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남준30세기

[미헬슈타트] 60년만, 부친 유학한 독일방문(노은님)

[1957년-2017년] 60년만에 부친이 1957년 공부하던 독일 미헬슈타트 소도시를 2017년에 방문하다

<1957년 미헬슈타트>

'1957년 독일 벨 가르트 가족(Familie Bellgardt)'과 함께 찍은 사진
Michelstadt(http://en.wikipedia.org/wiki/Michelstadt)

아버님(김갑권 1918년 2월 15일 생)이 하이델베르크 1시간 거리에 있는 프랑크푸르트 근교이기도 하다 바로 미헬슈타트 라는 소도시에서 홈스테이 할 때 찍은 자신으로 독일가족들이 동양에서 드물게 온 부친에게 매우 잘해 준 것 같다.

독일 안방 주인의 표정이 밝다. 아버지가 인기가 좀 있었나 보다. 이 가족은 부친이 귀국할 때 선물로 추억앨범을 받았는데 그걸 자세히 보니 '1957년 6월13일 벨가르트가족(Familie Bellgardt)이'라는 친필 사인이 들어 있다. 

<1957년 미헬슈타트>

이 멋진 아버님의 미소가 어려서부터 나에게 삶의 여유를 가져보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런 미소는 쉽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삶에 대한 애정과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갖출 때 생긴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2017년 미헬슈타트>

부친 1957년 독일 가족과 야외 카페에서 피크닉 하던 곳은 지금 주택단지가 되다.

아버님은 독일을 대표하는 글로벌 화학회사인 프랑크푸르트 근처 바스프(BASF) 공장에서 기술 유학하셨는데 최근에 확인한 바로는 그 도시 이름은 '루드빅 샤펜(Ludwig Shafen)'인 것 같다.

<1957년 미헬슈타트>

1957년 미헬슈타트의 어느 공원에서 부친과 홈스테이 식구들

<2017년 미헬슈타트>

위 사진의 60년 후 모습 바로 위 사진처럼 주택단지가 되다

<부친 홈스테이 했던 독일 전원도시를 60년 만에 다시 찾다(1957-2017)>

미헬슈타트 거리 하나 이 도시는 마치 동화 속에 나오는 도시 같다. 여기가 부친이 1957년 머물던 곳이다 나는 60년만에 2017년 이곳을 방문하다. 지금은 재독화가 노은님의 작업실이 바로 이 도시에 있다.

1484년에 세워진 미혤슈타트 시청과 광장 그리고 마르크트 분수

미혤슈타트 거리 모습 여기가 바로 알트 슈타트(올드 스트리트) 중심지로 시청이 여기에 있다

이 지역은 나무와 풍성한 숲이 많아 그런지 독일 전통방식으로 지운 목재건물이 많다

1957년 독일 유학 시절 독일 미헬슈타트 시에서 홈스테이 하면서 아버님이 벨가르트(Bellgardt)가족과 함께 찍은 사진이다 이 도시는 독일에서 전원도시로 유명하다

이곳 특산품과 기념품, 엽서를 파는 가게와 관광안내소도 보인다
도시 페이브먼트 사이로 시냇물처럼 물이 흐리고 있어 그런지 거리가 깨끗했다
이 지역은 나무가 풍성한 숲이 많아서 그런지 목재건물이 많다.

1957년, 부친이 독일에서 공부(기술연수)하면서 홈 스테이 하던 곳 Michelstadt . 지금은 재독화가 노은님의 작업실이 여기에 있다. 여기는 독일 전통이 그대로 보전되어 있고 독일에서도 환경지수가 가장 높은 도시로 유명하다. 다름슈타트와 프랑크푸르트에서 멀지 않다. 60년만(2017년)에 찾아가 보다. 위 1번째 사진이 이 소도시의 시청과 시청광장이다.

[참고 사이트]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ermanbike&logNo=220794249147&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독일 또 하나의 소도시, 미헬슈타트 Michelstadt

하이델베르크에서 차로 한 시간 거리의 작은 옛 도시 미헬슈타트. 대중교통으로는 두어 시간이 걸리는 이곳...

blog.naver.com

하이델베르크에서 1시간 거리에 있는 미헬슈타트에 작업실을 가지고 있는 재독화가 노은님 작품들 천진한 동심의 세계를 그리다. 그녀는 시도 쓴다. "살아남기 위해 / 전쟁터의 군인처럼 / 싸울 필요는 없다. 살아남기 위해 / 풀밭 위의 아이들처럼 / 뛰어놀아야 한다" -노은님

그의 그림은 천진한 동심의 세계

그의 그림은 '즐거운 바보들'이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천진무구한 동심의 세계를 추구한다. 천진(天眞)이란 말 그대로 '하늘의 진리'이다.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라고, 그런 순수하고 진실한 마음이 지금까지 이 작가를 버티게 한 힘이 아닌가싶다. 붓 가는대로 바람 부는 대로 그림을 그리다보면 작가는 자신도 모르게 몸이 가벼워지고 마음이 자유로워져 봄의 햇살처럼 가을의 바람처럼 영혼이 맑아지나 보다. 그의 그림에 활기와 에너지가 넘치는 것은 바로 이유인지 모른다.

그림으로 한독문화의 가교역할

그는 독일에 수출된(?) 이주노동자로 고단한 삶을 살았지만 불가(佛家)에서 '고통이 다하면 도를 깨닫는다'는 고집멸도(苦集滅道)라는 가르침처럼 삶의 외로움이나 어려움을 이겨낸다. '깊은 바다'는 그런 기복 많은 삶을 극복하는 와중에 그가 발견한 행복과 풍요를 상징적으로 변형시킨 것이 아닌가싶다. 

그에게 한국적인 것이 독일에서도 통하느냐고 물었더니 그렇다고 말한다. 두 나라의 입장은 달라도 분단경험은 같다. 독일은 경제 강국임에도 1-2차 대전을 일으킨 가해자로 불안과 트라우마(심적 상처)가 있고 우린 4대강국의 틈바구니 속에 한(恨)과 서러움이 있다. 그러면서도 뭔가 통해 보인다.

하여간 독일인은 자신의 그런 고뇌를 (신)표현주의미술을 통해 극복했다. 그래서 G. 리히터(1932~) 같은 세계적 거장도 배출했다. 독일의 유명작가 중 서독보다 동독이 더 많은 것도 또한 아이러니다. 노은님은 독일에 40년 살면서 한독문화의 가교도 놓았다.

"여기 선 하나 긋고, 저기 점 하나 찍으면 예술"

작가는 "여기에 선 하나 긋고, 저기에 점 하나 찍다 보면 예술이 된다"고 했지만 그의 단순함은 그냥 단순한 것이 아니다. 오랜 진통과 각고의 노력 끝에 온 것이다. 다음 글을 읽어 보면 그런 점을 더 잘 알 수 있다.

"나는 많은 시간을 깊은 고독과 수없는 방황 속에서 큰 벌을 받는 사람처럼 지냈다. 외로워서 괴로웠고, 괴로워서 외로웠다. 그 덕에 나는 그림을 많이 그렸다. 나는 그 속에서 세상의 많은 걸 깨달고 내가 대자연 앞에서 작은 모래알 같은 존재임을 알게 되었다"

위 작품은 2009년 서울 갤러리현대 강남점에서 개인전을 열 때 선보인 작품들 [노은님 관련기사] bit.ly/ybj3L

 

프랑스 교과서에도 실린 노은님 작품

'붓 가는 대로, 마음 가는 대로' 전, 24일까지 갤러리현대서 열려

www.ohmy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