1942년생)과 이강소(1943년생)는 각각 ST 그룹의 리더로, 신체제와 대구현대미술제 그룹의 리더로 실험미술이 전국적인 규모의 미술운동으로 확장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혁신적인 퍼포머였다. 이강소는 1971년 제2AG전에 전시장을 갈대밭으로 만들고, 이건용은 1971년 한국미술협회전에 나무를 뿌리째 지층을 포함한 상태로 미술관에 설치했다. 이후에도 혁신을 이어가던 두 작가는 여전히 퍼포먼스 성격이 짙은 회화로 관객과 소통하기를 이어가고 있다. 이강소는 의도가 없는 그려지는 그림을 화면 앞에서 전통의 붓으로 수련의 방편으로 순간순간의 직관을 따라 저절로 되는 그림을 그린다. 그림은 여지없이 작가가 사유한 순간, 혹은 텅 비운 채 멈춰서 명상한 순간의 결들이 쌓여 관람자에게 무한대로 열린 해석의 공간을 제시한다. 이건용은 논리적인 의도를 가지고, 자신의 팔이 미칠 수 있는 곳까지 화면의 뒤에 서서 보지 않고 그림을 그린다. 그의 바디스케이프시리즈는 신체의 한계, 팔의 가동 범위로 인해 엄격하게 표현을 통제하며 그림을 그린다. 회화를 대하는 태도는 정반대이지만, 회화를 전공하며 평생을 미술로 사유했던 두 대가의 내공이 느껴지는 대표적 회화 작품이 나란히 전시된다.

522일부터 시작되는 2부 전시는 현대화랑이 1970년대 후반부터 적극적으로 개인전을 개최하기 시작한 프랑스에서 활약했던 재불 화가들,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소개하기 시작한 완전한 추상 양식의 회화 작가들의 대표작들로 구성되며, 현대화랑에서 갤러리현대로 확장해 간 20세기 후반까지의 여정을 본관에서, 신관에서는 역사 쓰기의 진행형에 속한 현대미술가들의 근작과 신작을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