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자-地水火風전] 한국적 삶의 기상천외한 유연성의 상징인 보따리를 전세계에 전하다
연민보따리 싸들고 전세계 유목하는 관음보살 혹은 성모마리아
- 비디오보따리전 강남구신사동 아뜰리에에르메스에서, 2010.01.09-03.28까지
지금 한국과 스페인에서 동시에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스페인에서 인터뷰장면
김수자(1957~) 공식 홈페이지 http://www.kimsooja.com
김수자작가소개 추천사이트. http://www.b-fragile.com/?p=1597
김수자작가 - 천으로 삶을 표현하다 http://navercast.naver.com/korean/artist/1440
그는 백남준 이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유명한 개념미술가다. 보따리를 세계화하는 데 성공했다. 보따리는 여성의 위대함을 메타포이자 한국적 유연성의 상징이다. 그는 보자기로 싸매고 바늘로 꿰매고 죽은 것을 살려내는 살림의 미학을 보따리의 개념미술로 선보이고 있다.
그는 연민보따리 싸들고 전세계 유목하는 살아있는 관음보살 혹은 자비와 연민의 여신 아니면 성모마리아다. 그는 중생의 고통을 보고(觀) 중생이 신음소리를 듣고(音) 있다. 그는 인간과 함께 숨쉬고 호흡하는 우주가 움직이는 소리와 모양을 듣고 보고 있다. 그는 날마다 보따리 퍼포먼스를 통해 우주와 교신한다. 자비를 향한 신이 위력을 요청한다. 그는 거기에서 기류와 열기와 에너지를 얻는다. 불교와 도교 샤머니즘(무기)과 신기가 예술적으로 결합하면서 화산이 터진다.
그는 '보따리'라는 말을 세계화시켰다. 이것만으로 큰 공로다. 나는 한국어 중 무슨 단어를 세계화시킬 수 있을까 생각해 본다. 보따리는 그 유연성에서 최강이다 우주를 보따리 하나에 다 담을 수 있다.
김수자에게 있어 하늘이 바다고 바다가 하늘이다. 양이 음이고 음이 양이다. 이런 공존은 서양인에겐 낯설다
'보따리 작업'으로 유명한 세계적인 설치작가 김수자(1957~)씨가 10년 만에 국내 개인전을 연다. '지수화풍(地水火風ㆍEarth, Water, Fire, Air)'이라는 제목으로 오는 9일부터 3월28일까지 서울 신사동 아뜰리에에르메스에서 신작을 선보인다. 2000년 서울 태평로 로댕갤러리에서 가진 개인전 이후 10년 만에 열리는 이번 전의 주제는 '지수화풍(Earth, Water, Fire, Air)'이다. 스페인 화산섬 카나리 그리고 아일랜드와 과테말라의 화산풍경을 잡아낸 7편의 영상작업을 선보인다. '공기의 불', '땅의 불', '물의 공기' 등 서로 순열조합하는 방식으로 제목을 붙였다.
이 작품은 자연의 기본요소인 '땅, 물, 불, 바람'을 통해 인간과 자연관계를 풀어낸 것이다. 화산 속 깊이 가라앉아 있는 '침전물'을 밖으로 분출하는 과정을 드라마틱하게 잡아내 인간과 자연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작가는 "내 작품은 화산의 첨예한 순간을 잡아내기 때문에 정신이나 지성의 사색이 아니라 자연이 지닌 몸짓 그 자체로 보면 된다"며 "젊은 시절 체득한 동양적 관조사상을 바탕으로 화산에서 영감을 얻고 내면으로부터 우러나오는 스토리를 영상으로 담아냈다"고 말한다 [아뜰리에에르메스 미술관자료]
아뜰리에 에르메르 입구에 김수자전 포스터
[인터뷰] Interview with Kimsooja Kelly Gordon, April 2008
*Kelly Gordon is an Associate Curator at the Hirsh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Washington DC.
1 Kelly Gordon: What is your process when you make video works? Do you begin with notes, diagrams, sketches, or storyboarding? How much does it change on site?
Kimsooja: I basically refuse to "make" things, and I try to keep everything as it is and as natural as possible. My ideas are almost never written down or based on stories. For example, when I was trying to do a commissioned video performance for CCA Kitakyushu, I had in mind a walking performance but I wasn't completely sure how to realize it in that particular environment. I was walking around the city with the videographer for a couple of hours because I couldn't find an idea for doing the performance in that cityscape in relation to my body and spirit. Finally, when I arrived at a street in Shibuya, where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were constantly passing through, like waves of a human ocean ebbing and flowing, I immediately understood the significance of my walking. I had a clear awareness of the contrast created between my body and the environment around me. It was a breathtaking moment. I had to stop and stand right there, remaining motionless against the flow of the people walking. I became like an axis, observing and contemplating the moment of people's coming and going, weaving past my body as a medium, like a symbolic needle. This is the moment when the standing still performance that occurs in A Needle Woman first happened.
인터뷰하는 작가김수자(2010.01.08) 그 다음날 파리로 출국해야 하기에 매우 분주했다.
This is also how I worked for A Laundry Woman - Yamuna River, India. I stopped while passing by the Yamuna, next to a cremation facility, where all the debris was floating by. In that moment, I found the connection to the location and time within my spirit and body, and I immediately asked my videographer to start documenting my performance.
Usually the performance lasts a maximum of thirty minutes, as that is the threshold of how long I can keep my body still. By the time my body reaches its limit, and through intense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the self and the other, I experience different stages of awareness and a new perception of the status of my body and the world around me. For example, there was a moment during the A Laundry Woman performance when I was completely confused whether it was the river moving, or me. Then I came to the awareness that my concrete body was standing motionless but that, in another sense, it was also running and would burn to ash very soon.
이번 서울전에서 선보인 비디오보따리. 사람뿐만 아니라 자연도 생로병사가 있다고 본다. 자연과 사람이 몸과 우주 속에서 4원소(地水火風)가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에너지를 분출시키는 가를 보여준다.
여기 '대지의 물 혹은 불(Water of Earth)'을 보면 용암이 흘러넘치고 나중에는 재가 된다. 사람의 몸도 마찬가지다. 때로 열병이 나고 병이 낫기도 한다. 작가의 대지에 대한 성찰과 깨달음은 우주만물이 하나로 돌아간다는 점인데 음양의 조화와 우주만물의 순환의 법칙을 이런 비디오보따리로 풀어내는 것 같다. 용암은 남성이 정액이 흐르는 것일 수도 있고 자연의 기와 에너지가 소화 작용을 하는 것일 수도 있다.
모 일간지 인터뷰에서 김수자씨는 이번 전을 이렇게 설명한다.
"란자로테 비엔날레의 초대를 받아 스페인 까나리 제도에 가서 '제가 발견해 낸' 자연의 모습과 소리들입니다. 지(地)수(水)화(火)라는 자연의 원소에, 에너지의 흐름(氣)이자 바람((風)으로 해석되는 순환과 역동의 에너지가 더해졌어요. 내가 발견한 자연의 유기성과 연기성을 분명히 해 주는 작업인 거죠. 내적 에너지나 예술적 충동이 있을 때는 어느 한순간에 스파크가 일어나는 것 같아요. 제 작업은 논리를 앞세워 전개하는 작업이 아니라 주어진 장소에서 순간 떠오르는 직관에 따라 작업을 하죠"
김수자오프닝행사에 참가한 사람들
2 KG: Which comes first, the idea or the site? You have filmed all over the world but the sites often feel very similar and have a trance-inducing quality. Do these attributes inform how you select the sites? What is your technique for making the viewer feel vividly there—present with you?
K: I usually don't plan things in advance; I just let it happen—sometimes waiting, sometimes wandering around until the right moment arrives. It arrives when I feel the energy, accumulated from that precise time and place, in my body. Then I immediately start a performance. It is a temporary mobile temple that I establish. This only happens when I am ready and have been searching for some connection between my mind and body and a specific context of space, culture, geography, and the conditions of nature and human beings within a place. The whole process feels true to myself. The performances and videos seem to be vivid and engaging to the viewer as a result.
김수자작가는 주변 인사로부터 인사 받느라 정신이 없다
3 KG: Your video works suggest a timeless dimension on several levels. While the works typically have ambient or minimal sound, one can imagine a voice-over beginning with "Once upon a time..." Yet even the videos from ten years ago seem very current.
K: Your perception of my work with regards to the spectrum of time is interesting. It is true that it looks current but at the same time quite old. I think this is because through most of my work I've been pursuing a sense of universality that is timeless and fundamentally truth—general human experiences. I also think that the present tense is created as the presence of my body as it functions as a medium or a void, through which the audiences gaze, rather than as an static and iconic representation. I don't believe in creating something new but in inventing new perspectives based on mundane daily life as it relates to contemporary art.
김수자전이 열리는 아뜰리에 에르메스 입구
4 KG: What are you working on now, and how is it like or unlike A Laundry Woman - Yamuna River, India and your other video works?
K: All my projects can look similar and at the same time be totally different. I've been working on a project called Mumbai: A Laundry Field since 2006, and am adding a couple more channels now. I've been to Mumbai again this year to film in another slum area where many people sleep on the streets, and I plan to go back this summer to film during the monsoon season.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other videos I've made so far, closer to a documentary format, without commentary but with edits. This piece brings together many of my previous practices relating to fabrics, the human body, and humanity, so it has a retrospective element to it.
Another video I am making now is called A Mirror Woman: The Sun & The Moon, which is a four channel video I filmed in Goa, showing the parallel relationship with The Sun and The Moon overlapped on top of the ocean waves and its reflections. I still have a series of videos I've been working on since 2005, involving architectural cityscapes around the world, which I haven't been able to finish yet. Other than that, I have a few other site-specific architectural projects I am currently working on in Europe, as well as a few other site-specific projects.
I actually don't think about consistency and the pieces' relationship to my other work. I believe they must be related naturally in the larger scheme. I only focus on trying to break my own boundaries by constantly questioning and opening up new horizons.
백남준아트센터 학예실장 토비아스 버거씨가 김수자작가를 만나기 위해 단숨에 달려 왔네요
5 KG: Your work often explores the physical and metaphorical aspects of materials and threads. What is the source of your fascination with textiles? How has this been manifest as your practice has evolved?
K: My fascination with fabric as a medium began when I was sewing a Korean bedspread with my mother in 1983. At this time I was questioning the "dimension of the surface on painting," and also searching for a methodology that could reveal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ructure of the world in a way not yet examined in the history of painting. When I put a needle into the structure of the fabric, which has both a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 I was thrilled and exhilarated, as if a ray of energy that seemed to come from the whole universe was penetrating through my body and my hands, and reaching to the needle point where it met the surface of the fabric. I was also interested in the fact that sewing layers on top of the structure of the fabric in a circular, performative way. This was the moment of my encounter with the yin and yang energy that has evolved in many different paths and levels in my practices. [KIMSOOJA 5 October - 31 January 2010]
Kim Sooja: 'A begger woman' 'A homeless woman' 'A Needle Woman'
'바늘여인(A Needle Woman)' 시리즈는 도심한복판에 등을 돌리고 선 작가자신이 쓸려 다니는 인파를 관통하는 '바늘' 그 자체가 되는 것을 영상으로 형상화한 작품으로 큰 찬사를 받았다.
Kim Sooja’s videos and installations blur the boundaries between aesthetics and transcendent experience through their use of repetitive actions, meditative practices, and serial forms. In many pieces, everyday actions - such as sewing or doing laundry - become two- and three-dimensional or performative activities. In videos that feature her in various personas (Needle Woman, Beggar Woman, Homeless Woman), she leads us to reflect on the human condition, offering open-ended perspectives through which she presents and questions reality.
"I’ve been trying to bring together a conceptual, logical and structural investigation of performance through immobility that inverts the notion of the artist as the predominant actor. Refusing to draw a systematic play of contrasts into any sort of tension charged dialectical relationship, I instead try to achieve a delicate equilibrium that opposite poles are brought to the fore as a natural basis for harmony: inserting myself as both subject and object of the viewer’s gaze, an individual and an abstraction, a specific woman and every woman, instrument and actress, motionless and purposeful, balancing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wishing that the fact of what the eye sees is a truism"- Kim Sooja
Artist Kimsooja reflects on her series of videotaped performances -"A Beggar Woman" and "A Homeless Woman" (both 2000-01) - realized in cities around the world: Cairo, Delhi, Lagos, and Mexico City.
In each work in this exhibition, Kim appears motionless, intensely observant of her surroundings, yet undisturbed by verbal or physical intrusion. The title piece, A Needle Woman (1999–2001) is made up of eight simultaneously projected videos, each documenting Sooja as she stands perfectly still in the crowded streets of Tokyo, New York, London, Mexico City, Cairo, Delhi, Shanghai, and Lagos. Rigid, clad in gray with her back to the camera, Sooja situates herself and the viewer against a global metropolis, her silent presence eliciting responses from passersby who together weave a social fabric around the artist's needle-like figure. At first, the motionless figure centers the viewer's gaze, yet as time passes, our eyes move elsewhere, scanning the faces in the crowd in order to gauge their reactions and emotions as we try to understand what the artist is doing in the street.
Although silent, with her face directed away from the camera, Sooja's willful suppression of desires communicates a questioning of human intention on deeply personal and spiritual levels. An allusion to themes of suffering is apparent in A Beggar Woman (Lagos, Nigeria), (2001), for instance, where the artist sits on a square of pavement with her right arm outstretched in supplic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piece, a few people stop and press coins or bills into her hand. After a few minutes later, a man strides over to the artist with a bill in his hand, which he then hides while taking money from Sooja's cupped hand. Although the viewer might expect something like this to happen, it is shocking when the thievery actually occurs. Sooja's manifested lack of desires renders the thievery completely irrelevant, and we are left to wonder what this "beggar woman" is asking for
The activities of this Korean artist, her travels and exhibitions, can be interpreted as her constantly weaving new relations. "It is the point of a needle that penetrates the material, and we can join two different hems of cloth with a thread that passes through the eye of a needle. The needle is an extension of our bodies and a thread is an extension of the mind. Traces of the mind always remain in the fabric while the needle leaves the field as soon as its work is done. The needle is medium, mystery, reality, hermaphrodite, barometer, a moment and a Zen(KImsooja)"
김수자전에 오프닝행사에 오신 유명인사가 많다. 요즘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작가 양혜규와 서도호
[양혜규편 Haegue Yang] http://www.heikejung.de/contentKor.html <강추>
상파울로비엔날레 참가한 양혜규. 그의 꼼꼼탐색블로그 http://navercast.naver.com/korean/artist/293
베니스비엔날레 설치작품을 점검하는 양혜규. 오블양혜규자료 http://blog.ohmynews.com/seulsong/278453
양혜규(Haegue Yang) I 설치작품 <사진출처> http://www.kukjegallery.com/05_artistsV.php?a_no=160
개인적인 경험과 주관을 전시와 작품이라는 보편적인 관계로 연결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상징하고 피력한다. 이렇게 삶에 얽히고설킨 유기성 연관성 상호관련성이 그의 주제다. 작가머리 속 상상세계는 궁금증을 유발한다.
양혜규 I '일련의 다치기 쉬운 배치- 개인적 한계에 대한 고민(Series of Vulnerable Arrangements - concerns towards personal limits)' 2009 국제갤러리
[서도호Do-Ho Suh(1962~)편] 서도호홈페이지 http://www.dohosuh.com
Do Ho Suh is a Korean sculptor and installation artist. He was born in Seoul, Korea in 1962. After earning his Bachelor of Fine Arts and Master of Fine Arts in Oriental Pain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fulfilling his term of mandatory service in the South Korean military, Suh relocated to the United States to continue his studies at the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and Yale University. Do Ho Suh leads an itinerant life, hopping from his family home in Seoul (where his father is a major influence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 to his working life in New York. Migration, both spatial and psychological, has been one of Suh's themes, manifested through biographical narrative and emotionally inflected architecture. Best known for his intricate sculptures that defy conventional notions of scale and site-specificity, Suh's work draws attention to the ways viewers occupy and inhabit public space. Interested in the malleability of space in both its physical and metaphorical manifestations, Do Ho Suh constructs site-specific installations that question the boundaries of identity. His work explores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ity, collectivity, and anonymity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uh Do-Ho I Some/One(installation of the 19th Venice Biennale Korean Pavilion) 2001 ⓒ Suh Do-Ho
서도호(suh do-ho)작품보기 http://www.korean-pavilion.or.kr/01pavilion/suh/s_main.htm
서도호(suh do-ho)홈페이지 lehmannmaupi미술관 http://www.lehmannmaupin.com/#/artists/do-ho-suh/
서도호(suh do-ho)블로그 소개 http://blog.naver.com/the_cat?Redirect=Log&logNo=120016432710
서도호 I 그는 한국인의 귀향본능을 이런 설치미술로 표현, 세계적 보편성을 얻고 있다. ⓒ Suh Do-Ho
김수자 IMAGE ⓒ Kiimsooja
1983년, 작가는 어느 날 어머니와 함께 이불을 꿰매다가 '천'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다. 인간이 탄생과 죽음의 순간에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접하는 물질 혹은 매개자임을 깨닫고 이를 예술로 연결한다. 이렇게 김수자에게 '천'은 단순한 물질로서가 아니라 삶과 혼이 충만하게 배어 있는 존재이다. 이런 깨달음은 개념미술가 뒤샹이 변기를 현대회화에 끌어들인 것과 같은 원리다.
김수자 IMAGE ⓒ Kiimsooja http://listart.mit.edu/node/219
김수자 IMAGE ⓒ Kiimsooja
김수자 IMAGE ⓒ Kiimsooja
삶이란 보따리를 싸고 수없이 이사하며 유목민처럼 떠돌며 삶의 희로애락을 맛보는 것이 아닌가. 백남준이 말대로 우리민족은 북방유목민이 남하하다가 결국 정착한 곳이 한반도인데 그 기질이 아직도 남아 이렇게 떠도는 것인가. 이 세상에서 이사를 많이 다닌 사람일수록 더 생각이 깊고 마음이 넓고 상상력이 풍부한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럽다. 나 같은 경우는 정주유목민이다. 몸은 움직이지 않고 상상으로 떠돌기를 좋아한다
김수자 IMAGE ⓒ Kiimsooja
김수자 IMAGE ⓒ Kiimsooja
They were presented at the Venice Biennial in 1999, heaped on a truck with which the artist had spent 11 days travelling along familiar routes in Korea. Being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raftwork, these bundles of cloth were at the same time a universal metaphor for movement.
The Kimsooja exhibition at the PAC includes several video projections as well as the large installation A Laundry Woman, 2000 in which traditional Korean fabrics, large and extremely colourful, richly embroidered with symbolic motifs, are fixed to thin wires strung across the parterre of the pavilion, like washing put out to dry. Visitors are invited to move among the gently swaying fabrics and to tangibly experience the beauty, delicacy and great colourful energy close up. While they are perceived in the artist’s installation primarily as aesthetic and symbolic elements, in Korea these fabrics have a precise practical function: on beds as a cover for resting, sleeping, loving, to wrap the dead, but also for wrapping up a person’s goods to carry in a bundle.
김수자 I '뭄바이 빨래터(Mumbai: A Laundry Field, 2007~2008)' IMAGE ⓒ Kiimsooja
인도 뭄바이의 빨래터, 밤거리 풍경, 슬럼가 골목, 사람들이 문에 매달려 가는 출퇴근 기차 등 각 10분짜리 영상 4개가 사방 벽에서 상영되고 있다. 사람 하나 간신히 지나갈 수 있을까 싶게 좁고 더러운 슬럼가 골목에는 너절하지만 빛깔이 고운 빨래가 널려 있다. 그 옆으로 달려가며 고개 돌려 비디오카메라를 신기한 듯 쳐다보는 아이들의 맑은 표정이나, 형형색색 널려 있는 빨래나, 이 골목의 현실과는 달리 밝고 다채롭다. 기차출입문에 짐짝처럼 매달려 있는 사람들의 하늘거리는 옷 역시 그들의 가난한 삶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비참한 경제적 현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동적이고 즐거운 사람들의 삶이 이 작은 방 안에서 대조를 이루며 바삐 돌아간다.
출처 http://navercast.naver.com/korean/artist/1440
김수자 IMAGE ⓒ Kiimsooja
파리시청 같죠. 김수자의 퍼포먼스는 그들에게 그 어느 철학자보다 많은 삶에 대한 성찰 서구문명에 대한 의심을 낳게 한다. 김수자에게 있어 자연과 인간 너와 나 문화와 일상 음과 양 밝음과 어둠 그리고 빈곤과 부유의 경계가 없다. 소위 원효가 말하는 '원융합일' 요즘말로 '화이부동'의 정신이 그 밑바탕에 깔려있다.
[작가소개] Kimsooja was born in 1957 in Taegu, South Korea. She earned a BFA (1980) and MA (1984) from Hong-Ik University, Seoul. Kimsooja videos and installations blur the boundaries between aesthetics and transcendent experience through their use of repetitive actions, meditative practices, and serial forms. In many pieces, everyday actions—such as sewing or doing laundry - become two - and three-dimensional or performative activities. Central to her work is the bottari, a traditional Korean bed cover used to wrap and protect personal belongings, which Kimsooja transforms into a philosophical metaphor for structure and connection. In videos that feature her in various personas (Needle Woman, Beggar Woman, Homeless Woman), she leads us to reflect on the human condition, offering open-ended perspectives through which she presents and questions reality. Using her own body, facing away from the camera, Kimsooja becomes a void; we literally see and respond through her. While striking for their vibrant color and density of imagery, Kimsooja works emphasize metaphysical changes within the artist-as-performer as well as the viewer. Kimsooja has received the Anonymous Was a Woman Award (2002), among others, and has been an artist-in-residence at the World Trade Center, New York (1998); P.S. 1 Museum, New York (1992–93); and Ecole Nationale Superieure des Beaux-arts, Paris (1984). She has had major exhibitions at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2009); Hirshhorn Museum and Sculpture Garden, Washington, DC (2008); 아래 계속
김수자 I '호흡-거울여인(To Breathe - A Mirror Woman)' 2006. IMAGE ⓒ Kiimsooja
위 작품은 스페인 마드리드의 유리궁전(the Crystal Palace)을 빛과 숨소리로 바꿔 호평을 받은 작품이다
김수자 I '호흡-거울여인' 2006. IMAGE ⓒ Kiimsooja
To Breathe - A Mirror Woman, 2006, site specific installation at Palacio de Cristal, Parque del Retiro, Madrid. Courtesy: Museo Nacional Centro de Arte Reina Sofía, Madrid
김수자 I '호흡-거울여인' 2006. IMAGE ⓒ Kiimsooja
김수자 I '호흡-거울여인' 2006. IMAGE ⓒ Kiimsooja
Museo Nacional Centro de Arte Reina Sofia, Madrid (2006); Magasin 3, Stockholm Konsthall, Sweden (2006); the MIT List Gallery, Cambridge (2005), and other institutions. Kimsooja has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the Venice Biennale (2001, 2005, 2007); Yokohama Triennial (2005); and Whitney Biennial (2002). Kimsooja lives and works in New York.
사진의 뒷이야기를 찬찬히 설명하는 박노해시인
이애주선생과 박노해시인. 박시인이 10년간 중동을 오가며 카메라에 담은 중동민중의 참혹한 애환사
김수자와 박노해는 동갑이다. 김수자는 보따리퍼포먼스로 1983년부터 한국여성의 한을 세계화했고 박노해는 1984년부터 민중의 현장에서 노동자의 한을 시화했다. 둘은 그런 면에서 비슷하다. 또 하나 비슷한 것은 '세속적 성자주의'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일종의 샤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의 꿈은 같다. 바로 세계의 공존과 평화다.
내가 가까이서 만나본 박노해는 충격을 줄 정도로 아름다운 인간이었다. 마음결은 누이처럼 포근하고 목소리가 들리지 않을 정도로 나긋나긋 말하는 여성이었다. 올곧게 살되 이를 부드럽게 소화할 줄 아는 남자였다.
시인도 영상이미지시대에 어쩌지 못하는 모양이다. 하긴 그는 시인이 되고 싶어서 시인이 되었다기보다는 80년대 한국의 정치상황과 시대가 시인으로 만들었고 그는 사진가가 되고 싶어서 사진가다 된 것이 아니라 2000년대 중동의 상황과 비극이 사진가로 만들었다.
[박노해 첫사진전]<라(Ra, 태양빛) 광야 - '빛으로 쓴 시'> 충무로 갤러리 M에서 2010년 1월28일까지
홈페이지 http://www.ra-wilderness.com 작가와의 대화 19일(화) 오후7시(대학생과 대화), 27일(수) 오후8시
바그다드의 봄 - 박노해
성직자 같은 박노해
공습사이렌이 울리는 바그다드의 밤중에도
연인들은 몰래 만나 마지막인 듯 서로를 애무하고
무서워 우는 아이에게 엄마는 자장가를 불러준다
포탄이 떨어지면 아이들은 땅바닥에 납작 엎드려
버섯구름이 채 흩어지기도 전에 다시 축구를 하고
아잔 소리가 울리면 다들 무릎을 꿇고 기도를 올린다
동생은 어제 산 운동화를 바꾸러 나가고
둘째 형은 낡은 자동차를 고친다고 기름투성이고
누이는 저녁을 준비하며 불을 피우고 차를 끓인다
지난밤 폭격으로 무너진 건물 아래 깔려 죽은
9살 아지자의 피가 말라 붙은 벽돌 틈에서
노란 민들레는 무심히도 꽃망울을 피워내고
포연 속에서도 새들은 알을 까고
올리브 나뭇가지에 꽃은 피어나고
밀밭은 푸르고 대추야자 열매는 봉긋이 오르고
골목에 널린 흰 빨래는 눈부시게 펄럭인다
'빵을 구하려가는 남매(A Brother and sister off to look for bread)' 2006 ⓒ 박노해
몇 번이나 체포되고 억류되면 찾아간 스로빈마을, 어른들은 부상과 탈진으로 망연자실인데 아이들은 참으로 놀라운 존재이다. 공포와 절망의 전쟁터에서 가장 먼저 울고 가장 먼저 웃고 그 어떤 무기로도 막을 수 없는 자신들의 미래를 향해 가파른 비탈길을 앞장 서 울라가고 있으니 말이다. - 박노해 글
'광야에 아잔소리(The sound of the Azan in the wilderness)' 2008 ⓒ 박노해
중동의 광야에는 신성한 시간의 음률과 날카로운 분쟁의 긴장이 함께 흐른다 그러나 모래바람 속에서도 올리브 새싹은 피어나고 폭음 속에서도 갓 태어난 어린 양의 울음소리가 들려오고 석양의 아잔(코란낭독)소리가 깊게 울리면 삶은 그대
로 평화(살람, Salam)이다. - 박노해 글 -
'폭격더미에서 살아나온 사나 샬흡(13세)' 2006 ⓒ 박노해
레바논 남부 까나 마을 집단학살현장 건물지하실로 대피한 마을사람 중 65명이 사망했고 그 중 아이들이 35명이나 있었다. 이 마을 어린이 대학살이 세계에 알려지면서 이스라엘과 미국은 인류앞에 무릎을 끓어야했다. 포격더미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나온 사나 샬흡(Sana Salhub ,13세) 하루아침에 부모 언니 오빠를 잃고 어린동생을 떠맡아야하는 소녀가장이 되었다. - 박노해 글
사형언도를 받으면서까지 노동자의 편을 들며 그들과 연대했던 뜨거운 가슴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교감 때문인가 그는 그 어느 지역보다 소외되고 버림 받은 중동사람들과도 소통에서 문제가 전혀 없었다고 말한다.
사진출처 http://v.daum.net/link/5420880. 박노해와 <나눔문화 http://www.nanum.com>회원들
박노해시인은 이렇게 말했다. "대학생활 4년 동안 인류지혜의 보고인 100권의 고전을 읽고, 평생 순수한 뜻을 함께 할 10명의 친구를 얻고, 닮고 싶은 인생의 스승 1분을 만나면 그 사람의 삶은 이미 성공한 것이다"
이번 전 도록에 이름 하나 쓰는 데도 정성을 다한다. 그의 서체는 올곧은체다. 예술적이면서도 받듯하다.
[관능미의 절정 관음보살과 신령한 미소의 반가사유상]
관음보살
불교의 관음보살은 천주교의 성모마리아 같은 존재로 인도미술의 영향인지 그렇게 색정이 농후하고 자연스럽게 관능적이다. 하긴 관능이란 생명의 최고조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닌가.
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은 국보1호감이다. 반가사유상은 불상이라기보다는 한국인의 가장 이상적 인간상 혹은 한국미의 절정이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이런 조형미는 세계적으로도 경쟁력이 있다.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보다는 한 단계 위다.
일본의 반가사유상과 한국의 반가사유상
일본과 한국의 반가사유상은 거의 비슷하다. 일본이 복제인 것 같은데 이를 아직 확실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고궁의 설경] 경복궁과 창덕궁에 눈 내려 온 세상을 하얀 그림으로 바꾸다
이런 화려하고 장엄한 디자인을 보면 첨단 테크도 결국 고전에서 배워야 함을 일깨워준다. 아직 이처럼 조형적이고 현대적이고 화려한 디자인을 보기 힘들다. 이만한 미적 상상력이 있다면 우리에게 가능성은 있다. 이제 메이드 인 코리아가 아니라 '디자인 인 코리아' 제품이 이런 왕조의 디자인에서도 영감을 받기 바란다.
함박눈의 흰색과 고궁이 초록색 그리고 단청의 오색찬란함 모두가 하나의 그림으로 환생한다
이제는 모두가 공주이고 왕자인 시대 그러나 인간의 이상은 아직 실현되지 않고 과거의 유물을 통해 오늘을 보고 내일은 여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종교와 정치가 미래 때문에 현재를 놓치는 것이라면 그것은 허위이다. 우리는 현실을 즐기고 충실하게 사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역사적 유물을 감상하는 것은 현재를 살기 위해서다. 제말 미래에 저당 잡히는 현대를 살지 말자. 현재를 즐기면서 참여하면서 살 것을 새해 다짐으로 잡으면 더욱 좋을 것 같다.
백성 앞에 머리를 숙이는 마음으로 정치를 해야 한다는 조선왕조의 통치이념이 담겨있다. 하긴 이런 표어를 쓰는 나라일수록 그와는 반대현상이 일어나기는 하지만 그래서 그런 의지를 펴려고 한 조선왕조의 각오만큼은 점수를 주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한 문명의 발전이란 결국 없다. 망하고 만다. 인내천이 우선해야 한다.
용무늬가 있는 백자항아리 이보다 더 마음이부자일 수 없다. 여기서 위로와 풍요와 미래의 대한 꿈을 품게 한다. 여기에 선의 유연함과 모든 걸 품어 안는 넉넉함이 더해져 사람의 마음을 살찌게 하고 행복하게 한다.
나무의 선과 고궁의 선이 상승효과를 내면 풍경의 멋은 극대화한다. 거기에 사람은 작아 보인다. 자연을 크게 드리고 사람은 작게 그리는 것은 과거 선인들이 자연 앞에서 인간의 겸손과 연약함을 보이는 상징일 것이다.
눈이 풍성한 날은 마음이 부자가 된다. 첫사랑 함박눈을 맞으며 걷던 추억이 되살아난다. 흰 눈을 새해도 많이 사랑하고 열심히 살아보라는 메시지를 전하는 천사인지 모른다.
또 다른 세계를 열어주는 문 프레임이 보이고 그것이 다시 다른 세상을 상상하게 하고 아담한 문이 사람이 마음을 사로잡기에는 더 안성맞춤이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이럴 때 쓰는 말이리라.
나무에 눈이 오니 설경이 연출되고 가장 자연스러운 설치미술이 되네요. 그리고 보면 자연만한 화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인간들은 거기에서 영감을 받고 작가적 안목으로 재해석하는 것이리다.
서양의 아름다움이 창문이라며 동양의 아름다움은 담장에 있다. 그런 풍경의 정겨움이 여기사도 잘 보여준다. 이런 풍경은 한국인의 무의식 속에 담겨진 그리움의 원형이다
향원정
이 건물의 용도를 잘 모르겠다. 왕과 왕비가 사랑을 나누기에 기막힌 건물인 것 같다. 연못 속에서 로맨스 얼마나 멋진가 하여간 이렇게 넓은 공간을 단지 10분의 1에도 해당하지 않는 작은 공간으로 주변의 분위기를 압도하는 것은 바로 이우환의 미학과도 절대적으로 일치한다. 작은 터로 큰 공간을 창조하는 여백의 미다
건물과 자연이 색이 서로 닮았다. 우리의 색감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고궁에 눈이 오니 고궁의 채색이 더욱 빛난다. 봄 여름 가을 겨울과 너무나 잘 어울리는 고궁의 색조는 그래서 언제 어느 때보아도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놓지 않는다.
선의 미학 선율의 율동감 건축의 가장 높은 단계인 춤추는 출렁거림을 이렇게 잘 살릴수 있다니 놀라울 뿐이다. 한국의 춤은 바로 이런 미학에서 온 것 같다.
[창덕궁]
창덕궁 돈화문입구
돈화문 이름이 멋지다. '문화의 깊이를 두텁게 하는 문' 한 나라의 힘을 경제보다는 문화에서 나온다. 우리민족은 인문학의 나라도 그런 마인드가 있었다. 그러나 그것이 정약용과 같은 실용주의적 발명가와 사회개혁가를 받아들이지 못함으로 결국 문화르네상스를 맞이하지 못했다. 돈화문을 요즘말로 하면 컬처노믹스다. 문화가 경제를 주도한다는 뜻이다. 요즘 지도자들은 이런 말을 쓰기는 하지만 정책은 아직도 반대로 간다.
문 속에 문이 있고 프레임 속에 프레임이 있고 거울 속에 거울이 있고 이런 개념의 건축은 오늘날 현대건축에서도 요구되는 사항인지 모른다. 그런 거울효과가 주는 착란이 무용지물처럼 보이지만 사람들의 창조력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세계일등디자인을 만들어내는 저력이 될 수도 있다. 아는 이런 표리의 조화까지 내밀하게 생각한 고궁의 건축디자이너를 높이 평가하고 싶다.
왕비의 침실에는 용기와가 없다. 가부장적 사회의 한 면모를 잘 보여준다. 그런데 어느 사회나 여성의 권리와 능력과 사랑의 힘을 최대한 존중하지 않고는 선진화될 수 없다. 조선이 망한 건 여성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팔각정의 조형 원에 가까우면서 원은 아니고 그렇다고 직선도 아닌 한국인의 심성에 딱 맞는 다정함과 정교함이 공존하는 건축양식이다. 너무 원형이면 싱겁고 너무 반듯하면 딱딱하여 우리에게 맞지 않는다. 바로 이런 팔각정이 우리의 마음을 만족시킨다.
왕립도서관이 있는 곳 조선왕조실록은 기록문화의 좋은 예가 된다. 창조의 시작은 독서에서 나온다. 정책의 방안도 책에서 나온다. 골프 치는 시간에 책을 읽으면 한국정치는 변할 것이다.
[월드컵경기장 근처 설경] 우리동네 눈이 와 세상이 확 달라졌네요
동네아파트 근처 설경
황량한 벌판에 흰 눈이 내리면 온 세상이 예술품이 된다. 예술이란 바로 눈과 같은 것이다. 이렇게 황량한 일상을 아름다운 세상으로 바꾸는 것이다. 우리는 예술을 옆구리에 끼도 살고 있다. 그것의 천재가 바로 앤디워홀이다. 그는 대중스타와 소비문화뿐만 아니라 돈과 기계까지도 예술로 바꾸었다.
동네 야트막한 뒷산
함박눈 꽃이 나무위에 떨어지니 앙상한 나뭇가지가 입체적 오브제가 되면서 사람들이 마음을 흥분시키고 들뜨게 한다. 마음이 들뜬다는 것은 마음에 청소가 된다는 뜻인데 이것이야말로 예술에서 흔히 보는 자발적 마음이 일어남 흔히 動한다고 하는데 바로 그런 기분을 유발시킨다,
동네 뒷산에 눈 덮인 나무들
매일 보는 지루하고 따분한 모습이 눈이 오니 전혀 다르게 보인다. 예술이란 일상에서 흔히 보는 것을 낯설게 보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눈이라는 매개체가 바로 그런 점을 증명해준다.
[성희승전] 김영섭포토갤러리에서 2009.12.23-2010.01.22까지
참고블로그 http://blog.naver.com/foto3570/120098037337
성희승 I '작품(work)' 2009
인간의 무의식에 깔린 욕망의 문제를 제기한 사람은 프로이트이다. 그리고 이를 인문학과 접목시킨 사람이 라캉이다. 그러면서 인간은 의식적으로 주체이나 무의식적으로는 주체가 아니다라고 말한다.
인간의 모든 행복과 불행은 결국 자신의 몸을 어떻게 이해하고 소통하느냐에 달렸다. 몸을 윤리적으로 봐야 하는지 생리적으로 봐야하는지가 문제다. 모든 혁명의 이면에는 여성의 성적 욕망과 이에 대한 표현의 자유가 담겨 있다. 성희승의 작품도 그런 맥락에서 보면 좋을 것이다.
성희승 I '작품(work)' 2009
여성의 몸은 생명을 담는 그릇이다. 열매를 맺는 대지이다. 그런 면에서 대지적이다. 그리기에 거기에는 하늘의 비와 바람이 내려야 하고 천둥과 서리와 눈발과 해오리가 지나가야 한다. 때로는 태풍이 지나가기도 한다. 바람에 날린 씨앗이 여성의 몸에 닿아야 한다. 그런데 인간은 이런 자연의 생태적 관계 속에서 유기적으로 욕망을 잉태하는데 이것은 인간의 사랑과 함께 해결해야할 영원한 과제이기도 하다
유혹은 21세기의 키워드이다. 유혹은 아름다운 것이고 최고의 예술이다. 현대는 섹스는 쉬워지고 결혼은 어려워진 시대가 되었다. 섹스가 없는 사랑이나 사랑이 없는 섹스나 다 문제이다. 다만 열정적인 사랑을 하되 거기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 이것이 쉽지 않다. 소유와 존재는 반비례한다. 지금은 소유가 많고 존재가 적은 시대다. 현대인은 그래서 자살률이 높다.
성희승 I '작품(work)' 2009
진정한 사랑은 상대방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것이다. 너무 기대지 말고 기대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 인간은 어리석고 부족하기에 언제나 지나친다. 한쪽으로 기운다. 자신의 파멸을 가져올 정도로 인간은 생존하기 위해서 이기적인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그것이 남뿐만 아니라 자신을 파멸시키는 데까지 가서는 안 된다.
진정한 쾌락주의자는 상쾌한 아침을 맞이하는 자이다. 그런데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을 친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제력이 있어야 한다. 자신의 몸을 남에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해야 하고 자신의 몸과 분쟁하지 말고 평화를 유지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현대인의 욕망을 다를 때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김성복조각전] 정은선갤러리 2010 01.06-01.23
김성복 I '신화(work)' 2009
정은선갤러리 입구에 작품을 설치했다. 이 작가는 민화풍의 조각을 선보인다. 민화 속에는 참으로 건강한 미학이 담겨 있다. 그것은 익살과 해학이고 삶에 대한 긍지와 희망을 품는 것이다. 그래서 언제나 웃음이 있다. 사실 일반 민중들에게 현실적으로 웃을 날을 별로 없다. 하루의 삶이 고단하고 힘들다.
그러나 그들은 생존하기 위해서라도 웃어야 한다. 웃음이라는 에너지가 없으면 살 수 없다. 다시 말해 가진 것은 없지만 마음은 부자로 사는 것인데 그런 정신은 21세기 우리에게도 절실하다. 자살률이 높은 사회에서는 더욱 그렇다. 그런 측면에서 김성복의 작품은 사람들에게 웃음의 무늬와 흔적을 남긴다.
김성복 I '작품(work)' 2009
작가도 호랑이해를 맞아 그런 형상을 근간으로 하지만 거기에 사람의 표정 고양의 모습 그리고 우리의 전통 도깨비의 흔적 등등이 뒤섞여 있다. 일종의 퓨전으로도 볼 수 있고 그것이 무슨 모양을 따른 것보다는 그 속에 어떤 웃음이 담겨있느냐가 중요하다. 그리고 꼬리에는 생명의 발기 정열의 에너지를 은유하는 도깨비 방망이가 세워져있다. 다시 삶의 기운을 차리자는 심기일전의 정신이 아닌가.
김성복 I '바람이 불어도 가야 한다(work)' 620*250*500 2009
단청으로 처리한 거인과 같은 사람 그 걸음이 힘차다 새해에는 모두가 이렇게 희망과 용기를 가지고 큰 걸음을 내딛자는 작가의 각오가 관객에게도 그대로 전해진다. 함께 장난기어린 모습도 같이 공존하고 있어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준다. 앞으로 내민 발치 하늘로 치솟는 것 같아 일체의 힘을 한곳에 모아 비상하는 모습을 보인다.
김성복 I '작품(work)' 2009
인간종족번식의 풍자인가. 아무리 경제난이오고 환경이 파괴되어도 인류가 멸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 자연파괴는 인간에게 위협을 줄 정도이다. 그러니 인류의 영원한 번영은 결국 인간의 손에 달렸다. 자연과 인간이 서로 상생하면서 도움을 주고받고 하면서 살면 된다. 인간사도 없는 자와 있는 자가 공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빈부의 차이를 없애는 것도 인간문명의 길이를 늘이는 길인지 모른다.
김성복 I '신화(work)' 350*400*460 2009
무섭지만 재미있는 인생은 힘들지만 살아볼만함을 여기서 보여준다. 사랑과 희망이 쉽지는 않지만 우리는 그런 것이 없이는 살 수없는 존재다. 새해를 맞아 그런 정기와 기백을 살려보라는 강한 메시지를 말하고 있는 것 같다.
'민가다헌' ⓒ 김수종
'민가다헌' 장은선갤러리 입구 건너편
음식점 '민가다헌' 구한말, 명성황후의 친척인 민병옥이 살던 저택으로 한옥에 현관을 만들고, 화장실과 욕실을 내부로 넣고 이를 연결하는 긴 복도를 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형태의 근대적 건축 개념이 도입된 한국 최초의 개량 한옥이다. <출처> 인사동길은 왜 구불구불할까 - 오마이뉴스
경인미술관
'경인미술관(耕仁美術館)'은 원래 철종의 사위인 조선말기의 정치가인 박영효가 살던 집으로 1980년대 미술관, 찻집, 아틀리에 등을 운영하는 곳으로 바뀌었다. <인사동길은 왜 구불구불할까>- 오마이뉴스
경인미술관
[리뷰-김중만사진전] 토포하우스
[김미형전] 찰나 www.gallerydam.com
갤러리담 110-240 종로구 안국동 7-1 Tel 02)738-2745. 2010.01.04-01.16까지
'상처도 이토록 절실하면 이렇게 아름다운 무늬가 되는구나'
김미형 I '꿈(work)' 76*56cm 종이에 구멍 난 콩잎들 2004
김미형 작가의 여섯 번째 개인전으로 불교언어인 <찰나>라는 주제로 전시가 열린다. 삶에서 나타나는 찰나를 살펴보고 있다. 벌레 먹은 잎을 몇 년에 걸쳐 주어서 그것으로 날개를 형상하기도 하고, 때로는 <꿈>이란 제목으로 신부의 모습을 연출하기도 한다.
때로는 죽은 잠자리의 날개를 모아서 드로잉과 함께 구성하기도 한다. 삶이란 수많은 찰나의 연속임을 작가의 작업에서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는 30여 점을 선보인다. [미술관자료]
[찰나] 나무의 새순이 자라는 시간, 새순에 찾아 든 벌레가 새순을 갉아먹는 시간, 그 벌레가 살아있는 시간, 어린 새가 첫 비행을 하는 시간, 그 새가 자라 알을 품고 새끼를 치기까지의 시간, 내가 나뭇잎들을 간직했다 무엇을 만들기까지의 시간, 내가 다른 구멍 난 잎들을 찾아다니던 시간, 아이가 내 손을 잡고 잠드는 시간, 남편과 화해하는데 걸리는 시간, 은행 빚을 갚을 때까지 걸릴 시간, 내가 존재하는 시간, 나무가 존재하는 시간 [...]
김미형 I '작품(work)' 2009
눈 깜박거리는 더 짧다는 찰나의 시간. 너무도 길어 잘 알지 못하는 영겁의 시간만큼, 찰나도 쉬이 알지 못한다. 그러나 그 시간의 개념은 이미 무의미하다. 시간이란 사물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하나의 개념일 뿐이다. 살아 있는 지금 이 순간도, 누군가 존재했었다는 조금 더 긴 시간도, 상수리나무가 사라지는 그 시간도 모두 찰나일 뿐. ‘호접지몽’, 장자가 꾼 나비 꿈을 나도 꾼다. 내가 나비인지 나비가 나인지, 내가 장자인지 장자가 나인지[...].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은 언젠가 소멸될 것이다. 그러니 어떻게 소멸되어갈 것인가? 구멍으로 온통 헤진 이 나뭇잎에서 나는 그 답을 찾는다. 나도 머지않아 이 나뭇잎처럼 결핍의 무한한 공간과 상처의 찬란한 무늬를 가지게 되리라.[미술관자료 ]
김미형 I '작품(work)' 2009
[작가소개] 김미형 1993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10 찰나 갤러리담 2005 윙윙-WingWing 인사미술공간 2000 Breathing Space 프로젝트스페이스사루비아다방 1998 Being 금호미술관 1995 Breathing 보다갤러리 1993 기억에 대한 고정관념 사각갤러리
[이상남 경기도미술관 벽화작업 소게]
- 이상남 '풍경의 알고리듬' 경기도미술관 로비 상단벽화
경기도미술관 벽화
"나의 그림은 자연(自然)의 물상(物象)으로부터 시작하지 않는다. 인간이 창조한 형상들이 그 출발점이다. 그러나 자연과 인공, 무위와 유위, 이러한 궁극적 이원성을 나는 인정하지 않는다. 나의 아이콘들의 심층구조(디프스트럭쳐)는 직선과 원이다. 모든 형상은 이 심층구조의 복합적 현현이다. 직선은 죽음이다. 원은 삶이다. 모든 시간은 직선과 원의 복합이다. 나의 생명은 항상 직선의 죽음, 원의 삶을 포괄한다. 그리고 나의 예술은 직선과 원이 무화(無化) 되는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이것이 내가 말하는 영원한 깨임이요, 벗음이다" - 작가노트 2009년 이상남
풍경의 알고리듬 -이 연작에서는 알베르티의 시대에 탄생한 고전적 풍경화의 기하학적 원근이 마치 여러 개의 수학식을 통해 재현되는 듯한 풍경의 알고리듬이 펼쳐진다. 화면을 향해 입력(input)되는 관찰자의 시선을 전면에 전개되는 플로차트(flowchart)를 따라 궁극적으로는 수평선 끝으로 또는 사라지는 소실점을 향해 출력(output)이 된다. 이 공식을 통해 화면은 제작의 집념, 도료의 물성, 평면화 하려는 흑백의 기호에서 해방돼 하나의 근원적 풍경으로 전개된다. [미술관자료]
재미작가 이상남
이상남작가는 김수자 못지않게 알고리듬추상화로 뉴욕에서 맹활약하는 전후세대 한국작가죠.
작가 이상남 작업하는 모습
그의 작업은 '풍경의 알고리듬'이라고 흔히 말하는데 그림을 저렇게 그릴 수 있나 할 정도로 경이롭죠. 그런데 놀랍게도 그의 그림에서 풍기는 리듬감 속에서 한국인의 훈훈한 정을 느낄 수 있다니 흥미롭다. 이 작가를 PKM에서 뵌 적이 있는데 역시 미술의 다양한 변조에 기여도 높은 것 같다. 미술이란 이래서 재미있고 손으로 잡을 수도 없고 파악할 수도 없고 규정할 수도 없다.
관련기사 [경향신문 ] 난해함 걷어낸 단순함으로 현대인 매혹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1131736295&code=960202
관련기사 [경인일보]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95949#
"이렇게 정교한 공정 과정을 거쳐 탄생한 벽화는 회화와 디자인의 경계를 교란시키는 기하학적 형상들의 반복적 배치를 통해 서구 모더니티의 기하학적 추상미와 함께 순환성, 비결정성 등으로 대표되는 동양적 미학 요소를 함께 지니고 있다" 경인일보 기사 중에서
[한일젊은비평가교류전] 교토아트센터에서 2010.01.09-01.24까지 대안공간루프기획
한일젊은비평가교류전 포스터
창작에서 장르 간에 해체와 융합현상과 함께 생산, 유통, 소비가 압축되고 있는 21세기 현대미술의 한 단면을 확인하는 전시이다. 특히 비평을 통한 담론생산에 있어서도 한 지역문화권이 가질 수밖에 없는 역사적 문화적 배경의 한계에서 벗어나 비평가의 교차비평을 통한 미적 관점의 융합을 시도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현대 예술에 있어서 창작과 매개, 향유의 기능을 하 는 기관들과 단체의 교섭과 확장을 통섭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창동 창작 스튜디오, 매개의 공간인 대안공간 루프와 전시와 레지던시 프로그램 기능과 함께 예술의 담론형성에 지속적 역할들을 해왔던 AIT그룹(일본)과 교토아트센터는 공동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한 것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일본과 한국을 오가며 순회전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한국과 일본에 머무르고 있는 세계각국의 작가들이 참여한다.
또한 한국의 평론가들은 일본작가들을 일본의 평론가들은 한국작가들과 일대일 방식의 워크숍을 통해 서로 간 교차비평을 시도한다. 이러한 비평은 보다 확장되고 다양한 담론들을 만들어내며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글로벌화된 새로운 비평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미술관자료]
'국내외아트페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문화원] 제2회 '사유의밤' 현대인들 과속에 쫓겨? (0) | 2019.02.01 |
---|---|
[사르트르] 자유에 미쳐 머리가 돈 놈 (0) | 2018.12.29 |
[한국조각의 선구자-권진규] 그 담담한 여성미 (0) | 2018.12.29 |
부자가 되지 않는 것이 인생의 목표다 (0) | 2018.12.29 |
투박한 화강암 질감에 한국인 온정을 되새기다 (0) | 2018.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