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거중요전시행사

백남준 조수 7년(1997-2002)한 미국작가의 인터뷰

[백남준 조수 7년간(1997-2002)한 미국작가 라파엘레와의 인터뷰]
[오마이뉴스관련기사] http://omn.kr/f9qg
Interview with Raphaele Shirley who was a assistant of N.J. Paik for 7 years

나는 지난 6월 한 달 동안 백남준 리서치를 위해서 뉴욕에 머물렀다. 지인 소개로 보름간은 미국작가 '로드니 딕슨' 집에서, 또 보름간은 호스텔에서 체류했다. 마침 로드니 친구 중 작가인 '라파엘레 셜리(Raphaele Shirley)'가 있었는데 그녀는 7년간 백남준 조수였고 TV복원전문가라는 소식에 좋은 기회다 싶어 인터뷰를 청했고 승낙을 받아 이를 진행하려 했으나 라파엘레 개인전 등이 겹쳐 못했다. 그 후 몇 번 다시 만나 궁리하다, 나에게 부담을 안 주면서 효율적 소통방식일 수 있는 글로 주고받는 인터뷰를 제안해 그렇게 하기로 했다 - 기자 말

-When first meet NJ ? I first met Nam June as I was living in the same building as him at 537 Broadway/110 Mercer. I was friends and working with many people in the building and still today keep strong relations with the artist community of that building complex. The building was found by George Maciunas and he brought in artists such as Nam June Paik, Shigeko Kubota, Io, Yoshi Wada, Simone Forte and Elaine Summers. I moved in there in 1993 from France and then began collaborating and working with the group. -Your specialty ? My specialty is fine arts. I have training in drawing, sculpture,painting, photography and video. I have also learned the specialization of lasers for light art installation for the purpose of making Nam June's laser pieces. I have also founded several art collectives in New York such as "New York International Fringe Festival", "Perpetual Art Machine" to name a few. -With NJ what job? My first jobs with Nam June were to help him and the studio build the laser sculptures for the SRGuggenheim Retrospective "The World's of Nam June Paik". I started working with him in 1997. He was in the very early phases of development of his laser works, starting with "Triangle", then "Circle" then "Square". As time went on I had more responsibilities and was the main assistant to develop the "Jacob's Ladder" with his collaborator Norman Ballard. We performed many tests from small scale to large scale and had many meetings with engineers and technicians to figure out all the problems for this epic art work. I also was his main assistant for the design and installation of the "Olympic Park Water screen" -Where ? The main hub of operation for my work for Nam June was 143 Green street in Soho. -How did you be chosen his assistant ? I had been working with another artist in the building of 110 Mercer by the name of Frances Whitney. She was making multi-media art works and worked with Norman Ballard. He then introduced me to the rest of Nam June Paik studio with whom he was working. I got along very well with all the team and felt I had found my place and favorite people. I think they liked me too! -What do you do with M. Lee ? We worked together for the installation of the "World's of Nam June Paik" in New York, Seoul and Bilbao. Also for general studio work with Nam June, MR Lee was often in New York and our main contact in Korea and the most important technician for Nam June. Now, Mr Lee and I don't often work directly together but we are always consulting each other to solve hard problems with the Nam June Paik art works preservation that is ongoing.

라파엘레 전시 Raphaele Shirley May 20 2010 Chealsea Art Museum 

Raphaele Shirley is a French-American multi-media artist. She lives and works in New York City. She studied fine arts at the Beaux Arts of Aix-en-Provence, France and then moved to NYC in 1993. Her practice ranges from light art, sound, public art, social interventions, collaborative works and performance. 

Some of her collaborations include Perpetual Art Machine [PAM], an interactive video installation and online web co...mmunity, founded in 2005, of over 2000 members. In 1998 she co-founded The New York International Fringe Festival, the largest theater festival in the US. She was video pioneer Nam June Paik’s assistant from 1997-2002, where she developed his monumental laser works, including the 75-foot waterfall Jacob’s Ladder for the S.R.Guggenheim museum in New York, Bilbao and Seoul and the 30 meter- wide, award winning, Laser Waterscreen‚ permanent on the lake of the Olympic Park of Seoul Korea. She built upon her experience with Nam June Paik and developed her own series of site-specific works, including a commission in Norway in 2009, Jewels of Kvinesdal, a 30’ wide stainless steel, a xenon sky-beam viewable from 15 kilometers around. Another public art-work, commissioned in 2010, Shooting Stair for Dorfman Projects, Long Island, NY, is a water and laser light sculpture set outdoors. Her piece‚ Light Shot on a Bender, combining LED lights and water was presented in the Bring to Light festival in 2011 in Greenpoint, NY. She recently completed a 60-foot diameter light spiral for the Flint Public Art Project in Flint, Michigan. 


Her work has been shown in venues such as the Museum of Moving Image, S.R. Guggenheim, Chelsea Art Museum and Post Masters Gallery in New York, the NCCA Moscow, 2nd Moscow Biennial and the Hermitage St. Petersburg, Russia, at the Museum of Modern Art, Linz, Austria and Art Basel/ Miami 2006. She participated in 2009 and 2010 in the artist residency/sail boat expedition to the Arctic Circle, Norway with the Farm Foundation, “The Arctic Circle” Residency directed by Aaron O’Conner. 

[라파엘레 네온아트 잠못 이루는 뉴욕의 밤] Raphaele's leon art 
bring to light | sleepless night(nuit blanche) in new york 

뉴욕을 밣히는 밤의 눈 

[라파엘레의 작품세계] 장소특정적 빅 스케일의 작품 

제1전시실의 가장 큰 특징은 백남준 작가가 조각, 대형설치를 위해 만들었던 60여 점의 아이디어 드로잉 작품들이 세계 최초로 공개됐다는 점이다. 백남준 작가의 작품은 혼자 할 수 없는 것이 태반이다. 그래서 테크니션들과 공동 작업을 한 작품들이 많은데, 그중 두 명의 테크니션이 보유하고 있던 자료들을 소마미술관에서 작품화했다. 대부분 설치에 필요한 설계 드로잉으로 연필과 크레파스로 이뤄진 작품들이다.

눈에 띄는 작품은 올림픽공원 내 레이저워터 스크린 설계도이다. 레이저 색깔, 위치, 모양의 지시를 담은 이 드로잉은 실제 미술관 근처에 설치된 레이저워터의 작업 설명서이다. 작품보수설명서도 주목되는 작품 중 하나이다. 미디어를 가지고 작품 활동을 하다 보니, 설치물의 수명이 다하면 작품이 망가지게 된다. 이를 예측한 백남준 선생은 그에 대한 보수 설명서를 남겼는데, 이것 역시 작품화됐다.

Killing Cloud ⓒ Courtesy of Raphaele Shirley 라파엘레저작권

My work takes root in questions of space and scale, time past and future, engaging themes of dystopias, utopias, and the problematic of hopefacing the human experience. Drawing from elements of the everyday (man-made objects and constructions), as well as natural phenomena (wind, water and light) my work undertakes a portraiture of the possible, of paralleluniverses and sites of transformation. 

Components of chance are central to my process; they grant my work access to a primalenergy and a fertile space of possibilities. It is important for me to approachart in a freehanded manner. I tread lightly in my attempt to harness theephemeral, fusing minimalist aesthetics with the power of new media and attempting to leave ample room for the unexpected. 

-How was NJ ? What personage ?/Do you have a episode about him ?/He has his unusual(special) habit ? Nam June was highly intelligent, with a very universal mind. He was always thinking the in largest terms associating East and West, science, religion and art at once. He had one of the most comprehensive minds I have ever met. He enjoyed his art works as a form of meditation, spending many hours in front of his Laser sculptures, in the dark with just the light of the lasers and drinking his coffee. Those were very privileged times where I was alone with Nam June and maybe other studio assistants, sitting for several hours in front of the lasers in almost complete silence, just breaking the silence to speak about maybe philosophy or laser technical questions. He loved to go to the same place everyday for lunch which was "Jerry's" on Prince street so we would all eat lunch with him and he would joke about certain things talking about animals or women in very funny ways. He had a very playful mind and was extremely kind to me for the entire period of my working with him.

[문경원, 전준호 작가<뉴스프롬노웨어(News from Nowhere)>]
 2015년 8월 29일-11월 08일까지 스위스 취리히 미그로스 현대미술관에서 세미나도 열린다 [웹사이트] http://www.migrosmuseum.ch/…/moon-kyungwon-jeon-joonho-wit…/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미술계에서도 지속적으로 주목을 받아오며 올해 제 56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에서선전 중인 문경원, 전준호 작가의 협업 프로젝트, <뉴스 프롬노웨어: 취리히 실험실(News from Nowhere: Zurich Laboratory)>가 8월 29일부터11월 8일까지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미그로스 미술관에서 그 막을 연다 MOON Kyungwon & JEON Joonho with Urban-Think Tank: News from Nowhere: Zurich Laboratory MOON Kyungwon & JEON Joonho, El Fin de...l Mundo, 2012, 2 channel HD film, 29.08.–08.11.2015

The Korean artists MOON Kyungwon & JEON Joonho create works that address elemental questions concerning contemporary civilization in light of political, socioeconomic, and ecological changes. The exhibition project News from Nowhere, which they jointly initiated in 2012, is premised on a post-apocalyptic scenario: humanity has been wiped out almost entirely and is forced to reconsider long-held convictions that may no longer be tenable. The project premiered at Documenta (13) and is designed as a steadily evolving ensemble. MOON & JEON have established an interdisciplinary and participatory platform on which renowned experts from the fields of product and fashion design, architecture, urban planning, and medical and biotechnology research discuss the urgent issues of our time with the audience. 

[2000년 벽두, 백남준 '예술의 신'으로 다시 부활] 
[이제는 백남준을 이야기할 때다 20] 뇌졸중 후 3년만에 재기 뉴욕미술계 강타(1997-2002)
[오마이뉴스관련기사] 
대통령 앞에서 바지 내린 남자 http://omn.kr/f8m9

백남준 2000년 전시장면 1989년 작 TV Clock Picture posted on Facebook by Guggenheim Museum 

구겐하임미술관은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보면 볼수록 신비하고 경이롭다 매력적이다. 미로찾기 게임을 하는재미를 준다. 
건축가 라이트는 보호대가 있는 경사진 이동로를 따라가는 방식에 대해서 <어떠한 방식을 채택하든 관객이 더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구겐하임 7층에 올라가면 자연 채광으로 더 아늑한 분위기를 낸다. 미술관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맨 꼭대기 층으로 올라가 천천히 내려오면서 생각을 하면서 반추하면서 작품을 감상하게 되어 있다

건축가 라이트는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유기적으로 과거와 미래 예술이 갖는 무한성과 끊임없는 변화와 변주를 미술관에 담으려고 했다 다시 말해서 민주주의 정신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랬다고 하는데 내가 보기엔 이것은 원효의 <원융합일:모두가 다른 방향이면서 ...모두가 한 방향에서 만난다> 사상과도 상통한다. 

작가와 관객의 보다 평등하고 수평적인 1:1의 관계라고 할까 상호소통과 긴밀한 관계를 촉발시키는 그런 면에서 백남준의 철학과도 일치한다 백남준은 건축가 라이트의 의도를 제대로 읽어내고 2000년 전시 후 이 미술관을 가장 효율적을 활용한 작가로 칭송받는다. 백남준은 인터뷰에서 라이트가 고맙다고 말했다.
이 미술관은 1990년 뉴욕 시에 의해 유적지로 지정되었고 2008년에는 국가유적지로 지명되었다 -뉴욕의 특별한 미술관 참고


[이불전_인피니티(Infinity)]
 PKM갤러리청와대앞에서 2015.8.26-09.25

PKM갤러리청와대 

이불은 1980년대 후반부터 퍼포먼스, 조각, 설치, 회화, 드로잉에 이르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회적 이슈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파격적이고 강렬하게 전달함으로써 비평가들의 호응은 물론 깊이 있는 미감이 느껴지는 작품들을 제작해왔다. 작가는 여성인 자신의 몸을 사용한 퍼포먼스를 통해 여성을 억압하는 당시의 사회 구조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강렬한 메시지로 드러내며 이름을 알렸다. 


퍼포먼스 의상을 비롯한 작품에 사용된 구슬, 비즈 같은 장식적 요소는 가내수공업이라는 매개를 통해 여성성을 상징하며 주제를 부각시켰다. 퍼포먼스를 통해 관람객과 직접적으로 소통해왔던 이불은 1990년대 후반, <사이보그(Cyborg)> 시리즈를 선보이며 이전보다 묵시적이고 함축적인 구조의 조각, 설치 작업으로 관람객과 거리를 두는 동시에 작업의 지평을 넓혔다.


이불은 현실과 이상에 대한 탐구를 시작한 <사이보그(Cyborg)> 시리즈에 이어 이상사회를 향한 인간의 열망을 형상화한 <나의 거대 서사(Mon Grand Récit)> 시리즈 중 하나로 <인피니티(Infinity)>를 선보였다. 장식적이면서도 건축적으로 보여지는 작품은 관람객이 직접 작품을 경험하게 하는 구조로 주제에 대한 거시적 시각과 미시적 시각을 동시에 제안한다. <인피니티(Infinity)> 시리즈에 사용된 LED 조명과 거울조각, 크리스털은 시각적 미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끝없이 반사되는 관람객 자신의 모습과 작품 형상을 통해 미래와 인간 스스로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내며 더욱 지적인 작품으로 완성되었다. 


이번에 발표될 작품들은 거울의 무한 중첩의 이미지로 거대한 공간감을 이끌어낸 작가의 기존 설치 작업 <인피니티(Infinity)> 시리즈와 같은 개념의 선상에 있되, 양면 거울과 LED 조명, 내부의 크리스털 구조물이 서로 결합하여 한층 더 아름다움을 발하는 다양한 크기의 천장에 매단 형태의(hanging) 조각들이다. 미래도시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형상들이 거울에 의해 끊임없이 중복되며 불멸에 대한 인간의 갈망을 공간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이불 작가의 <인피니티(Infinity)> 시리즈는 2012년 모리미술관(Mori Art Museum)에서 개최된 회고전에서 크게 주목을 받은 바 있으며 현재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 위치한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 월드(Swarovski Kristallwelten)에도 오로지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털만을 재료로 사용한 대형 <인피니티(Infinity)> 작업이 설치되어 있다. 지난해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현대차 프로젝트 첫 번째 작가로 선정되어 이 시리즈의 초대형 설치작업을 선보인 바 있다


[우고 론디노네의 개인전] 국제갤러리에서 2015년 9월 1일-10월 11일까지
Ugo Rondinone Sep 1, 2015 - Oct 11, 2015


하반기 첫 전시로 탁월한 조형 감각과 심오한 작품 철학으로 주목 받아온 스위스 출신의 세계적 작가인 개최한다. "내가 작업을 시작한 이래 지속적으로 나의 작업을 점유해 온 시간의 구조와 개념은 나의 특정적 감각의 기반이 되어 주었다"

론디노네는 폭넓은 영역을 넘나드는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사용하는 시적이고 영감 어린 작품들을 선보이며 국제적으로 주목 받아왔다. 다년간에 걸쳐 여러 작품 연작을 진행하는 작가는 재료들이 에너지를 포획하거나 방출하는 방식에 대한 개인적 연구를 수행해왔다. 1990년대부터 론디노네의 작품은 초자연적 방식의 재료 활용과 열린 결말의 감성적인 내용으로 특히 주목 받아왔다. 론디노네는 사물에 대한 명민한 관찰을 통해 익숙한 주제와 재료를 새로운 방식으로 인식하게 하고, 관객들로 하여금 어떠한 편견도 끼어들지 않는 시각으로 작품과 조우하게 한다.

선사시대 돌멘(Dolmen)이 정말 사람이 되어 우리 앞으로 걸어오는 것 같다

국제갤러리에서의 전시를 위해 론디노네는 5개로 이루어진 그의 청석 조각 연작을 선보인다. 이 거석 조각들은 거칠게 잘라서 쌓아놓은 청석들로써 정제되지 않은 형태지만 놀라울 만큼 감성적인 인간의 초상을 보여준다. 깨고 조각한 거친 작업의 흔적들로 이루어진 이 고요한 형상들의 제목은 국문으로 의역하면 ‘참견쟁이’, ‘변태’, ‘관찰자’, ‘호기심쟁이’, 그리고 ‘순종자’이다. 갤러리에 늘어선 이 돌의 초상들은 시간의 자연적인 소용돌이를 조용하지만 신랄하게 목격하는 일을 견뎌낸, 모호하지만 감동적인 예술작품이다

[추사 김정희, 우성 김종영: 불계공졸不計工拙과 불각不刻의 시時공空] 2015년 9월 11일(금) -10월 14(수) 학고재갤러리 본관 추사 전시내용: 김정희 서예/우성 김종영 드로잉, 서예, 조각 아래 김정희의 순로향

추사 김정희의 자화상 사진저작권 학고재 추사 김정희가 본인의 자화상을 그려놓고 쓴 시 

"이 사람이 나라고 해도 좋고 내가 아니라고 해도 좋다./ 나이고 나 아닌 사이에 나라고 할 것도 없다. 
제석천의 구슬이 주렁주렁 한데 / 누가 큰 여의주속에서 상에 집착하는가. 
하하. 과천 노인이 스스로 쓰다." 
謂是我亦可 謂非我亦可 / 是我亦我 非我亦我 / 是非之間 無以謂我 
帝珠重重 誰能執相於大摩尼中 / 呵呵 果老自題

"추사 김정희(1786-1856)는 '불계공졸'(不計工拙, 잘되고 못되고를 가리지 않음)로, 우성 김종영(1915-1982)은 불각(不刻, 조각하지 않은 듯한 조각)으로 두 사람 모두 '구축미'를 담고 있다."



"내글씨는 아직 말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지만 나는 70평생 벼루 열개를 밑창 내었고 붓 일천 자루를 달아 없앴다" 

추사의 이런 글씨를 보면 기절초풍할 것 같네요 그는 당시 코즈모폴리턴으로 포스트모던이 아니라 포스트 포스트 포스트 엑스트라 슈퍼 모던하다

서예의 정신은 글씨를 그림처럼 그림을 글씨처럼 그야말로 글씨와 그림의 경계를 없애는 차원높은 예술장르다 동양의 모든 철학이 그렇다 서양처럼 음은 음이고 양은 양이 아니고 음이 양이고 양이 음이고 일원론에 근거하고 있는데 백남준이 원시샤머니즘과 첨단 하이테트를 하나로 본 것도 같은 정신이다 선사시대를 모르고 어찌 21세기 테크놀로지예술을 말할 수 있으랴 백남준의 TV부처 그런 철학을 비디오아트로 형상화한 것이다


"추사 김정희(1786-1856)는 '불계공졸'(不計工拙, 잘되고 못되고를 가리지 않음)로, 우성 김종영(1915-1982)은 불각(不刻, 조각하지 않은 듯한 조각)으로 두 사람 모두 '구축미'를 담고 있다."

학고재에서는 2015년 9월 11일부터 10월 14일까지 특별전 <추사 김정희, 우성 김종영: 불계공졸不計工拙과 불각不刻의 시時공空>을 연다. 이번 전시는 단색화를 통해 한국 미술이 국제적 관심을 끌고 있는 이 시기에 그 조형성의 뿌리가 되는 서예를 화두로 주요 작가들의 작품을 만날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옛것을 배워 새것을 창조한다'는 뜻을 가진 학고재의 이념과 지향성을 보여주는 대표 전시가 될 것이다. 지난 2010년 학고재에서 열린 <춘추> 전시의 연장이기도 하다.

[아트선재 Real DMZ Project 2015_동송세월(同送歲月)]
 2011.08.29-11.29


리얼디엠지프로젝트 기획위원회는'동송세월(同送歲月'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열린 참여 방식 및 협력 기획 구조를 지향한다. 주로 기획자, 예술가들에게 DMZ를 둘러싼 문제 의식에 공감하고 관심 있는 작가 및 기획자들을 추천 받아 진행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2인의 기획자(한금현, 김남시)와 52명(팀)의 참여 작가들은 초기부터 동송 지역 방문을 하고 전시 형식과 장소 논의, 작업안 발표 등을 함께 한 것이다. 


즉, 자발적인 참여와 환대, 상호 협의와 존중을 통해 프로젝트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했다. 이는, 단지 기획자, 참여 예술가들을 다양화한다는 측면 외에도, 확장되고 중첩된 사회적 경계로서 DMZ라는 문제의식 하에 과거와 현재 세대를 가로지르는 참여자들과 더불어 우리 사회의 유·무형의 여러 경계들을 다각적으로 바라보려는 의도이다. 이를 통해 우리가 ‘함께 살았던 세상’이라는 ‘동송세월’의 또 다른 의미를 구현해보고자 한다.

‘동송세월’은 1914년 동송면(東松面)이라는 호칭이 생긴 이후, 1945년 해방과 함께 북한의 영토에 속했다가 1953년 한국전쟁 정전 후 다시 남한에 수복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진, ‘철원 동송의 시간과 세월’을 의미한다


다츠오 미야지마 작품에 숫자 9가 보인다 

[다츠오 미야지마] 작가작품 소개 그는 1부터 9까지 연속적으로 깜박이며 반복되는LED 숫자를 이용해 탄생과 죽음의 끊임없는 순환을 보여준다. 그의 이론은 인문학적 개념들, 불교의 가르침, 그리고 그의 주요한 예술 개념, ‘계속해서 변화하라’, ‘모두와 소통하라’, 그리고 ‘모든 것은 영원히 흐른다’ 에서 비롯되었다.

‘카운터 스킨(Counter Skin)’ 연작은 2007년부터 진행되어 온 사진 프로젝트로, 미야지마가 직접 참여자의 신체 부위에 숫자를 그려넣는 작업이다. 작가는 붓을 가지고 바디페인팅을 하는 친밀한 행위를 통해 참여자 내면의 영혼에 닿아 그들과 소통하고자 한다. 이렇게 밀접하게 관계를 맺는 과정은 ‘다름’의 장벽이 예술적인 소통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는 작가의 믿음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또한 예술이 물리적 구분의 한계를 넘어 사람들의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고 믿는다.


일반인들이 자원해서 이루어진 워크숍으로 진행된 <카운터 스킨 38° 남한(Counter Skin at 38° in South Korea)>은 장소성과 역사성이 드러나는 사진 작업이다. 워크샵은 DMZ 인근에 위치한 임진각과 태풍전망대에서 진행되었는데, 그곳에서 참가자들은 각자 본인의 삶에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숫자를 하나씩 골라 본인의 신체 부위에 그려넣고, DMZ 풍경 앞에 서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했다. 프린팅 된 사진 작업에서 관람객은 참가자들의 땀구멍과 미세한 털을 물들인 숫자 페인팅을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피부의 감촉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워크숍 참가자들 중 50여 년 전 한국전쟁 당시 어린 나이에 38선을 넘어 피난하였던 실향민이 포함되어 있어 역사적 장소에서 드러나는 보편적 인간의 삶의 연속성을 실감케 하였다.

다츠오 미야지마(Tatsuo Miyajima)는 1957년 도쿄에서 출생하여 1986년에 도쿄국립예술대학교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이바라키에서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2006년에 도호쿠예술공과대학교의 부학장으로 선출 되었으며, 베이징의 울렌스 컨템퍼러리 아트센터 (2011), 훗카이도 미야노모리 미술관 2010),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1997)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1996), 그리고 포트워스 근대미술관 (1996) 등 유수의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미야지마는 또한 베니스 비엔날레에 1988년과 1999년에 참여하였고, 최근에는 시드니 현대미술관 (2012)과 히로시마시 현대미술관 (2008) 등에서 


'금천예술공장' 미디어아트페스티벌 <다빈치 크리에이티브>

멋지게 문을 연 '금천예술공장' 미디어아트페스티벌 <다빈치 크리에이티브>.
9월 3일부터 30일까지(추석 연휴 휴관)

백남준의 테코놀로지 아트는 이제 주류가 되어가고 있다 뉴욕은 과거 공장지대였던 브루클린이 지금은 모두 작가의 작업실이 되어 버렸다 그래서 이제는 뉴욕미술의 중심은 맨해튼에서 서서히 브루클린으로 이동하고 있다

Now Nam June Paik's art in technology is going to be mainstream in 21th century. Before, Brooklyn was the factory area in New York, but now all these factories have turned into studio of the artists. So the center of the New York's art has gradually moved from Manhattan to Brooklyn

[아시아문화전당]
 
신화와 근대, 비껴서다 (Interrupted Survey : Fractured Modern Mythologies) 2015. 09. 04.(금)-2017. 09. 03(일) (For 2 years 2년간) 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The Natioal Art Complex of Asian Culture in Kwang-gu 복합4관 큐레이터 : 안젤름 프랑케(Anselm Franke) 


참여작가 : 인주 첸(Yin-Ju Chen), 제임스 홍(James T. Hong), 안젤라 멜리토풀로스(Angela Melitopoulos), 제인 진 카이슨(Jane Jin Kaisen), 호 추 니엔(Ho Tzu Nyen), 트린 티 민하(Trinh T. Minh-ha), 오톨리스 그룹(The Otolith Group) (총 7팀)작품구성 : 영상물, 설치, 사진, 드로잉 등 50점 이상 

[제목해설 <Interrupted Survey(중단된 측량)은 1888년에 제작된 한 판화에서 비롯되었다. 판화는 싱가포르 정부의 토지 측량사인 조지 드롬골드 콜먼이 정글의 땅을 측량하는 도중에 호랑이 한 마리가 뛰어들어 공격하려는 순간을 표현하고 있다. 이 장면은 식민주의와 기술로 상징되는 근대기의 새로운 제도와 문물이 전통사회의 가치와 갈등을 일으키는 단적인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데 특히 이 장면의 압권은 호랑이가 공격한 것은 측량사 즉 사람이 아니라 측량도구인 세오돌라이트(theodolite)라는 근대를 상징하는 도구이다. 

[개요]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2002년부터 아시아의 문화 창조 및 지식 교류의 허브가 되고자 추진해온 도시문화개발사업 중 전시사업의 결실을 오는 9월 4일 문화창조원의 시범개관 전시를 통해 첫 선을 보인다. 전시의 제목 <신화와 근대, 비껴서다>는 이처럼 신화적 가치로 상징되는 전통사회와 새로운 근대사회의 급작스러운 대면과 이에 따른 충돌과 대립, 수용 그리고 공존의 상황을 집약하고 있다. 

시범개관 전시 <신화와 근대, 비껴서다>는 베를린 세계문화의 집의 시각·영상부분 수석큐레이터, 안젤름 프랑케(Anselm Franke)를 책임큐레이터로 선정하고, 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7개 팀의 다국적 작가들을 초대하여 미디어영상작품과 설치작품, 문헌 등을 다채롭게 선보인다. <신화와 근대, 비껴서다>의 주요 내용은 아시아의 근대화 과정에서 발생한 동·서문화의 충돌과 갈등, 수용의 순환구조와 역사의 그늘 속에 침잠되어 있던 혼돈의 흔적들을 예술가들의 문화인류학적인 시각과 집념어린 창작열을 통해 살펴본다. 


[1] 아시아 근대화는 이미 알려진 것처럼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서구 열강의 식민주의 정책에 따른 ‘점령’으로 본격화 되었다. 서구 친연적인 제도와 문물, 자본 등이 아시아의 전통사회에 유입되면서 개발과 저항이 서로의 명분과 대응으로 뒤섞이며 근대화라는 대의를 형성해 나갔다. 

[2] 이 과정에서 아시아 각국은 서로 다른 정치 사회의 구조 속에서도 기술과 자본이 중요한 가치로 떠올랐고, 그에 따라 측량이나 계산, 기계, 데이터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개념의 기준과 분류체계가 형성되면서 전 지구적인 교류와 이동이 가속화되는 등의 호혜적 측면을 축적하게 된다. 

[3] 또한 전통사회의 익숙한 생활풍토와 근대사회의 이질적 문화 환경이 서로 충돌하고 어긋나면서 각각의 현실이 되어 공존하면서 국가와 사회, 개인은 존재의 본질(정체성)에 대한 혼돈과 분열, 갈등의 구조를 경험케 했다. 

<참여 작가> 이 전시에는 아시아를 비롯한 다국적 출신의 작가들과 영화감독이 참여하고 있다. 참여작가는 인주 첸(Yin-Ju Chen), 제임스 티 홍(James T. Hong), 안젤라 멜리토풀로스(Angela Melitopoulos), 제인 진 카이슨(Jane Jin Kaisen), 호 추 니엔(Ho Tzu Nyen), 트린 티 민하(Trinh T. Minh-ha), 오톨리스 그룹(The Otolith Group) 등 총 7팀이며, 이들의 작품은 몇몇을 제외하고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지원으로 신작을 제작한 경우로, 이번 시범개관 전시가 최초의 발표 무대가 된다.

[옥정호_'Hamartia(하마르티아)] 갤러리조선에서 8월 28일부터 9월 16일까지 


갤러리 조선은 오는 8월 28일부터 9월 16일까지 옥정호 작가의 ‘Hamartia(하마르티아)’ 전을 진행한다. 옥정호는 사회적으로 쟁점이 될 수 있을 만한 사안들을 개인적 창조의 영역으로 끌어와 희화화시키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해왔다. ‘Hamartia’는 그리스어로 죄를 정의하는 단어이다. 옥정호는 이번 전시에서 사회적 죄의식이 개인의 죄의식으로 전가되는 방식, 그리고 그 죄의식을 감내해야만 하는 개인의 감정적 투쟁에 주목한다. 

민주화라는 거대한 정치적 담론을 향해 고군분투했던 80년대, 경제 호황으로 눈부셨던 90년대와 달리 21세기의 현대인들은 어떤 공통의 목적이나 정치적 공략의 대상을 가지고 있지 않다. 청년 실업률이 매년 최고를 경신하는 경제 불황 속에서 젊은이들은 결혼, 취업, 연애를 포기...
한 삼포 세대라는 오명으로 불린다. 미래가 보이지 않는 상황으로 인한 무기력하고 불안한 삶이 개인의 잘못에서 비롯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회구조적 문제의 원인은 사회적 방어막의 부족으로 인해 개인의 역량 미달로 치환되고 있다. 

옥정호는 이 무거운 주제를 작품 안으로 끌어들였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미지 자체는 매우 해학적이라는 것이 옥정호 작품의 특별한 지점이다. 언제나 그랬듯 작가는 이번 작품에서도 사회의 부패한 부분들에 주목하면서도 긍정적 수사법을 잊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작가는 우리에게 개인의 죄의식을 씻어내기 위한 투쟁을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짓눌려 있는 죄의식을 스스로 돌아보게 한다 [...]

프린터 베이커리 PRINT BAKERY Limited Edition Artworks


이커리처럼 그림을 파는 미술가게라고 할까요 서울옥션(Seoul Auction)에서 기획한 미술상품이군요

[이번 주 뉴욕전시소개 뉴욕타임스 소개]


아래는 프릭 컬렉션 미국의 부호집이 미술관이 된 곳이죠 여성의 눈부시게 하얀 살결이 아주 우아하면서 은밀하게 그리고 에로틱하게 드러나 있다 

임흥순 작품도 소개 모마 별관에서 전시되고 있죠 임흥순작품 한장면 산동네를 이렇게 경이로운 아름다움으로 풀다니 놀랍네요 http://momaps1.org/ MoMA PS1: ‘Im Heung-soon: Reincarnation’ (through Sept. 7) The South Korean artist and director, who won the Silver Lion at this year’s divisive Venice Biennale, presents his latest work: an exquisitely filmed, if somewhat jumbled, meditation on the enduring traumas of armed conflict. One video screen features Vietnamese women who suffered at the ha...nds of the Korean army during the Vietnam War; the other follows women in Tehran who lost children during the Iran-Iraq war. Though the connections between the two conflicts finally remain somewhat obscure, “Reincarnation” hangs together thanks to Mr. Im’s striking cinematography and inventive approach to documentary — he intermingles historical footage with fictional re-enactments and bold non-narrative sequences, such as a woman’s long black hair swallowed up in a flowing sand dune. 22-25 Jackson Avenue, at 46th Avenue, Long Island City, Queens, 718-784-2084, ps1.org. (Jason Farago

http://www.nytimes.com/2015/08/28/arts/design/museum-gallery-listings-for-aug-28-sept-3.html?smid=fb-share&_r=0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2015> 전 개최] 

김기라, <떠다니는 마을 Floating Village> 

2007 골드스미스 컬리지 파인아트 석사 졸업, 런던, 영국2002 경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조각과 석사 졸업, 서울, 한국 [개인전]2014 <가상 윤곽: Hung-Chih Peng&Kira Kim 2인전>, 아트이슈갤러리, 타이페이, 타이완2013 <Artist Lunchbox>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2012 <두개의 문> 김기라, 신학철 2인전, Gallery 157, 서울, 한국2010 <공동선_모든 산에 오르라!!> 두산아트센터, 서울, 한국2009 <Super Mega Factory> 국제갤러리, 서울,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SBS문화재단 공동 주최/한국현대미술의 가능성과 비전 그리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작가 지원, 육성 [후보작가] 김기라(1974), 나현(1970), 오인환(1965), 하태범(1974)의 새로운 프로젝트, 사회에 대한 발언들 8월 4일부터 11월 1일까지 서울관 3, 4 전시실에서 개최하다 


10월 6일 ‘2015 올해의 작가’ 최종 1인 선정 및 시상 국립현대미술관(관장 직무대리 김정배)은 SBS문화재단(이사장 윤세영)과 공동 주최로 오는 8월 4일(화)부터 11월 1일(일)까지 <올해의 작가상 2015>전을 서울관에서 열린다. 

지난 3월 ‘올해의 작가상 2015’전 후보로 김기라, 나현, 오인환, 하태범 작가가 선정되었다. 후보 작가들은 각 작가별로 나뉜 전시공간에 최근작을 포함한 새로운 작품을 전시한 후, 최종 심사를 거쳐 10월 6일 최종 1인이 ‘2015 올해의 작가’로 선정된다.


하태범, <사건을 바라보는 시선 Gaze on the Incident > 

2009 슈투트가르트 국립 조형예술대학 조소학과 졸업(MFA), 독일200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조소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서울, 한국 [개인전]2014 <White-시선> 소마드로잉센터, 서울, 한국2013 <대화법 - 협업프로젝트> 홍은예술창작센터, 서울, 한국  <WINDOW> 스페이스 15번지, 서울, 한국2012 <White-2012> 아트스페이스 갤러리 정미소, 서울, 한국 

이번 전시에 참여하는 
올해로 4회를 맞이하는 ‘올해의 작가상’은 국립현대미술관이 1995년부터 2010년까지 개최한 <올해의 작가>전을 계승하여 한국 현대미술가들의 가능성을 실험하고 그 지평을 확장하기 위해 새롭게 개편된 시상제도이다. 2012년부터 한국 작가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육성을 위해 SBS문화재단과 공동으로 주최하여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과천관에서 진행되었던 전시가 올해부터는 서울관에서 개최된다. ‘올해의 작가상’은 공정하고 투명한 제도 운영을 위해 운영위원회, 추천위원단, 심사위원단을 각각 별도로 구성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미술의 흐름을 파악하고 한국 미술계에 발전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작가를 발굴해오고 있다. 


김기라 작가는 <떠다니는 마을>을 통해 불확실한 오늘의 삶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나현 작가는 서울의 도시 개발과 독일의 역사적 경험을 연결시킨 연구물 <바벨탑 프로젝트-난지도>를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오인환 작가는 공간적 의미의 사각지대를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확장하기 위해 <사각지대 찾기>를 시도한다. 그리고 하태범 작가는 사건/사고 현장을 전달하는 대중 매체와 이를 소비하는 우리 사회의 태도를 재해석하는 <사건을 바라보는 시선>을 선보인다.
 

나현, <바벨탑 프로젝트-난지도 The Babel Tower Project-Nanjido> 

2005 옥스퍼드 대학교 인문학부 석사 졸업, 영국199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서울, 한국 [개인전]2014 <PRO-JECT>, LIG 아트스페이스, 서울, 한국    <나현 개인전>, E&C Gallery, 후쿠이, 일본2012 <A Song of Lorelei>, 갤러리정미소, 서울, 한국2011 <나현-보고서-민족에 관하여>,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  

이처럼 개성 있는 주제와 독자적인 표현력을 지닌 후보작가 4인의 전시는 동시대 한국 작가들의 사회와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을 드러내면서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오인환, <사각지대 찾기 Finding Blind Spot> 

뉴욕시립대학교 헌터컬리지 석사 졸업, 뉴욕, 미국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학사 및 동대학원 석사졸업, 서울], 한국 [개인전][2014 <사각지대 찾기>,스페이스윌링앤딜링, 갤러리팩토리, 서울, 한국2012 <거리에서 글쓰기>, 신도리코문화공간, 서울, 한국 2009 <TRAnS>, 아트선재센터, 서울, 한국 

<올해의 작가상 2015>전의 후보 작가들은 SBS문화재단 창작 후원금(4천만원)으로 새로운 작업을 선보이고, 전시기간 중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통해서 10월 6일 ‘2015 올해의 작가’ 1인으로 최종 선정된다. 또한 후보 작가 및 최종 수상자의 작품세계를 조망하는 현대미술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어 SBS 지상파와 케이블채널을 통해 12월 중 방영될 예정이다. 앞으로도 계속될 ‘올해의 작가상’은 선정된 작가에게는 작품 창작의 동력을 불어넣고, 문화예술계에는 새로운 한국 현대미술의 경향 및 담론을 이끌어내어 한국 미술문화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그래픽 디자인 기획전] 서울관 Graphic Symphonial 2015.08.11-10.18서울관 


Graphic design exhibitions of Korea and Japan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Seoul as a memorial 5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settlement right between Korea and Japan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그래픽 디자인 기획전 <交, 향 (Graphic Symphonia)>-한·일 국교 정상화 50년 그리고 한·일 디자인 문화 50년 기념 <交, 향(Graphic Symphonia)> 전 112명의 대표작가 작품 400여점소개 심포지엄, 세미나, 창작 워크숍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양국의 디자인 문화를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기회 제공한다 

전시 제목 <交, 향>은 ‘서로 어우러져 진동한다’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출발, 한국과 일본의 디자이너와 디자인 문화가 만나, 서로 어우러져 즐기고, 새로운 미래를 상상하자는 화두로서 선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시 외에 학술행사, 좌담, 워크숍 등을 진행하여 그래픽 디자인을 ‘보여주는 것’에 머물지 않고 디자인 문화의 새로운 미래를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전시장은 한국과 일본의 1세대 디자이너 대표작을 비롯해 20세기 한·일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전시 섹션과 한·일 디자인 연대기 및 한국 디자인스튜디오의 역사와 디자이너들의 인터뷰로 구성된 아카이브 섹션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전시공간] 한국과 일본의 그래픽 디자이너 1세대의 작품이 소개된다. 한국의 ‘권명광’, ‘김현’, ‘조영제’의 88년 서울 올림픽 포스터와 마스코트 호돌이, 산업화의 과정에서 탄생한 기업 디자인과 광고 포스터 등 현대적 디자인의 시작을 이끌었던 작업이 전시된다. 타이포그래피와 편집디자인 분야에서 한국의 현대적 그래픽디자인을 탄생시킨 ‘안상수’, ‘이상철’, ‘정병규’의 출판물과 작업들은 우리 문자의 독창성과 아름다움을 다시금 돌아보게 한다. 

일본 그래픽디자인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가메쿠라 유사쿠’, ‘나카무라 마코토’, ‘나가이 카즈마사’, ‘다나카 잇코’, ‘후쿠다 시게오’ 등의 작품도 소개된다. 1964년 도쿄 올림픽 포스터부터 상업광고에 이르는 일본 그래픽 1세대의 광범위한 작업과 스기우라 코헤이의 ‘만다라’ 시리즈 등 일본의 주요 출판물 약 60여권을 접할 수 있다. 


[두 번째 전시공간] 한·일 양국의 중견 디자이너부터 현재 활발하게 활동 중인 신진 디자이너까지 아우르는 그래픽 디자인의 전개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포스터, 잡지, 북디자인, 인포그래피, 패키지, 캘리그래피, 아이덴티티 그리고 영상에 이르기까지 디자인 장르를 총망라한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이 공간에서는 자일리톨 껌 패키지와 이세이 미야케의 <PLEATS PLEASE> 연작 포스터로 잘 알려진 ‘사토 타쿠’, 유니클로의 아트디렉팅으로 새로운 시각 언어를 구사하는 ‘사토 카시와’, 무지(MUJI) 아트디렉터로 잘 알려진 ‘하라 켄야’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진보적이고 자유로운 시도로 그래픽디자인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김영나’, ‘슬기와민’, ‘워크룸’ 등 한·일 그래픽 디자인의 흐름을 주도하는 주역들도 만날 수 있다. 


[마지막 아카이브 공간] 한·일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의 연대기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그래픽 디자인 문화> 프로젝트가 펼쳐진다. 203 인포그래피연구소가 진행한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과 일본의 그래픽디자인 역사 50년을 사회문화와 더불어 살펴본 연대기, 한국의 디자이너와 디자인 스튜디오 문화에 대한 설문을 시각화한 인포그래피 그리고 한국의 스튜디오 문화를 이끌었던 대표 디자이너 10인의 인터뷰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별히 전시장 출구에는 대형 플로터를 설치, 특정 시간마다 전시기념 10점의 포스터를 출력하여 관객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학술행사와 워크숍] 한국과 일본 디자인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를 조망한다. 8월 12일 개최되는 디자인 심포지엄 <그래픽 심포니아>에는 김현, 슬기와민, 이재민, 나카가키 노부오, 오쿠무라 아키오, 하라켄야 등이 참여하여 한국과 일본 디자인에 대해 이야기한다. 


9월 2일 개최될 <디자인 세미나>에서는 ‘디자인 교육’을 시작으로 10월 까지 ‘디자인 스튜디오’, ‘디자인의 미래’ 등을 주제로 한국과 일본의 디자인 상황을 심층적으로 돌아본다. 또한 8월 20일, 21일 양일 간 ‘의성어+의태어+음악+춤+캘리그라피+타이포그라피 실험’을 주제로 한국과 일본의 디자인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창작 워크숍, 9월에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디자인 워크숍 ‘Think about tree'를 연다.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 130기념] <미래는 지금이다!The Future is Now!>전 프랑스 마르세유市 라프리쉬벨드메 2015.08.28-2015.11.29.(개막식 8.28 금요일 오후 6시) 


The Future is Now! Opening August 28 to 18h from August 29 to November 29, 2015 A selection of works from the collection of MMCA -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Seoul./Vernissage le 28 août à 18h du 29 août au 29 novembre 2015 Une sélection d’œuvres de la...
 collection du MMCA – Musée National d’Art Moderne et Contemporain de Séoul.

출품작으로는 국내 19팀/작가의 미디어 예술 작품 총 23점 국립현대미술관 &라프리쉬벨드메 국립현대미술관의 뉴미디어 소장품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뉴미디어 아트 의 흐름을 조망하고 소개하는 전시로 백남준, 박현기, 정연두, 임흥순, 진기종, 문경원&전준호, 방&리 등을 포함한 국내 작가 33팀의 미디어 예술작품 41점 소개한다 

8월 28일부터 11월 29일까지 프랑스 마르세유 라 프리쉬 벨드 메(La Friche belle de mai)에서 개최한다 한국과 프랑스 양국 예술가들의 공동 퍼포먼스, 작가와의 대화 등 풍성 한 부대행사도 열려 - 한국의 선구적 여성 미디어 아티스트 김순기(한국)와 작곡가 루시앙 베르 톨리나(Lucien Bertolina)의 협업 퍼포먼스 <Voix-Voix> 

이 전시는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를 기념한 문화행사의 일환으로 라프리쉬벨드메에서 3개월간 진행된다. 특히 <미래는 지금이다!>전은 지난 2014년 12월 로마에서 개최된 이후 피렌체, 부다페스트, 마르세이유를 거치는 순회전을 통해 한국현대미술의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2015년 베니스비엔날레 은사자상을 수상한 임흥순 작가의 <추억록>과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대표작가인 전준호+문경원의 <El Fin del Mundo>이 선보인다. 이와 더불어 임민욱, 안세권, 이기일, 박준범 작가가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을 담은 비디오아트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 이 작품들을 통해 영상이 이미 시각 문화의 중요한 축을 구성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용석, 안정주 작가는 한국의 역사 또는 세계 곳곳에서 발발하는 전쟁과 역사 등을 사회문화적 시점에서 해석하고 이를 영상과 설치 예술로 담아낸 2000년대 이후의 작품을 보여준다. 김기철은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종묘의 빗소리를 담은 사운드 설치 작업 <소리 보기- 비>를 그리고 에브리웨어는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테크놀로지를 결합한 휴머니즘이 녹아있는 미디어 예술을 선보인다.

개막식 당일에는 정연두, 김기철, 방&리(방자영, 이윤준), 김기철, 김순기 작가가 참여하는 ‘작가와의 대화’가 열려 현지 관람객의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또한 1974년부터 2000년까지 마르세유조형예술대학 교수였던 김순기 작가가 작곡가 겸 전 마르세유조형예술대학 교수인 루시앙 베르톨리나와 함께 퍼포먼스 <목소리-목소리>(Voix_Voix)를 선보일 예정이다. 

김순기 작가는 프랑스에서 오랜 기간 거주하면서 1970년대 중반 한국에 비디오아트와 퍼포먼스를 소개해 온 선구적인 여성 미디어 아티스트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남부 프랑스를 배경으로 제작한 초기 비디오 작품 <조형상황>이 소개된다. 

알랭 아르노데 라프리쉬벨드메 관장은 <미래는 지금이다>전이 “한국 현대미술의 역사적 흐름을 보여주는 점에 큰 감명을 받았으며, 백남준의 작품을 프랑스 관객들에게 소개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또한 “젊은 예술가들의 작품에 강한 인상을 받았으며 시적이면서도 정치적이며 상호작용적인 면 등이 매우 흥미롭고 강렬하다”고 전시에 대한 소감을 밝혔다. 

국립현대미술관과 라프리쉬벨드메는 이번 <미래는 지금이다!>의 상호교류전시로 <질 바비에>(Gilles Barbier)전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2016년 봄에 개최할 예정이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
http://www.mmca.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시각개념 예술가 양혜규 "애매모호함(혹은 동음이의어들의 가계)"전


스트라스부르현대미술관에서 9월 15일까지 - 오브제 찬가, 일상의 도구인 블라인드로 시적 분위기 연출 <프랑스 리베라시옹 일간지 기사> "장소"를 직조하여 기존개념에 저항과 공간의 재배열 "부재의 사회"에서 "몸 확장"“나는 겉보기에 하찮고 평범한 사물에서 숨겨진 뭔가를 찾기를 좋아한다
http://next.liberation.fr/…/haegue-yang-compliment-d-objets…

[예술과 기술: TV 가드닝]
 2015년 9월 8일(화) 14:00 –16:00 백남준아트센터 세미나실 강연자 요헨 자우어라커(미디어 테크니션)


백남준아트센터는 예술과 기술의 경계와 속성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로 ‘예술과 기술’ 시리즈를 소개한다. 이 시리즈는 기술 기반 작업을 수행하는 작가와 작품 세계, 예술과 기술이 공존하는 아카이브 작업, 그리고 예술에 기술을 도입하여 영역의 확장과 융합을 시도한 백남준의 작품 세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그 내용을 강연과 토크, 라운드 테이블 등의 형식으로 공유한다. 시리즈의 첫 번째 시간은 독일의 미디어 테크니션인 요헨 자우어라커를 초청하여 백남준의 작품 ‹TV 정원›(1974)의 제작 배경과 설치 사례, 보존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한다.

백남준의 작품 설치 및 제작 과정에서 테크니션으로 공동 작업을 수행했던 요헨 자우어라커가 ‹TV 정원›의 다양한 설치 방식과 사례들, 그리고 작품의 보존에 관해 이야...기 할 것이다. 초기 작품의 구상과 구현, 작가 백남준의 생애 동안 발생했던 변형, 그리고 작가 사후에 제기되어 연구 중인 설치와 보존 방안과 관련된 사례들을 통해 멀티미디어 작품의 설치와 보존 담론을 고찰해본다.

강연자 요헨 자우어라커(미디어 테크니션): 요헨 자우어라커는 독일 출신의 백남준 작품 전문 테크니션이다. 1983년 뉴욕에서 처음 백남준과 알게 된 후로 2000년 초반까지 백남준과 함께 작품의 제작과 설치를 진행했다. 현재 독일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백남준 작품의 기술적 보존 외에도 미디어 설치 작품 보존에 관한 연구와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시간2015년 9월 8일(화) 14:00 –16:00장소백남준아트센터 세미나실참가비 무료(예약 필수, 선착순 50명)

백남준아트센터 전시 초대권 증정 신청방법이메일 예약(reservation@njpartcenter.kr) 예약 메일의 제목에 ‘TV 가드닝 신청’이라 명시해 주시고, 내용에는 성명, 소속, 전화번호, 이메일을 적어주십시오 (ex. TV 가드닝 신청: 홍길동, 대학교, 010-1234-5678, hong@email.com). 접수되면 문자발송 문의 031-201-8557/8559


질문: 'TV정원' 설치할 때 백남준 선생 어떤 지침이 있나?
대답: 백남준 선생 이렇게 말했다. 큐레이터는 지휘자이자 비평가이기에 그 자신이 작가로 모든 것을 그(녀)에게 일임한다. 그러나 동시에 책임을 져야 한다 TV 정원을 그 지역과 그 나라에 따라 다른 재료가 쓰인다. 그 지역의 화초를 주로 용하고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TV도 가능한다. 다만 작은 TV 큰 TV의 적절한 배합은 필요하죠



질문: TV정원은 너무나 많이 고친다면 백남준 작품이라할수 있나요
대답: 베토벤 누가 연주하든 그것은 어디까지나 베토벤 작품이다 

질문: 백남준 TV 고장날 것은 예상했나?
대답: 물론이다. 그것이 가능한 좋은 방향으로 개선되기를 바랬다. 내 개인의 이야기를 하면 다만 예술가적 측면에서 보면 작가는 더 좋아진 하이테크를 원하겠지만 미술관측에서 볼 때 역사적인 것을 보여줘야 하는 사명이 있기에 가능하면 있는 그대로 잘 보전해서 보여주려고할 것이다. 

백남준아트센터 오늘특강 요헨 자우어라커(미디어 테크니션): 독일 출신의 백남준 작품 전문 테크니션이다. 1983년 뉴욕에서 처음 백남준과 알게 된 후로 2000년 초반까지 백남준과 함께 작품의 제작과 설치를 진행했다. 현재 독일에서 거주, 백남준 작품의 기술적 보존 외에도 미디어 설치 작품 보존에 관한 연구와 작업을 한다.

[조덕현 작가의 개인전_꿈]
 일민미술관에서 2015년 8월 28일부터 10월 25일까지 


이번전시는 작가의 오랜 작업 여정은 물론, 문학, 고고학, 음악 등 다른 예술영역까지 넘나드는 그의 새로운 작품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대규모 전시다. 미술-문학-영화가 한 곳에서 만났다. 미술가 조덕현, 배우 조덕현, 소설가 김기창의 협업 프로젝트.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한 남자의 인생과 ‘꿈’에 관한 서사"라 할 수 있다

[거장 이쾌대 해방의 대서사 An Epic of Liberation Lee Quede] 
[오마이뉴스관련기사] http://omn.kr/f2v2 덕수궁미술관에서 2015년 7월 22일부터 11월1일까지 무료 

덕수궁미술관 입구 

이쾌대 전시 기자간담회 작품설명회 Press Conference 


이쾌대 작가의 자화상 Self-portrait of the artist wearing a hanbok(Korea Traditional Clothes) 큐레이터 김예진 작가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박사급이다 


이쾌대는 한국적 서양화를 추구하다 그가 월북한 이유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고 한다 다만 그는 분단이 이렇게 오래가지 않고 곧 통일이 될 거라고 생각했다는 설명이다 

이쾌대 작품 

이쾌대의 대부분 작품은 아내에게 바치는 그림 모델도 다 아내이다 The couple 91.2*76cm 1930s Most of his(Lee Que de) work is a tribute to his wife And his modele in painting is his wife/La plupart de son (Lee Que de) peinture est un hommage à sa femme et son modele dans la peinture est sa femme

군상-해방고지(Many human figures-The space of liberation) 1948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연상시키기는 하지만 당시로는 여성의 가슴을 노출시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상당히 혁신적이고 진보적인 그림이다 그는 당시 일본제국미술학교에서 공부했기에 일본화풍에 또한 많이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To evoke Delacroix's Liberty Leading the People, but at that time is not so easy to work exposing women's breasts so it is quite innovative and progressive picture/Pour évoquer la Liberté de Delacroix guidant le peuple, mais que ce temps-la est pas si facile à travailler exposer les seins des femmes ainsi c'est tout à fait novateur et image progressive 

이쾌대(Lee Que de 1913-1965) 소녀상 45.7*38.3cm 1940s What a beautiful girl 


회화에 있어서의 박진감과 진취성 등을 역동적인 화필로 잘 표현하다 서양화풍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당시로는 상당히 앞서가는 모습을 보이다 The advancement of the initiative(enterprise) in the painting is well represented in dynamic paintbrush This painting did not completely depart from the Western painting style. At any rate he was looking for a visionary eyes and significantly ahead of its time/L'avancement de l'initiative (entreprise) dans la peinture est bien représenté dans pinceau dynamique Cette peinture n'a pas complètement écarter du style de la peinture occidentale. En tout cas, il a été à la recherche d'un regard visionnaire et nettement en avance sur son temps 


군상-해방고지(Many human figures-The space of liberation) 부분화 인간사슬 형태를 통해 인류애 인간연대감 등을 표현했다고 할까 고통스러운 인간군상의 모습은 무슨 메시지인가 This work(Many human figures-The space of liberation) looks like to draw a love for humanity as a form of human chain So I felt human solidarity/Ce travail (Beaucoup de mondes-L'espace de libération) ressemble à dessiner un amour pour l'humanité comme une forme de chaîne humaine Donc, je me suis senti la solidarité humaine 

[프리다 칼로-절망에서 피어난 천재 화가]
 2015년 6월 6일(토)-9월 4일(금) 소마미술관 제 1-5전시실(송파구 올림픽공원 내) 출품작 회화, 드로잉, 사진, 장신구 등 총 100여점



여성의 우주적 대지성을 이렇게 잘 표현할 수 있단 말인가 

[모딜리아니 몽파르나스의 전설]
 2015.06.26(금) - 2015.10.04(일)  시간 10:00-20:00  한가람미술관 제5전시실,제6전시실  홈페이지 http://www.modigliani.co.kr 서울경제 문의 1588-2618 매월 마지막 월요일 `휴관`



Modigliani’s 1918 portrait of Jeanne Hebuterne, his last lover who killed herself two days after his death, is also part of the exhibition. It’s on loan from the Israel Museum in Jerusalem.


이번 전의 포스터로 쓰인 '어깨를 드러낸 잔느 에뷔테른'를 보면 잔느가 무언중에 남편에게 "천국에서도 당신의 모델이 되어 드릴게요"라고 속삭이는 것 같다. 잔느는 이렇게 그의 뮤즈가 되어 그를 열렬히 지지하고 사랑했고, 예술가로서 신뢰와 존경을 보냈다


관객이 상당하다


모딜리아니처럼 여성의 내면에 흐르는 잔잔한 표정과 내밀한 욕망까지 담아 여성을 슬프도록 아름답게 세속의 성모마리아처럼 신비하게 그린 화가는 드물 것이다. 특이한 점은 여성을 사실적으로 그리지 않으면서 가장 여성스럽게 그렸다는 점이다. 

모딜리아니의 많은 여인의 초상화 중 역시 잔느의 것이 최고다.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가 가장 아끼는 여인이었기에 헌신을 다했을 것이다. 그는 또한 그녀의 예민한 감성뿐만 아니라 미세한 숨소리도 놓치지 않았고 따뜻한 촉감까지도 그림에 고스란히 담았다.



그는 대표적 '에콜 드 파리'파다. 당시 파리는 전 세계에서 온 예술가들의 집결지였다. 스페인에서 온 피카소를 비롯하여 브랑쿠시, 후안 그리스, 키슬링, 디에고 리베라, 샤임 수틴, 후지타 쓰구하루가 그들이다. 그는 이렇게 그들과 교류하며 코즈모폴리턴의 관점에서 세계미술계를 훤히 꿰뚫고 있었다


모딜리아니의 그림은 어쩐지 어색하고 균형감도 없어 보인다. 기우뚱함, 무기력함, 눈을 그리다 만 것 같은 낯설고 생뚱맞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잘못하면 사람들 손가락질을 받을 만함에도 모딜리아니가 이렇게 '데포르마시옹(변용 혹은 왜곡)'을 사용한 건 그 어느 작가도 흉내 내지 못할 인간내면에 잠재한 아름다운 영혼과 상처받기 쉬운 심성과 섬세하고 고귀한 감성 등을 담기 위한 그의 미학과 관련이 있다. 

우리는 이를 두고 기념비적인 선이니, 그리스 조각 같다느니, 무표정의 아름다움이니 하지만 이는 모딜리아니가 아방가르드 작가로서 대상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만의 독창적 재해석으로 인물과 사물을 총괄적으로 표현하려는 데 주력했기 때문이다.



전시장 아트숍


'에콜 드 파리(L'Ecole de Paris)'는 '파리파'라는 뜻으로 제1차 세계대전 전후로 파리에는 여러 나라에서 온 화가들이 많았는데 파리의 몽파르나스를 중심으로 활약한 외국화가를 총칭하는 말이다. 

1900년 스페인의 피카소를 비롯해서 이탈리아의 모딜리아니, 러시아의 샤갈, 루마니아의 조각가 브랑쿠시, 네덜란드의 반 동겐, 독일의 에른스트, 스페인의 후안 그리스와 미로, 폴란드의 키슬링, 멕시코의 디에고 리베라, 리투아니아의 샤임 수틴, 일본의 후지타 쓰구하루가 그들이다 

[광복70주년기념] 북한 프로젝트 서울시립미술관 2015.7.21-9.29 
[오마이뉴스 전시관련 포토뉴스] http://omn.kr/eo72



광복 70주년 기념 북한 프로젝트 전시 기자 간담회 press conference예술을 통한 남북의 소통을 중진하는 것이 이번 전시의 목적이라고 김홍희 관장은 말한다 Kim Hong hee the director of Seoul Museum of Art says " 
This exhibition is aimed to communicate through the ar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분단의 상징인 철조망으로 만든 피아노 이 피아노로 통일을 노래하다 Piano made of barbed wire as a symbol of division, with the piano one are playing the reunification of korea


권하윤작가 디엠지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3D등 다양한 기법의 영상 작업을 선보여온권하윤(b 1981)은 현재 프랑스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젊은 작가이다.북한이 자신들의 체제선전을 위해 DMZ 내에 세운 기정동 마을을 다룬애니메이션 영상작업 <선전마을>(2014)에 이어 3D 가상현실 기법을이용해 관람객으로 하여금 DMZ 안으로 들어가 보는 경험을 선사하는 
<489년>을 이번 전시에서 프리미어 상영한다. 권하윤은 2014년 봄파주에서 머물면서 DMZ 수색대 출신의 군인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의기억으로 바탕으로 <489년>을 만들었다. 물리적 선 보다 심리적인 가상의선으로서의 DMZ가 더 강력히 존재하고, 그 가상의 선은 다시 실재를 더압박하는 현실의 아이러니 앞에 작가는 360도로 가상공간을 체험할 수있도록 24대의 카메라를 사용한 3D 가상현실 매체를 선택했다. 이 3D가상현실은 보는 이의 능동적이며 민주적인 시각적 자유를 허락함으로써더욱 더 정치적 도구화가 되어가는 DMZ 공간의 혼재성을 효과적으로담아내는 매체가 된다. 



전소정 작품 

북한출신으로 남한으로 내려온 남자피아니스트 와 남한출신 여자피아니스트가 같이 협연하는 모습 우리민요가 나온다 남남북녀의 만남이 아니지만 그런 형상이다 

전소정(1982년생)은 영상, 드로잉, 오브제,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이용하고 연극, 영화, 문학 등의 타 예술 장르의 특성을 미술에 접합해서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작가다. 이번 전시를 위한 신작 <먼저 온 미래>는탈북 피아니스트와 남한의 피아니스트가 만나 제약을 둔 음악적 대화와협의의 과정을 거쳐 함께 연주를 해내는 과정을 담은 영상작업이다. 여기서제약이라는 지점이 전소정에게 중요한데, 음(音)에 의해서 청각 외에특정한 색채 감각이 일어나는 공감각적 현상인 색청(colored hearing)현상을 이용해 관념적인 남과 북의 색과 음을 연결시키고 그것을 서로에게 
작동하는 제약으로 상정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사회 체제가 다른 곳에서예술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과연 이념적이고 정치적인 대립을예술가의 예술적 상상으로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과 실험을시도한다. 



이용백 작품 

총과 꽃, 죽은 물고기를 먹는 물고기, 새의 깃털과 B-2폭격기. 이용백은 특유의 직설과 병치를 통해 쉽게 잊혀지지 않는 강렬한 이미지의 언어를 구사하는 작가이다. 그 강렬한 이미지들은 실재와 가상, 구원과 좌절, 전쟁과 평화와 같은 작가의 묵직한 메시지들을 단순하지만 깊이 있게 전달한다. 

이미지와 인간 존재에 대한 철학적이고 근원적인 물음들을 당대의 정치 사회적인 주제로 연결시켜내는 집요함이야말로 그가 조각, 설치, 사진,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면서도 그 자체에 함몰되지 않는 이유다. 분단과 전쟁을 둘러싼 한국 사회의 정치적 문제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용백의 <입벌린 백두산>은 치아의 본을 뜨는 원리를 이용한 설치작품으로 2개의 백두산이 서로 마주보며 두 개이면서 하나를 이룬다. 

새의 깃털과 후추로 이루어진 B-2 스텔스 폭격기의 그림자가 결합된 <우리에게 희망은 언제나 넘쳐나>, 작가 자신이 소장한 총으로 쏘아 부서지는 지구본과 잡담의 소음이 불러일으키는 묘한 긴장감을 담은 영상작품 <지구는 어떻게 자전하는가>를 통해 일상화된 전쟁의 잔인함과 폭력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북한 유화_로날드 드 그로엔 컬렉션(North Korea painting Ronald de GroenCollection) 

이밖에도 네덜란드 컬렉터 로날드 드 그로엔가 수집한 정형화된 북한 회화50여점 소개한다 로날드 드 그로엔 컬렉션은 북한 사회를 움직이는 이념과 사상의 변화, 그리고 조선화와의 관계를 읽어낼 수 있는 선전화 계열의 유화가 주를 이룬다. 컬렉션은 1960년부터 2010년까지의 만수대창작사, 함흥창작사, 신의주창작사 등 중앙과 지역 창작사의 작품을 갖추고 있으며, 이번 전시에서 고르게 소개 될 예정이다. 북한 유화는 1950년대 소련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 계열의 유화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나, 점차 민족적 감성과 정서에 부합하는 미술의 강조로 작가들은 북한식 유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작품은 밝고 맑음, 선명함과 간결성, 함축과 집중을 구현하는 동시에 북한의 감성과 정서를 토대로 한 작품 제작을 추구한다. 그 결과 작가들은 우리 민족의 얼굴과 체형을 관찰하여 작품에 그대로 표현하며, 우리 생활 정서와 환경을 소재로 삼으며, 사회의 사상과 이념을 내포하여 작품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미술관자료



2013년 북한에 다녀온 영국사진작가 NICK DANZIGER가 북한상황을 이야기 하고 있다 북한당국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실상을 찍으려고 했다는 설명이다 In 2013 British photographer NICK DANZIGER went to the North Korea. He explained the difficult situation of North Korea in spite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o interfere, He said He tried to take a reality in NorthKorea


영국사진작가 NICK DANZIGER작품 2013 women's hair salon in NorthKorea 남북 어디나 여성이 아름다워지기 위해서 애쓰는 것은 같다 

영국의 사진가 닉 댄지거NICK DANZIGER(b.1958)는 2013년 북한에서 보낸 3주간의워크숍의 결과물로 평양을 비롯해 남포, 원산, 사리원 등 북한 지역을방문하여 북한 주민들과 그들의 사소한 일상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그들의 삶을 담아냈다. 

그의 사진 속에는 어부, 무용가, 교사, 돌고래트레이너와 같은 각양각색의 인물들이 담겨있고, 평양의 지하철, 거리,미장원, 산부인과뿐만 아니라 남포의 해변, 미곡의 협동 농장, 송도원의리조트 등의 다양한 풍경들을 볼 수 있다. 1950년대 마가렛 버크-화이트와크리스 마커, 1970년대 구보타 히로지 등의 사진들처럼, 외국의 사진가들은인류애에 대한 사진가 특유의 호기심으로 북한을 기록해왔다. 닉 댄지거의사진도 그들의 연장선에 있으며 서구 사회에 폐쇄적이고 신비스러운 나라로알려진 북한 사회의 이면을 개개인의 삶의 풍경들을 통해 들춰내고 있다.



강익중 (IK-JOONG KANG)금수강산 혼합매체 가변 2015 Geumsugangsan Mixed media Variable size 2015 Artist IK-JOONG KANG has been working mainly inNew York 

수강산은 비단에 수를 놓듯이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 나라의강산을 일컫는 말이다… 자연 산천에는 남과 북이 존재하지 않듯이, 쉼 없이이어진 남북의 모든 산들을 생각하며 먹과 나무만으로 이루어진 3인치작품들로 지름 7미터 반원을 병풍처럼 세운다. 그 산을 배경으로 임진강을형상화한 강물 위에 달항아리들이 흐르는 이 작품은 단절과 경계를 넘어하나가 될 강과 산을 꿈꾸는 강익중(b.1960)의 소망이 담겨있다. 그와 동시에 작품 후면을 감싸고 있는 검은색 지지대들을 그대로 노출함으로써 감옥 처럼답답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뉴욕 두산갤러리 양정욱 전 말이 없는 사람] DOOSAN Gallery New York (chelsea) Jul 02, 2015 ~ Aug 27, 2015 양정욱 1982 서울 출생, 뉴욕 첼시 지역 


한국 2011 경원대학교 조소과 졸업, [개인전] 2015 말이 없는 사람, 두산 갤러리 뉴욕, 뉴욕, 미국 은퇴한 맹인안마사는 A씨는 안마기를 판다, OCI 미술관, 서울, 한국 2013 인사만 하던 가게에서, 갤러리 소소, 파주, 한국 아래작품 피곤은 언제나 꿈과 함께나무, 모터, 실 98x130x98 in/ 250x330x250 cm 2013년작품

Jung Uk Yang’s work deals with narratives of people that he encounters in life, and the universal human sentiments that are revealed through those stories. 
The exhibition title A Man Without Words encompasses the reflections of everyday, simple things that would occur in the life of the artist as well as our neighbors, colleagues, fathers, etc, who lead monotonous, repetitive lives. Each piece is given a title that is structured as a phrase or a sentence and accompanied by a short text.

The magnum opus of this exhibition, A Fatigue Always Comes with a Dream (2013), was conceived based on the lives of apartment security guards in South Korea, who must stay awake until dawn while most people are asleep. A large wooden structure put together with thread is set to motion through an internal monitor, in a timely and repetitive manner, while making sounds and casting a large shadow. In the center of this large structure is one light bulb, which evokes the interior of the security guard's glass booth, symbolizing both struggle and hope. [...]

[백남준의 에로티시즘]
 싱싱한 페니스로 심포니를 연주하다(Young Penis Symphony) 1962년 작 


[1]'싱싱한 페니스로 심포니 연주(Young Penis Symphony)'를 실제로 1965년 퍼포밍했다(이 부분은 확인요 더 나중에 한 것으로 하는데). 악기가 아니라 남자의 性으로 연주하는 심포니라는 그 발상이 기발하다. 그 제목도 충격적이고 예술적이고 도전적이다 1965년의 Symphony No. 5에서 백남준은 남성연주자로 하여금 性으로 피아노의 건반을 두드리게 하고, 아름다운 여성연주자는 바이올린의 활을 그녀의 性으로 연주하도록 한 후 즉시 베토벤의 교향곡 7번을 들으며 성행위를 하게하고, 8번을 듣고 또 다시, 9번을 듣고 또 다시 성행위를 하도록 하였다 'Young Penis 교향곡'에서는, 10명의 젊은 청년들이 그들의 性으로 종이를 뚫게 하고 종이를 뚫는 소리를 음악이라 하였다-미술블로거 글 중에서

[2] 백남준 예술의 또 다른 맥은 '성의 고찰' 제프 쿤스보다 더 감당할 수 없는 퍼포먼스라 정말 버겁다 구보타 시게코의 'Vaginal painting' 샬럿 무어먼의 'Opera sextronique' 그의 작품 'Young Penis Symphony' 마치 인간의 성에 대해서 도덕이나 윤리는 언급 자체를 하지마라 천부인이 내린 본능이란 '성역'이니까 라고 항변하는 것 같다 -미술블로거 글 중에서

[3] 
사색의 시간을 통해 진정한 사유의 공간을 획득하는 신지식인의 시각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문화적 충격은 관객과의 소통을 통해 또 다른 충격을 획책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가겠죠. 날개를 달아주어야 하는 건 순전히 관객의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Beyond the think..

네 그런 충격에 대한 예술적 승화는 관객의 몫이겠지요 조르주 바타이유는 에로티시즘은 죽음 속에서도 삶을 찬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De l'érotisme, il est possible de dire qu'il est l'approbation de la vie jusqu'à la mort.)이라고 했나요 도약하는 생명에너지에 대한 최고의 찬사가 되겠죠

백남준은 본래 예술이란 본능을 따르는 일이라고 했다 그는 평생 연애지상주의자였다. 백남준은 유치원을 다닐 때 이미, 그의 소꿉동무인 이경희 여사에게서 '봄을 느꼈다'고 고백했다. 마지막 인터뷰에서도 가장 하고 싶은 것이 '연애'라고 했다. -미술블로거 글 중에서

[백남준어록]
 “세계의 역사는 우리에게 게임에서 이길 수 없다면 그 규칙을 바꿀 수 있다고 가르쳐준다.” -백남준(1992) 
소통은 백남준의 키워드인데 그 자신은 그걸 예술이 아니라 삶으로 실천하다. 예를 들면, 이런 말 "민주주의는 말대꾸하는 거야" 촌철살인이다 천재의 언어다. 

백남준 위성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면서 "TV라는 게 낙하산식으로 하는 독재자 방식이니 가관이야. 윗사람이 얘기하고, 아랫사람이 예 하고 듣는 게 TV이거든. 뭐 동서양을 막론해서, 근데 대답하는 게, 말대꾸하는 게 민주주의야. TV은 여태껏 말대꾸를 못했잖아" 일방적 소통과 쌍방적 소통의 차이를 TV와 위성의 차이를 통해 설명하면서 자신의 예술관을 피력하다

"나는 사유재산 발견 이전의 오래된 과거를 생각하는 걸 좋아한다. 비디오 아트는 신석기시대 사람들과 공통점이 또 하나 있다. 비디오는 누가 독점할 수 없고, 모두가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공동체의 공동재산이다" -백남준 모든 상식과 틀이 사람을 바보로 만들기에 그걸 수시로 파괴해야 한다 -백남준 All common senses and Rigid frameworks should be often destroyed because these make people fool - Nam June Paik/Tous les sens communs et des cadres rigides devraient être souvent détruits car ils rendent les gens tromper

[뉴욕간지 2년후의 백남준 모습] 샬럿 무어먼과 백남준은 예술파트너로서 궁합이 너무나 잘 맞는다

둘은 환상적인 예술적 짝이었죠 이 사진은 유럽순회공연 모습 덴마크 그런데 공연장에 왜 냄비가 나오죠 전기소리도 음식을 끓이는 소리도 예술이라는 생각이다


[예술가에게 적은 바로 그 자신]
 


예술가에게 적은 바로 그 자신이죠. 팝아트를 보면 팝아트를 죽이고 부처를 보면 부처를 죽이고 백남준을 보면 백남준을 죽이고 이것이 바로 예술가에 대한 그의 생각이다 진정한 예술가가 되려면 일체의 우상숭배를 제로 포인트에 두어야 가능하죠. 그런 영감을 어디서 받았을까요? 바로 임제 선사가 쓴 선불교 문답집(임제록)에서 얻었죠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라(살불살조 殺佛殺祖)"


백남준의 말 <노스탤지어는 피드백의 제곱> 이 말은 선사시대의 기억이 21세기의 새로운 꿈과 비전을 여는데 무한제곱의 원동력이 된다 뭐 그런 뜻인가 백남준에게 ‘노스탤지어’는 과거에 대한 단순한 그리움이 아니다. 오히려 과거에 실현될 수 없었던, 미래에 대한 꿈과 열정을 되새김질하는 실천행위이다(?)

[백남준 독일뒤셀도르프 미대교수로 취임 날 첫 수업장면]


백남준이 독일뒤셀도르프 미술대학 교수로 취임하는 날 첫 수업장면이다 이날 모델은 같은 뒤셀도르프대학교 조각전공 학생인데 첫 수업을 모델을 구하지 못하는 소식을 듣고 자진해서 참여했다고 하네요 이 학생은 지금 아주 유명한 미술대학의 교수가 되었다는 후문도 있고요 
백남준이 여기서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분명하죠. 음악으로 미술을 하는 방식 사운드로 이미지를 표현하는 그런 방식인데 그런 점을 설명하기에 이보다 더 모델이 되는 수업을 없었을 것 같네요

뒤샹과 백남준의 에로티스즘은 어떻게 다른가 논문제목이네요 그 차이는 뒤샹을 역시 오브제아트로 에로티시즘을 표현했고 백남준은 소리를 통해서 이미지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에로티스즘을 표현했다고 할 수 있겠지요 뒤샹의 변기는 바로 여성의 성기를 의미하고 백남준의 피아노치는소리는 바로 여성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그 이미지를 담았다고 할 수 있겠지요 아래 작품은 바로 피아노소리가 바로 여성의 이미지로 변하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지요 일종의 코드변경 쉽게 말해서 청각(sound)이 시각(image)으로 변하는 요즘말로 융복합적 미학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요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M. Duchamp and Nam June Paik in the point of eroticism/Quelle est la différence entre M. Duchamp et NamJune Paik au point de l'érotisme


[가상인터뷰01_김형순이 묻고 백남준이 답하다] 

1962년 독일에서 비스바덴 fluxus festival 백남준 모습

[01] 김: 당신이 생각하는 이상적 세계는? 박: 코뮌과 화엄세계다 인류의 가장 오래된 미래인 코뮌(Commune)을 이룩하고<관련작품:TV 코뮌>과 마침내 화려한 화엄(작은 먼지 속에 온 우주가 모두 담겨 있다 나도 구하고 남도 구하다)이 열리는 세상이다<관련작품:달콤하고 숭고한 혹은 야곱의 사다리(레이저작품)> [02] 김: 민주주의란 뭔가? 
박: 말대답하는 것이다 [관련어록] "TV라는 게 낙하산식으로 하는 독재자 방식이니 가관이야. 윗사람이 얘기하고, 아랫사람이 예 하고 듣는 게 TV이거든. 뭐 동서양을 막론해서, 근데 대답하는 게, 말대꾸하는 게 민주주의야. TV에 우리가 여태껏 말대꾸를 못했잖아"

[10] 김: 후학들에게 해 주는 말은? 
백: 될 수 있는 대로 애국자가 되지 말아라! 그 대신 내로우-베이스드 스페시알리스트(narrow-based specialist특별한 영역의 전문가)가 되어라! 애국자는 결국 정치가가 된다. 그런데 우리의 정치적 관심을 반은 줄여야 한다. 요새 정치가 개판이라는데 아마도 정치적 관심을 희석시키는 데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다. 우리나라 신문을 보면 사분지 삼이 정치다. 구미 신문을 보면 70%가 스페시알리스트를 위한 기사다. 정치에 관심을 갖지 말구 수학, 물리학, 역사학, 철학, 이런 거를 더 공부해라."

[06] 당신은 왜 몽골을 좋아하는가?  백: 난 몽골을 좋아해 몽골사람들하고 우리들하고 3천 년 전에 헤어졌는데 그 3천 년 전 우리 것을 몽골사람들이 보존하고 있어요. 난 공자 노자 이런 사람들 이전의 사람들을 좋아해요. 신석기시대 같은 것에 관심이 많아요. 그리고 후대로 내려올수록 역사가 엉터리야. 대부분 일고 생각할 가치가 없는 쓰레기뿐. <백남준은 기록역사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강자의 기록이기 때문이다>


[07] 김: 당신은 어떤 예술가인가? 백: 나는 세계적인 예술가이기만 한 게 아니라 세기의 예술가이다 08] 김: 당신은 왜 극단적인가? 백: 나의 몽골유전자 때문이야. 몽골사람들 선사시대에 우랄알타이 쪽의 사냥꾼들은 말을 타고 시베리아에서 페루 한국 네팔 라플라드까지 세계를 누비고 다녔다 그들은 농사중심의 중국사회처럼 중앙에 집착하지 않았다. 그들은 멀리 여행을 떠나 새로운 지평선을 바로 봤다. 그들은 언제 더 먼 곳을 보러 떠나야만 했다. 
여기서부터는 간단한 해석 <더 먼 곳을 보다>를 영어로 고치면 <텔레비전>이 되죠. 그런데 여기서 놀라운 것은 중남미 페루가 나와요. 우리와 페루가 관계가 있다는 소리인데요 하여간 그렇고 또 라플란드가 나오는데 이곳은 지금의 핀란드라는 설이 있지요

[09] 김: 당신은 한국여성에 대해서 어떻게? 
백: 한국은 여자가 무지하게 쎈 나라다. 난 어렸을 때부터 누이와 엄마품에서 자랐기 때문에여성적 분위기가 지배적인 환경에서 컸다. 그런데 우리 집만 해도 여권이 쎘다. 우리나라여자들은 계라는 것을 한다. 미국와도 하구 언제 어디서든지 한다. 계라는 것은 결국 고리대금업인데 그것은 미국에선 마피아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여자들은 마피아보다도 더 쎄다. 돈을 만져도 무엇을 해도 겁이 없다. 남자에게 다 순종하는 듯하면서 안방은다 지키고 앉아 있다. 사실 한국 남자들은 허깨비다. 이런 여자문화 속에서 한국의 굿도 태어났다. 그래서 우리 민족의 역사는 이런 여성 형태를 닮아 순종하는 듯하면서 실속을 차린다."

[03] 김: 당신에게 퍼포먼스는 뭔가 ? 백: 축소된 우리 인생을 즉흥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04] 김: 네트워킹이란 뭔가 ? 백: 노자가 말하는 도(道) 그리고 불교에서 말하는 인드라망 같은 것이다 05] 김: 당신은 불교신자인가? 
백: 나는 불교신자는 아니다 나는 예술가다. 나는 동양적인 예술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동양적이다

[백남준과의 가상인터뷰]


아래 글에 보면 백남준 1964년 뉴욕에 6개월 정도 있으려고 했다고 거기에 주저앉게 되었다고 적고 있은데 뉴욕이 예술가들에게 확실히 매력적인 곳인지 모르겠네요 아래사진 백남준 돌아가셨을 때 헌화장면 Paik had originally planned a six-month visit to New York, joining his Fluxus colleagues and learning about American culture firsthand; but this arrangement became permanent as he enthusiastically responded to opportunities the city offered. In New York, Paik was able to act on his interest in television and video within an expanded community of artists and technicians, finding the means to realize his ambition to remake television, open up the art world to novel technologies, and devise new forms of creative expression. His first solo show there took place in 1965 at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see New School Univ. , and was unlike anything seen before: "Nam June Paik Nam June Paik (July 20, 1932 - January 29, 2006) was a South Korean-born American artist. He worked with a variety of media and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video artist.[1] He is considered by some[2] : Cybernetics cybernetics [Gr.,=steersman] , term coined by American mathematician Norbert Wiener to refer to the general analysis of control systems and communication systems in living organisms and machines. Art and Music" featured an array of televisions, magnets, and electronic coils used to fashion electronic moving images from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cathode ray tube See CRT.

02[1분유머] 1000년을 써 먹을 수 있는 문화자본인 백남준 그를 우리는 국립현대미술관으로 모셔야 한다 이영철관장의 주장이다. 그는 국가가 조금만 투자하면 많은 이자를 남길 수 있다는 말인데 그는 앞으로 1000년을 수출할 수 있는 문화재란 소리인데 그런데 위정자들이 그걸 이해할까 이탈리아는 2000년 동안 그의 조상들의 유산 때문에 지금도 돈을 벌고 그 문화의 이자들 받고 있는데 1000년의 이자를 낼 백남준에 대해 관심이 없어 보인다. 

국가나 재벌이 그의 작품 값을 좀 높여놓으면 안 되나. 지금 백남준 작품은 너무나 싸게 미술시장에서 팔리고 있는 걸 보면 국가에서 그에 대한 관심이 전혀 없다는 증거다 내가 확신하건데 그의 작품은 10년 안에 수십 배 뛸 것이다. 박수근 작품이 20년 전만 해도 그렇게 비싸지 않았다. 백남준 작품이 현재 그렇다 그
러나 10년 후 20년 후에는 분명 달라질 것이다 그의 작품을 수집해 두어라 부자가 될 것이다 독일인들이 그렇게 작품을 사 주는 이유를 백남준이 독일인들에게 물었을 때 아무리 부자라도 전쟁을 하고나니 남는 것은 예술작품밖에 없다고 하더니 하여간 인류에게 마지막으로 남는 것은 문화제 예술작품뿐 이 세상에서 가장 비쌀 수밖에 없다. 백남준은 우리가 1000년을 울거먹을 걸 제공한다. 그것을 어떻게 잘 활용하는 냐는 바로 우리 손에 달렸다

03 여자의 가장 오래된 질병은 무엇인가 사랑, 여자의 가장 오래된 직업은 무엇인가 매춘, 남자의 가장 오래된 직업은 무엇인가 고문" . -백남준 
서구문명을 풍자한 글인가요. 서양문화는 <사랑을 섹스와 폭력으로 구가한 문명>이라는 3가지 요소를 축으로 하여 역사를 움직이고 있다는 의미가 담긴 것인가요. 백남준이 바로 이런 질서를 해체하려 했는지 모른다. 0 나의 예술행위는 아무 목적이 없다 무상행(無常行:나는 뭐든지 아무것도 바라지 않고 한다)이다 -백남준 칸트가 말하는 <무목적적 합목적성> 뭐 그런 것이겠지요 백남준의 어록은 다시 살펴보니 그의 예술보다 더 중요하다

05  선불교의 원리는 스스로를 죽이는 것이다. 나아가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어떻게 75%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50%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 리는 어떻게 30%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09%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00%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1000% 만족할 수 있는지 배워야 한다. 서구문명과 예술로부터 탈주로 열다-백남준


08 <신체화된 예술(TV 브라)과 자연화된 예술(TV 정원)>
세기의 미인을 이렇게 까지 망가지게(?)할 수 있게 한 백남준의 힘 대단하다 Charlotte Moorman & Nam June Paik. Photo. Allan Tannenbaum 

06 백남준의 말을 불문학자 김화영씨가 이렇게 받아쓰다
"사람들은 마야의 방언에 대해서 그리고 수메르의 고적발굴에 대해서 수백권의 책을 썼으면서도 현대인의 중요한 현상인 전화에 대해서는 겨우 4권의 에세이를 썼을 뿐이다. 200년이래 나타난 예언자로는 프로이트, 맑스,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 토크빌을 손꼽고 있지요 그런데 그 누구도 우리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인 주차문제를 고민한 적이 없지 않은가. 나는 끊임없이 매개를 바꿉니다. 아마도 어떤 문화적인 유량벽은 나의 조상 몽고족에게서 물려받은 것인지 모릅니다. 인간이 무엇을 발명해내는 일은 한번도 없어요. 다만 인간은 새로운 관계를 설정할 뿐이죠."

07 랜덤액세스, 백남준의 비밀을 푸는 열쇠 <엇박자> 김수자의 <보자기> 같은 것 
덤액세스(Random Access 비순차적 접근, 임의접속)는 현대예술의 개념어로 백남준의 비밀을 푸는 열쇠이기도 하다. 일종의 흔들기 내지 어지럽게 만들고, 순차적인 것을 뒤죽박죽 만드는 것이다. 무질서해 보이지만 보이지 않은 체계가 있다. 동양엔 이미 '아니다'가 '그렇다'(不然其然)와 같은 랜덤액세스가 있었다. 백남준은 이런 동양사상을 통해 서양예술의 숨통 뜨려고 했다. 그리고 서양이 만든 게임을 이길 수 없다면 그 규칙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방식이 유럽에서는 나치즘의 악몽 이후에 나왔기 때문에 설득력이 있었다.

랜덤액세스는 일종의 카오스이론으로 현실을 비틀어 삶에 충격을 주거나 우연성을 기반으로 삶과 우주를 아우르는 다의적 개념이다. 이것은 반예술보다 무예술(anart)에 가깝다. 왜냐면 전혀 예상할 수 없는 역설적 상황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쇤베르크의 12음기법,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원리, 프로이트의 무의식세계, 아르토의 부조리연극 등과도 통한다. 
이영철 백남준아트센터 관장에게 우리 주변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랜덤액세스가 뭐냐고 물으니 불교에서 말하는 옷깃만 스쳐도 '인연(Karma)'과 같은 것이라고 말한다. 주동자가 없는 무위정치인 촛불시위는 누구도 상상할 수 없었던 랜덤액세스라고 할 수 있다.

백남준은 미국이 베트남에게 진 것은 아시아에 대한 소통과 정보부족으로 본다 백남준은 아시아의 문화와 예술에 대한 정보를 서양사람들에게 알려주려고 무던히 애를 썼다. 그것이 바로 동서간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공존의 길이라고 생각했다 그 대표적 작품이 바로 TV코뮌과 글로벌 그루브(이 제목을 참으로 재미있다. 전 세계 시민들이 다 모여서 신나게 한바탕 놀아보자는 뜻을 이렇게 표현한 것이다)다 백남준은 소통과 융합으로 전 세계를 호령한 문화칭기즈칸으로 그가 가진 포부와 비전(선견지명) 공존과 융합의 철학은 우리가 남북문제에서 세계평화에 이르기까 그 정신을 이어갈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백남준을 잇는 세계적 작가 김수자의 보자기퍼포먼스도 랜덤액세스와 같은 맥락이다. 보자기처럼 주머니에 넣고 다닐 수 있는 손바닥만한 것을 펼치면 우주공간보다 넓다. 서양의 고정관념으로 만들 수 없는 우리네 가옥구조가 비슷한 것이다. 이불을 개고 펴고 하는 불편은 있지만 그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지 않던가.

이것을 한국미에 적용한다면 멋이다. 그 멋은 '엇'이 없으면 안 된다. 즉 엇박자인데 틀을 깨는 파격을 말한다. 이를 보들레르에 대입하면 참되고 윤리적인 것에서 자유로운 '악의 미'를 뜻한다. 이를 통해 서양에서는 비로소 예술의 모더니티를 확보하게 된다.

09 [백남준예술론] 예술에는 귀천도 없고 동서도 없고 고급과 저급도 없다 백남준은 예술에 귀천이 없고 동서가 없고 고급과 저급이 없음을 그의 첫 전시에서 보여준다. 당시 첨단전자매체인 TV와 고급악기인 피아노와 함께 피가 뚝뚝 떨어지는 소대가리(샤머니즘)를 같이 걸었고 관객이 참여하지 않으면 아무리 작가라도 어찌할 수 없는 <랜덤액세스음악>을 선보였다 그래서 예술에서 저급과 고급의 경계를 없애고 지금까지 유럽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수직적 권위적 일방적 전시를 허물고 수평적 민주적 쌍방적전시의 신기원을 세웠다. 이것은 이미 발터 벤야민이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1938)>에서 복제시대 고급과 저급의 화해를 새롭게 조명한 문화이론과 같은 것이다.

11 첨단의 테크놀로지를 이렇게 능수능란하게 잘 활용한 현대작가는 백남준이 최고죠 사진만 봐도 그게 느껴집니다 This new, fully illustrated catalogue on the celebrated progenitor of video art, Nam June Paik (1932–2006), brings together a host of scholars, artists, and Paik’s own collaborators to illuminate the work of this innovative artist. An essay by curator Michelle Yun takes readers through Paik’s highly original career, providing insight into his radical and witty experiments with technology,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body, which he viewed as vital platforms for the future of art, science, and popular culture. Scholars David Joselit and John Maeda contribute texts examining the artist’s interest in new media and popular culture. A roundtable discussion with three of Paik’s own artistic collaborators and contemporary artists’ statements shed light on the collaborative process and Paik’s enduring influence on artistic practice today. Drawing on the newly established Nam June Paik Archive at the 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 this book also features never-before-published primary sources that highlight Paik’s prescient attitude towards the integration of increasingly indispensable technologies into modern life.


10 Paik's journey as an artist has been truly global, and his impact on the art of video and television has been profound.To foreground the creative process that is distinctive to Paik's artwork, it is necessary to sort through his mercurial movements, from Asia through Europe to the United States, and examine his shifting interests and the ways that individual artworks changed accordingly. It is my argument that Paik's prolific and complex career can be read as a process grounded in his early interests in composition and performance. These would strongly shape his ideas for mediabased art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ving image and media technologies were increasingly present in our daily lives. In turn, Paik's work would have a profound and sustained impact on the media culture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 his remarkable career witnessed and influenced the redefinition of broadcast television and transformation of video into an artist's medium. 
John Hanhardt Guggenheim Museum of Art Senior Curator of Film and Media Arts

12 왜 미국에서 미술공부를 하는 것이 유리한가 하면 혹시나 백남준 같은 그런 작가를 만날 확률이 아마도 뉴욕과 같은 도시에 가장 높기 때문이리라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백남준 조수를 7년간한 라파엘레도 우연히 백남준을 만나 그녀의 작품에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백남준 같은 작가를 파리에서 만나기는 더 힘들수도 있다

13 내가 좋아하는 백남준 작품 : [01] 머리를 위한 선(퍼포먼스) 1962, [02] 인테그랄 피아노(첫 전시)와 인터렉티브작품인 램덤 액서스 1963, [03] 섹스오페라(퍼포먼스) 1967, [04] TV부처와 TV정원 1976, [05] 굿모닝 미스터 오웰 1984, [06] 보이스 위한 추모 굿(퍼포먼스) 1990, [07] TV피라미드(다다익선)와 K-456 1992, [08] 단군 스키타이 1993 혹은 정약용 1995/일렉트로닉 슈퍼하이웨이 1995, [09] 구겐하임 야곱의 사다리 2000, [10] 엄마 2004



14 백남준과 이우환 동양의 긴밀한 <관계성>이라는 면에서 완전히 그 구조가 같다



백남준의 TV는 이우환의 철판이고, 백남준의 부처는 이우환의 돌이다. 그러면서 상당히 명상적이고 동양적이다. 백남준의 TV는 서양의 기술(테크놀로지)을 부처는 동양의 사상을 상징한다. 이우환의 철은 문명의 산물이고 돌은 자연의 유물을 의미한다. 백남준의 서양과 동양의 만남과 이우환의 문명과 자연의 만남 이런 것은 동양의 관계성 미학의 핵심인지 모른다.

15 무천 무천 무천 ::무속 춤과 없음의 미학 
남준의 의식지도: 1 나체주의자 2 무욕주의자 3 쾌락주의자 4 지방자치옹호자 5 무정부주의자 6 평화주의자 백남준: 음의 양 비디오 태음적 노마드 전자의 노마드들뢰즈: 양의 음 탈영토 태양적 노마드 모나드의 노마드백남준의 삶과 예술은 서양의 페니스에 대한 동양의 버자이너의 반격이다- 인류학자박정진 나의 결론 백남준은 문명의 축을 서양에서 동양으로 바꾼 혁명가였다 16[질문] 당신에게 TV는?[대답] ' TV는 (독재자처럼) 평생 동안 우리를 공격해 왔다. (민주화시대)이제 우리가 반격할 차례다.' - 백남준 ()안에 문장은 추가사항

17' 그는 테크놀로지를 사랑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우습게 만들었다. 그럼으로써 그걸인간화했다.' -한 독일평론가 
18 자유롭고 거침없고 천진난만한 남준 인간의 행복을 위해 즐거운 저항과 도발을 놀이로 삼는 작가 -이어령.19 질문: TV는 당신의 장난감인가 대답: 그렇다. 모든 것이 장남감이다. 비디오도 장난감이다. 그림도 장난감이다 나 역시 장난감이다. 나는 청년시절 지금보다 더 정치에 관심이 있었던 것 같다. 예술을 할 때 나는 한 가지 타협을 했다. 그 이후에 내가 하는 모든 것이 놀이가 되었다. 나는 아기 TV다

20 [질문] 왜 TV아트를? [대답] 처음에 나는 작곡가로 시작했지만 사실은 미학자이자 산문가였죠. 그리고 행위예술을 했지만 배우는 아니었어요. 한 번도 배우수업을 받아 본 적이 없죠. 나는 심지어 수줍음을 타기도 합니다. 그래서 나는 TV를 연구했죠. TV는 영화가나 화가의 분야이지만 사실 난 이 분야에 흥미가 없었고 자격도 없어요. 나는 아무도 가보지 않은 곳을 가보고 싶었던 것예요



21 백남준이 연주하는 전자월광 소나타 2 월인천강지곡을 연주하는 것 같다 물론 베토벤의 월광 소나타를 편집한 것이지만 너무 아름답다 이렇게 전자음악으로 편곡하니 더욱 아름답다 남준은 달은 최초의 TV라는 발상으로 멋진 작품을 냈지만 이제는 직접연주한 곳을 들으니 감회가 새롭다 느린 달빛이 주는 상상력은 예사롭지 않은데 역시 백남준의 영혼 속에는 미술보다는 음악이 더 원초적 예술이 아닌가싶다 그의 창작이 남다른 것은 바로 미술을 미술로 하는 것이 아니라 미술을 음악으로 하기 때문이 아닌가싶다. 이렇게 미술을 미술이 아닌 다른 것으로 하는 사람들이 앞으로 많이 나오면 좋겠다. 그래야 보다 더 독창적이고 기상천외하고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는 미술이 나오지 않겠는가. 22TV를 사람처럼 살아있는 생명체로 선언 -백남준

백남준에게 TV는 돈 버는 깡통이 아니라 인간이었다. 사랑도 하고 섹스도 하고 소통하고 명상하고 성찰하는 인간이었다. 더 나아가 백남준에게 TV는 부처였고 정원이었고 음악이었고 예술이었다. 서양인은 TV라는 첨단의 기계를 만들줄 알았지 여기에 인격을 부여할 줄을 몰랐고 살아움직이는 생명으로 보지 못했다 백남준은 여기에 동양의 생명사상 평화사상을 불어넣어 TV를 진정 인간의 친구로 만들었다. 그러나 TV는 여전히 정치선전과 경제이득의 저급한 도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문화 민주주의자 백남준은 TV 코뮨 즉 공동체를 통해 상호적 소통과 삶에 참여를 가져오려고 했고 다만 그런 기술이 당시에는 없었다. 그런데 그런 백남준의 이상은 이제 SNS를 통해 어느 정도 현재화되었다. 백남준은 TV에전자선으로 그림을 그려 하나의 캔버스로 만들었고 TV를 예술화하여 비디오아트를 창안했다. 기계마저도 예술이 되는 시대는 분명 아름다운 세상이 아니겠는가

26 질문 : 동서양 사고의 질적인 차이가 있나요? 대답 : 난 점진적인 차이(gradual change)는 있어도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고 믿어요. 왜냐하면 서양사상의 두 줄기는 희랍사상과 히브리 사상인데, 히브리 사상은 동양사상과 꼭 같거든요. 그래서 이스라엘인들은 나더러 동양의 이스라엘인이라고 해요. 이 쪽에 사는 동양인과 저 쪽에 사는 동양인이란 뜻이지요


23 21세기 최고의 문화국은 어휘가 많은 나라이다 그게 어휘 늘리기기 수출보다 더 중요한 이유다 우리가 대화에서 쓰는 어휘수와 서구인이 대화에서 쓰는 어휘의 수는 차가 많다 -백남준의 지적 우리가 아직도 중국에 밀리는 것은 그 어휘가 중국만큼 많지 않기 때문이다 
프랑스가 뒤지기시작한 것은 영어에서온 단어를 프랑스어에서 빼면서 시작되었다. 세계 각처에서 새 연구가 나오고 있어요. 이젠 미국인들도 일본어를 배웁니다. 일본어로 쓴 과학 논문이 많이 나오니까요. 또 미국에서는 일본 논문을 번역하는 팀이 생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는 순수만을 외치고 있어요. 이러다간 굶어 죽게 됩니다 -백남준

25 질문 : 선생님 보시기에 현재 우리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백 : <문화를 담는 좋은 어휘만들기 시급>현재 한국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21세기에 살아 남는 것이고, 살아 남으려면 하이테크의 무역을 해야 되는데, 한글을 가지고는 무역을 할 수 없어요. 그건 절대로 안됩니다. 그래서 내가 3~4년 전부터 한국에 올 때마다 이어령 장관부터 유명한 사람들한테 한글은 참 좋은 글이지만 이젠 안된다고 말해요. 마치 18세기의 말스를 21세기에 써먹을 수 없듯이, 15세기 세종 때 만든 한글을 가지고 이제 어떻게 살아요? 그래도 아무런 반응이 없지요. 한국인들이 다른 것은 다 잘하는데 한글에 대해서는 관념이 고정되어 있어요.우리 나라 사람들은 머리도 좋고 공부도 많이 해요. 죄는 어문(語文)밖에 없어요. 그러니까 모든 어문은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해요. 하나는 민족통일의 상징이고, 하나는 필요품, 편리품의 기능입니다. 그리고 편리품으로서의 언어는 가치 중립적입니다. 그런데 우리 나라는 언어의 정신적 상징은 강조하면서도 편리품의 기능을 상실했어요

27 질문 : 정주유목민(StationaryNomad)이라는 말을 썼는데 무슨 뜻? 
대답 : 교수님이 정말 리서치를 많이 했군요. 그 것은 원래 오일쇼크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하면 사람은 움직이지 않고 사람의 아이디어를 움직일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하다가 나온 말입니다. 왜 60킬로의 사람을 움직이는데 3백킬로의 자동차를 움직여야 되는가? 뭐, 이런 문제지요. 요즘의 팩시밀리 같이 아이디어만 움직이려는 시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케냐로 직접 갈 수도 있지만 텔레커뮤니케이션으로 공부하면 1시간이 10시간이 될 수도 있지요.


30 [불교에서 말하는 단의 미학을 실천한 백남준] 여기서 한 가지 더 추구하면 단(斷)이란 불교언어인데 깨달음(覺)을 취한 자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가위로 잘라재는 것은 피아노를 부수는 장난과 같은 것으로 마음속에 무(無)창조하는 것이다. 일체의 고정관념을 버리고 다시 시작하는 일종의 다짐굿이다. 그런 과감한 결단 없이 창조란 불가능하다. 거기에서 새로운 전위가 출발을 뜻한다

29 백남준 위대한 점은 팝아트를 닮았다 생활과 예술의 경계를 없애려 한 것이다 아래본문에서는 이 점을 삶과 예술의 화해(la réconciliation de l'art et de la vie)라고 표현하고 있군요 Nam-June Paik, le père de l'art vidéo. Au début des années 60, cet artiste sud coréen était membre du groupe Fluxus, prônant la réconciliation de l'art et de la vie. Et comme la télévision faisait désormais partie de la vie, qu'elle avait en quelque sorte remplacé le feu de cheminée chez les gens, il trouva logique de l'utiliser, en se servant de la video comme les sculpteurs s'étaient servis du marbre.

33 [질문] 당신의 종교는?  [대답] 나는 종교가 없다 나는 맑스쟁이다 내가 맑스를 배운 다음에 장사하지 않는 예술 하겠다고 하니까 다들 웃더군요. 그러니까 나는 맑스한테 큰 은혜를 입었지요.

34 피아노는 걷어차고 요강으로 연주하는 백남준 [백남준5주기-최재영전] 피아노굿으로 가장 한국적 미를 연출한 백남준 
귀신세력과 신명세력이 치열한 전투를 벌리다가 결국은 신명의 기운 귀신의 위세를 누린다는 것이 또한 굿의 정신이다. 다시 말해서 기의 주도권을 되찾는 것인데 그러나 굿의 본정신은 이미 많이 사라졌고 박제화되었다. 일본강점기와 일부 미국선교사들에 의해 그 본질이 축소왜곡되고 훼손되었다.

32 백남준 지구촌 위성굿: 서구인들이 독점한 판을 깨고 세계인과 나누는 새로운 판짜기 쉽게 말해 문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새로운 세계질서를 개편하는 것이다


굿이란 무엇보다 기운을 차리는 예식이자 통과의례다. 삶이 피폐하거나 마음이 괴로울 때 같이 모여 고민을 집단적으로 푸는 것이다. 그래서 굿의 원형은 당연히 개인굿이 아니라 대동굿이다. 대동이란 말 그대로 크게 하나가 되는 것인데 요즘은 그런 것이 이루어지기가 힘들다. 굿이란 미신이 아니며 일종의 사회적공공의 적을 추방시키기 위해 힘을 모으는 것 아니면 그렇게 하기 위해서 몸을 푸는 것 요즘말로 열 올리기(warming-up)라 할 수 있다.

28 일종의 강신굿으로서의 백남준의 비디오아트 
그의 예술은 한 판의 강신무와 같다. 백남준은 미술가보다는 생활이나 존재 자체에서 저절로 예술이 우러나오는 놀이꾼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지 모른다. 그래서 백남준 예술은 굿으로 볼 수 있다. 굿은 현대적 개념으로 보면 퍼포먼스와 설치의 결합이다. 그리고 그의 비디오아트는 일종의 '비디오 굿'으로 볼 수 있다. 음악에서 미술로, 미술에서 행위예술(퍼포먼스)로, 행위예술에서 비디오아트로 전전한 그에게 비디오는 '굿'을 전달하는 매체일 뿐이다. 그는 비디오아트라는 보자기에 모든 사물을 집어넣었으며 이들 이미지는 커다란 양푼에서 섞이는 비빔밥처럼 사람들에게 새로운 감각을 일깨웠다. 백남준은 이렇듯 음악이나 미술뿐만 아니라 예술계 전체의 기존 영역에 대한 개념과 질서를 무너뜨렸다. 문자의 시대를 대체하는 이미지의 시대를 맞이한 그는 소외되기 쉬운 인간의 소중함을 하늘과의 소통에서 구했던 것이다.

35 <Anthropology Dictionary 인류학사전>(집필자 기예르모 A. Guillermoz)에서 본 무속신앙 혹은 굿
한국의 무속신앙은 불교(4세기)와 성리학(neo-confucianism, 신유교 14세기)이 도입된 이후에 국가적 종교전통의 총집합소가 되었다. 무속신앙은 20세기 초부터 민속학자의 주요 연구대상이 되어 왔다. 무속인 중에 2/3가량은 여성무당이다. 그들은 초자연적 세계와 특별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의 여러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구전전통이나 특별한 무용, 음악 등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다. 무속인은 5천만 정도로 추정되는 남한인은 현재적 발전상황에 대단히 잘 적응하고 있다.



36 보이스는 1960년대에 "모든 사람들이 다 예술가다!(예술가 범위의 무한확대)"라는 주장으로 파문을 일으켰다. 이보다 더 좋은 복음은 없다 2000년전 예수가 한 말 <가난한 자가 천국의 우선순위1번이다>라고 한 말 "천국은 바로 너희 가난한 자(원어 프토코스Ptochos 즉 극빈자라는 뜻)의 것이다"하고 같은 맥락이다

Joseph Beuys (May 12 1921 Krefeld?January 23 1986 Dusseldorf) was a German performance artist, sculptor, installation artist, graphic artist, art theorist and pedagogue of art. His extensive work is grounded in concepts of humanism, social philosophy and anthroposophy; it culminates in his "extended definition of art" and the idea of social sculpture as a gesamtkunstwerk, for which he claimed a creative, participatory role in shaping society and politics. His career was characterized by passionate, even acrimonious public debate, but he is now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rtists of the 20th century

37 [Nam June Paik and Gerhard Richter, they have a same concept] 같은 점 비빔밥정신 multimedia이다. 사진, 회화, 추상, 구상 다 뒤죽박죽이다. 통섭, 융합, 하이브리드의 미술이다. 현존하는 최고의 작가 게르하르트. 동독출신으로 사실주의와 팝아트 그리고 시대정신의 정수가 잡식과 혼탕의 방식으로 표출된다. 일관된 작업 방식을 갖고 있지 않으며 끝없는 불확실성을 추구하는 작가다. 
나는 어떤 목표도, 체계도, 경향도, 강령도, 양식도, 방향도 갖고 있지 않다" - 게르하르트

[창신동 백남준과 박수근 이야기]

백남준 연구서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 원서 표지

[서울에서 가장 낙후되었다는 창신동에 20세기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박수근과 백남준의 집이 있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했다. 이것은 창신동의, 아니 서울의 엄청난 문화적 자산임에 틀림없다. 백숙집에서 국밥집까지 400미터. 그 길이 문화적으로 살아날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고 보니 그 사이에 있는 동묘(東廟)가 생각났다...내년은 백남준 선생 서거 10주기가 되는 해이다. 창신동과 동관왕묘를 알릴 절호의 찬스다] 

장례식장에는 내로라하는 현대미술인들이 다 모였다. 나는 1996년 제1회 광주비엔날레 커미셔너로서 같이 일한 외국인 평론가들을 반갑게 만날 수 있었다. 앞줄 한쪽엔 부인 구보타 시게코 여사와 존 레넌의 부인 오노 요코가 있었고, 나는 그 건너편 뒷줄에 앉아 있었다. 
장례식은 여러 예술인들의 조사 아닌 회고담으로 이어졌다. 우리와 달리 웃으면서 고인을 보내는 것이었다. 식이 끝나고 운구할 시간이 되자 사회자가 갑자기 가위를 조문객들에게 나누어주며 옆에 있는 사람의 넥타이를 잘라 관 위에 바치라는 것이었다.

[...] 올해는 박수근 선생 서거 50주년이 되는 해로 지난 5월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이간수문 전시장에서 회고전이 열렸다. 나는 추모전 운영위원장을 맡아 두 차례 강연과 가까이 있는 창신동의 ‘박수근이 살던 집’을 답사하는 프로그램을 가졌다. 이 행사를 주관한 박삼철 기획본부장이 저 윗동네에 ‘백남준이 어려서 살던 집’이 있다는 것이었다. 나는 그때 처음 이 사실을 알고 얼마나 놀라고 기뻤는지 모른다.


가서 보니 백남준은 부잣집 아들이어서 크고 번듯한 한옥 여러 채가 다 그의 집이었다고 한다. 그중 한 집은 지금 백숙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 400미터를 내려간 한길가에 박수근이 살던 집이 있는데 국밥집으로 되어 있다. 함께 간 따님(박인숙 선생) 하시는 말씀이 다 바뀌었지만 처마의 홈통만은 50년 전 살던 집 그대로라고 했다. 나는 그 홈통에 “박수근 화백이 사시던 집”이라고 지워지지 않는 유성붓펜으로 써놓았다. 나중에 이를 본 박원순 시장이 나에게 “왜 길거리에 낙서를 하고 다니세요”라며 즐거운 농담을 보냈다.

서울에서 가장 낙후되었다는 창신동에 20세기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박수근과 백남준의 집이 있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했다. 이것은 창신동의, 아니 서울의 엄청난 문화적 자산임에 틀림없다. 백숙집에서 국밥집까지 400미터. 그 길이 문화적으로 살아날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고 보니 그 사이에 있는 동묘(東廟)가 생각났다.

[시게코 그녀는 사랑과 예술에서 다 승리하다]

Shigeko, she wins at love and at art Shigeko, elle gagne l'amour et l'art en même temps

Shigeko Kubota(久保田 成子 Kubota Shigeko) (2 August 1937–23 July 2015) was a Japanese-born video artist, sculptor and avant-garde performance artist, who mostly lived in New York City. Kubota’s career peaked in 1967, when she was one of the first artists to adopt the portable video camera Sony Portapak. Kubota is known for constructing sculptural installations with a strong DIY aesthetic, which include sculptures with embedded monitors playing her original videos. She was a key member and influence on Fluxus, the international group of avant-garde artists centered on George Maciunas, having been involved with the group since witnessing John Cage perform in Tokyo in 1962 and subsequently moving to New York in 1964. Sh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George Brecht, Jackson Mac Low, John Cage, Joe Jones, Nam June Paik, and Ay-O, other members of Fluxus. Kubota was deemed "Vice Chairman" of the Fluxus Organization in 1964, a title given by Brecht.

Kubota's video and sculptural works are mainly shown in galleries – though her use of the television is synonymous with other video artists of the 1960s who made experimental broadcast programs as a move against the hegemony of major networks. Kubota is known for her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of the field of video into the field of sculpture and for her works addressing the place of video in art history. Her work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the television set, on personal memory and the emotions. Some works for example, eulogize, while also exploring the presence of the deceased in video footage and recorded images such as her Duchampiana series, the video My Father, and her later works Korean Grave and Winter in Miami which eulogize her husband Nam June Paik. Kubota's sculptures also play with ways in which video footage and sculptures which utilize videos can evoke nature, as in her Meta-Marcel, Bird, and Tree series' and in River, and Rock Video: Cherry Blossoms.

2012년 7월 20일 백남준 80주년에 시게코 여사의 모습 

2012년 7월 20일 백남준 80주년에 백남준 아트센터를 방문했을 찍은 시게코 여사의 모습 사진이 썩 잘 나오지 않았죠 Shigeko taken by me when she visited the Art Center of NJP(near Seoul) at the 80th anniversary of Nam June Paik on July 20, 2012

[장남감처럼 만든 백남준 로봇]


이경미 작가 카이스갤러리에서 전시할 때 찍은 사진인데 카이스갤러리 소장품, 이 백남준의 로봇 작품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연도를 모르겠다 1990년대 작춤 추정

비디오아트는 시각예술이기는 하지만 거의 음악 즉 연주에 가깝다 백남준처럼 음악을 전공하지 않고는 어떻게 보면 비디오아트를 차원높은 예술로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다 그런 면에서 그의 예술을 visual music이다. 그런데 이번에 임흥순작가가 베니스에서 비디오부분에서 상을 받은 것을 보면 한국사람들이 이 분야에 소질이 많은 것이 아닌가 싶다

[1997 독일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


독일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가 시작되는데는 이런 사연이 있네요. 뮌스터 시에서는 유명작가의 조각품을 구입해 한 대학 안에 전시한다고 하자 시민들이 반발했다 그 돈으로 유치원을 짓는 것이 낫다고 하면서 그때 여기서 뮌스터 미술관장이었던 클라우스 부스만은 깨달은 바가 있다고 한다 "공공조형물은 '서랍 속 조각품'(미술관 전시 작품)이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 미술관작품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안 가면 되지만 거리의 조각품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공공미술을 시작했고 이것은 미술의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것으로 10년마다 열리는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로 발전했고 이제 완전히 세계적 미술축제로 제 자리를 잡았단다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454598

[마크 퀸] 가나아트센터에 본 마크 퀸 생각이 난다 그때와 분위기가 다르다


The works form part of Mr. Quinn’s new exhibition, “The Toxic Sublime,” which runs through Sept. 13 at White Cube Bermondsey, in London. Each seascape attempts to meld the traditional romanticism of painters like J. M. W. Turner with layers of tape, paint and imprints of drains and debris to illustrate environmental degradation

In an interview Mr. Quinn was quick to distance himself from suggestions that his work is political. “It’s not ...
propaganda,” he said. “I don’t think art should be didactic.” But his work has always been daring, and his latest exhibition is an example of how that audacity has taken different forms 

[...] Mr. Quinn is an important artist because “he is bold in his conceptions, in his development of ideas and in the execution of his works,” Sandy Nairne, the former director of the National Portrait Gallery here, wrote in an email.

구겐하임미술관은 장소와 시간, 아침과 저녁 작가와 작품에 따라서 너무나 다르게 보인다] 


Guggenheim Museum seems so different depending on place and time, and depending on the artist and the work / Musée Guggenheim semble si différent selon le lieu et le temps, et selon l'artiste et le travail


Guillaume Apollinaire, 'The Cat'

I want in my house: A woman with her reason, A cat passing among books,Many friends in every season Without them I can not live...Guillaume Apollinaire, 'The Cat'

[On Rodney Dickson's painting] 
https://www.youtube.com/watch?v=mMifSQTauQ4
나는 내 작품으로 내 자신에게 충격과 쇼크를 주고 싶다" -로드니 딕슨 
I would like to be shocked or surprised by my work -Rodney Dickson 


그는 뉴욕에서 나에게 보름간 잠자리를 제공해준 빅토르 위고의 이미지를 가진 추상표현주의 작가다. 1956년 생인 그가 뉴욕에 거주한 것은 16년 사실 그렇게 긴 기간은 아니다. 그는 오랫동안 그의 고향인 아일랜드에서 살았다. 내가 보름간 살필 결과에 의하며 그의 작업방식은 긴 정적 침묵 뒤에 . 거침없이 위에서 아래로 곧게 떨어지는 폭포수 물결처럼 그렇게 작업을 한다. 폭포수가 마구 쏟아지는 그런 방식이다. 규정도 없이 어떤 관념도 없다. 그냥 그 순간에는 한 치의 양보도 없다. 거기에는 인생이 너무 짧다는 강박이 있다. 창조와 파괴의 그 무한대의 연속 속에 우연히 얻어지는 그 무엇을 잡아내는 것이다. 그것은 하나의 기적과 같은 사건이며 그러나 작가는 그 결정적 순간을 기다릴 줄 안다. 그런 방식이 그의 고유성·정체성·천재성이다/"나는 남에게 쇼크나 충격을 주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에게 쇼크와 충격을 주기를 원한다"라는 작가의 말에서 나는 그의 치열성은 엿본다. 그는 자신을 죽이려 한다. 그만큼 그는 깊은 자아의 세계 속에 몰입하거나 침잔 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때로는 실패가 성공이라고 믿음이 보인다. 그러나 그는 작업과 싸움에서 이기려고 한다. 그 결과와 관계없이 그에게 그런 면에서 그에게 포기란 없다. 실험의 중단이란 있을 수 없다 

자신의 원하는 작업을 끝까지 물고 늘어진다. 향해서 질주하다 거기에는 인생이 짧다는 강박이 있다 그래서 그는 시간을 최대로 아껴 쓰려고 한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오직 그림에만 몰두한다. 외출을 가능한 삼가면서 말이다. 그가 인생을 사용하는 법은 카프라가 말하는 비누처럼 비누가 없어질 때까지 그것을 아낌없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그는 물감은 아낌없이 쓴다. 그의 물감은 레이어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당연히 마티에르가 아주 두꺼울 수밖에 없다. 작업을 할 때 보면 물감이 그의 얼굴을 뒤덮을 정도다. 그런데 그는 기존의 페인팅과 반대다. 그야말로 뉴 페인팅이다. 그것은 바로 더덕더덕 붙어있는 물감을 긁어내면서 나오는 빛, 그는 거기에서 그림의 환희를 발견한다. 일종의 빛의 창조인데 외광파 인상주의 빛의 창조와는 전혀 다른 생각이다. 그런 기존의 방식과는 정반대로 하는 독창적 방식이다. /그는 동양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그는 이미 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 ,버마 등에서 전시를 하거나 레지던스를 경험한 바 있다. 그는 동양여성의 은근한 아름다움을 좋아한다. 그리고 그가 색채를 대하는 방식은 색채의 유용이 아니라 색채의 무화이다. 색채를 더했다가 그것을 끝나는 것이 색채를 또 뺀다. 즉 플러스의 미학으로 끝나지 않고 동양의 마이너스 미학을 도입한다. /그는 색채를 두껍게 칠하고 나서 하나씩 빼나간다. 그런 면에서 동양적이다. 색채를 더해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색채의 빼기를 통해서 빛을 발견하는 방식이다. 그는 그리고 매우 순정적이다 한국의 단색화처럼 그는 동양에서 말하는 구도 몸과 마음을 갈고 닦는 자기단련(discipline) 방식이다. 물질이 정신으로 변화면서 일어나는 화학작용에서 무한대의 환희를 맛본다. 이것은 그 누구도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거기에서 그의 회화가 주는 위력을 느낄 수 있다 

다시 말해 물질적 욕심을 가장 낮은 곳에 두고 정신적 가치를 가장 높은 곳에 둔다는 말이다. 자신만의 회화의 길을 걸어가는 어찌 보면 구도자 같다. 혁명가스타일은 아니다. 그는 뉴욕에서도 16년간 브루클린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런 장소성은 그의 예술의 특징을 말하는 것이기에 중요하다. 그는 영어권 작가지만 잉글랜드 출신이 아니고 아일랜드 작가라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그의 그림에는 역사적 상처가 있다. 영국과 아일랜드 역사를 아는 사람은 다 안다. 참으로 말로 다 못한 힘든 비참한 역사가 있다. /그의 색채에 대한 감각에는 보이지 않는 트라우마가 있다. 그것의 유래는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의 그 말 못한 역사적 비극에서 유래한다. 예술을 그렇다고 폭력성을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평화적으로 그런 점을 주제로 삼을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점을 예술로 승화시키려 한다. 자기만의 순수한 정신적 치열성이 보인다. 그만큼 인고하는 자세 무겁고 신중하다. 과거 미국에서도 같은 백인이면서도 아일랜드인을 별도의 인종을 분류했고 그들이 삶의 기둥으로 삼는 가톨릭은 증오했다. 때로는 집단적으로 폭행과 살인도 가했다 영국이 과거에 아이랜드인을 박해하듯이 말이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아일랜드인을 배척하는 정당도 나왔고 그 정당에서는 대통령후보까지 냈다. /역사적으로 아일랜드가 잉글랜드로부터 엄청난 고통을 당한 역사를 알기에 작가는 보다 더 보편적인 휴머니스트가 되려고 한다. 그래서는 그는 주변의 고통당하는 소외된 사람들 흑인이나 소수민족 아시아인들에 대해서 더 가까이 접근하려 한다. 그들의 정서와 공감대를 형성하려 한다. 그런 면에서 그에게는 친구가 많다. 그만큼 인간친화력이 강력하다. 

그만큼 그는 마음의 부자다. 고통을 감당하는 인내력이 탁월하다. 그는 큰 덩치는 어울리지 않게 매우 여성적이고 섬세하고 배려심이 많고 그러나 사회적으로 소외된 약자에 대한 연민과 관심이 높다. 그들과 연대하는 쉼 없는 노력을 기울린다. 그런 면에 뉴욕의 브루클린이라는 장소성이 그에게 잘 맞는다. 인간에 대한 보편적 인간애가 보여준다. 그는 뉴욕에서 브루클린 정말 사랑하는 사람으로 보인다. 재즈음악 같은 그곳의 서정과 서러움도 담보한다. 하지만 그의 부인이 영국인이라는 점도 또한 그의 그런 경계에 연연하지 않고 민족간의 갈등과 긴장의 경계선도 넘어선다. /나는 아직 그에 대한 그에게 영감을 준 사람이 모네인지 마네인지 아니면 누구인지도 잘 모른다. 그에 대한 정보가 절대 부족하다. 인터뷰 한번 해본 적이 없다. 그에게 영감을 준 사람은 모네인 것 같은데 확인 못했다.


그는 그런 자신의 천진난만함과 여성적 면모를 과감하게 떨쳐내는 장치가 있다. 그것을 바로 오토바이다. 그의 느린 성찰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그런 속도감을 해소한다. 그는 삶에 대한 성찰을 하는 느린 요소와 일본 오토바이 즐기는 스피드광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앉아서 명상을 하는 시간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그런 답답함을 오토바이의 질주하는 속도감을 풀어내는 것인가. 작업과 스트레스를 때로 해소하는 것인가./그의 이중성은 그의 생애와 작품에 고스란히 반영되는 있다 그는 작품은 회화이면서 조각이다. 그래서 뉴페인팅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런 모순된 요소가 여기저기 보인다. 천진성과 용감성 페인팅과 오토바이 즉흥성과 지속성 등이 언제나 공존한다./그의 추상표현은 빠름과 느림이 동시에 있어 기묘한 리듬과과 고저장단이 있다. 숭고한 분위기지만 천진난만하다. 색채에는 밝으면서 어둡고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동경하나 실은 매우 심각하고 무겁다 하긴 예술가만큼 이런 저런 모순과 이중성이 많은 존재도 없을 것이다.



그는 추상화를 통해서 삶의 희로애락을 표현하는 것임에 틀림없지만 우주만물에 대한 그의 미학적 속내를 알기란 쉽지 않다. 그는 우주를 노래하고 인간을 찬양하는 보편성과 함께 그의 색채에는 확실히 폴락이 창안한 액션페인팅의 요소가 들어가 있다. 그냥 아름답게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온몸을 밀어붙이거나 집어넣는다. 다시 말해 그의 그림에는 그의 육체가 들어간다. 육감이 들어가고 육성이 들어간다. 실제 그의 목소리를 들어보면 그의 색채의 뉘앙스가 느껴진다. 그는 기진맥진할 때까지 밀고나가는 스타일이다. 그 극점에 달해 쓰러지면 다시 그는 죽음을 맞이하는데 그것은 죽음이 아니고 새로운 삶의 시작점이 되기도 한다. 여기서 결과보다 그 과정이 중요하다 관객의 반응보다는 자신의 신념에 충실 한다. 그런 면에서 그는 우직하게 뚝심이 많은 작가다. 그는 스스로 말하는 것 같다. "나는 고흐의 별밤을 21세기의 회화로 번역하고 있다"고 말이다. 그는 뉴욕적이면서 또한 뉴욕적이지 않다. 그는 서양적인 면이 강하지만 그보다 때로는 동양적인 면모가 커 보이기도 한다. 그는 북미의 작가이지만 뉴욕에 도시적 지성에만 자신의 혼을 빼앗기지 않고 그는 여전히 아일랜드 그 초원의 서정적 감성을 유지하고 있다 어떻게 보믄 그는 그 아일랜드 나이브한 목동 같다. 그의 멘탈이 그렇다는 말이다 그만큼 그는 서정과 천진함 그리고 관용과 강인함이 넘치는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작가이다

[추상표현주의] Newman 추상화


직선도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다니 놀랍다 I was surprised that this kind of straight lines are able to be amazing, beautiful and fair/Je fus surpris que ce genre de lignes droites sont capables d'être incroyable, belle et juste

[양혜규 작품 역시 좋다]


향기 나는 빛, 비주얼 사운드, 움직이는 컬러, 서사구조 등등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Haegue Yang stimulates the imagination of audience by means of a fragrant light, visual sound, moving color, and narrative structure of her works/Haegue Yang stimule l'imagination du public au moyen d'une lumière parfumé, son visuel, la couleur en mouvement, et la structure narrative de ses oeuvres

[프랫 인스티튜트 교육철학]

1887년에 설립된 뉴욕 브루클린 프랫 인스티튜트 미술대학 캠퍼스 백남준 여기서 미대학장도 하고 명예미술학박사도 받았다 이 미술대학의 표어가 재미있네요 "당신의 작품에 진실하라 그러면 당신의 작품이 당신에게 진실할 것이다" Motto of Pratt Institute in Brooklyn NewYork: Be true to your work, and your work will be true to you.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2층 19-20세기초기 회화 및 조각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입구 

[메트로폴리탄미술관] 미국의 미술관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은 인류역사상 문화적 보물을 다 긁어모은 곳이다. American Metropolitan Museum in NY is a place where one scratch all kind of collections in human history and as a cultural treasures broken English 센트럴 파크 동쪽에 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입구에서 한 컷 

이집트신전, 아프리카 토템, 잉카제국상징물, 중국도자기, 로마조각상 동서양을 아우른다. 유럽 이탈리아 17세기 19세기 프랑스 인상파미술 미국위인의 초상화 20세기까지 다양하나 이 미술관 1872년에 세워졌다. 미국은 남북전쟁 끝나고 산업이 폭발할 때다. 맨해튼 인구급증하고 뉴욕의 부가 팽창하면서 중산층이 두터워지고 예술품에 대한 사회적 욕구가 폭발했다. 이 미술관은 200만 점 소장하고 있다. 부속미술관 클로이스터 맨해튼 북쪽에 있다. 여기는 미국사람이 가장 많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2층 19-20세기 초기 회화 및 조각관 이 관은 주로 모네의 그림이 많다 

미국사람도 여기를 오지 않으면 촌놈이 된다. 1층 이집트 관 신전 스핑크스, 장신구, 그리스 로마 유물, 장식미술품은 하긴 예술품이란 머리를 가장 많이 쓰고 인간이 창의성을 최대로 발휘한 것이라 그래서 고귀한 것이다 작품이다 적어도 3일을 봐야 제대로 볼 수 있다. 좌충우돌이다. 무기류나 악기류 등은이곳 만의 특징이다 인류학 박물관 역할도 한다. 동아시아관도 있다 일본·중국·한국 한국은 삼성에서 만들었는데 아직은 초라하다. 뉴욕 가서 여기를 보면 본전 뽑는 것이다 중략 <이현송저 뉴욕사람들 참조> 



Gustav Klimt I 'Serena Pulitzer Lederer' Oil on canvas 190.8*85.4cm 1899 

Beautiful and stylish, Serena Pulitzer Lederer was a star of turn-of-the-century Viennese society. For this portrait, commissioned by her husband, the industrialist August Lederer, Klimt employed soft, sinuous brushstrokes to present Serena as an apparition in white. "An upright flower, long-stemmed … like a black tulip," enthused one critic when the painting was shown in 1901 at the tenth exhibition of the Vienna Secession—a group founded by Klimt and other artists four years earlier, with the aim of putting the city at the forefront of the international art world. The Lederers subsequently formed the finest collection of Klimt’s work in private hands.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2층 19-20세기 초기 회화 및 조각관(갤러리 800-830) 

마네의 그림은 지금 봐아 너무나 현대적이다



세잔 자화상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2층 19-20세기 초기 회화 및 조각관(갤러리 800-830) 

오른쪽에 마네의 수련이 보인다



엘 그레코 작품 메트로폴리탄에서 본 작품 중 가장 큰 감동을 받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층 유럽조각과 장식미술(갤러리 500-556) 

그리스 로마의 다양한 조각작품을 볼 수 있다 



고갱의 원시주의 화풍은 나이들수록 더욱 나를 매혹시킨다


로댕의 칼레의 시민들


이탈리아 미래파 Umberto Boccioni 작품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본 여성 관객 뉴욕에서는 이런 패션도 가능하다


메트로폴리턴 미술관도 솔르위 같은 현대적 작가작품도 소개된다 

[뉴욕 맨해튼 현대미술관(MoMA) 입구 모습



뉴욕현대미술관 입구 

모마(MoMA)는 더 현대적이며 19세기-20세기 가장 유명한 명화를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다. 세잔, 마티스, 고갱, 달리, 루소, 고흐, 샤갈, 피카소, 로스코, 폴락 등등 현대미술의 진수를 볼 수 있는 신령하고 신선한 곳이다. 이곳에 오면 내가 정말 모던한 도시인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인류문화사의 최고 예술품이 집중된 곳이다. 결론으로 말해서 이렇다 백남준의 말 중에 선진 속에 후진이 있고 후진 속에 선진이 있다고 했는데 그런 면에서 한국이 미국보다 못하다고 말하기는 뭐하다 한국이 좋은 점이 있고 미국이 좋은 점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이런 것이다 1977년 3일간 뉴욕이 정전되었을 때 도시는 아수라장이 되었다 1000개의 상점은 약탈되고 1000개 이상의 방화사건 등 광주와는 비교가 된다. 폭력성은 잠재하고 있다 이것은 뉴욕사람들에게 큰 교훈을 주었을 것이다.



역시 모마에서 이 작품을 빼놓을수 없겠죠




모마 피카소 아비뇽의 처녀들 

정말 압권이다. 나는 피카소가 주는 그림의 위력에 완전히 사로잡힐 수밖에 없었다



모마에서 이 유명한 초현실주의 작가의 작품이 강력하게 내 마음에 들어온다


좋은 작품은 절대 개인의 것이 될 수 없다 인류전체가 그 주인이다. 그런 면에서 예술작품이란 위대한 것이고 놀라운 것이다


초현주의자 마그리크 그는 눈을 세상을 보는 창문 제목이 또한 초현실주의적이다 The False Mirror 1928


르네 마그리트의 이런 작품을 보면 정말 현대적이죠 현대인의 삶이 그야말로 초현실적으고 그려지고 있는데 이 사람이 코뮌니스트였다는 잘 모르죠 그는 현실을 그리되 현실을 그리지 않고 환상을 그리는 그런 미술의 또다른 세계를 실제로 펼쳐보인 천재급 작가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그의 작품은 주로 신비한 분위기와 고정관념을 깨는 소재와 구조, 발상의 전환 등의 특징을 보이며 이러한 특징은 우리가 생각하는 모든 것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도록 한다. 데페이즈망 기법(dépaysement)으로 유명하죠. 

데페이즈망은 우리가 익숙하게 느껴지는 대상이나 상황을 이질적인 상황으로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페이(pays)는 원래 땅이나 장소를 말하는데 그 단어 앞에 데(dé, 해체하다)가 들어가니까 그 땅을(그 어떤 물체를) 전혀 예상할 수 없는 뜻밖의 장소로 옮겨놓는다(배치한다)는 뜻이 된다



그날 오후 4시나 모마에 입장해 거의 작품을 보지 못했다 역시 바스키야다


문화시대를 맞아 요즘 미술관이 최고의 데이트 장소로 부각되지요 시대의 변화다 






그리고 오늘 마지막으로 소개하려는 작품은 자코메티의 조각이 아니라 회화작품이다 정망 이 작품을 보는 순간 조각을 잘하면 회화도 잘 할수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조각같은 회화의 신선한 맛을 볼 수 있다


앙소르 

앙소르야말로 인간의 본질을 꿰뚫어보는 화가다 인간의 위선과 과장 허세와 허영 그리고 삶의 축제가 변질되어 창조적이고 못하고 잘못하면 허무한 국면으로 흐를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무엇보다 유사성의 표정과 가면의 삶을 풍자하고 있다 얼굴이 해골로 그려졌다는 것은 17세말 바니타스의 전통이다



메레 오펜하임 '오브제-털로 된 아침식사' 1936 

너무나도 유명한 이 작품을 보고 나니 속이 시원해진다 메레 오펜하임은 1936년 이 작품 하나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초현실주의 작가이다. 초현실주의는 친숙한 일상을 낯설게 하면서 전복하기, 무의식이라는 또다른 세계를 통해 당시 1차대전의 발발과 파시즘의 대두를 비판했던 예술사조이다. 

메레 오펜하임의 이 작품은 모피로 만든 찻잔세트이다. 도대체 이게 뭔가? 모피로 대변되는 ‘따뜻함’과 ‘부드러움’은 보통 여성으로 대변되는 이미지이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이미지를 혼합해서 만든 이 오브제는 결코 약하지 않고, 그녀의 여성성 또한 부드러움 속에 강함이 있다는 역설을 표현한다. 

그녀의 모피 찻잔세트는 촉각적으로는 에로틱한 감정도 불러일으키지만, 모피를 갖기 위한 과정의 폭력까지 집요하게 끄집어낼 수 있다. 모피 찻잔 속에는 다양한 이미지들과 폭력적인 남성성을 냉소적으로 비판하고 부드럽지만 강한 여성성을 표현하면서 작가 자신의 주체성과 희망을 작게나마 엿보게 한다.



유럽에서 큰 전쟁을 2번이나 일으킨 독일인의 내면의 복잡한 심경을 이렇게 표현주의 기법으로 잘 드러낼 수 있다니 정말 놀라운 일입니다 이 작품하나로 우리는 독일인의 무의식세계를 한눈에 읽을 수 있다 이 작품은 독일 신즉물주의(Neue Sachlichkeit, New Objectivity)의 대표적 작가 게오르그 그로츠(George Grosz)의 작품 '시인 막스 헤르만 나이서'(Poet Max Herrmann Neisse 1927년)이다 



세잔은 그림은 그림이 아니다라는 새로운 발상법으로 서양미술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죠. 그의 사과그림을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물리적으로 바닥에 떨어질 수밖에 없는 그림을 그림 속에 천연덕스럽게 그림으로써 그의 서양의 입체파의 원조가 되었다


쿠닝을 보니까 정신이번쩍 났다


<빨래하는 여인> 1888년도작품. 

인생을 살아가는데 빨래만큼 필수적인 것도 없다 박수근은 빨래터에서 그의 운명의 여자를 만났다 

외국여행을 하다보면 9가지 필수다 첫째 <밥> 문제 먹어야 하고 둘째 <잠> 문제 거처가 있어야 하고 세째 <옷> 문제 빨아야 하고 네째 <법> 문제 그 나라마다 다른 법을 지켜야 하고 다섯번째 <돈> 문제 ATM 여기저기에 보인다 여섯번째 <말>의 문제 소통이 되어야 하고 일곱번째는 <글>의 문제 뭔가를 남겨야 하고 여기에는 사진을 뺄 수 없다 여덟번째 만남의문제 전혀 예상하지 않는 좋은 <사람>을 만나야 하고 마지막 막으로 중요한 것은 한국에서 볼 수 없는 먹을 수 없는 그 곳이 아니면 누리고 경험할 수 없는 것을 <새 발견>해야 한다는 생각이 갑자기 든다



미국미술이 세계최고라고 하지만 아직 고갱을 따라잡을 수는 없다


폴락은 정말 천재인 화가죠 이런 작품의 색채나 구성이나 운동감 그리고 율동감은 완벽하다고 할 수 있죠 그러나 폴락은 이것마저도 다 버리고 오직 몸으로 그리는 액션페인팅에 도전해서 그야말로 우리시대 최고의 화가가 된 것이죠 절정의 포기야 말로 새로운 창조의 시작입니다


뉴욕의 지하철은 정말 지옥철이다 조금도 과장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런데 로스코는 그런 황량함에서 현대인의 마음을 시원하게 긇어주는 이런 매매모호한 색채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했습니다 지옥에서 천국을 본 것이죠


뒤샹 그는 그리는 것을 포기하고 이미 만들어진 것은 전시장에 가져다놓는 개념을 현대미술에 도입해 서양미술의 아버지가 되었다 여기서는 창조라는 것보다는 선택이 중요해졌다 그리고 이 세상에 완벽한 창조가 있을 수 없음을 은근슬쩍 알려주기도 했다 그러니까 일종의 작가에 대한 권위적 위상을 부수고 민주적인 사유를 도입한 셈이다


한국산수화는 중국에서 독립해서 진경산수화가 나왔고 프랑스는 이탈리아 풍경화에서 독립하여 푸생을 거쳐 인상파화가가 나왔고 미국은 유럽의 풍경화에서 독립하여 이런 드넓은 공간의 독립적인 풍경화가 나온 것이죠 이 작품이야말로 미국미술의 출발점이 아닌가 싶죠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멕시코 작가의 작품을 소개합니다 이름은 Rufino Tamayo 1899-1991


미술관에서 명화를 찍을 때 사진 속에 어떤 관객이 들어가느냐에 따라 사진의 분위기가 확 달라진다 작품과 관객의 분위가 맞으면 대 성공이다 이 작품은 그런 개념이 없이 막 찍은 것이다


20세기에 입체주의 미술운동은 확실히 혁명이었다 피카소 작품


마티스는 피카소에 비해 단순하지만 그 급수에서는 전혀 떨어지지 않죠 사실 피카소와 마티스는 라이벌관계인데 서로가 경쟁을 하다보니 프랑스20세기 미술을 더욱 풍요롭게 한 것이 아닌가 싶네요 서로에게 윈원이 되었다고 할 수 있죠


모마 아트숍 마티스와 마그리트 보기 좋네요 예술가는 정말 위대하다 

미술관에 갈 때마다 보는 일인데 미술관을 나오는 사람의 얼굴에는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다 입장료가 아무리 비싸도 마음으로 그 보상을 다 받았다는 표정이다



모마에서 작가나오미와 한 컷 

뉴요커 나오미(작가 겸 전시기획자)는나의 아망트라고 할까 그녀와 함께 모마에서 한컷 이날 모마에 무료입장에 공로가 크다 임시 프레스카드를 만드는데도 도움을 주다 아직 서류제툴 미비로 받지는 못했지만 

[05] 모마미술관 3층 오노요코특별전



모마 오노요코전 이 여자는 정말 센 여자라 우리나라에서는 19금이죠 이 전시는 내일 다시 소개드리죠 백남준과 오노요코 시게코의 미묘한 삼각관계이면서 라이벌관계이기도 했죠



"1963년 일본에서 백남준을 처음 만났을 때 오래전부터 알던 옛 친구처럼 친근감을 느껴다 남준은 늘 조용히 나를 지지하고 내 편을 들어주어 어려울 때마다 정신적으로 의지한 내 마음 속 부처였다" - 오노요코 백남준 회고의 말 중에서 "When I first met Nam June Paik in 1963 in Japan I felt a closeness to him, like an old friend from a long time ago. Every time I was difficult in my heart, he is the one I rely with a heart. He who was always quiet was my Buddha. He gave me a hand when I was in difficult situation and he always supported my position -Ono Yoko


우리시대의 마녀 혹은 미녀 예술가 오노요코의 퍼포먼스사진 여기에 보면 역시 백남준이 같이 등장한다 아닌가 하여간 다른 사진에서 보면 백남준이 나온다 

Museum of Modern Art: ‘Yoko Ono: One Woman Show, 1960-1971’ (through Sept. 7) In 1971, Yoko Ono gave herself an imaginary solo show at MoMA by means of a few cut-and-paste photographs and some strategically placed newspaper advertisements. More than 40 years later, the real thing has come to pass and it was worth the wait. Enhanced by films and a soundtrack, the show is largely archival, with lots of works on paper, including the 151 hand-typed note cards that, in 1964, became “Grapefruit: A Book of Instructions and Drawings,” and demonstrate how radical this artist’s early experiments with language and performance were. A 2015 sculpture rounds things out. Sure to put you off balance, it’s a reminder of what a wake-up-to-life call that art can be, a message that this underestimated artist has been delivering for years. 212-708-9400, moma.org. (Cotter)



앤디워홀 오줌으로 만든 작품 한국에서 소개된 적이 있는데 오노요코 여자의몸에서 나오는 물로 기막힌 작품을 선보이고 있네요 이것은 노자사상의 메타포이다 물방울 하나로 바위를 뚫는다는 동양적 정서를 반영한 것 같다. 느리지만 조금씩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물이야 말로 모든 생명의 원천이고 여자의 몸에서 나오는 물은 새로운 생명을 잉태시킨다. 상당히 에로틱하다는 면에서 현대적이다 자세히 보면 물방울이 조금씩 떨어지는데 전시장 바닥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앤드워홀 오줌으로 만든 작품 한국에서 소개된 적이 있는데 오노요코 여자의몸에서 나오는 물로 기막힌 작품을 선보이고 있네요



오노요코전시장 옆에 아트숍 여러가지 다양한 제품 특히 오노요코도록과 관련상품이 팔린다 사실 작가들이 모마같은 전시장에서 전시를 하면 최고급 영어로 된 도록을 남길 수 있다는 점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다


전시장 인산인해 개념미술가로서의 오노요코의 일면을 볼 수 있는 텍스트아트 나는 잘 모르지만 거의 일본 단시와 같은 문장에 적혀있다


오노요코의 전시장 풍경 모마에서 처음 전시인데 모마는 다른 메인전시장에서 전시된 작가는 절대 전시하지 않는다고 아이리스 선생님의 설명이다백남준도 이미 구겐하임에서 전시를 했기에 모마에서는 전시가 없었는데 사실 백남준은 모마가 그렇게 어울리지는 않는다. 하여간 오노요코의 위상을 미국에서 백남준의 위에 있는 건 사실이지만 후대에 평가를 할 때 백남준이 오노요코보다는 한수위인 것은 틀림없다


체스와 엉덩이 춤 그림 이건 20세기 미술혁명의 진원지가 된다 바로 몸과 도박(아방가르드한 실험정신)이 중요하다는 다소 엉뚱하고 유머러스한 실험이다 사실 모든 그림을 결국 여성의 엉덩이와 버자이너를 그린 것이다 뒤샹의 변기는 또한 여성의 버자이너를 상징한다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성행위를 말한다 요노요코의 똥파리가 천천히 지나가는 버자이너영상은 시케코의 버자이너페인팅보다 더 세다 19금이라 여기서는 생략한다 미국에서는 그런 것이 거의 없지만 ㅋㅋ


모마 오노요코 특별전 도록과 아트상품


모마 오노요코 전시장 나는 봉이김선달이다


여기가 모마 6층 레스토랑인데 오늘 제가 내 생애에서 아주 중요한 사람을 만난 곳이죠 그가 누군가 하면 백남준의 마지막 전시를 기획하고 그의 예술에 홀려 지금도 전세계에서 백남준 기획전을 열고 있는 아이리스 문 선생이죠 오늘 제가 아이리스님이 사주는 런치 및 디저트를 대접받았는데 그 메뉴가 사실 제가 처음 먹어보는 것이네요 가장 기억에 오래 남는 것은 냄새와 음식의 맛이 아닌가 싶네요


뉴욕 일요일 정말 지축을 울리는 소란하고 시끄러운 소리가 진통하는 하루 그야말로 축제의 도시 음악이 이어지니 어깨가 절로 움직여지는 그런 곳이더군요 사실 지나치게 소음이 심한 도시죠 존 케이지가 왜 소음이 음악이라고 했는지 확실히 알 수 있게되었습니다 지저분함과 소란스러움 그리고 이상한 냄새는 사실 하루만 지나면 중독이 되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지요


백남준에 대한 이야기를 정말 많이 했네요 내일모레 독일베를린에서 열리는 백남준국제세미나에 참가하시는 일정에도 시간을 내셨네요 백남준의 유작 <엄마>가 바로 이 선생님의 기획으로 성사가 되었죠 TV 내용 중 따님 3분도 나온다고 하네요


백남준기획전을 국내외적으로 11번이나 하셨네요 오늘의 주인공 아이리스 문선생님이 모습이 드디어 나타났네요 저에게 사주신 특별요리가 뭔지도 먹어보네요 오늘을 조금 수줍은 모습이네요 사진실력이 없이 그녀의 외모를 따라가지 못하네요 

[뉴욕은 정치적 긴장이 전혀 없는 도시라 편하다] New York has a good atmosphere because there are no tension to give or form political power to the people 뉴욕이 좋은 점은 정치권력이 풍기는 긴장감이 전혀 없다. 표현의 자유에서 방해를 받는다 절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워싱턴보다 훨씬 뉴욕은 그냥 마음이 편하다. 보스턴처럼 고매하지 않다. 뉴욕은 원래 장사꾼의 도시다. 세계금융의 도시 월가가 있다. 이민자중 가장 많은 수가 먼저 발을 딛는 곳이다. 가장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산다. 뉴욕은 출판, 미디어, 광고, 패션, 예술 등이 산업을 지배한다. 뉴욕타임스는 가장 권위 있는 신문이 있다. 미국부자들이 가장 많이 산다. 반면 빈민가는 믿을 수 없는 만큼 비참하다. 뉴욕시민 중 교통신호를 지키는 사람은 없다. 파리처럼 무단횡단은 다반사다. 

[구겐하임 오프닝 리셉션] 



구겐하임 미술관 입구 

[구게하임] 구겐하임과 모마 현대미술의 색감과 현대미의 집합소다. 여기는 현대미술이라 메트로폴리탄보다 마음이 가볍다 19세기이후 작가를 중심으로 보여준다. 구겐하임은 승천하는 이미지다. 상당히 종교적이다 .프랑크 로이드라이트가 설계했다 .백남준이 2000년 전시할 때 이 공간을 가장 창의적으로 활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트 숍에 가면 인상파 등등 화집을 볼만하다. 작품에는 기부자가 많고 그 이름을 적혀 있다. 미술관은 개인이 이름이 들어가지 않는 것은 공공관념 때문이다.



구겐하임 미술관 

이 미술관은 참으로 신기하다 어둡기도 하고 밝기도 하고 올라가면서 보고 내려오면서 반추하듯 다시 그림을 보고 미로에 빠져 관객의 혼을 빼 놓는다 사실 그렇게 큰 미술관은 아닌데 상당히 매력이 있다 백남준이 여기서 전시를 할 때 그가 이 공간을 어떻게 해석했는지 모르지만 그의 레이저 아트를 선보이기에 이보다 더 좋은 공간을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레이저가 단계별로 계단을 오르듯 그렇게 레어빛이 올라가는 효과를 주는 것이기에 관객의 혼을 빼놓기 좋기 때문이다



백남준 회고전에 참가한 사람인 마이클은 지금 이 미술관의 시니어 메니저다 상당히 높은 직함이다 그리고 그의 파트너인 라파엘레 때문에 알게 되었지만 백남준 때문에 이 동반자를 무려 뉴욕에서 4번이나 만났다 마이클이 그렇게 높은 책임자인줄은 몰랐다 그는 참으로 아주 조용한 사람인데 내면이 강해 보였다


이불 작가의 작품 소품이지만 너무 좋다 

[구겐하임미술관 양혜규전 그룹전 중 백미]



구겐하임미술관에서 보는 양혜규작품 여기서 가장 멋진다고 할까요 오감을 자극하는 그의 작품은 향기 소리 색의 착시 바람에 따라 달라지는 색의 변화 그 창의적 열동성 등 이 사진을 무려 20장은 찍은 것 같네요 이불 반응이좋지만 양혜규는 더 반응이 좋은 것 같았다 일본여학생에게 양혜규에 대해 설명하니까 박수를 치면서 좋아한다. 

양혜규 정말 대단합니다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구겐하임을 백남준 이후 2번째로 점령했군요구겐하임미술관 양혜규 작품과 잘 맞는다 둘의 특징을 바로 관객을 정신을 차리지 못하게 하는 점이다



양혜규 작품을 각도를 다르게 해서 찍어보다 

세계10대작가에 속하는 도리스 살세도 전시(June 26–October 12, 2015)오프닝 리셉션에 초대받아 찍은 사진이다 미국 미술계인사와 처음 만나다



구겐하임 오프닝 행사 

구겐하임 오프닝 행사에 선보인 칵테일 색이 너무 산뜻하고 예쁘다 간단한 막대빵과 함께 마신다 

http://www.guggenheim.org/new-york/exhibitions/on-view/doris-salcedo



이 날의 주인공은 도리스 살세도 그녀 작품은 매우 독특하다 저항적이면서 돌발적이고 현대문명에 대한 새로운 고찰과 반성을 유도한다 오프닝 행사에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제대로 감상하지 못한 것 같다 이 작가는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10위권에 속하는 데 한국에는 별로 소개되어 있지 않다 This major retrospective will survey the searing, deeply poetic work of Doris Salcedo (b. 1958, Bogotá, Colombia). Over the past three decades, Salcedo's practice has addressed the traumatic history of modern-day Colombia, as well as wider legacies of suffering stemming from colonialism, racism, and other forms of social injustice.





이런 오브제작품의 익명의 폭력성을 은유한다고 하니 그 해석이 그리 쉽지는 않네요. 중남미 작가답게 정치적 상황이 녹록하지 않겠지요. 이 작가에게 가장 심각한 문제는 바로 경직성이다. 가구에 콘크리트를 묻히고 있는 것은 살아있어야 하는 가구를 죽이는 정치적 악습이나 사회의 부조리를 상징하는 것 같다 상당히 예술적 감각이 있는 그래서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작가가 그의 이름은 바로 <도리스 살세도> 직접 이 작품을 본 사람으로 더욱 그런 점을 느끼게 된다 

The Guggenheim’s presentation of Doris Salcedo will occupy four levels of the museum’s Tower galleries. It will feature the artist’s most significant series from the late 1980s to the present, as well as a video documenting her remarkable site-specific public projects and architectural interventions./ Doris Salcedois organized by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Chicago.




Doris Salcedo. Photo by Artforum. 

Doris Salcedo (Bogotá, 1958) studied Fine Arts at the Universidad Jorge Tadeo Lozano in Bogota and pursued graduate studies at New York University (1984). Between 1987 and 1988 directed the School of Fine Arts of the Institute of Fine Arts in Cali. She has been awarded grants by the Guggenheim Foundation and Penny Mc.Call. 

Her creation revolves around the serious problem of violence in Colombia and its devastating impact on the social fabric. Salcedo travels to the most deprived areas in Colombia and speaks with the families of those killed, adding these accounts to her work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She often uses furniture in hes sculptures, removing its familiarity and giving them an air of unease and horror. 

One of her first creations is Atrabiliarias, a mural made up of women's shoes tucked into niches, covered by a thin translucent film. In another, Casa Viudas, the furniture are mourning the loss of their former occupants clinging to bones, the remains of a dress ... 

Sh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lombian artists in the contemporary international scene. Her works have been exhibited at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in New York, Tate Modern in London, the Pompidou Centre in Paris, in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and the Museo Nacional Centro de Arte Reina Sofia in Madrid , among others.



뉴욕 미술계 인사들


구겐하임미술관 오프닝 리셉션 장면


구겐하임 큐레이터 부부


구겐하임 수석 시니어 메니저 마이클 샤프 선생 

그의 집에 저역식사에 초대받아 그의 집을 방문하다 그의 생의 동반자는 백남준 조수를 6년간 한 미국작가 라파엘레다 두 분은 2000년 백남준 구겐하임 회고전에도 같이 참여했다 

[휘트니미국미술관] 여기서 드디어 백남준 작품을 만나다





새로 이사간 신축한 휘트니미국미술관 파사드 휘트니 미술관에서 백남준 작품 앞에서 한장의 사진을 찍어보다 휘트니미술관을 뉴욕 5번가 번화가 있다가 지금은 첼시지역으로 이전했다 

[미국 휘트니미술관]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주소 99 Gansevoort Street New York, NY 10014 (212) 570-3600 밤 10시까지 개방한다. 뉴욕에 가면 이곳을 추천한다. 새로 이사 간 미국 휘트니미술관이다. 이사 간 이곳은 물론 중심가는 아니다. 우선 뉴욕허드슨 강변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백남준 작품도 보고 근처에 먹자골목이 있어 그렇게 비싸지 않으면서 먹을 것도 많다. 새 미술관이라 분위기도 유쾌하다. 예술은 페스티벌이다. 여기는 바로 예술놀이터이자 삶의 생기를 얻는 문화발전소이기도 한다. 데이트하기 좋은 곳이다. 주소 다시 확인 http://whitney.org/




휘트니미술관에서 백남준 책을 하나 사다 

[백남준일기] 백남준이 난해한 작가라고 하는데 사실 그의 미학 혹은 철학은 너무나 간단하다. 즉 모든 소통과 네트워킹이 상호적이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되어야 인간은 행복하고 즐거울 수 있고 상호공존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종의 윈윈(상생)이다 그것은 우주의 법칙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그는 문화적인 방법으로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사람이고 일상에서 삶의 축제를 촉발시키는 사람이다. 

Nam June Paik sometimes called difficult artist. But his aesthetic or philosophy is very simple and common. The most importing thing for him is that all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should be interactive with a mutual way. Why? When most people to be coexiste...nce in equality they are so happy and enjoyable. This is a kind of win-win, it is also a law of the universe. When we viewed from this side, He is a practicing democracy as a cultural way and he also is a animator who created the festival and feast in our daily life. Nam JunePaik parfois appelé artiste difficile. Mais son esthétique ou de la philosophie est très simple et commun. La chose la plus importatrice pour lui est que toutes les communications et les réseaux devraient être interactifs avec une façon mutuelle. Pourquoi? Quand la plupart des gens à être coexistence dans l'égalité, ils sont si heureux et agréable. Ceci est une sorte de gagnant-gagnant, il est aussi une loi de l'univers. Lorsque nous avons regardé de ce côté, il est pratiquer la démocratie comme un moyen culturel et il est aussi un animateur qui a créé le festival et fête dans notre vie quotidienne.



백남준 TV자석 1965 

<TV자석>은 백남준의 기념비적인 작품 1965년 그는 TV 화면을 새로운 캔버스로 본 것이다 새로 이사간 휘트니미술관에서 2015년 6월 20일 찍다 <Magnet TV> is a monumental work of Nam June Paik in 1965. He took TV screen as a new canvas. I took this photo on June 20, 2015 at New Whitney Museum moved. <Magnet TV> est une œuvre monumentale de Nam Juin Paik en 1965. Il a pris écran du téléviseur comme une nouvelle toile. Je pris cette photo le 20 Juin 2015 au Whitney Museum de New déplacé. 

Magnet TV is a work by Nam June Paik from 1965. In it Nam June Paik altered the flow of electron in the picture by applying a magnet to the TV set. "The magnet’s force of attraction hindered the cathode rays from filling the screen’s rectangular surface. This pushed the field of horizontal lines upward thus creating baffling forms within the magnet’s gravitational field. If the magnet maintained its position, the picture remained stable—apart from minimal changes caused by fluctuations in the flow of electricity. Moving the magnet caused endless variations of the forms." (Source: Edith Decker, Paik Video, Cologne, 1988, p. 60ff.)



<TV자석>은 백남준의 기념비적인 작품 1965년


가장 미국적인 작가 에드워드 후퍼(Edward Hooper, peintre de la solitude) 작품이다 

'America Is Hard to See' (through Sept. 27) With high ceilings, soft pine-plank floors and light-flooded windows and terraces, the galleries of the new Renzo Piano-designed Whitney Museum in the meatpacking district are as airy as 19th-century sailmakers’ lofts. Art feels at home in them, and the work in the museum’s top-to-bottom inaugural exhibition is homegrown. Culled from the permanent collection, it mixes bookmarked favorites by Edward Hopper, Georgia O’Keeffe and Jasper Johns with objects and artists that the Whitney had all but forgotten or just brought in. As a vision of a larger America, the show is far from comprehensive; as a musing on the history of a particular New York institution over nearly a century, it is very fine, smartly detailed and superbly presented. 99 Gansevoort Street, at Washington Street, 212-570-3600, whitney.org. (Cotter)



이 미술관은 야외놀이터가 있다 좋다 주변 멀리 바다도 바라볼 수 있다


이 작품은 덕수궁에서 열린 이것이 미국미술이다에서도 소개되었다 

[뉴뮤지움 신미술관]



뮤지움 처음 가보고 내 기대만큼은 아니었지만 건축물 자체가 너무 창조적이다 주말마다 옥상에서 신나는 파티가 있죠. 사진에 거리명 Bowery Street 이름이 보이네요 http://www.newmuseum.org/ 235 Bowery New York, NY 10002 212.219.1222 

[Building] The New Museum, designed by Tokyo-based architects Kazuyo Sejima and Ryue Nishizawa/SANAA, is a seven-story, eight-level structure located at 235 Bowery between Stanton and Rivington Streets, at the origin of Prince Str...eet in New York City.



The New Museum building is intended as a home for contemporary art and an incubator for new ideas, as well as an architectural contribution to New York’s urban landscape. Sejima and Nishizawa, who received the commission in 2002, have described the building as their response to the history and powerful personalities of both the New Museum and its storied site. “The Bowery was very gritty when we first visited it,” they have said. “We were a bit shocked, but we were also impressed that a fine art museum wanted to be there. In the end, the Bowery and the New Museum have a lot in common.


Albert Oehlen, Der vergiftete Asket [The Poisoned Ascetic], 1992. Silkscreen and acrylic on paper, 79 × 63 3/8 in (200.5 × 161 cm). Private collection. Image courtesy the artist and Luhring Augustine, New York 

'Albert Oehlen: Home and Garden' (through Sept. 13) This fantastic, overdue show skims too lightly over three decades of painting — from 1983 to 2011 — as the artists moved from Neo-Expressionist self-portraits to his latest abstractions, in which irony is replaced by a semblance of anguish. In between: some of the first (and best) forays into painting by computer, and a group of canvases whose sublime abandon obliterates elaborate computer-built images. 235 Bowery, at Prince Street, Lower East Side, 212-219-1222, newmuseum.org. (Smith)



Both have a history of being very accepting, open, embracing of every idiosyncrasy in an unprejudiced manner. When we learned about the history of the New Museum we were flabbergasted by its attitude, which is very political, very focused on new ideas, fearless. The New Museum is a combination of elegant and urban. We were determined to make a building that felt like that.” Amidst a cluster of relatively small and mid-sized buildings of varying types and uses, the New Museum rises 175 feet above street level. As visitors approach on the Bowery or from the west along Prince Street, they encounter the building as a dramatic stack of seven rectangular boxes 

[프릭 컬렉션 이야기]



이 박물관 외부 모습 

[맨해튼부자이야기] 어퍼이스트사이드에 사는 사람들이 뉴욕에서 가장 부자들이 사는 곳이다. 부자로 사는 곳이 티가 나지 않는다. 주변의 분위가 그렇게 조용하지만은 않고 번잡한곳 제복을 입은 수위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고 청소부터 자질구레한 수리 등 슈퍼마켓 식품 배달하는 사람 등등 관리하는 사람이 많다. 아이를 돌보는 사람은 당연히 히스패닉다. 과거의 유럽의 귀족과 현대 뉴욕의 부자는 어떤 면에서 흡사하다. 외부수리는 엄격한 건축규제로 주로 내부수리를 많이 하고 가구를 자주 바꾼다. 주변에 5번가 명품점이 줄줄이 서 있다 그들의 생활은 잘 노출되지 않는다. 산책이나 산보를 갈 때만 보인다. 여기는 전혀 번잡한 점포가 없다. 당연하다. 배달시키면 된다. 이 근처 자녀들이 다니는 특수학원건물이 루브르 건물과 비슷하다. 이들에게 가장 관심거리는 미술품일수밖에 없다. 다 그렇지는 않지만 아시아 불교미술, 일본 문물, 중국 도자기 한국의 고가구 등등 하여간 이들은 Honorary White이다 이런 부호 중 FRICK COLLECTION 이라고 수집한 명화를 가지고 개인의 저택을 박물관을 만들어 공개한다. 입장료를 받기에 재정적으로도 문제가 없다. 보통 사람도 이 박물관에 들어가면 미국의 부호들이 어떤 집에서 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하여간 부자이면서 정말 부자로 사는 사람은 바로 미술을 컬렉션하거나 미술관계자와 인연을 맺으면서 문화를 향유하는 사람들이 그런 사람이 많기에 미국미술이 발달한 것인지 모른다 .그리고 예술재단을 만들어 미술창작자를 지원하기도 한다.



프릭 컬렉션 입구 

미국의 최고부호의 집을 바로 미술관이 되다 마치 베르사유 궁전의 축소판 같다



이 박물관 중앙 홀 

철강재벌 헨리 클레이 프릭이 40여년간 수집한 컬렉션이 전시된 곳으로 19세기 유럽건축양식으로 지워진 우아한 저택이 미술관이 되었다 프릭이 사후에 미술관이 되기를 바랬던 유언에 따라 아주 고풍스러운 분위기다 마치 베르사유궁전의 축소판 같다. 13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인상파 등 유럽작가 작품과 밀레 드가 휘슬리 등도 소장하고 있다 네덜란드 화가의 베르메르의 장교와 웃는 소녀도 볼 수 있다



최고부호 저택 인테리어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노이 갤러리 독일미술관 이이기] www.facebook.com/Neue.Galerie.New.York



독일미술관 Neue Galerie 사진을 못 찍게 하는 촌스러움을 보이다 그래서 자꾸 뒤떨어진다. 여기서 전시되고 있는 클림프전시는 서울에서 봤을 때보다 더 멋져보였다 



klimt's1907 gilded portrait of Adele Bloch-Bauer at the Neue Galerie. Credit Librado Romero/The New York Times 

6월 20일 뉴욕 노이어갤러리에서 이 100년 전 작품을 봤을 때 전율이 왔다. 장식미술과 순수미술의 절묘한 교합이다. 당시 빈이라는 도시의 에로틱하고 관능적인 분위기를 절감할 수 있었다 

Neue Galerie: ‘Gustav Klimt and Adele Bloch-Bauer: The Woman in Gold’ (through Sept. 7) With the spring release of the movie “Woman in Gold,” which is about the restitution of some Nazi-looted paintings by Gustav Klimt to their rightful heir, the most celebrated of those works, the predominantly golden “Adele Bloch-Bauer I” (1907), was brought back into the media spotlight after its 2006 purchase by Ronald S. Lauder for $135 million, then the highest price paid for a painting. This small show features the portrait along with eight other Klimts and an assortment of jewelry and decorative objects typifying the luxurious lifestyle of Adele and Ferdinand Bloch-Bauer, the art collectors who commissioned it. 1048 Fifth Avenue, at 86th Street, 212-628-6200, neuegalerie.org. (Johnson)



이 작품을 NeueGalerie에서 보니 백년전 오스트리아미술 전성기가 온몸으로 전해진다. 장식문화와 순수회화의 결정적 만남이라고 할 수 있다 

I saw this famous work of Klimt 100 years ago at the Neuer galerie the June 20, 2015 in NY. Then I had experience the big thrill. This work is exquisite bite of decorative arts and fine art. I felt desperately the erotic and sensual atmosphere of the city of Vienna at that time /Je l'ai vu ce fameux travail de Klimt il ya 100 ans chez Neuer galerie 20 Juin, 2015 NY. Puis je devais éprouver le grand frisson. Ce travail est bouchée exquise des arts décoratifs et des beaux-arts. Je me sentais désespérément l'atmosphère érotique et sensuel de la ville de Vienne à cette époque



이 박물관은 사진을 찍지 못하게 하는데 내부가 이렇게 생겼다 

그런데 이 미술관은 20세기 초반 독일과오스트리아 작품을 주로 전시한다 클림트와 쉴레 코코슈가 작품의 걸작을 여기서 감상할 수 있다 이 미술관은 천만장자이자 컬렉터인 로널드 로데(Ronald Lauder) 전시기획자 서지 사바스키(Serge Sabarsky)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새로운 미술관이라는 이름처럼 기존의 미술관과는 차별성을 두는 고급스러운 분위기가 나는 곳이다  



Neue Galerie: ‘Russian Modernism: Cross-Currents of German and Russian Art, 1907-1917’ (through Aug. 24) This lively, scattershot exhibition of about 70 paintings and works on paper forms an indispensable introduction to Russian modernism’s figurative beginnings and its ties to German Expressionism. That many of the Russians are unknown compensates for the unevenness of their work and for a selection of abstract pieces that feel tacked on. The German works, while outnumbered, look great. 1048 Fifth Avenue, at 86th Street, 212-628-6200, neuegalerie.org. (Smith


러시아 추상주의와 독일이 표현주의가 상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두 가지 작품 

[뉴욕 쿠피-휴이트 디자인 미술관]



뉴욕 쿠피-휴이트 디자인 미술관 입구 



뉴욕디자인미술관 속에 전시된 작품 디자인인에서 색채의 역할의중요성을 보여준다 

가구와 프린트 텍스타일 도기 등 25만여점의 컬렉션을 가지고 있는 디자인 박물관으로 스미소니언 협회가 인수해 지금 운영하고 있다 2002년에는 미켈란젤로의 촛대그림이 발굴되어 공개되기도 했다 이곳은 철강왕 카네기가 1901년 건축한 저택으로 맨해튼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정원이 있고 이곳은 결혼식 이벤트 징소로 사용하기도 한다



세계적 석학 기 소르망(Guy Sorman) 박사부부 

나는 그 부부를 뉴욕 디자인미술관(위 미술관) 정문에서 만날 거라는 것은 전혀 예상 못했다 인생은 필연이기보다는 우연이다 백남준의 우연의 미학과 나의 실수의 미학은 그런 면에서 어느 정도 통한다 세상에 이렇게 유쾌하고 지적이고 패션감각이 탁월하고 통찰력이 넘치는 보수주의자는 보기 힘들다 그는 한국경제의 경쟁력이 유교적인 것을 바탕으로 하는 노동윤리에서 온다고 본다 <노동에 대한 헌신성>이 세계에서 가장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의 최고수준의 브랜드가치를 가진 것은 바로 <달항아리>로 보고 있다 주한프랑스문화원에서 그의 강연을 들은 적이 있는데 정말 번뜩이는 지성과 탁월한 유머감각이 넘친다 그의 결론은 그는 한국경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문화를 이해해야 하기에 본의아니게 한국문화연구자가 되었다 그의 문화에 대한 견해는 우리도 모르는 장점과 단점을 꿰뚫고있다 

[브루클린미술관] 브루클리은 21세기 뉴욕미술의 중심지로 변하고 있다



브루클린미술관과 지하철 

The Brooklyn Museum is an art museum located in the New York City borough of Brooklyn. At 560,000 square feet(52,000 m2), the museum is New York City's second largest in physical size and holds an art collection with roughly 1.5 million works. Located near the Prospect Heights, Crown Heights, Flatbush, and Park Slope neighborhoods of Brooklyn and founded in 1895, the Beaux-Arts building, designed by McKim, Mead and White, was planned to be the largest art museum in the world.



브루클린미술관 입구 로댕 조각 

The museum initially struggled to maintain its building and collection, only to be revitalized in the late 20th-century, thanks to major renovations. Significant areas of the collection include antiquities, specifically their collection of Egyptian antiquities spanning over 3,000 years. African, Oceanic, and Japanese art make for notable antiquities collections as well. 

American art is heavily represented, starting at the Colonial period. Artists represented in the collection include Mark Rothko, Edward Hopper, Norman Rockwell, Winslow Homer, Edgar Degas, Georgia O'Keeffe, and Max Weber. The museum also has a "Memorial Sculpture Garden" which features salvaged architectural elements from throughout New York City.



시카고의 '디너파티' 디카가 박살이 나서 스마트 폰으로 찍었더니 사진 질이 떨어진다 

이 작품은 여성주의 작가를 대변하는 시카고의 작품으로 브루클린미술관 최고의 소장품이다 

1970년부터 미국 서부에서는 주디 시카고와 미리엄 사피로가 주축이 되어 캘리포니아 주립대에 최초의 페미니스트 미술강좌가 개설되었다. 그녀들은 1973년 집 한 채를 빌려 각종 여성관련 이미지와 물품을 소재로 ‘여성의 집’이라는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여성의 의식화 작업을 진행시켰다. 주디 시카고는 페미니즘 작가이자 교육자로서 꾸준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주디는 1971~1979년 사이에 디자이너와 100여명의 여성자원자가 수놓기와 도자기 제조 등에 참여한 '디너파티'라는 프로젝트를 기획해 페미니즘 미술사에 커다란 획을 긋게 된다. 

이 작품은 38개의 테이블을 이등변 삼각형이 되게 배치해 도자조각으로 된 열 세개 씩의 개별 접시, 냅킨, 장식용 식탁보, 잔, 포크, 나이프 등이 마련된 거대한 작품이다. 테이블 각 변은 14m, 높이는 15m로 각 자리마다 버지니아 울프, 사포 등 신화나 역사적인 인물로부터 미국의 흑인 노예해방론자까지 인류 역사상 위대한 업적을 이룬 다양한 여성 명사들의 이름을 식탁보에 수놓았고, 나머지 999명의 여성의 이름은 자기 타일로 만든 바닥 마감재에 새겨넣었다. 식탁보 위의 접시는 여성의 음부를 꽃처럼 제작해 전시하면서 더 이상 수동적인 남성의 욕망의 대상이 아니 주체적인 여성을 의미한다.





Basquiat : The Unknown Notebooks - Brooklyn Museum, New York. 2015 AT art shop in exhibition of J-M Basquiat


브루클린미술관 바스키아특별전 

Brooklyn Museum: 'Jean-Michel Basquiat: The Unknown Notebooks'(through Aug. 23) In this sparkling if sometimes arcane exhibition, the contents of eight notebooks, supplemented by several paintings and large drawings, trace the evolution of Basquiat’s loquacious pictorial style. Time spent with the catalog enhances the experience. 200 Eastern Parkway, at Prospect Park, 718-638-5000, brooklynmuseum.org. (Roberta Smith)



바스키아특별전 아트숍 

지금 이 미술관에서는 바스키아특별전이 열리고 있는데 그 전시 아트숍에서 만난 젊은 커플 남자친구의 헤어스타일이 바스키아를 닮아 인상적이다 브루클린 미술관에서 열리는 장 미셸 바스키아 특별전 홍보포스터 4층에서 8월 23일까지 열리는군요 


바스키아는 사실 아방가르드 작가다 그런데 인기가 높은 아방가르드 참으로 드문 예이다 그의 장난기 어린 낙서화는 사실 기존의 회화를 조롱하는 정신에서 나왔는데 그는 심오한 철학적 내용도 아주 가벼운 낙서로 대체할 수 있었다는 점은 그의 예술의 가장 큰 미덕이 될 것이다 그는 사실 화가보다 시인에 더 가까운 것 같다 그는 시는 상당히 과격하고 제3세계적 관점도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어려서부터 예술적 감수성이 높은 어머니따라 모마에서 자주 다녔다고 하는데 그런 미적 교양이 그에게도 그의 창작에 좋은 자양분이 되었을 것이다




1982년작 '유명(famous)' 스페인어 프랑스어와 영어에 능통했던 장 미셸 바스키아 는 정말 유명인이 되고 싶었죠 거기에는 성공했지만 안타깝게 요절했네요 뉴욕 브루클린미술관 바스키아전 사진 Basquiat : The Unknown Notebooks - Brooklyn Museum, New York. 2015

[첼시미술특구 전시] 507 West 24th Street New York NY 10011 


내가 알고 있는 유일한 첼지지역 갤러리 디렉터 Kathryn Erdman 그녀를 백남준아트센터에서 만났는데 바로 나를 보고 명함을 주기에 사실 좀 당황했지만 그 명함을 보고 찾아갔더니 첼시에서 가장 좋은 위치에 있는 고급갤러리다 나중에 다시 놀러오라고 한다 서울서 볼 때는 몰랐는데 상당한 미인이다 첼시지역 갤러리에 가면 정말 뉴욕커 중에서도 최고의 미인을 많이 만날 수 있다 갤러리입구에서


303갤러리 왼쪽에 내 친구인 이 갤러리의 공동디럭터인 캐터린이 보이고 뒤로 들어오는 남자는 버마에서 아주 유명한 작가라는 것을 알았다 그분이 로드디집에 초대를 받은 것이다 그의 도록을 보니까 미국으로 치면 바스키야 정도 되는 것 같았다 다만 이 작가는 회화에서 퍼포먼스까지 접근하는 방식이 다양하다 이름은 AYE KO다


첼시지역 이런 작품 괜찮네요 

첼시 전시 중 으뜸은 역시 이우환전이다



첼시 페이스갤러리 이우환 전시사진 중 하나


이우환의 단순미, 그 최고의 경지가 낳은 놀라운 위력한다


이우환 단순미의 승리이다


첼시미술동네 페이스갤러리 이우환전 

내가 이들에게 잠시 이우환전에 대한 설명을 하다



페이스갤러리 이우환전 이제는 이우환에 대한 관객의 반응이 민활하다 페이스갤러리 이우환전 전시장에 들어서면 이 작품을 볼 수 있다 돌과 철의 연애사건을 발견할 수 있다 일종의 연애스캔들이다


첼시지역 또 다른 장면 산뜻한 이런 분위기 갤러리도 있군요


첼시갤러리지역을 다 내려다 볼 수 있는 2층산책로  전망대 여기에서는 첼시가 다 보인다 

첼시미술지역의 하이라인 파크(Chelsea High Line Park) 대성공




이 공원은 2009년 처음 개방된 곳으로 첼시미술구역 과 나란히 있다 2층이다 버려진 고가도로를 활용해 새로 공사비도 많이 들지 않고 재개발로 성공한 사례다 아주 간단한 아이디어가 성공의 원인이다 이런 것들은 과거 산업화의 사용되던 철도를 고친 것이다 이 다리는 1999년 하이라인 친구들 시민단체가 결성되어 추진되었고 공원화의 타당성이 확인되면서 추진하게 되었단다 백남준 TV정원처럼 철길에 자연공원을 조성해 자연스럽게 시민들의 휴식처가 된 것이다 일단 자동차가 없고 장사하는 사람이 없어 좋다 야생식물과 대조를 이루는 철도가 잘 어울러진 것이다 허드슨강의 떨어지는 낙조도 감상할 수 있단다 동네공원과 다르다 규모는 작지만 아이디어가 좋은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공사비 1억 5천 달러가 들었는데 그 효과는 20억 달러가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하여간 과거 폐허가 된 산업화 흔적을 정보화문화시대에 잘 업그레이드시킨 사례다 


뉴욕 웨스트 첼시는 아직 좀 분위기가 썰렁하다 그런데 미인이 사진 속에 들어가니 분위가 확 살아난다


첼시에서 작가의 이름도 제대로 확인도 하지 않고 찍은 사진


첼시지역 갤러리지도 

[뉴욕 전시 오프닝 리셉션에 참관기]
 거의 광적이고 카니벌수준이다 한마디로 잘 논다



뉴욕 전시장 풍경 중 하나 

우리와 크게 다른 하나는 시니어가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그만큼 미술관객의 층이 어느 연령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골고루 퍼져있다는 증거다 One of features of audiences in art exhibition in NY and the Western country there are many seniors there



오프닝행사가 카니발 같이 시끄럽고 요란하고 거의 광적이다 

[뉴욕 ART STDENTS LEAGUE 미대전]



ART STDENTS LEAGUE 전시장 라우젠버그 작품앞에서



[뉴욕의 명소] 


뉴욕에서 가장 럭셔리한 박물관 유대인 박물관 Jewish Museum 1109 5th avenue 

역시 부호가 많은 탓인가 보다 미국최대규묘의 유대인 박물관으로 그들의 종교 역사 문화를 들어볼 수 있다 고대이스라엘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2만 7천점 소장품 이 박물관은 미국뿐 아니라 세계금융계의 거물은 와버그의 개인저택이다 



컬럼버스서클에서 본 뉴욕 웨스트 거리 가운데 센트럴파크이 보인다


센트럴 파크에서 찍은 사진 뒤로 라 플라자 호텔 등 고층빌딩이 보인다


뉴욕 그랜드 센터럴 스테이션


컬럼비아대학 

[About New School University of New York] 뉴욕에는 사회엘리트를 만드는 <컬럼비아대학Columbia University>(오바마 대통령 여기출신)과 세련된 현대지성을 만드는 맨해튼 중심가에 있는 <뉴욕대학New York University>(36명 노벨상수상자배출) 그리고 서민을 위한 <뉴욕시립대학City University of New York> 그리고 매우 사상적으로 진보적이고 예술적으로 실험적인 <뉴 스쿨 대학 New School University of New York>이 있군요 뉴욕대와 붙어 있는 모양인데 처음 들었다. 이 대학은 철학에서 시작해 이제는 예술(음악과 미술)분야에서 명성이 높은 대학이 되었다고 하네요 아래사진 뉴스쿨미대학생 메트로폴리탄박물관 견학 사람없는 이른 시간에



5번가 번화가 중 한 의상 부티크 White and Black 

[축제의 도시 뉴욕] 뉴욕은 어디를 가나 축제 판이다. 시도 때도 없다.New York is also the city where the festival takes place always. There is no time and no place. 어디나 관광객이 투성이다. 관광수입은 매년 3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34조, 이 도시는 런던, 파리, 로마의 장점을 합친 것 같다. 새로운 유행의 중심지 그 다양성을 이루 말 할 수 없다. 음식, 점포, 식품점, 이벤트의 분위기가 다양하다 영화나 광고 미디어에서 본 명소가 많다. 미국사람도 뉴욕에 오면 촌사람이 된다. 여기는 젊은 단기 체류가 많다. 한국학생은 디자인 패션 분야가 많은 것 같다. 뭔가 배우고 다양한 학원이 있다. 영어학원은 물론이고 서비스분야 그리고 전 세계 비즈니스맨이 와글와글하다. 새로운 돈과 꿈을 찾아서 뉴욕 찾는다. 부동산값이 날로 치솟는다. 미국영화나 영상이미지 미디어덕분이다.



록펠러 센터


Canal Street 근처인데 여기 2층 작업실에서는 고장난 TV 등 미디어아트 작품을 수리한다


타임스스퀘어 

뉴욕에는 현대문화상징의 메카가 많다. 타임스스퀘어가 그렇다. 세계적 교차로 가장 번잡한 곳이다. 교통망의 중심지다. 뉴욕타임스가 여기에 있다. 서울의 시청광장과 조금 비슷하다. 과거 유흥업의 중심지 대중소비문화 진공청소기를 역할을 하다. 1920년 재즈의 시대를 열다. 포르노극장 성인용품 매춘부가 손님을 끌다. 점잖은 사람 갈수 없는 곳이 되었다.



그러나 80-90 재개발로 전혀 달라졌다. 고충건물이 올라가고 사소한 범죄 엄격처벌 길모퉁이마다 경찰 배치했다 지역개발투자를 한다. 고급의류매장 하드록카페가 어디나 있다 화려한 점포 전시장이 즐비하다. 휘황찬란한 홍보전광판이 이 지역을 상징한다. 1년에 거두는 광고료가 70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800억이다. 미디어 영화 등에 자주 노출되고 등장하는 곳이다. 이미지 홍보 시대 첨병이다. 여기는 자유의 여신상과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과 함께 뉴욕의 문화 상징 메카다. TV 등 미디어가 만든 최고의 환상이다.


'그리니치 빌리지' 맨해튼에서 가장 고풍스러운 동네 뉴욕대가 바로 옆에 있고 백남준 작업실도 멀지 않다 

여기는 반문화운동의 본거지였다고 하네요 지금은 부르주아 보헤미안의 점령해버렸다고 이곳은 재개발반대로 옛모습을 그런대로 유지하고 여기는 20세기 초 예술가 작가 지식인과 보헤미안의 중심지 1950년 소위 비트세대는 전후 풍요의 질서에 반기를 들고 물질로부터 자유추구하는 문화운동이 일어난 곳동성애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용인된 곳이기도 하고 여기에 백남준 절친인 앨런 긴즈버그 등 문화히피들 포진 해 자생적 실험예술의 중심지였다고 하는데 지금은 그 흔적을 찾아보기가 힘든 모양입니다 여기서 동성애 자유를 위해 <소톤월 폭동>이 일어나고 6월말경 동성애 축제도 일어난다 지금은 뉴욕 중산층 고급 주거지가 되었고 하여간 여기는 전형적 비즈니스맨보다는 디지털 창조형 인간이 많이 사는 곳이라고 하는데 소비문화는 일반적인 것과 차별화되는 자기만의 멋을 추구하는 사람이 많단다



유니온 스퀘어 4번가 브로드웨이 만나는 곳이다 

사회적 중요한 이슈가 터질 때 목소리를 내는 곳이란다 19세기 중반 남북 전쟁 때 북국이 이곳에서 집결해 출정했으며 19세기 후반기 산업화시대 노동조합원이 이곳에 모여 파업을 선언하고 출정식을 했고 2001년 세계무역센터가 테러공격을 당했을 때 뉴욕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희생자를 애도한 곳이란다 그래서 그런지 이곳이 뉴욕에서 나를 가장 마음 편하게 하는 장소였다 여기는 상업행위가 금지되어 있단다. 그러나 매주 월수금토낮시가에는 직거래 장터가 열리는 곳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는 것이다 요리시범도 보이고여기서는 정말 다양한 표정 얼굴 차림 행동 연애형태 인종패션 언제나 일상적 축제가 일어나는 곳이기도 하고 뉴욕 맨해튼에서 가장 인간적인 얼굴을 한 지역이다. 스퀘어 광장이라는 것도 모르고 너무 피곤해 여기에 졸면서 앉아있었다 뉴욕에서 내 마음을 가장 편하게 해주는 좋은 인상을 받은 곳이다 Union이라는 단어가 주는 뉘상스가 좋다 특별한 볼일없이 하루종이 머물고 좋은 곳이다 의자에 하루종일 안자있어도 뭘하고 하지 않는 사람이 없는 곳이라고 할까 근처에 루스벨트 생가가 있었군요 그것도 모르고 있었네요 여행갈 때 가이드책을 잘 골랴야 한다 여행자에게 강력추천하는 장소다



유니온 스퀘어 광장 근처거리 

[여러 문제에도 뉴욕을 가장 매력적인 도시다] New York is the city where world citizens want to visit the most세계인이 가장 방문하고 싶은 도시가 뉴욕이다. 뉴욕은 1990년대부터 번성 정보통시의 기술덕분이다. 1980년대 경제구조조정으로 제조업은 남부와 해외로 이전하다. 정보와 기술을 다루는 중요기업은 뉴욕에 있다. 패션과 디자인분야는 프랑스를 능가한다. 낮은 임금에도 열심히 일하는 이민자덕분에 부를 창출한다. 뉴욕은 저임금 임시직이 가장 흔하다. 미국도시중 소득불균형이 가장 높다. 과거뉴욕은 범죄율이 가장 높았으니 지금은 낮아졌다. 줄리아니 시장의 작은 범죄를 놓치지 않는 <깨진 유리창이론>으로 경찰이 급속하게 늘었다 다. 1990년대 경제부흥을 하면서 범죄자급속감소 경찰과 감시 카메라 어디에나 보인다. 하여간 뉴욕은 더럽고 시끄럽고 복잡하고 빈부차도 심하고 문제도 많고 하루 종일 정신이 없지만 그럼에도 세계인에게 가장 매력적인 도시다



펠탑이라고 할 수 있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뉴욕은 네덜란드사람이 개척한 도시다] 뉴욕은 세계에서 장사 가장 잘하는 네덜란드사람이 개척한 도시다. 허드슨 강은 내륙운송의 출발점이다 철도와 함께 항공운동도 발달한다. 19세기중반 기근으로 아일랜드 이민자 쏟아져 들어온다. 이민자는 가장 힘들고 험한 일을 한다. 이것을 미국경제기적의 주요인이 된다. 걸어서 음식을 먹는 것은 당연하다. 20세기 초 다양한 종류의 사람들 남부로부터 흑인 대량 유입된다. 1920년에 할렘 르네상스를 맞이한다. 1930년대 대공황에도 흑인이 가장 선호하는 기착지가 된다. 거지가 살기 가장 좋은 곳도 뉴욕이다. 2차 대전이 미국을 살려준다. 군수물자로 돈을 번다. 1950년대 도시재개발 전설적인 호황을 맞는다. 70-80년대 다시 도시 공동화가 되었다가 1970년대 이후 이민법개정 다시 활기 아시아, 남미 이민자가 들어오면서다. 2000년 무역센터 테러당시 블룸버그 시장 경제 활력에 집중하다. 화려한 뉴욕 그냥 된 것이 아니다. 특히 유럽과 교류에서 지리적으로 굉장히 유리하다. 이런 점이 서부 어느 지역보다 경쟁력이 있다.



유니온 스퀘어 광장 근처 이탈리라 고급식품점 내부에 카페와 입식 식당도 있다 

[뉴욕은 거지도 살만하다] 누가 뉴욕을 찾나 뉴욕은 그 어느 도시보다 다양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일에는 사무직과 전문직이 있는데 이민자들 1세대 자녀는 아메리카드림 좇아서 정말 열심히 일한다. 중국인 음식점, 필리핀 여성 병원, 파키스탄 거리신문판매대 슈퍼 직원 동유럽 택시운전기사와 아파트수위가 많다. 중남미 출신은 가정부, 호텔청소, 한국인은 세탁소, 식품점, 손톱미용실 등등 한국인은 <델리> 편의점이면서 다양한 요리뷔페도 판다. 이민자의 출신이 워낙 다양하다보니 인종전시장이 된다. 뉴욕을 거지도 살만한 도시다 뉴요커들이 거리의 거지에게 도네이션을 잘 한다.



백남준 작업실 맨해튼 머서 스트리트 110번지 파사드 110 Mercer street soho area Manhatten NY Nam June Paik's studio 

뉴욕 지하철에 음악이 흘러 위로가 되지만 지저분한 것으로 악명이 높다 

100년이 넘은 뉴욕 지하철 뉴욕의 또다른 얼굴 New York subway that has 100 years history, This is another real face of New York 여기서 치하철을 타 보면 충격이다 라고 어느 뉴욕에 대한 책을 쓴 저자는 말한다 우선 소음이 엄청 심하다 무시무시한 굉음을 낸다고 누구는 표현하고 있다 마치 철공장 같다. 그러나 뉴욕지하철은 뉴욕의 속내를 가장 잘 드러내는 공간이라고 한다. 누구는 이렇게 적고 있다 타임 스퀘어 역에서 그렇단다 지상의 휘황찬란한 모습과 다르게 지하는 어둡고 지저분하고 복잡하다 그리고 혼잡하다 뉴욕이야기를 하면서 어느날 N라인을 타고 가다가 지하철이 멈춰 자총지종물으니 기관사말이 열차한칸에청소년 무기를 갖지고 타 경찰이 올때까지 기다리다보니 그렇게 되었다고 그런데 여기사람들 아무도 불만이나 항의가 없다고 그런면에서 뉴욕도 느린도시하고 적고 있네요 하지만 그럼에도 뉴욕지하철이 최고인것은 24시간 운행을 한다는 것 갓난 아이들과 함께 지하철을 타야하는 초보주부들 정말 오르내리기힘든데 전혀 불만이 없다 쥐에게 먹을 것을 주지 마시오 표어도 있다고 하는데 나는 보지 못했다. 그럼에도 지하철은 뉴욕의 자랑이고 가장 빠른 소통의 도구로 나의 뉴욕여행을 즐겁게 해주는 최고의 수단이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갈때 그 속도감은 정말 빠르다

[백남준과 가상 인터뷰 II]



38 1990년 58세의 백남준 신명(神明)의 도발을 위해 <보이스를 위한 굿판>에서 제의음악인 장죽을 물고 대야, 요강, 주발, 머리를 치다 우리의 유년시절 그 난타의 추억과 그런 기질과 그 환희의 세계를 되살려준다 
39 백남준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 예술에 대한 창조적 재해석은 우리 후배들의 몫이다

40 백남준위성지구촌굿: 서구인들이 독점한 판을 깨고 세계인이 나누는 새로운 판짜기다 새로운 세계질서개편이다 [자문자답] 굿이란 뭔가 굿이란 남이 주어진 판을 깨고 자신이 스스로 판을 이루는 과정인데 그 시대의 사람들을 괴롭히는 귀신들 예컨대 독재, 독점, 독선 독단의 논리를 휘두르는 세력을 작살내는 것이다.

그래서 거기서 해방감을 맛보고 맘판 놀이굿을 벌리는 것이다. 맘판 놀다보면 그 속에 화해와 대안이 형성되고 새로운 삶에 대한 의지와 에너지를 충전하여 삶의 힘겨움과 안타까움까지도 인정하며 보다 차원 높은 긍정으로 나아가 세상을 신명하게 살아가게 하는 힘을 얻은 것이다.

41 <백남준서양의물리학에서 처음으로 제3의길인 약한 것이 강한 것을이긴다는 이론소개>1986년 11월 :뉴턴의 물리학은 강함이 약함을 누르는 비융합적 이중구조와 권력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1920년대 독일의 한 천재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진공관 안에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극을 첨가시켰다. 그러므로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약함이 강함을 이기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불교적 '제3의 길'에 해당할지도 모른다 여성시대의 도래다

31 백남준은 세계최초로 단군을 예술화한 사람이다


스키타이 왕 단군 테크놀로지 개발과 관련해서 인류가 공통적으로 갖는 관심이 있다면 그것은 테크놀로지가 지능이나 감성 면에서 어떻게 인간과 유사해질 수 있는가의 문제일 것이며, 이에 대하여 과학자들은 사이보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개발해 왔다. 백남준의 로봇 개발은 196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제 2회 아방가르드 페스티벌에 출연한 K-456 로봇은 걷고 말하고 노래하며 배설도 하는 것으로 20채널 짜리 라디오로 조정되는 것이었다. 1986년 이후 신시네티의 칼 솔웨이 화랑과 공동 개발한 로봇들은 테크놀로지의 부산물을 이용해서 만든 것으로 형상의 측면에서 개별적인 인간들의 나이나 성별, 그리고 각자의 개성을 얼마나 차별적으로 표현하는가의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낡은 라디오나 TV의 겉 케이스를 조합해서 만든 인물상 속에 풍부한 표현력과 익살을 담은 그의 로봇작품들은 할아버지와 할머니에 이어 부모, 삼촌, 이모, 아기를 포함하는 <로봇 가족 연작>으로 발표되었는데, 이 연작은 한국의 대가족사회에 존재하는 가족 관념을 뚜렷이 보여 주는 작품이다. 이후 역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유명한 위인이나 자신과 가까웠던 지인들의 초상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단군>은 제 45회 베니스 비엔날레의 독일관에 출품되었던 작품으로 <선덕여왕>, <장영실>과 같은 한국적 소재를 모티프로 한 작품들 중 하나이다. 스키타이 족의 왕으로 표현된 단군은 커다란 눈과 지팡이, 표현적인 순간의 제스처를 통해 역사적 인물에 대한 작가의 기발한 상상력을 보여준다.

42 얼마만큼이 생이며 얼마만큼이 연출이며 얼마만큼이 사기가 되느냐. 그것은 아무도 모른다. 진리는 가면의 진리다.1986백남준 43 만약 현대예술이 고등 사기라면, 비디오는 5차원의 사기인 것이다-1984백남준 44 예술의 목적은 여러형태의 우상숭배를 파괴하는데 있다 영원성의 숭배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질병이다.” 1965 백남준

45 [질문] 유럽의 첫인상은? [대답] 난 유럽에 가서 보고 음악이나 미술 수준에 관하여 매우 실망을 느꼈다. 내가 가서 본 르네상스 이후의 위대한 실물들이 너무 초라하게 보였다. 그러나 거대한 사원에 들어가서는 좀 위압감을 느꼈다. 그 위압감의 본질이 고딕의 하늘을 찌르는 듯한 공간 처리에도 있겠지만 난 무엇보다도 스테인드글라스의 신비로움에 감명을 받았다. 그것은 벽에 건 그림과는 달리 빛이 투과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빛이 반사되는 것이 아니라 빛이 저 건너 바깥에 있다. 그리고 그 바깥에 있는 빛 때문에 인포메이션이 생겨난다. 그래서 난 그걸 좋아했고 그것을 내 아트로 옮겨보았다.


46 [전쟁세대 백남준 그의 독특한 예술언어] 백남준과 마리의 공통점은 전쟁의 비명소리 작품에 사용 
"우리가 공통적으로 경험한 것이 있다. 바로 전쟁이다. 나는 2차 대전을 겪은 세대다. 백남준은 초기 녹음 작업에서 전쟁 중 사람들이 죽을 때 내는 비명 소리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 둘 모두에게 친숙한 비명소리다. 우리는 각각 동양과 서양에서 태어났지만, 인간의 고통을 알고 있기에 서로를 이해할 수 있었고, 절대로 그것을 다시 겪으면 안된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우리가 처음에는 정치적인 것을 완전히 무시했다가 나중에는 매우 정치적이게 된 이유가 그것이다." -마리 바우어마이스터(플럭서스 그룹 작가)

"백남준의 청년기인 해방 이후 한국사회에서는 지식인인 체 하려면 기본적으로 맑시즘을 표방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에 백남준 역시 매우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수용하지 않았을까 싶다. 하지만 그는 70년대 한 인터뷰에서 마르크시즘과 결별하게 되는 결정적 계기를 이렇게 밝힌다. "어느 때 나는 내가 잘못된 편에 속해 있는 듯이 느꼈다. 1950년대 우리는 피난 열차를 타고 있었고 도피했다. 나는 내 자신이 어느 편인지 알 수 없었다. 그때 생각했다. '그래, 대오각성이다. 이제 모든 것을 야구경기 보듯 하자. 심각하게 생각할 건 아무것도 없지.' 난 꽤 냉소적이었다." -김수기(시각문화연구자)

"백남준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루카치나 카프카도 작품을 헝가리어나 체코어가 아니라 독일어로 썼다. 조이스나 존 레논, 쇼, 와일드, 혹은 베케트가 켈트어로 작품을 썼다면 세계 문화계는 꽤나 고생을 하지 않았을까? 위의 천재들은 자신들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지엽적인 자신들의 언어보다 독일어나 영어로 쓰려고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했을 것이다. 이처럼 그들은 모두 각자의 결점을 지닌 사람들인 것이다."

남준의 자기 인식이 돋보이는 대목은 '모두 각자의 결점을 지닌 사람들'이라는 데 있다. 이 결점이 바로 언어와 언어 사이에 놓인 자의 갈등이기 때문이다. 조이스는 자신의 작품을 세계인들에게 읽히기 위해서가 아니라 아일랜드어와 영어 사이에서, 카프카는 체코어와 독일어 사이에서, 영어도 아니고 아일랜드어도 아닌, 독일어도 아니고 체코어도 아닌 독특한 글쓰기를 만들어야 했던 것이다. 결국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도, 그가 발견했던 세계도 이러한 언어와 언어 사이에서 찾아진 것이다." -함성호(시인·건축가)

47 2010-04-02 맑음 백남준 총서 출간 기념회 이모저모


<1962년 백남준이 <황색재앙! 그것이 바로 나다>라고 선언한 것은 사실상 자신이 서구적 질서의 외부에 존재하는 유목 세계의 지배자 '칸'으로 등극했음을 의미한다> 

백남준은 비디오아트창시자가 아니라 문화사적 철학가 사상가로 보는 것이 더 낫을 것이다. 미디어표현사상가 등으로 가두어두기 힘든 21세기 문화아이콘 그의 예술은 원자폭탄보다 더 무서운 무기 서구인들이 만들지 못한 잠재적 가능성이 무한대나는 세계적 아티스트이기도 하지만 세기의 예술가라고스스로 말했다. 빈말이 없다. 사기같은 말이 앞뒤가 다 맞는다. 재치와 유머하늘을 찌를듯 하다. 핵심적이다. 진화론이 아니라 한꺼번에 동시다발로 깨우쳐야 한다. 백남준이 준 선물의 일부를 공부한 결과이다. 그의 경전의 일부가 나온 셈이다. 18개월동안 왜 그가 그렇게 유명한가에서 그의 연구가 시작되었다. 18세에 한국을 떠난 백남준 그는 세종보다 이순신보다 12-13세기 몽골의 제국정신 혼 북방유묙 샤먼을 주제로 삼다. 샤먼의 강력한 인식체게 작동하다 자부심 몽골초원 유라시아 웨이 매체미학 문화인류학 로마제곡보다 몽골제국에 더 관심 전세계적으로 열등감 제로 칸의 영혼으로 가슴이 뛰다. 

뒤셀도르프 백남준회고전 국제세미나 한국주관하기도 결정 소프트웨어의 중요성 강조 유목민에게 춤 시 음악 mobile할 수 있는 것 영국 테이트 리버풀에서 전시예정 이제 그에 대한 연구 외국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해야 우리의 몫 편견을 없애라 매둡 다시 묶기 고래의 질 속으로 들어가라 뜻하지 않는 방식으로 역사는 승리한 자의 기록 엉터리 다시 역사를 쓰다. 유목민 머리 속에 역사를 쓰다. 징기스칸의 복원 우주비밀 전자가속기축발제 광맥찾기 그는 책속에 파묻혀 살다. 늘 묻히고 다니는 사람 골동품 같은 서울말투로 오해사다

비디오는 시간예술 거기에 몰두해야 백남준은 소유개념없다. 법정보다더 무소유주의자 경제적 이득과 관계 없다. 몽골 소유개념없다. 침범 귀환 다 놓고 간다 어떤 코드가 없다. 마구잡이 소유는 끝났다. 백남준은 금의환향한 적 없다. 이도령이 아니다. 거지였다. 랜덤 액세스 그의 사상 넓고 깊고 높다 일종의 오리무중 유태인 자본 한국집결설이 있다. 백남준 고속도로를 타고 지구촌을 여행하는 지구촌 기념 사업회 소유 집착 축적을 포기하다 재물 깨다 남기지 않다 작품만 남기다 정복자도 마음을 비우지 않으면 망한다. 칭기즈칸 어록 텔레토피아 큰 마음 가지다. 호연지기 다다익선 영감 은총 선물 정신혼란 소유를 비워라. 비워있는 것에 공포를 없애라 마이너스 1000에 만족하라 백남준아트센터 경기도민에 맡기지 말고 전세계인에게 넘겨라 백남준 총서 II <백남준의 귀환, NOW JUMP> 소개 


<백남준의 귀환, NOW JUMP>는 본격적인 백남준 연구의 붐에 기폭제 역할이 기대되는 일종의 리소스북이다. 이 책은 2008년 백남준아트센터 개관 페스티벌의 도록 부분과 백남준 연구서 부분이 공존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런 모양새를 갖게 된 것은 2009년 한해 동안 진행된 백남준 리서치 과정이 확대 심화 되면서 백남준 예술의 핵심적인 코드와 함께 그의 예술 사상을 밝히는 일을 미룰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국내외에서 백남준 관련 저작이 출간되었지만, 연대기적 정리나 상식의 동어반복에 머물렀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백남준 연구가 정체되어 있는 현 상황을 타개하면서 백남준 연구의 이니셔티브를 제시하고자 했다. 

백남준은 1959년 <존 케이지에게 보내는 경의>로부터 출발한 퍼포먼스나 1963년 첫번째 개인전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전시회 등등에서 북방 유라시아 문화를 개입시켰다. 미디어 개념을 샤머니즘의 신성한 소통으로 파악했고, 시각예술의 대상(물질)보다는 정신적 사건(비물질)의 관점에서 접근했다. 이 책은 미디어=얼=정신이라는 등식을 증명하고자 백남준이 젊은 시절부터 자신의 사상적 배경으로 삼았던 칭기스칸의 몽골 제국을 관통하고 있다. 

최근 1963년 백남준의 첫번째 전시의 중요성이 서구 예술계에서 급부상되면서 많은 전시와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상황인데, 이 책은 백남준이 '대감놀이' 라는 굿판을 통해 서구의 근대 문예제도를 상징하는 뮤즈 여신들을 어떻게 살해하는 전시를 펼쳤는가 하는 매우 획기적이고 독창적인 해석을 던지고 있다. 백남준의 첫 전시는 음악의 전시였는데 미술에 음악을 도입했다. 그것도 음악이 종속적인 것이 아니라 대등한 것으로 여기서 새로운 비디오아트가 탄생한다. 공간예술이 시간예술이 합쳐지는 혁명이다. 그리고 연주도 그림도 몸으로 했다. 백남준은 머리로 피아노를 쳤다. 거기서 우연을 발견한다. 의도적인 것이 없다. 

1962년 백남준이 <황색재앙! 그것이 바로 나다>라고 선언한 것은 사실상 자신이 서구적 질서의 외부에 존재하는 유목 세계의 지배자 '칸'으로 등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1965년 <황색 의자들> 퍼포먼스를 통해 엉덩이의 몽골반점을 노출하는 장면은 몽골 제국의 후예가 누구인가를 분명히 한 것이다. 그 사이에 존재하는 1963년 전시는 이러한 인류학적이면서 문명사적 접근 - 발터 벤야민이 말한 것처럼 서구의 질서를 요동시키는 "창조적 야만인의 습격" - 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이 책은 백남준이 달과 관련된 코드를 은유적으로 사용하여 소머리=부처머리=(달)인공위성으로 이어지는 '일렉트로닉 수퍼하이웨이' 개념이 도출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마르셀 뒤샹의 세계로 요약되는 서구 근대예술의 바깥을 모색했던 백남준의 예술 실천을 탐문하고 있다. 즉 근대의 분리되어버린 분과 체제가 '고르디아스의 매듭 자르기'에 해당된다면, 탈근대의 무성한 논의를 통과한 현 시점에서는 '고르디아스의 매듭 다시 묶기'라는 전체성과 통섭의 과제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48 우리가 세계역사의 게임에서 이길 수 없다면 그 규칙을 바꿔야 한다는 점을 가르쳐준다 - 백남준 Cependant l'histoire du monde nous apprenons que si nous ne gagneront jamais à un jeu. nous pouvons par contre en changer les règles. 

50 [질문] 스포츠와 예술은 다른가 [대답] 우리나라는 올림픽과 예술을 혼돈하고 있어요. 군정 때부터 이겨야한다고 밀어 부쳤고, 일등을 너무 좋아하는 것 같아요. 미술에서는 다름이 중요하지 누가 더 나은가의 문제가 아닙니다. 미로와 피카소는 서로 다른 것이지 누가 더 잘하는 게 아니지요. 다른 것을 맛보는 것이 예술이지 일등을 매기는 것이 예술이 아닌 겁니다


장소가 구겐하임미술관 같은데 백남준의 이 사진 그 출처와 연도를 모른다

51 [질문] 뉴욕에서 1등하려면 [대답] 뉴욕 같은 1급 예술도시에서는 누가 뭘 조금 더 잘하고 못하고는 중요하지 않다. 남이 하지 않는 뭔가 색다른 것을 해야 한다 [질문] 당신의 차별화정책은 [대답] 나는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찾고 있었다. 나의 스승은 내가 원하는 음은 음표들 사이에 있다고 말했다. 그래서 나는 피아노 두 대를 사서 각 피아노의 음이 서로 어긋나게 조율하였다

52 [질문] 당신예술의 골자(키워드)는?  [대답] 참여와 소통을 전제로 하지 않는 예술적 실천은 예술의 독재,또는 독백예술이다” 
백남준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참여와 소통이다. 이를 다르게 말하면 문화민주주의를 뜻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참여와 소통이 요구된다. 여기 모인 사람들의 움직임을 다 조각 같이 보인다. 그리고 그들은 그은 몸짓은 일종의 그림이다. 다만 화폭에 그린 것이 아니라 공간에 그린다. 그래서 기록하기가 어렵고 눈에 보이지 않는다. 물론 동영상을 볼 수 있고 순간적인 모습은 사진을 기록할 수 있다. 백남준은 텍스트 사운드 이미지를 포함한 보더 넓은 의미의 미술의 영역을 열렸다. 그것이 바로 비디오아트이다.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말하고 읽기가 하는 것이 아니라 쓰는 것이다. 미술의 영역과 스케일을 넓혀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고 통합하여 원효가 말하는 두루 넓게 소통하는 원통의 세계를 성취


53 [질문] 당신의 소원은?  [대답] 한국에 돌아가는 것이 소원이며 한국에 묻히고 싶다 
54 [질문] 섹스오페라의 목적은? [대답] 왜 섹스는 미술과 문학의 지배적인 테마이면서 오직 음악에서만 금지되어 있는가 55 [질문] 한국인의 저력은 <한국경제의 축은 재벌이 아니라는 소리>  [대답] 나는 한국인의 가능성과 생명력을 남대문ㆍ동대문 시장에서 찾는다. 세계 경제의 경쟁력은 유통과 자유시장 기능인데, 남대문ㆍ동대문 시장은 이 문제를 100년 전에 이미 해결해 놓았다”

56 [질문] 당신은 현대예술에서 용도변경의 귀재다 [대답] 넥타이는 멜 뿐만 아니라 자를 수도 있으며, 피아노는 연주뿐만 아니라 두들겨 부를 수도 있다. 
57 [질문] : 예술이란 <요약 자유를 위한 자유 예술이란 무목적이죠> [대답] : 한마디로 전위 예술은 신화를 파는 예술이다. 자유를 위한 자유의 추구이며, 무목적적인 실험이기도 하다. 규칙이 없는 게임이기 때문에 객관적 평가란 힘들다. 어느 시대건 예술가는 자동차로 달린다면 대중은 버스로 가는 속도다. 원래 예술이란 반이 사기다. 속이고 속는 것이다. 사기 중에서도 고등 사기다. 대중을 얼떨떨하게 만드는 것이 예술이다.

59 [가상인터뷰] <취미의 고급화> 질문: 예술이란 대답:"예술이라는 게 사실은 사고파는 문제와 다름이 없는데, 예술을 만드는 놈은 4백만 명인데, 그것을 사는 놈은 4명도 안되거든. 그런데 텔레비전은 4개 회사가 4백만 대를 만들고, 또 사는 놈도 몇 백만이나 된다. 예술이라는 게 본래 생활이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잖아. 우리의 정신이 많이 진보되면 보통 오락으로는 성에 안 차잖아! 그때부터 고도의 물건을 찾는 거지. 그러니까 취미의 고급이 예술 시장인 셈이야


인간로봇 피아노가 백남준이 되어 전자피아노를 연주하고 있네요 인간 자연 기계 피아노가 모두 하나의 식구이다 Nam June Paik Duet Memory, 1995 Videoinstallation (1 piano, 1 laser disc player, 22 TVs of various sizes, radio- and TV-cupboards, wooden bench, suspenders, watch), 180 x 265 x 200 cm © Estate of the artist Photo: Mischa Nawrata, Vienna

60 <이것은 인간이 아니고 초인이다> 백남준 "사회가 썩으면 인생이 썩으면 예술이 돼"백남준 "여러분, 일 많이 하고 잘 노세요"조선일보 정재연 기사 질문 잘 하네요 백남준 죽기 2년 전 마지막 퍼포먼스 다음에 조선일보 인터뷰 -지금 무엇이 제일 하고 싶으세요? "아, 연애."-연애 많이 하셨잖아요. "아직 부족해"-선생님 보고 다 천재라는데요. "나 천재 아니에요. 괜한 말이야."-미술사에 남을 위대한 예술가시잖아요. "남긴 남을 거야."-어떤 예술가로요? "미디어 아티스트."-그냥 그렇게만 기억되면 섭섭하지 않으시겠어요? "그럼 어떡해."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 어때요? "관계없어요. 난 내 일만 하면 돼."-연애 말고 예술 쪽에서 뭔가 하고 싶은 건 없으세요? "책 하나 쓰고 싶어. 내 자서전. 영어로 쓸거야."-한국 사람들한테 하고 싶은 말 있으세요? "일 많이 하고 잘 놀라고."-노는 게 중요해요? "중요해."-어떻게 놀아요? "술 많이 먹으면 돼. 막걸리 먹으면 돼."-혹시 한국서 보고 싶은 사람 있으세요? "작은 누이(누나). 백영득이. 못 본 지 오래 됐어. 다리가 아프대. 뼈다귀가 부러졌다고."-예술가는요? "박서보. 작품이 좋으니까. 젊은 여자들도 보고 싶어. 이경희(수필가)도 보고 싶어. 애국 유치원 같이 다녔어."(그는 또 ‘한국 민주화에 기여한 김대중(전 대통령)도 훌륭하다’고 했다.)


-어떤 사람이 멋진 예술가예요? "글쎄. 요셉 보이스, 존 케이지."-한국 가서 하고 싶으신 일은요? "금강산 가고 싶어. 세 살 때 가족하고 갔었어. 제주도도 가고 싶어."-혹시 몸이 불편해 답답하지 않으세요? 물리 치료 열심히 안 받으신다는데. "내가 게을러요."-예술가가 손이 불편하면 신경질 나잖아요. "물론이지. 그래도 난 개념미술가니까 괜찮아. 머리 괜찮고 말 괜찮아. 답답한 것 없어요."(그는 요즘 주로 페인팅을 한다. 물감으로 캔버스에, 오래된 TV에, 로봇에 그린다.) -뉴욕에 오신 지 40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 발표하신 지 20년이네요. 세월 빨리 가지요? "그렇지. 할 수 없지."

-뉴욕이 왜 좋아요? "더러우니까 좋지. 범죄가 많고."-그래서 뉴욕이 좋으시다고요? "예술이 그래야 되니까. 인생이 썩으면 예술이 돼. 사회가 썩으면 예술이 돼."-과거에 ‘예술은 사기’라 그러셨잖아요. 이번엔 ‘사회가 썩으면 예술이 된다’? "그렇지."-무슨 뜻이에요? "그런 뜻이야."-그럼 서울(한국)도 더 썩어야 예술가가 많이 나올까요? "그렇지. 서울도 부패했지. 그러니까 좋은 아트가 나올 거라고."

스튜디오에는 보티첼리의 비너스를 닮은 몸에 힐러리 상원의원의 얼굴이 달린 거대한 풍선이 설치돼 있다. 백남준씨는 조만간 이를 맨해튼 상공에 띄울 예정이라고 한다. "기천달러밖에 안 들었어. 원래 마돈나로 하려고 했는데, 조수가 힐러리로 하자고 해서."-센세이셔널 하겠네요. 역시 ‘백남준’ 하면 ‘충격’인가요? "그렇지." -의도적으로 충격을 주려고 하세요? "글쎄. 예술가니까 아무래도. 쇼크, 챌린지…."-예전에 한 TV 광고에서 ‘창조 창조 창조’ 하고 외치셨잖아요. "에이전시가 하라는 대로 했어. 돈 받으려면 타협을 해야지."-백남준은 누구인가요? "난 바보라고." -왜요? "바보니까 바보지. 바보야 바보. 미친놈."-젊어서 미친놈 소리 많이 들으셨죠?

"그럼. 미국에선 아직도 미친놈이래."-그런 소리 들어도 괜찮으세요? "할 수 없지. 난 스놉(snob)이라고. 명성을 즐긴다고. 돈은 없어도 명성은 있었지."-도대체 왜 피아노를 부수고 넥타이를 자르고 하셨어요? "그게 다다이즘이니까."그가 좋아하는 사람은 케이지 그는 ‘TV붓다’, ‘TV 정원’을 자신의 걸작으로꼽았다.)-인생은 뭔가요? "인생은 썩은 막걸리야."-그게 무슨 맛인데요? "몰라. 나도 못 먹어봐서. 시큼털털하지." (그는 또 "죽음은 할 수 없는 것"이라며 "난 두려운 것이 없다"고 했다.) <예술가는 죽지 않는데 두려움이 없겠죠>

-요즘도 신문 열심히 보세요? "한국 신문도 보고. 뉴욕 타임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도 읽어."-미국 대선에 관심 있으세요? "응. 케리가 됐으면 좋겠어. 평화주의자니까." "한국 사람들, 유연하게 살라고. 우리 민족은 원더링(wandering)하는 경향이 있어요. 우리 아버지도 만주, 홍콩, 일본 등으로 돌아다녔다고."-언젠간 한국에 정착하고 싶으세요? "우리 여편네 죽으면. (애정 섞인 말투로) 우리 여편네 여간해선 안 죽어. 비디오 아트했는데 나 때문에 예술 맘껏 못해서 미안해."뉴욕=정재연기자


61 [가상인터뷰] 질문: 뉴욕이 왜 좋아요?대답: 더러우니까 좋지. 범죄가 많고 -백남준은 정말 뉴욕체질이다
[나의 생각] 자동차가 점령하고 쓰레기통으로 넘치는 소음도 만만치 않은 뉴욕의 거리 그런데 그 보이지 않은 구석진 곳에서 누군지는 모르지만 뭔가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이가 있다. 그들이 바로 구글이고 페북이고 아이폰이고 유튜브이고 트위터가 다. 그런 사람들이 만든 것이다

플럭서스 동료 중 가장 돋보였고 그의 이름은 날로 유명해지고 그의 명성이 뉴욕의 샬럿 무어먼에까지 전해져 2년 후 그녀의 초대를 받고 1964년 미국으로 떠난다. 그녀는 백남준을 맞이하기 위해 케네디공항에까지 나간다. 뉴욕의 전위미술축제에는 백남준 같은 예술가가 꼭 필요했기 때문이다 The 30-year-old NJ Paik was the most creative performer in Germany in 1962 as a member of fluxus, so Charlotte Moorman invited him in New York in 1964. Because she needed a excellent performer such as NJ Paik in NY avant garde festival at that time.

요즘 새로운 사실로 밝혀진 것은 백남준이 플럭서스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플럭서스가 백남준의 영향을 받았다는 새로운 연구가 나오고 있다. 
1962년 독일에서 비스바덴(경제적 수준도 높고 당시 가장 미국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곳) 플럭서스 회원 중에서도 가장 광적이고 창의적이고 해괴한 퍼포먼스로 30살인 백남준 최고의 찬사를 받다. "난센스와 불합리함, 네가 승리자다" 20세기 유럽을 위기에서 구한 것은 전반기가 바우하우스건축디자인운동이고 후반기는 플럭서스전위미술운동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ADX5KnWGZDo

백남준 피아노 연주 '소호 사중주' 1976년 9월 5일 서베를린 아카데미 쿤스테(미술대학) 사진 Peter Moore 백남준의 예술에서일본의 첨단전자기술이 없었다면 그의 예술은 존재할 수 없었다. 그중에서 특히 SONY와 일본인 아베선생님 이분은 그에게 작품을 하는데 기술적 자문을 해 주었다. 백남준은 1950년 후반에 독일에 음악공부를 하러 갔다. 독일은 그 당시 전쟁 복구에 여념이 없었고2차 대전의 후유증에 시달렸고 지식인들은 그동안 유럽인의 신이었던 합리주의를 버리고 비합리주의로 기울고 있을 때다. 그리고 정신보다는 몸에 관심을 두었다. 

순수한 예술로 환원했다. 간교한 전쟁광들과는 달랐다. 그리고 되는대로 내버려두는 비정형성, 비선형성 바로 랜덤 액세스를 취했다. 일체의 조작을 거부했다. 과격한 activism이 생긴 것이다. 몸 철학을 예술화했다. 퐁티는 "나는 나의 몸이다"라고 했는데 몸을 철학과 미학의 근간으로 바꿨다는 뜻이다.


제3회 뉴욕 아방가르드축제에서 폭탄을 들고 있는 백남준과 셔먼 1965년 8월 26일 사진 Peter Moore 폭탄이 센가 악기가 센가 대결해보자 백남준은 음악으로 하는 섹스예술을 하고 싶었다. 그래서 샬럿은 백남준이 기획으로 나체로 첼로를 연주했는데 결국 경찰에 체포되었다. 당시만 해도 미국은 유럽보다 보수적이었다. 그러다 여러 곳에 탄원서를 내고 프랑스 저명한 예술인에게 우리의 입장을 대변해 달라는 편지를 보내고 자선 연주회로 변호사비용을 충당하려고 했고 샬럿을 어떻게 하든 구해내려고 했다. 

마침내 샬럿은 석방이 되었다. 1960년대 미국은 팝아트 전성기백은 팝아트를 죽여라라고 했다. 백남준은 선불교전통에 따라 소비를 미덕으로 삼는 것을 그리 즐기지 않았다. 그러나 여기서 미국이 없었다면 백남준은 세계적 예술가가 될 수 없었다. 미국은 그 당시 달에 도착했다. 이것은 백남준에게 어마어마한 영감을 주었다. 백남준은 위성이 아니라 예술로 달에 도달하고 싶었다. 그는 예술로 세계를 지배하고 싶었다. 그래서 결굴 인공위성 아트가 탄생한다. 1980년대 한국은 독재국가였지만 한국의 민중은 어리석은 통치자 밑에서도 슬기롭게 그것을 극복하고 민주화로 가는 도중이었다. 그래서 1984년 전 세계를 향해 위성예술을 쏜 것이다. 그리고 한국무당이 소개되었다. 물론 서구의 첨단음악도 소개되었지만 이런 것은 미국의 소비주의 광고와 자본주의 위성과학과 시각적이고 대중문화가 백남준에게 영향을 준 것이다. 

당시에 가장 천재적인 아티스트들이그룹을 만들었는데 그게 바로 fluxus다. 시대의 흐름이라는 뜻으로 그 시대의 정신을 반영하겠다는 의지가 강력했다. 일종의 다다운동인데 기존의 일체의 가치를 다 부정한다. 그렇게 된 데는 바로 1차 2차 대전의 경험 때문이다. 그들은 좌파적이고 급진적이고 실험적이고 모험가들이었다. 문명의 위기와 서구의 종말을 논했다. 그들은 머리보다 몸을 정신보다는 육체를 중시했다. 그래서 몸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것이. 그것이 바로 행위예술(performance) 혹은 해프닝이다. 해프닝은 무슨 사건이 일어남을 뜻한다. 그들이 지나간 자리에는 뭔가가 일어났다. 피아노가 박살이 나고 난리도 이런 난리법석이 없다. 

그리고 이것을 결국 인터넷 시대를 예언한 셈이다. 그는 말년에 레이저아트를 시도했는데 이것은 레이저 사다리를 타고 지구를 넘어 우주로 나아가려고 했다. 백남준은 2000년대를 언급한 것이 아니라 종종 3000년대 언급하게 사람들을 당황하게 했다. 그만큼 백남준은 태초의 세상을 알고 있었기에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었다 백남준은 구석기에서 신석기시대를 연 장본인이다. 다시 말해 산업사회를 정보사회로 바꾼 것이다. 그가 내다본 미래는 생명공학적인 것이었다.

[통인가게] 인사동에서 가장 아름다운 뒤뜰 숨겨진 곳


이것은 아마도 미국처럼 50년 이상 부자로 살아보는 경험이 너무 없어서인가. 프랑스에서 20세기 초에 많은 사람들이 일중독에 살다가 <게으름의 찬양>과 같은 책이 나오게 된 배경이 아닌가싶다. 이에 대해서 뭐하고 할 수는 없지만 이대로는 문제가 많은 것 같다. 뭔가 돈보다 시간에서 더 부자로 사는 삶의 스타일을 변화시킬 용기가 필요한 것 같다

"나에게 놋주발보다도 더 쨍쨍 울리는 추억이 있는 한 인간은 영원하고 사랑도 그렇다." -시인 김수영 
자신의 확신을 의심하라 -독선사회의 처방전 행복한 사람은 ‘자기 자신’이라는 친구가 있다 -카트린 지타 Happy people have a friend called 'one self' - Catherine Zita Les gens heureux ont un ami appelé «soi-meme»

가장 심각한 상황을 가장 유쾌하게 만드는 최고의 지혜와 위트가 유머인가 내가 욕망하는 것은 나의 욕망이 이 아니라 대부분 타자의 욕망이다. 아니 사회가 원하는 욕망인지 모른다. 나의 욕망이 뭔지를 찾아내는 것이 그래서 시급하다 

‘창조’ 원한다면 자유를 허하라 - 이근(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싱크탱크 미래지 원장) "우리나라는 후발국이라는 이유로 새로운 창조를 하기보다는 선발국이 만들어 놓은 창조를 재빠르게 카피하여 추격하는 형태로 발전을 해왔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8202128395&code=990308


북한은 말할 것도 없지만 한국도 아직 왕조시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은 여전히 여왕이거나 국왕이거나 국가의 어버이다. 정부의 국사 국정교과서 시도는 완전히 북한 따라하기다. 왕조사관이나 식민사관에서 온 것이다. 한국에 왜 자살률이 최고냐면 정부가 국민이 자살하든 말든 물에 빠져죽든 말든 그런 것은 안중에도 없고 오직 관심이 있는 것은 재벌에 특혜를 줘(지금도 재벌부자 감세는 진행 중) 한국경제를 살리는 데만 올인 하기 때문이다. 과연 그런 70년대 개발독재방식으로 한국을 구할 수 있을까 의심이 든다. 지금 그래서 정부는 노동자나 노동운동 등에 대해 매우 적대적이다

[프랑스는 긴장되는 2015 대입시 시작하다] 


가장 중요한 철학논술 제목이 뭔가 궁금합니다 문과계열 철학시험 제목 1) 예술가들이 말하는 걸 우리는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받아들어야 하는가?" 2) 우리가 바라는 공동체를 위해서 우리 개인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3) 아래 토크빌 글을 읽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라. 프랑스는 프랑스혁명이후 국민이 스스로 대입시과목을 정하다
[사진] http://www.sudouest.fr/2015/06/17/bac-2015-voici-les-sujets-de-philosophie-1954226-4699.php

[부르주아와 모더니즘과의 대충돌] 그것을 상징하는 그림은 마네의 <올랭피아(1863)>이고, 그것을 대변하는 시집은 보들레르의 <악의 꽃(1857)>이다. 마네 <올랭피아>를 역사가들은 당대의 미학과 도덕적 규범을 가장 심하게 비웃은 최초의 모더니즘 작품이라고 평가한다. 여기서 보들레르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엽기적인 것이 아름다운 것이다" 이 말을 쉽게 풀어보면 이런 것이리라 "경험해 보지 않은 것이 익숙한 것보다 낫고, 드문 예외적인 것이 평범한 것보다, 실험적인 것이 상투적인 것보다 낫다" 이것은 또한 '이단의 유혹, 즉 관습적인 감수성에 저항하려는 충동'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서 문화의 장소적 주도권이 '살롱'에서 '카페'로 바뀌다 

보들레르는 서구의 도시가 근대화되면서 심미적 생활 예찬(dandyism or High Life)이라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냈다 거기서 키워드는 바로 아무런 목적없이 거리를 어슬렁거리는 감상하는 산책자(flaneur) 개념이다 도시의 보헤미언이라고 할까 뉴욕에서 이런 분위기에 해당하는 곳이 바로 뉴욕대 옆에 있는 '그리니치 빌리지' 정도일 것같다

일본작가(마루야마) =지배계급 위해 움직이는 국가를 대부분 ‘내 나라’로 착각하죠. 인간은 세뇌당하기 쉬워요. 특히 국가, 학자, 유명인의 말은 비판없이 받아들이죠. 방송에서 끊임없이 같은 말을 하면 모르는 사이에 마음이 침해당합니다. 일본어에 고코로구미(心組·마음가짐)라고 있어요. 스스로가 마음을 단단히 가지는 것. 반드시 누군가로부터 영향을 받게 되어 있지만 그래도 스스로에게 ‘이래도 괜찮은가’ ‘저 사람이 말하는 것은 진짜인가’ ‘국가가 말하는 것이 옳은 걸까’라고 질문하고 자기 답을 찾는 것을 ‘고코로구미를 단단히 한다’라고 하죠. 안 그러면 순식간에 당해요


우리는 60년간(1955-2015) 생각하는 것은 독재자에게 다 일임하고 아무 생각 없이 절대 못살아서는 안 된다는 강박 즉 일중독(workaholic)으로 살아온 것은 아닌지. 그냥 위에서 시키면 시키는 대로 스스로 판단하고 생각하고 참여하고 기부하는 시민의 삶이 거의 없었다. 우리가 어느 정도 미국에 못지않게(?) 살게 되어도(세계10위) 아직도 사랑하고 창조하는 향유의 시간을 여전히 희생하고 그러면서 불만과 스트레스 속에서 산다고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