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외아트페어

[프랑스문화원] 제2회 '사유의밤' 현대인들 과속에 쫓겨?

2'사유의 밤(서울)' 빨리빨리: 현대 사회는 너무 빨리 가는가

시간: 2019.1.31.(), 19h-23h 장소: 서울대미술관, 오디토리엄(F1), 관악구 관악로 1) 

현대인은 속도귀신에 홀리고 있다질주하는 과속시간 속에 교통사고를 당하고 있다

서울의 밤 토론회 모습 서울대 교통이 좀 불편하지만 잘 다녀왔다. 

[사유의 밤은 파리 프랑스문화원 주최로 2016년에 처음 시작되었다. 현대사상을 논하고 사유를 공유하는 연례행사다. 지식인, 연구원, 예술가, 작가, 기자, 국제 지도자의 의견을 나누는 장이다. 매해 1월 마지막 주 목요일, 전 세계 100여개 이상의 문화 기관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강연, 토론, 영화상영, 예술 퍼포먼스 등 다양한 형식의 행사를 열고 있다. 

2019년도의 큰 주제는 «현재에 직면하다», 주한 프랑스문화원은 서울대학교 미술관과 함께 '시간 지각 및 변형된 시간성'에 대해 고찰해 보려 한다.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 2<사유의 밤»<빨리 빨리: 현대 사회는 너무 빠른가?>라는 주제로, 프랑스와 한국의 사상가, 예술가들이 모여 축제 분위기 속에서 토론이 진행되었다. 

어떻게 시간의 주인으로 살며 자기만의 행복한 시간을 창출할 것인가 이것이 문제로다. 

이와 함께 모든 사람에게 시간의 평등(equality)이 중요하다. 시간배려에 대한 약자의 보호는 결국 우애(fraternity)에서 오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에서 주인으로 행복 하게 사는 것 즉 자유(liberty)와 관련 있다. 결국 시간문제 해결은 프랑스 혁명정신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 

질 높은 시간을 독점하는 사회는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보다 질 높은 시간을 누릴 수 방안을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번에 프랑스 렌(Rennes) 시장이 관심을 두고 실시하는 <시간정책부서>를 운용하고 있는데 이 부서의 실무자 카차 크루케(Katja Kruger)가 이번 모음에 초대를 받았다. 

'카차 크루게' 오른쪽에서 2번째

[카차 크루게는 누구인가?] 프랑스 렌 시장 보좌관, 유아 및 도시의 시간 정책 담당. 프랑스는 2002년부터 렌시 등의 도시를 시작으로 프랑스 전역에 시간 사무소를 개설하기 시작하여 시간 정책을 개발시키고 있다. 카차 그루게는 2017년부터 프랑스 지역시간 네트워크 (Tempo Territorial)에서 대표직을 맡고 있다. 

시민들의 분절된 시간낭비를 막아주고 시간에 관련한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서 생긴 부서이다. 사실 이것은 노동의 질과 사회적 약자의 열약한 노동환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 여성운동과도 연관성이 높다. 

한 예로 시청 청소하는 여성 노동자들이 처음에는 직원이 출근하기 전 그리고 출근 후 화장실 청소를 했는데 그렇게 되면 너무나 노동자들 시간이 분절되어 그냥 근무시간에 일하게 하고 그래서 생산성이나 이직율을 낮추고 여성들 육아에 시간을 아끼는 좋은 결과를 냈다고 하는데 한 예이지만 시간정책과 관련되어 할 일은 너무나 많다. 

<프랑스에서 부러운 것 하나는 바로 철학교사다> 

이번 행사에 참여자 중 '제름 레브로'(Jerome Lebre) 철학교사가 초대되었다하긴 그 유명한 철학자 사르트르가 한때 고등학교 철학교사였다프랑스는 알다시피 고등학교에서 철학을 필수로 배운다그런데 철학교사의 수준이 높다이미 고등학교에서 상당한 수준의 석학급 수업을 맛볼 수 있는 것이다그러니까 굳이 대학을 가려고 하지 않는다. 

제롬은 수재학교인 파리고등사범출신에도 저서가
10권이나 된다. 대표적 저서가 시간론에 관한 <부동(不動)에 대한 찬사> 프랑스 국제철학학교 디렉터이고 투르즈 철학연구소 회원이다 시간에 대한 철학을 논하는 것이 그리 쉽지 않은데 사진 맨 왼쪽이 바로 제롬이다. 

[추가] 파리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 후, 파리 엘렌 부셰 고등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뚤루즈의 철학 연구소 Erraphis 회원이며, 프랑스 국제철학학교에서 프로그램 디렉터를 맡고 있다. 10여권의 책을 집필한 저자이기도 하며, 주요 저서로는 '속도(Vitesses, 2011)', '(不動)에 대한 찬사(Éloge de l’immobilité, 2018)' 등이 있다. 

현대인은 속도귀신에 홀리고 있다 현대인은 과속시간 속에 교통사고를 당하고 있다. 일상에서 빠른 시간과 느린 시간의 조화 '34'처럼 '월화수'는 빠른 시간 '목금토일'은 느린 시간(혹은 '월화수목'은 빠른 시간 '금토일'은 느린 시간) 이런 두 가지 시간의 조화와 균형감은 몸에 리듬을 준다. 시간으로부터 얽매임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의 문화 아까 말한 부동과 정지에 대한 찬가와 같은 시간 개념도 때로 필요하다 백남준 식으로 하면 '무시간(Timelessness)' 같은 것 이것은 개념적으로 영원한 시간일 수도 있다 자기만의 독특한 시간을 만들기 디자인하기가 중요하다. 각자 다르게 하루의 시간 디자인을 어떻게 할 것인가 생체적 시간으로 할 것인가 물리적 시간으로 할 것인가 각자의 몫이다. 

시간의 긴박성-촉박성-가속성 등은 어디서 나오는 것인가? 문제는 몸이 빨라지는 것이 아니라 마음만 빨라진다는 것이다. 시간의 문제가 좀 복잡하다. SNS시대 문제점은 시간을 즐기고 느끼고 향유하는 것이 아니라 멋지게 보이려고 하는 과시증(포장)과 관음증으로 정말 시간을 만끽하지 못하는 게 사실이다. 그래서 항상 시간에 쫓긴다. 혹은 부족하다. 

시간에 대한 신구세대의 차이의 대표적 예는 하나 들면 이런 것이다. 구세대가 볼 때는 저축을 하지 않고 신세대를 삶의 질 시간의 질을 요구하면 여행에 다 돈을 써 버린다. 

<한국인의 빨리빨리 원인은 무엇인가?> -공동체 놀이를 해 보면 1분이 너무나 긴 시간이다. 

한국인의 빨리빨리의 원인은 무엇인가? 물론 자본주의의 생산성(조직성-효율성)이 당연히 작용하겠지만 이면에는 아픈 역사와 고통을 빨리 외면하고 조급하게 앞으로 나아가려고만 하다가 생기는 현상(?)이다.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듯 사람마다 필요한 시간이 다르다. 

당신의 시간은 안녕하신가요? 나와 타인의 시간 리듬은 다르다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마다 서로 다른 시간 리듬의 배려가 요구된다. 그런데 한국은 기마민족의 기질이 있어 빠를 수밖에 없다 과거에는 빠르지 않았지만 오늘날 환경이 그런 우리의 유전자를 더욱 자극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빠른 것이 다 나쁜 것은 절대 아니다. <결론> 시간은 인간이 만드는 것이다 시간의 주인은 인간,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시간의 강박을 버려야 한다. 

[100년 전 프랑스는 주당 70시간을 일했다. 지금은 35시간 일한다]

100년 전 프랑스는 주당 70시간을 일했다. 지금은 35시간 일한다 그런데 한국은 아직도 주당 70(?)시간 일하는 곳이 있다. 한국은 최근에 주당 40시간(거기에 12시간을 더 할 수 있다) 내 생애 시간문제를 가지고 이렇게 진지하게 토론하는 것은 처음 봤다 시간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이 뭔지? 장소의 불평등은 많이 언급하지만 시간의 불평등 해소 방안이 뭔지? 사회적 시간, 인간적 시간, 문화적 시간, 질이 높은 시간 등 묻는 특별한 시간이었다. 

프랑스 렌(Rennes) 시에 직속정책기구인 <시간정책부서> 실무자로 부터 시간단절예방의 사례 등등까지 내용이 아주 풍부하고 다양했다.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도 많았다. 예컨대 지하철 러시아워 해결 방안 모색하면서 가장 밀리는 역이 이 도시의 한 대학 역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학당국과 여러 차례 만나 학생들 반은 15분 늦게 수업을 시작하는 정책으로 완전 해소할 수 있었다고 한다. 초고속 자본주의 생산성과 당연히 관련이 있어 보인다.

'사유의 밤' 사회자 참가자 [1섹션 사회자] 세바스티앙 팔레티: 2009년부터 프랑스 일간지 '르피가로'(Le Figaro)와 주간지 '르 푸앙'(Le point)의 동아시아 담당 특파원으로,한국에 대한 여러권의 책을 집필했다. 주요 저서로는 탈북자 김은선과 공동 집필한 <Corée du Nord, 9 ans pour fuir l’enfer (Michel Lafon, 2012)> (열한 살의 유서, 2013 씨앤 아이북스)>, <Corée du Sud, le goût du miracle (Nevicata, 2016) (한국, 기적의 맛), <La piste Kim Voyage au coeur de la Corée du Nord> (2018)(김정은-북한여행)이 있다. 

[토론자] <1> 제롬 레브르: 파리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 후, 파리 엘렌 부셰 고등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툴루즈의 철학 연구소 에라피스(Erraphis) 회원이며, 프랑스 국제철학학교에서 프로그램 디렉터를 맡고 있다. 10여권의 책을 집필한 저자이기도 하며, 주요 저서로는 Vitesses(속도) (2011), Éloge de l’immobilité (부동에 대한 찬사) (2018) 등이 있다. 

<2> 주재형 철학박사. 앙리 베르그손의 생명 철학 연구로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박사 학위 취득. 현재 단국대, 서울대, 연세대 등에서 현대 프랑스 철학 강의. 역서로 '가치는 어디로 가는가”(공역), '현대 프랑스 철학이 있고 베르그손, 들뢰즈, 푸코, 데리다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썼다. 

<3> 이지영 세종대 교양학부 교수. 서울대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옥스포드대학에서 영화미학 박사를 수료했다. 전공은 들뢰즈 영화철학으로, 영화와 매체에서의 시간성, 시간적 존재론이 주 관심분야이다. 저서로는 'BTS 예술혁명-방탄소년단과 들뢰즈가 만나다'(파레시아, 2018)이 있다. 

[2섹션 사회자] 윤서영: 콘텐츠 컨설팅사 Sync의 대표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영자신문 코리아타임즈에서 다년간 기자로 활동했다. 영어 라디오 방송 TBS eFM의 오전 시사 프로그램 고정 게스트로도 출연했으며, '남중국모닝포스트'의 객원기자로 활동하다. 

[토론자] <1> 카차 크루게: 프랑스 렌느 시장 보좌관, 유아 및 도시의 시간 정책 담당. 프랑스는 2002년부터 렌느시 등의 도시를 시작으로 프랑스 전역에 시간 사무소를 개설하기 시작하여 시간 정책을 개발시키고 있다. 카차 그루게는 2017년부터 프랑스 지역시간 네트워크 Tempo Territorial에서 대표직을 맡고 있다. 

<2> 손대현 한국슬로시티본부 이사장, 국제슬로시티연맹 부회장, 한양대 명예교수: 1999년 이탈리아에서, 슬로푸드 먹기에 영감을 받은 몇몇 시장들이 모여, ‘치따슬로(cittaslow)’, 즉 슬로시티(slow city)운동을 출범시켰다. 슬로시티는 에너지 및 환경정책, 농업, 관광 및 전통예술 보호 정책 등의 기준으로 평가되어 인증된다. 1999년 국제슬로시티운동이 출범된 이래, 최근(201810월 기준)까지 30개국 257개 도시로 확대되었으며, 한국도 15개의 슬로시티가 가입되어, 아시아 슬로시티 운동의 중심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다. 

<3> 김화자: 파리 10대학(Nanterre) 철학과에서 메를로퐁티와 뒤프렌의 현상학적 미적 지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하이브리드미래문화연구소의 연구원이며, 학부대학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시몽동의 기술철학에 근거에 현대와 미래 기술문화 사회에서 인간-기술의 상호공생 및 공동체에 대해 연구해 왔다. 4차 기술혁명시대를 맞아 문화적 기억과 인간 의 경험적 가치가 스마트시티에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논문으로 <사물인터넷과 메를로퐁티의 상호세계’> <4차 산업혁명의 O2O 플랫폼으로서 AR>, <‘상호적응형 자동화모델로서 인간행위-공유플랫폼의 융화 : 컬쳐팩토리로서 팹랩> 등이 있다.

[종합 질의-응답] 201910H30-22H : /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청중들은 스마트폰에서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어플(Pigeonhole Live)을 통해 모든 연사들에게 질문할 수 있다. 높은 득표를 얻은 질문들이 채택될 것이다. 22H-23H : 칵테일파티

카테일 파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