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은 일원론적 융합주의 철학자다
<1>존 케이지는 1992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는데 이때 백남준이 자신이 직접 쓴 존 케이지 추도사를 읽었다. 그중 일부다. [아래] 백남준에게 충격을 준 존 케이지, 백남준은 초기에 2번 존 케이지 오마주 전을 개최했는데 1번째 전시에는 케이지가 오지 않았고 2번째 전시에는 참석을 했다. 백남준은 그가 주도한 2번째 존 케이지 오마주 전에서 존 케이지의 넥타이를 잘라 버렸다. 왜?
"케이지는 완전히 악마로 돌변해 정원에 모래를 던지듯 청중의 머리에 음(音)들을 던졌다. 장식적 효과나 오락, 완성미 같은 것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이런 케이지의 기질이 바로 내가 감탄한 부분이다. 그의 수많은 제자와 젊은 친구들은 케이지의 세례를 받고 나서 더 선별적이며 미학적으로 변했다. 나도 마찬가지다. 유독 존 케이지만이 너절한 것들을 뱉어낼 용기와 신념이 있었던 것이다.” -백남준
<2> 백남준 뒤샹의 오브제아트를 받아들였죠 그래서 피아노를 장남감으로 가지고 놀았죠 그리고 존 케이지의 확장된 소리개념도 역시 받아들여서 백남준은 이 모든 것을 통합해서 종합미디어의 영역을 확장한 것이죠 그래서 그는 총제적인 음악과 미술과 춤과 연극과 행위아트를 하나도 통일 시킨 것이다 아트의 천하통일을 이룬 것이다 문화 칭기즈칸으로 전 세계 예술을 평정한 것이다> 백남준 아래에서 보듯 미국도 알래스카까지 전자초고속도로를 통해 통일시키다
“The connections between music, composition and performance are integral. They are all time-based media,” explained Hanhardt. “[Paik had] to break the notion of a score of notes. It could be a performance of a score of instructions. It takes Duchamp’s notion of the found object, moves through Cage into sound, into a whole panoply of notions of art.”
<3>
백남준 식으로 정보는 다다익선 최고로 많고 그러나 욕심이 없으면 다시 말해 제로 포인트가 되면 가장 합리적이고 정확한 판단이 나온다. 백남준은 미국CIA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의 삶은 무한제곱 마이너스로 살았다 그러니 저절로 VISIONARY가 되는 것이다 천리안의 사나이 그러니 인터넷과 아이폰 시대를 예고하지 않았나 그리고 백남준은 40년대 모든 사람은 그 나름의 TV방송국을 모두가 가지게 될 것이라고 했는데 지금 그것이 가능해진 것이다<4> 시에서는 악의 미학(evil art)을 창시한 보들레르와 미술에서 날 것의 언짢은 반예술(bad art)을 창시한 뒤샹은 서로 상통하는 일면이 있다 백남준은 보들레의 시와 뒤샹의 오브제를 비빔밥을 만들었다.
<6> 철학은 논리고 소설은 이야기고 시는 노래다. 예술은 그러면 뭔가? 예술은 무엇보다 유희이고 축제이다. 어떻게 잘 노느냐가 문제다 그런 가운데 가장 위대한 창조가 잉태하기 때문이다. 잘 놀아야 좋은 아이디어가 나온다.
백남준에게 왜 퍼포먼스를 하느냐고 묻자 그는 그런 몸과 액션으로 하는 축제 속에서 진리의 단편을 읽어낼 수(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백남준의 삶의 목표는 fun, fun, fun 그리고 앞으로의 예술가의 역할을 사람들이 어떻게 잘 놀 수 있는가에 대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람이다.
<7> 유물주의자 서경덕, 물(物)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서경덕은 <이기설>에서 "바깥이 없는 것을 태허(太虛)라 하고, 처음이 없는 것을 기(氣)라 하니 허는 바로 기이다"라고 하였다. 대중가요에 나오는 가사처럼 끝도 시작도 없는 것이 기이고, 그 기가 우주 만물의 근원이라는 얘기이다.<마음이 비워있을 때 에너지가 최고가 된다 뭐 그런 소리죠 백남준과에 속한다.
서경덕은 철학자보다 황진이를 물리친 남자로 더 유명하다. 서경덕은 이 세상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은 '기'이고, '이'란 기 안에 있는 원리에 불과하다고 하여 '이'와 '기'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였다. '기'를 유물(물질)로 보고 '이'를 유심(정신)으로 본다면 너무 단순한 해석인가?
우리나라에서 기일원론은 ‘수입품’이 아니라 독자적인 발전을 해온 것이다. 고려 시대 이규보가 ‘물자생자화(物自生自化)’, 즉 물은 스스로 생겨나 스스로 변화한다는 원리를 제시하여 기일원론의 길을 열었다. 이후 물을 기(器 objet)라고 하다가, 성리학이 도입되면서 그 용어를 빌려와 기(氣 energy)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백남준은 유뮬주의자 그런 면에서 백남준과 서경덕을 통한다. 백남준은 융합주의자 이기 일원론자다.
'백남준랩소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남준의 핵심사상] 소프트웨어 속에 (0) | 2019.01.24 |
---|---|
[백남준 위대성] 천지인 전자아트로 예술화 (0) | 2019.01.24 |
[프랑스 철학자와 미디어] 그들이 본 백남준 (0) | 2019.01.18 |
[백남준] 우린 지금 모두 그의 은하계 속에 살고 있다 (0) | 2019.01.13 |
뒤샹과 백남준 다 여자 되려고 해, 그 차이는? (0) | 2019.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