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남준30세기

[백남준] 부인 '시게코', 뉴욕 'MoMA'에서 회고전 연다

시게코 뉴욕 모마 회고전
2021년 08월 21일부터 2022년 1월 1일까지 그리고 2022년에 일본에서 순회전

Portrait of SHIGEKO KUBOTA

<위 사진> Portrait of SHIGEKO KUBOTA. All images copyright the estate of the artist; courtesy Shigeko Kubota Video Art Foundation, New York unless otherwise stated. http://artasiapacific.com/.../TheEssentialWorksOfShigekoK...

"나는 삶과 예술이 하나 되고, 아시아와 아메리카가 하나가 가도, 뒤샹적 개념미술과 샤머니즘(레비스트로스) 생명문명이 하나가 되는 그런 융합예술을 하고 싶다". -시게코 백남준의 영향이 보인다. “I want to create a fusion of art and life, Asia and America, Duchampiana and Levi-Straussian savagism, cool form and hot video,” - Shigeko

Shigeko Kubota: Niagara Falls, 1985, video sculpture.PHOTO YUKIHIRO YOSHIHARA. COURTESY NIIGATA PREFECTURAL MUSEUM.

관련기사 https://www.artnews.com/feature/shigeko-kubota-who-was-she-why-is-she-important-1234601001/

 

“Video is Vengeance of Vagina”: Shigeko Kubota’s Trailblazing Video Sculptures

The mother of video art finally gets her due with a MoMA survey and a retrospective touring Japan.

www.artnews.com

Shigeko Kubota: Skater, 1993, video sculpture. PHOTO YUKIHIRO YOSHIHARA. COURTESY NIIGATA PREFECTURAL MUSEUM.

<내가 가장 좋아하는 시게코 작품. 그녀가 한국에 와서 한국 무덤에 반하다> 시게코 작품 '한국 무덤' 1993년 작 "한국의 산하는 나의 마음을 어머니 품처럼 푸근하게 감싸 안아주었다" -시게코.

<34년만에 고국을 찾은 남편에 대한 헌사> Korean Grave (1993): Inspired by her trip to South Korea with Nam June Paik in 1984, Korean Grave is Kubota’s loving tribute to her husband, who was visiting his native country for the first time in 34 years since his 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The dome-like installation has protruding, mirrored lenses through which viewers can watch clips from Kubota’s video Trip to Korea (1984), of Paik visiting his ancestral graves with family members. Recalling traditional Korean burial mounds, the video installation layers loss and reconnection, death and spiritual revival.

내가 가장 좋아하는 시게코 작품. 전자 아트로 그린 한국의 어머니 품처럼 푸근한 무덤 이미지. 한국의 무덤 정말 아름답다 황홀하다 가장 양지바른 곳에 자리한 여성 젖가슴 같은 곡선이 완면하고 너무나 부드럽다는 느낌,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 같다. 각진 곳이 전혀 없다. 자연과 완전히 동화된 모습 그 자체이다. 고조된 물아일체의 미학, 그 절정을 보여준다.

경주에 가서 마음이 더욱 푸근해지는 것은 수많은 무덤들 거대한 무덤을 보면 마음에 풍성해지기도 한다 한국사람처럼 죽음에 대해서 쿨한 민족은 드물지도 모른다. 한국은 죽었다는 말을 쓰지 않고 돌아가셨다라고 말한다. 고향으로 아니 고향의 고향인 본향으로 돌아가셨다 본향이란 매우 긍정적인 의미로 천국이라는 뉘앙스를 풍긴다. 그러니까 모든 사람은 죽으면 100% 다 천국 간다는 소리인가 하여간 차원 높은 삶에 대한 긍정이다

1974년

"나는 삶과 예술이 하나 되고, 아시아와 아메리카가 하나가 가도, 뒤샹적 개념미술과 샤머니즘(레비스트로스) 생명문명이 하나가 되는 그런 융합예술을 하고 싶다". -시게코 백남준의 영향이 보인다. “I want to create a fusion of art and life, Asia and America, Duchampiana and Levi-Straussian savagism, cool form and hot video,” - Shigeko

2012년 7월 20일 백남준 80주년에 백남준 아트센터를 방문했을 찍은 시게코 여사의 모습 사진이 썩 잘 나오지 않았네요 Shigeko taken by me when she visited the Art Center of NJP(near Seoul) at the 80th anniversary of Nam June Paik on July 20, 2012

내년 백남준 90주년이죠! 시게코 여사 백남준 80주년 백남준아트센터 특별전에 참가하셨죠. 그때 인터뷰도 기억납니다. 2015년 6월 시게코 여사 뉴욕으로 뵈러 갔는데 건강 너무 안 좋아 못 만나고 안타깝게 그해 7월 23일 영면하셨다. 다시 고인의 명복은 빕니다!

위 사진을 찍었을 때 인터뷰를 소개한다

<인터뷰> 백남준 부인 인터뷰 구보타 시게코 - 백남준 탄생80주년을 맞아 내한한 구보타시케코 여사

6번째 백남준 관련 인터뷰에는 백남준 동료이지 부인인 시케코여사 같은 비디오작가로 10주년을 맞아 내한해 백남준 전시장에 둘러보고 타 매체 기자와 같이 한 인터뷰 다 짧은 문장으로 아주 핵심적인 백남준의 예술세계를 말할 수 있다 놀랍다. 그리고 그녀의 인터뷰에는 젊은 작가들에게 용기를 주는 내용이어서 인상적이었다.

- 백남준이 살아온다면 하고 싶은 말은, 그의 80회 생일 소감은?

"남준, 당신 생일을 진심으로 축하해요. 이 자리에 함께하지 못해 아쉽지만 당신도 여기 우리와 함께 있는 것 같아요. 백남준 어머니는 점을 잘 보셨는데 백남준은 집 없이 부랑아처럼 세계를 돌아다닐 거라고 무당이 예언했는데 어느 정도 맞췄어요. 백남준은 TV를 가지고 전 세계를 집시처럼 돌아다녔어요. 백남준은 공장 같은 곳에서 살았는데 지금 세계적인 건축가가 설계한 너무나 좋은 이 집에 모셔져 있느니 여기가 정말 백남준 집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아트센터 관계자분에게도 감사드리고 싶어요"

- 백남준은 어떤 예술가였다고 생각하는지?

"나와 백남준은 우선 플럭서스(fluxus) 멤버이자 같은 예술적 동반자였죠. 나와 백남준은 이미 행위미술에 공감하여 어려운 시절을 같이 동고동락했어요. 플럭서스 운동이 결국은 비디오아트로 발전한 거예요. 일본에 있을 때부터 백남준을 알았지만 처음 만난 것은 1964년 뉴욕에서고 거기서 슈아 아베도 만나 '456로봇'도 만들었어요. 비디오아트는 초반에는 그 TV자체가 이동하기 어렵고 무겁고 잘 망가져 정크아트(junk art)로 취급당했기도 했죠. 엘리베이터 없는 아파트에 그것을 옮기느라 백남준이 고생도 많이 했어요. 지금은 인정을 받지만 당시에는 백남준의 존재 자체를 거의 몰랐어요. 비디오아트가 저급예술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고급예술이에요. 그는 남이 가지 않은 예술을 개척한 선구자로 21세기의 문을 열었죠"

- TV와 로봇에게 생명을 넣은 방식의 예술을 서구에서 어떻게 봤는지?

"백남준은 기술의 인간화를 지향했고 예술의 휴머니즘을 중시했어요. 기술은 단지 도구로 볼 뿐이에요. 그는 낡은 것은 파괴하는 창조자로 늘 새로운 것을 추구했어요. TV정원이나 TV부처도 다 그런 정신을 발휘한 거죠. 하이테크를 그냥 도구로 이용했어요. 그리고 백남준은 샤머니즘 요소가 강했고 불교신자는 아니지만 불교적인 것에도 심취했죠. TV를 부수는 행위가 그에게는 어떻게 보면 수행이나 명상이었을 거예요. 국가와 사회에 대한 급진적 사고로 사람들에게 많은 오해를 샀죠."

- 백남준이 어디엔가 살아있다면 뭘 할까?

"백남준은 아직도 마이애미 집 근처 어딘가 해변에 있을 것 같아요. 백남준은 50대가 되어서야 귀향했는데 그때 선친 묘지에 갔어요. 그 주변에 무명무덤이 많았고 너무 아름다웠어요. 하지만 백남준은 무명무덤처럼 초야에 묻혀 사는 식이 아니라 내 옆에 카트린 이캄 작가도 같이 지내 알겠지만 파리나 뉴욕파티에 즐겨 참가하는 축제주의자였어요. 여러 곳을 두루 다니는 것이 그의 방식이고 세상을 사는 프레임이자 소통방식이었죠. 그가 지금 살아있어도 역시 그랬을 거예요."

아래 관련 기사 Shigeko Kubota about her work in 1979. Born in 1937, in Niigata, Japan, Kubota had met John Cage and Yoko Ono at a 1962 performance in Tokyo and jumped at the chance to live in New York in 1964 when Fluxus founder George Maciunas invited her for a performance. She gradually became a regular figure in the Fluxus community, and Maciunas described her as the collective’s “vice president.” In the 1970s, she picked up a Portapak camera and began creating her most well-known diaristic works, exploring the new media of video installation, her artistic relationship to Marcel Duchamp, as well as her personal relationships with her husband, Nam June Paik (1932–2006), and her father. Kubota showed widely in her life, including at iconic New York venues, from Rene Block Gallery (1976) and The Kitchen (1984) to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in 1979 and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which surveyed her work in 1996. Her first major survey back home, “Viva Video! The Art and Life of Shigeko Kubota,” is currently at The Niigata Prefectural Museum of Modern Art, and will tour to The National Museum of Art, Osaka before ending at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kyo next February. Here’s a look at some of Kubota’s most influential works. http://artasiapacific.com/Blog/TheEssentialWorksOfShigekoKubota

 

ArtAsiaPacific: The Essential Works Of Shigeko Kubota

“I want to create a fusion of art and life, Asia and America, Duchampiana and Levi-Straussian savagism, cool form and hot video,” explained Shigeko Kubota about her work in 1979. Born in 1937, in Niigata, Japan, Kubota had met John Cage and Yoko Ono at

artasiapacific.com

<시게코 모마 회고전에 소개되는 중요 작품들 >
[1] Vagina Painting (1965): For her first (and only) performance during the Perpetual Fluxus Festival at New York’s Cinematheque in 1965, Kubota waddled across a large sheet of paper with a paintbrush attached to her underwear. The resulting red strokes and smears alluded to menstruation, as well as the performances of geishas who would write calligraphy with their vaginas to entertain their guests. While the piece appears to be a feminist response to the action paintings by male figures such as Jackson Pollock, who were at the center of abstract expressionism, Kubota did not characterize her works as “feminist” and did not believe that art has a gender.

[2] Europe on ½ Inch a Day (1972): Kubota’s spontaneous video documentary—one of the earliest travel vlogs in the world—depicts an adventure through Europe, as she explored what it would be like to travel without even five dollars, but instead a ½ inch Portapak. Accompanied by cheerful carnival music, the moving images capture subcultures in the 1970s, such as a Parisian sex cabaret and a gay theater troupe in Brussels, with an unfiltered curiosity. Viewers are brought along with Kubota as she blends in as an observer. The journey concludes with a homage to Marcel Duchamp, who passed away in 1968.

Installation view of  SHIGEKO KUBOTA ’s  Duchampiana: Nude Descending a Staircase , 1976/2021, Super 8mm film transferred to video and color-synthesized video, monitors, plywood, 168.3 × 78.6 × 170.2 cm, at “Viva Video! The Art and Life of Shigeko Kubota,” Niigata Prefectural Museum of Modern Art, 2021. Photo by Yukihiro Yoshihara.

Installation view of SHIGEKO KUBOTA’s Duchampiana: Nude Descending a Staircase, 1976/2021, Super 8mm film transferred to video and color-synthesized video, monitors, plywood, 168.3 × 78.6 × 170.2 cm, at “Viva Video! The Art and Life of Shigeko Kubota,” Niigata Prefectural Museum of Modern Art, 2021. Photo by Yukihiro Yoshihara.Installation view of SHIGEKO KUBOTA’s Duchampiana: Nude Descending a Staircase, 1976/2021, Super 8mm film transferred to video and color-synthesized video, monitors, plywood, 168.3 × 78.6 × 170.2 cm, at “Viva Video! The Art and Life of Shigeko Kubota,” Niigata Prefectural Museum of Modern Art, 2021. Photo by Yukihiro Yoshihara.PreviousNext

[3] Marcel Duchamp’s Grave (1972–75): Kubota met Duchamp for the first time in 1968, on a flight to Buffalo, New York, where they were both participating in a performance. The encounter ignited Kubota’s fascination with Duchamp’s groundbreaking approach to conceptual art. First exhibited at New York’s The Kitchen in 1975, this installation comprises edited and colored footage from Kubota’s visit to the Duchamp family graveyard in Rouen in 1972. The only subject matter visible to the viewer is the interplay of light and wind, and the silhouettes of a shadowy grave. Silence is punctuated three times by Kubota chanting “Marcel Duchamp, 1887 to 1968.” Throughout her life, Kubota would draw from him as an inspiration while creating a legacy entirely her own.

[4] Duchampania: Nude Descending a Staircase (1976): In the 1970s, Kubota created a series of video-sculptures dedicated to Duchamp. One of these works is her reinterpretation of his iconic painting of an abstracted figure in motion, where several moments in time are depicted within one frame. Then based in New York, Kubota filmed a nude female filmmaker descending into the lobby of a hotel in Manhattan. The looped footage is played on four television screens, each encased in one step of a plywood staircase. The wooden casing began as a quick solution to unwanted brand signage on the devices, but Kubota also saw it as an organic way to fragment images and splice time, just as Duchamp had. The work was well regarded at Documenta 6 in 1977, and was purchased by curator Barbara London as the first video-sculpture in the collection of MoMA.

[5] My Father (1973–75): This 14-minute black-and-white video records the last days of Kubota’s father, who was suffering from cancer. In one of the clips, Kubota watches television with him on New Year’s Eve. Her father appears solemn as the television blares a melodramatic musical performance. This cuts to footage of Kubota weeping alone in front of the monitor after his death. Utilizing video to preserve the presence of her father and release her grief, the artist connects with audiences through an intimate portrayal of losing a loved one.

SHIGEKO KUBOTA, Rock Video: Cherry Blossoms, 1986, still from silent, color video: 12 min 54 sec.SHIGEKO KUBOTA, Rock Video: Cherry Blossoms, 1986, still from silent, color video: 12 min 54 sec.PreviousNext

[6] Rock Video: Cherry Blossoms (1986): Pale pink cherry blossoms and a clear blue sky are deconstructed and obscured in this 13-minute kaleidoscopic video. An electronic mutilation of natural spatial boundaries and imagery, the work exemplifies Kubota’s signature transfusion of the organic with the artificial, an approach that she started in the late 1970s. The silent video was installed on New York’s Times Square billboard to mark the 40th anniversary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Electronic Arts Intermix in 2011, and on the West Manhattan High Line in 2014.

[7] Korean Grave (1993): Inspired by her trip to South Korea with Nam June Paik in 1984, Korean Grave is Kubota’s loving tribute to her husband, who was visiting his native country for the first time in 34 years since his 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The dome-like installation has protruding, mirrored lenses through which viewers can watch clips from Kubota’s video Trip to Korea (1984), of Paik visiting his ancestral graves with family members. Recalling traditional Korean burial mounds, the video installation layers loss and reconnection, death and spiritual revival.
=============>
<2021년 시게코 뉴욕 모마전시 기사. 2015년 뉴욕 모마에서 오노 요코 전시를 본 적이 있는데 두 작가 전시 서로 비교가 되겠네요. 오노 요코 전시는 한국에서 전시하기 힘들 정도로 야한 장면도 많았다. 하긴 '시게코'가 더 야한 퍼포먼스를 하기는 했다. 백남준이 자신이 못하니까 시게코에게 시킨 것이다. 어찌 되었든 세계 미술사에 유래가 없는 업적을 남겼다

2015년 모마

<시게코 모마 전시 보도자료1> LIQUID REALITY: 모든 형태, 모양, 색상, 위치, 속도, 규모... 액체 현실을 분해, 재구성, 변형할 수 있는 자유 MoMA ANNOUNCES SHIGEKO KUBOTA: LIQUID REALITY, THE FIRST SOLO PRESENTATION OF THE ARTIST’S WORK AT A US MUSEUM IN 25 YEARS The Exhibition Highlights Six Video Sculptures and an Early SingleChannel Video, on View in the Kravis Studio and Gallery 414 Shigeko Kubota: Liquid Reality August 21, 2021–January 1, 2022 The Marie-Josée and Henry Kravis Studio, and Gallery 414 NEW YORK, August 11, 2021—The Museum of Modern Art announces Shigeko Kubota: Liquid Reality, on view from August 21, 2021, through January 1, 2022. Likening video technology to a “new paintbrush,” New York–based Shigeko Kubota (Japanese, 1937–2015), whose career spanned more than five decades, was one of the first artists to commit to the video medium in the early 1970s. Formally trained as a sculptor, Kubota’s varied accomplishments as an artist, collaborator, curator, and critic helped to shape a pivotal period in the evolution of video as an art form. Shigeko Kubota: Liquid Reality is organized by Erica Papernik-Shimizu, Associate Curator, with the support of Veronika Molnar, Intern, Department of Media and Performance. After making an indelible impact on the Fluxus movement in the mid-1960s, Kubota was drawn to the freedom created by newly available portable video equipment, which allowed artists to view what they were recording in real time. Kubota embarked on her signature “video diaries,” which reflected on journeys both personal and artistic, combining documentary footage with early video processing effects. The artist described videomaking as an intensely physical practice, with the weight of Sony Portapak leaving traces on her body. In parallel, she translated this corporeality into a unique form of video sculpture: she extended her otherworldly portraits and landscapes into three-dimensional objects made from plywood, often incorporating mirrors and, later, sheet metal and flowing water. Among the first artists to present multiple channels of video at once and to combine “the energy of electrons” with material form, Kubota proposed a life for video beyond the constraints of the “TV box.” The first solo presentation of the artist’s work at a US museum in 25 years, this exhibition focuses on a body of work whose resonances are particularly poignant amid today’s digitally interconnected world. Associate Curator Erica PapernikShimizu explains, “Kubota’s ‘liquid reality’ positions video as both a total liberation from precedent and a way of life. Her visionary sculptures, through poetic contradictions and an economy of means, masterfully combine a bold interrogation of her own identity with prescient investigations of technology itself.” MoMA’s presentation takes its name from Kubota’s observation that, “[In] video’s reality, infinite variation becomes ssible...freedom to dissolve, reconstruct, mutate all forms, shape, color, location, speed, scale...liquid reality.” Featuring works from MoMA’s collection and key loans from the Shigeko Kubota Video Art Foundation, this exhibition highlights six intrepid video sculptures from a critical decade between 1976 and 1985, during which Kubota pivoted from her sculptural reinterpretations of works by artist Marcel Duchamp to her “autobiographical objects.”MoMA ANNOUNCES SHIGEKO KUBOTA: LIQUID REALITY, THE FIRST SOLO PRESENTATION OF THE ARTIST’S WORK AT A US MUSEUM IN 25 YEARS The Exhibition Highlights Six Video Sculptures and an Early SingleChannel Video, on View in the Kravis Studio and Gallery 414 Shigeko Kubota: Liquid Reality August 21, 2021–January 1, 2022 The Marie-Josée and Henry Kravis Studio, and Gallery 414 NEW YORK, August 11, 2021—The Museum of Modern Art announces Shigeko Kubota: Liquid Reality, on view from August 21, 2021, through January 1, 2022. Likening video technology to a “new paintbrush,” New York–based Shigeko Kubota (Japanese, 1937–2015), whose career spanned more than five decades, was one of the first artists to commit to the video medium in the early 1970s. Formally trained as a sculptor, Kubota’s varied accomplishments as an artist, collaborator, curator, and critic helped to shape a pivotal period in the evolution of video as an art form. Shigeko Kubota: Liquid Reality is organized by Erica Papernik-Shimizu, Associate Curator, with the support of Veronika Molnar, Intern, Department of Media and Performance. After making an indelible impact on the Fluxus movement in the mid-1960s, Kubota was drawn to the freedom created by newly available portable video equipment, which allowed artists to view what they were recording in real time. Kubota embarked on her signature “video diaries,” which reflected on journeys both personal and artistic, combining documentary footage with early video processing effects. The artist described videomaking as an intensely physical practice, with the weight of Sony Portapak leaving traces on her body. In parallel, she translated this corporeality into a unique form of video sculpture: she extended her otherworldly portraits and landscapes into three-dimensional objects made from plywood, often incorporating mirrors and, later, sheet metal and flowing water. Among the first artists to present multiple channels of video at once and to combine “the energy of electrons” with material form, Kubota proposed a life for video beyond the constraints of the “TV box.” The first solo presentation of the artist’s work at a US museum in 25 years, this exhibition focuses on a body of work whose resonances are particularly poignant amid today’s digitally interconnected world. Associate Curator Erica PapernikShimizu explains, “Kubota’s ‘liquid reality’ positions video as both a total liberation from precedent and a way of life. Her visionary sculptures, through poetic contradictions and an economy of means, masterfully combine a bold interrogation of her own identity with prescient investigations of technology itself.” MoMA’s presentation takes its name from Kubota’s observation that, “[In] video’s reality, infinite variation becomes ssible...freedom to dissolve, reconstruct, mutate all forms, shape, color, location, speed, scale...liquid reality.” Featuring works from MoMA’s collection and key loans from the Shigeko Kubota Video Art Foundation, this exhibition highlights six intrepid video sculptures from a critical decade between 1976 and 1985, during which Kubota pivoted from her sculptural reinterpretations of works by artist Marcel Duchamp to her “autobiographical objects.”

<시게코 모마 전시 보도자료2> Video Haiku(1981)는 구형 모니터 화면에 CCTV 카메라를 통해 캡처된 라이브 비디오 이미지를 반영하는 거울 조각으로 물웅덩이를 시뮬레이션한다 The 25-foot-high Kravis Studio will feature three works, characterized by suspension and reflection, that draw parallels between nature, technology, and time. In River (1979–81), three monitors are suspended above undulating water. Niagara Falls I (1985) is a relief made of plywood and mirrors that is suggestive of a waterfall, with cascading movement conveyed by 10 screens of varying sizes. By contrast, Video Haiku (1981) simulates a pool of water with a mirror sculpture that reflects live video images—captured through a CCTV camera—on a spherical monitor screen, which swings back and forth like a pendulum, layering and distorting reflections of the work’s environment and its viewers. In the adjacent Gallery 414, Kubota’s Duchampiana: Nude Descending a Staircase (1976)—the first work combining video and sculpture to enter the Museum’s collection, in 1981—is presented alongside Three Mountains (1976–79), which draws on the artist’s time spent in the deserts of the American Southwest; Berlin Diary: Thanks to My Ancestors (1981), a“living altar” that illuminates the names of her ancestors with the electronic glow of the monitor screen; and the single-channel Self-Portrait (c. 1970–71), Kubota’s earliest known experimentation with video and electronic color synthesis. The works in this gallery demonstrated how Kubota created a new visual language with which to examine the video medium, the world, and her place in it. The new acquisitions of Berlin Diary: Thanks to My Ancestors—acquired with support from MoMA’s Modern Women’s Fund, and Self-Portrait—gifted by the Shigeko Kubota Video Art Foundation on the occasion of the exhibition, underscore the Museum’s longstanding commitment to Kubota’s groundbreaking work; in addition to the works on view in Shigeko Kubota: Liquid Reality, the Museum’s collection also includes 10 single-channel video works as robust holdings in the Gilbert and Lila Silverman Fluxus Collection.The exhibition is accompanied by a catalogue that sheds new light on Kubota’s multilayered practice through essays by curator Erica Papernik-Shimizu and scholar Gloria Sutton.three monitors are suspended above undulating water. Niagara Falls I (1985) is a relief made of plywood and mirrors that is uggestive of a waterfall, with cascading movement conveyed by 10 screens of varying sizes. By contrast, Video Haiku (1981) simulates a pool of water with a mirror sculpture that reflects live video images—captured through a CCTV camera—on a spherical monitor screen, which swings back and forth like a pendulum, layering and distorting reflections of the work’s environment and its viewers.In the adjacent Gallery 414, Kubota’s Duchampiana: Nude escending a Staircase (1976)—the first work combining video and sculpture to enter the Museum’s collection, in 1981—is presented alongside Three Mountains (1976–79), which draws on the artist’s time spent in the deserts of the American Southwest; Berlin Diary: Thanks to My Ancestors (1981), a “living altar” that illuminates the names of her ancestors with the electronic glow of the monitor screen; and the single-channel Self-Portrait (c. 1970–71), Kubota’s earliest known experimentation with video and electronic color synthesis. The works in this gallery demonstrated how Kubota created a new visual language with which to examine the video medium, the world, and her place in it. The new acquisitions of Berlin Diary: Thanks to My Ancestors—acquired with support from MoMA’s Modern Women’s Fund, and Self-Portrait—gifted by the Shigeko Kubota Video Art Foundation on the occasion of the exhibition, underscore the Museum’s longstanding commitment to Kubota’s groundbreaking work; in addition to the works on view in Shigeko Kubota: Liquid Reality, the Museum’s collection also includes 10 single-channel video works as robust holdings in the Gilbert and Lila Silverman Fluxus Collection. The exhibition is accompanied by a catalogue that sheds new light on Kubota’s multilayered practice through essays by curator Erica Papernik-Shimizu and scholar Gloria Sutton.

Portrait of SHIGEKO KUBOTA. All images copyright the estate of the artist; courtesy Shigeko Kubota Video Art Foundation, New York unless otherwise stated. http://artasiapacific.com/.../TheEssentialWorksOfShigekoK...

2015년 뉴욕 모마 오노요코전
2015년 뉴욕 모마 오노요코전

"예술은 짧고 인생은 길다. 그렇다. 내 작품은 오직 공연되는 바로 그 시간만큼만 존재한다. 난 그게 멋진 일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죽으면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나는 어떤 아이도 만들지 않는다" -백남준

여기서부터는 부록 자료

2015년 뉴욕 

당신은 어떻게 백남준을 만났는가 PACKED: how you met Nam June Paik ?

Chi Tien Lui(1960년 미국도착): Yes, Nam June Paik came one day to my shop with a camera that had a terrible picture. I said I'd fix it for him. We became friends, and he would call me when he needed help for an installation. I still have some equipment here that belonged to him, as he had no storage space to keep it.

Nam June Paik was using colorizers that a Japanese engineer had built for him. At that time video was only in black and white. When people saw that you could put a black and white signal in a box and get something in colour out of it, they all liked it. It was very psychedelic because the colour isn't real. Back then everybody got stoned and liked psychedelics (laughs). So I built a hundred colorizers and sold them. Everybody was buying them. After that my business really took off. When your business is going well, you begin to become careless and to think that whatever you'll do it will work. Several times the business really plummeted. It stabilized when I moved to the present location. But today,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electronics, the business of video servicing is gone. A DVD player costs 40 dollars. Why would you want to repair it if a new one costs less than the price to repair it?

PACKED: How do you continue your activities?

Chi Tien Lui: I continue my activities with videotape transfers because you still need the old machines to do it. Not everyone has a collection of old machines and knows how to maintain them the way I do. That is why I moved to working on tape transfers and also to taking care of some of Nam June Paik’s works that are part of museum collections.

PACKED: When did you start working with museums?

Chi Tien Lui: About 5 years ago I went to a meeting at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5 where all the museums were talking very theoretically about how to save Nam June's artworks. I raised my hand and said "you know, I could extend Nam June's life". Because I knew him and worked with him, I know what he did. That is how I started picking up that business.

At the moment I'm working on replacing 450 TVs from The Chase Video Matrix6 for the J.P. Morgan Chase collection7. I'm also working with the Whitney8 and the Guggenheim museums9. I am retired but I like this type of work. I am glad that Nam June extends my life too (laughs).

Most people don't realize that Nam June Paik’s artworks require heavy maintenance. Can you imagine 450 TVs going on and off everyday? Maintaining a video wall is almost like painting a bridge. When you have finished painting it, you can do it all over again from the beginning.

백남준 유작 엄마 2005

한국말 중 최고는 '엄마'다 가장 감동을 주는 어휘다 백남준의 마지막 작품이 '엄마'인 이유인가 이 작품은 미국 워싱턴 스미소니언 국립미술관 소장품 엄마의 넉넉한 품이 느껴진다 그런데 어디서 이렇게 예쁜 살구색 옷을 구했지

이 이름은 거룩하고 성스럽다 엄마라고 부를 때 그 아이의 심경에는 엄마에 대한 완벽한 믿음과 그리고 완전한 소통과 말할 수 없는 사랑이 그득 넘치는 말이다

밖에서 신나게 놀다가 집에 들어와 "엄마! 나 배고파! 밥 줘!"라고 외칠 때 만큼 인간이 행복한 순간이 평생이 또 있을까 아마 없을 것이다

백남준 모마에서 1978년 특강

백남준 모마에서 1978년 특강 제목은 "종이는 죽었다" 종이신문보다 전자신문 시대 온다고 말하다

백남준 메가트론 작품 중 하나

서울에서 날마다 뉴욕 맨하튼 거리를 볼 수 있는 백남준 메가트론 작품(서울에서 뉴욕까지, 40인치 TV 150대)이 마포 한강공원에 설치되었다면 미국을 가지 않고도 생방송으로 매일 뉴욕을 볼 수 있었을 텐데 아쉽다

백남준의 마지막 꿈은 서울 한강(마포 여의도)에서 미국 맨해튼을 보고 미국 맨하튼에서 서울 한강(마포 여의도)을 보는 메가트론을 만든 것이었다 - 백남준 전자 테크니션 이정성

<백남준과 파르지에의 대화> 백남준은 "내가 비디오작업이 끝나면 난 중국에 관한 놀랍도록 두꺼운 책을 쓰겠다"고 나에게 말했다. 그러나 나는 반대입장이었다. 나는 중국공부는 끝났고 이제 나는 백남준의 비디오아트에 관심을 가지기로 결심했다. -장 폴 파르지에.

<프랑스 백남준 전문가 장 폴 파르지에가 쓴 백남준 1989년> Fargier, Jean-Paul. Nam June Paik. [Paris] : Art press, 1989. 그는 파리 8대학에서 20년간 백남준: 영상학 비디오학을 강연하다. 나의 어머니 백남준 Ma mère Paik / Quand Paik en aura fini avec la vidéo, il écrira, me dit-il, un grand livre sur la Chine. Je lui réponds que moi, c’est à peu près le contraire. Quand j’en ai eu fini avec la Chine, je me suis mis à m’intéresser à l’art vidéo.

백남준은 "내가 비디오작업이 끝나면 난 중국에 관한 놀랍도록 두꺼운 책을 쓰겠다"고 나에게 말했다. 그러나 나는 반대입장이었다. 나는 중국공부는 끝났고 이제 나는 백남준의 비디오아트에 관심을 가지겠다. -장 폴 파르지에.

Et comme par hasard, le café où nous échangeons ces propos, au coin de la rue de Seine et du boulevard Saint-Germain, s’appelle Le Mandarin. Je le lui fais remarquer, et nous rions.

Il m’a donné rendez-vous là, en ce début d’octobre 1988, pour régler un problème de photos relatif au livre que je suis en train d’écrire sur lui. Quand j’arrive, il est attablé, devant un café/camembert, avec un de ses hommes d’affaires, un Coréen qui possède une galerie à Séoul. La plus petite de toutes, précise celui-ci (en français).

1984년 6월 14일~7월 29일 일본 동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전시(Mostly Video Nam June Paik 전시 포스터

1984년 6월 14일~7월 29일 일본 동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전시(Mostly Video Nam June Paik 큐레이터: 야수히로 유루기 기획: 푸미오 난조+히로에 이시이) 그때 함께 발간된 전시 카탈로그. 백남준의 소개. 텍스트: John G. Hanhardt, 이우환 및 Itsuo Sakane. 선택한 참고 문헌 및 전시 체크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어와 일본어로 된 텍스트.

<백남준 1963년 첫 전시 후 1년 남짓 1964년 초까지 동경에서 전자공학을 더 심도 있게 공부하다. 형집에 있으니 생활비를 확 줄일 수 있었다. 이때 백남준 처음으로 일본에 요셉 보이스를 소개하다. 백남준이 뉴욕에 도착한 것은 64년 초였다>1962년 백남준 형은 쾰른의 백남준 작업실을 방문 동생의 처지를 파악하던 중 재정적 이유로 고민을 털어놓자 일본에서 1년 체류할 것을 권했다. 당시 일본은 전자기술에 상당히 앞서 있었기에 더 공부하기 좋은 것이라는 권면이었다 당시 일본에는 진공관을 세계 최초로 발명한 히데오 우치다와 기술자 슈아 아베가 있었다. 그들에게서 첨단의 전자공학기술을 배울 수 있었다. 세계 최고의 선생을 만난 셈이다.

"대상을 있는 그대로 생동감 있게 재현해 내는 것은 오늘날 더 이상 예술에 있어 정신적인 요소가 아니다. 요소들 사이의 연관관계에서 오는 <상호작용>이 예술에 있어 정신적인 것보다 중요하다. 예술의 진정한 과제는 대상의 재현이나 감정의 표현이 아니라 볼륨, 물질, 척도, 방향, 위치 그리고 빛의 관계를 읽으며 이에 의한 창작을 하는 것이다" - 모홀리-나기

"자연이 아름다운 것은 아름답게 변화하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변화하기 때문이다. 자연이 가진 아름다움의 핵심은 무한한 양 속에서 질을 건러내는 것이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면 개성과 성격이라는 의미를 통해서 이해된다. 그러나 나는 단어의 의미를 성격에 두지, 가치에 두지 않는다(이 말은 움직여야 살아있는 것이고 그래야 변화가 온다. 작품의 고유한 성격이 중요하지 정해진 가치기준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 백남준. 하여간 마지막 부분이 좀 어렵다. 그리고 '무한한 양 속에서 질을 건러내는 것' 이것은 백남준 비디오 속 무한한 이미지 속에서 끊임없는 질을 높이면서 변화하는 것에 대한 은유(?)

보이스의 모두가 예술가(1967년)라는 말이 68혁명기 전후에 나왔고 독일식 총체예술(GESAMTKUNSTWERK)을 함축하는 말이기도 하다. 총체예술은 사회적 조각과도 관련이 있는데 이는 <사회와 인간과 예술>을 긴밀하게 연동시키는 예술을 말하기도 한다.

[1] <백남준 60년대> 독일에서 매우 실험적이고 위험천만한 첫 전시를 열다
[2] <백남준 70년대> 까다롭기로 유명한 독일에서 그를 두루 관찰하고 연구하고 검토하다 가장 뛰어난 예술가 중 한 사람으로 인정하다. 그래서 그를 독일대학 교수로 초빙하다. 처음에는 함부르크에서 그리고 뒤셀도르프에서 결국 뒤셀도르프 교수가 되었다 1977년 카셀 도쿠멘타가 결정적이었다
[3] <백남준 80년대> 마침내 그의 작품이 미술사적으로 너무나 독보적이고 중요한 작품이라고 생각해 뒤셀도르프 미술관에서 소장하다. 이 말은 독일에서 백남준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의미다. 프랑스는 아직 그의 작품 소장하지 않았다.

<비디오아트의 탄생지인 독일에서 이런 작품을 소장하는 것은 긴박한 일이었다>독일의 보수적 미술관은 백남준의 진보를 수용했다. 그것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마치 필요에 의한 보수와 진보의 결합과도 같은 것이었다. 또한 마치 타파할 수 없는 보수의 진보성을 과격의 상징인 백남준을 통해 털어버리려 했던 것과도 같았다. -김은지. 독일의 뒤셀도르프 미술관은 아래 작품(88대 TV 모니터 사용 물고기가 하늘을 날다 1985년 비디오조각으로 불리다. 이 작품 수집 제안은 1982년이다)을 드디어 소장하다. 작품이 천장에 붙는 백남준의 기상천외하고 엽기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동심, 어린아이의 거침 없는 상상력이 활활 타오르는 작품이었다. 백남준 1982년 미국 휘트니 미술과 1982년 프랑스 퐁피두 미술관 화려한 회고전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자 독일 미술관은 그의 작품을 소장할 단단한 결심을 한 셈이다. 게다가 이런 작품을 비디오아트의 탄생지인 독일에서 소장하는 것은 긴박한 일이었다.

김난지 교수의 백남준 저서 앞에 등장하는 인물: 슈테판 폰 비제(Stephan von Wiese 그의 인스타그램에 들어가니 백남준 사진이 나온다), 헤어조겐라트(한국에 여러번 방문), 마우리스 루벤스(Mauris Rumens). 바바라 런던, 한하르트, 유류기, 와타리, 에츄코, 푸미오 난조(fumio nanjo), 후지코 나카야, 타카하시, 미나토 치히로, 브레데캄프(BREDEKAMP) 이런 저런 이름이 나온다. 일본사람은 와타리 외는 잘 모르겠다.

남을 칭찬하는데 매우 인색한 독일에서 왜 백남준을 20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라고 평가하는 것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유럽의 이런 평가와 다르게 한국에서는 백남준은 '시대의 행운아' 정도로 평가한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기나? 유럽은 나름 르네상스 이후, 500여년 예술역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며 세계근현대미술을 이끌었다. 그런 유럽인들이 백남준을 그렇게 높이 평가하는 데는 분명 미술사적 논리가 있을 것이다. 비디오아트는 서양으로 치면 어느 정도 '다다'의 전통에 서 있고 그리고 '플럭서스' 운동과 관련이 있다. 그런데 서구에서 백남준을 높이 평가하는 것을 바로 그가 전통과 고전 즉 기본에 충실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 같다. 선사시대부터의 예술을 탐색하는 자세가 그를 계몽주의와 낭만주의 이후 그를 천재로 보게 하는 것인가? -김은지 교수 (베를린 훔볼트 대학에서 백남준 논문으로 학위 받다)

나는 가끔 백남준 작품 소장자들의 불평을 간접적으로 듣게 된다. 백남준 작품이 사실 잘 팔리지 않는 측에 속한다. 백남준은 무슨 회화처럼 물질이 아니고, 개념이기에 팔기 어렵다. 나는 그들에게 이런 말을 해 준다. 백남준 작품으로는 돈을 벌기 힘들고요. 백남준 작품을 소장하면서 잘 관찰하다 보면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게 될 것이다. 그런 좋은 아이디어가 오히려 돈을 벌게 하는 요인이 되지 않을까 싶다라는 말로 그들을 위로하기도 한다.

늘 호기심이 많고 새로운 뭔 가를 좋아하는 백남준은 골목을 다닐 때 평상시에 사람들이 잘 가지 않는 곳만 골라서 다니는 악취미가 있었단다. 그것이 그의 예술을 보다 차별화된 예술로 만드는 원동력이 아닌가 싶다. 그런 노력이 있었기에 백남준의 예언은 거의 다 맞아떨어지고 있다.

"예술은 짧고 인생은 길다(낡은 진공관은 10년도 못 간다. 나는 세상에 나왔다가 바람처럼 사라지는 예술을 할 것이다. 왜 뭘 남기려 하는가?" -백남준

노스탤지어는 피드백의 무한제곱 -백남준

1984년 34년만에 귀국한 백남준 34년이면 짧은 기간이 아니다. 그에게 노스탤지어라는 단어는 어찌보면 각별할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백남준의 말에 의하면 노스탤지어란 그거 과거 어느 지점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선사시대까지 올라가는 것 같다. 시대의 생각하는 범위가 상당히 넓다 여기서 피드백은 현재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노스탤지어를 피드백이라는 거울로 돌아보는 그러나 여기에 또 무한제곱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이것을 역시 미래를 상징하는 말 인것 같다. 그래서 나는 이 상징적 메타포의 문장을 아주 단순하게 해석해 버린다. 물론 여기에 정답은 없다. 가장 먼 과거 선사시대를 아는 사람만이 가장 먼 미래를 내다볼 수 있다고. 여기서 노스탤리저는 선시시대 이고 피드백은 지금 여기이고(현재가 중요하다) 그리고 무한제곱은 역시 먼 미래를 은유한 말이 아닌가 싶다

“파리에 가면 늘 고정되고, 변화가 없어 마치 왕정과 고전주의 시대의 시간이 그대로 흐르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 반면 서울은 다양한 계층의 사람이 사는 데다 엄청난 속도로 변화가 일어납니다. 매일 새로운 신화와 판타지가 생기죠.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곳은 파리보다 서울입니다.” “유럽에서 벌어지고 있는 포퓰리즘은 인종차별주의, 외국인에 대한 혐오, 낡은 정치에 대한 환멸과 반동에서 나온 것입니다. 반면 한국에서의 정권 교체는 국민이 의지를 모아서 새로운 시대를 개척하려 한 열망의 표시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클레지오

뉴턴식 근대과학이나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한 계몽주의는 아무리 높은 지식을 쌓아도 거기에서 삶의 방향이나 운명의 지침을 얻기 어렵다. 그래서 과거에는 주류학문에서 좀 밀려난 인류학을 찾게 되는 것이다. 나치가 바로 그런 근대과학성과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한 계몽애국주의에서 나온 것이다. 이렇게 되자 백남준과 보이스 등 현대예술가들은 인류학으로 방향을 튼 것이다.

지금은 '인문학적(인간의 본성인 자아를 찾아가기)' 글쓰기에서 '인류학적(자연의 원리인 태초의 우주와 별자리 천문학과 동양역학을 찾아가기)' 글쓰기로 변환하는 과도기다. 그렇지만 아직도 인류학적 글쓰기에 사람들 그렇게 익숙치 않다. <참고> 문화 상대주의 cultural relativism: 자신만의 관점으로 혹은 자신의 문화를 기준으로 타문화를 평가하는 것을 경계하며 특정한 가치를 절대 기준으로 삼지 않아야 함을 뜻한다.

사회가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날 때 지금 같은 비대면시대에는 다시 백남준으로 돌아가야 한다. 그는 많은 대답을 준다. 세상은 끊임없이 유동하고 있다. 백남준은 닫힌 코로나 시대에 열린 회로(SNS)를 미리 만들어놓았다. 문명이 위기를 맞아할 때 백남준은 심도 있게 연구해야 한다. 거기에 답이 있기 때문이다. 백남준이 우리에게 주는 힌트는 바로 세상만사를 <전혀 다른 관점에서 보라>는 것이다. 백남준은 TV를 대중오략의 장보다는 INTERNET(전자초고속도로) 즉 인류소통의 원할한 장으로 봤다. 이런 점을 배워야 한다.

백남준의 '무음악(a-music)'이란 뭔가? '악기'로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카라얀의 권위적인 음악이나 나치즘 같은 광기에 넘치는 관념주의의 타파를 위한 몸부림이다.

<'프리 벨맨(Pres Bell Man) 복원하는데 독일에서 7년 걸리다 6명의 박사도 동원되다>

Rechte Seitenansicht ©MKF Stefanie Koesling
Rechte Seitenansicht ©MKF Stefanie Koesling

백남준 1991년 작품 '프랑크푸르트 커뮤니케이션 박물관' 앞에 서 있었던 '프리 벨맨(Pres Bell Man)' 복원시키는데 독일의 미술사학과 미디어학 박사 5명(백남준 전문가 Wulf Herzogenrath 박사가 대표)과 독일 전자아트 전문가 1명 등 6명이 붙어 7년간 토론과 논의 끝에 복원했다. 이 작품은 이 박물관에서 중요한 것은 이곳이 정보박물관이고 백남준이 전화를 만든 벨(맨)에 이어 인터넷을 만들어 전 세계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인터넷(맨)으로 봤기 때문이다. 이 기마상은 한 21세기 디지털 노마드 전자인간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Wulf Herzogenrath 박사

'프리 벨맨(Pres Bell Man) 아래 작품 복원을 위해 많은 시민과 전문가들이 토론하는 모습과 프랑크푸르트 커뮤니케이션 박물관장의 모습도 보인다. 이 기마상은 한 21세기 디지털 노마드 전자인간의 전형을 보여준다. 인터넷 맨을 상징한다. 사진 저작권 Rechte Seitenansicht ©MKF Stefanie Koesling

센가이 기본(일본)'가 그린 '우주의 원리' 18세기말. 동경 이데미추(Idemitsu) 미술관 소장

선예술(Zen-ga)과 비디오아트는 닮았다(?). 직설적이지 않은 무언의 언어로 존재에 대한 은유를 전한다. 젠가는 우주의 원리를 그린다. 두 미술은 현저한 시대의 차이와 방식의 차이에도 공통점은 바로 <기술의 유희정신>이다.

'센가이 기본(일본 선화가)'가 그린 '우주의 원리' 18세기말. 동경 이데미추(Idemitsu) 미술관 소장 / 백남준 '삼원소' 백남준아트센터 소장. 백남준은 이것을 레이저아트 혹은 전자아트로 변형하다. 삼각형 사각형 원형 이것이 우주의 원리이죠. 이 속에 우주만물의 모든 형태가 다 들어있다. 선적 분위기다 비디오아트라는 것이 매우 선(禪 Zen-ga 극도의 단순함)적이다.

Royal-Canadian-Mounted-Police 1989

모자를 보니 캐나다네요 Nam-June-Paik-Royal-Canadian-Mounted-Police 1989년 캐나다왕립경찰기마대

왜 융합인가? 지금은 워낙 다양한 정보와 지식이 쏟아져 나오기에. 한국인에게 비빔밥이라는 퓨선음식이 있다. 한국인은 융합을 누구보다 잘 한다. 아니 너무 익숙한 것이다. 아무렇지 않게 해 낸다. 그런데 이런 융합이 바로 창의적 사고의 첫번째이다. 백남준은 60년전부터 써먹은 방식이다. 서양사람들은 절대 TV와 부처를 융합적 방식으로 접근하지 못한다. 전혀 다른 2개를 나란히 위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런 의미에서 21세기는 한국에 유리하다. 이런 관점을 독일에서는 총체예술(Gesamtkunstwerk)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작곡가 김순남

백남준이 대한민국의 최고 천재로 본 작곡가 김순남 [金順男, 1917~1986], Russia, 1951 photographer Unidentified 1951년 러시아 유학 시절 허진과 함께. 왼쪽이 김순남 / 한국의 작곡가. 일제잔재청산과 진보적 민족음악 건설을 주장했다. 한국 최초의 현대음악 작곡가로 알려졌다. 작품의 경향은 현대적·정서적·민족적이고 양식 면에서는 표현주의적·사실주의적인데 때로는 후기낭만주의적인 면도 보인다. 피아니스트, 작곡가. 음악학 석사. 본관 김해(金海). 어렸을 때의 이름은 김현명(金顯明). 서울 출생.

왜 융합인가? 지금은 워낙 다양한 정보와 지식이 쏟아져 나오기에. 한국인에게 비빔밥이라는 퓨선음식이 있다. 한국인은 융합을 누구보다 잘 한다. 아니 너무 익숙한 것이다. 아무렇지 않게 해 낸다. 그런데 이런 융합이 바로 창의적 사고의 첫번째이다. 백남준은 60년전부터 써먹은 방식이다. 서양사람들은 절대 TV와 부처를 융합적 방식으로 접근하지 못한다. 전혀 다른 2개를 나란히 위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런 의미에서 21세기는 한국에 유리하다. 이런 관점을 독일에서는 총체예술(Gesamtkunstwerk)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삼성가보다 훨씬 더 부잣집 아들이었던 백남준의 좌절감는 뭔가? 그건 부자로 사는 자의 쓴맛(vanitas)이 너무 컸기에. <감옥살이하다 2021년 8월 12일 감옥에서 나온 이재용도 마찬가지다> 부자로 사는 게 정말 감옥살이다. 그의 부친 백낙승(니혼대 상과와 메이지대 법대 졸업)이 식민시대 부자가 되기 위해서 민족의 적대자인 일본과 친할 수밖에 없었다. 그 꼴을 도무지 쳐다볼 수가 없었다. 또한 그는 자신이 진정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없었기에 한국이라는 감옥을 탈출한 것인가. 그는 당시 좌우문제로 홍콩으로 전학 갔을 때 이건 나의 화려한 정치적 망명이라고도 했다. 게다가 자본주의가 날로 상품이라는 물신이 지배하는 시대가 되자 그걸 숭배하는 신자가 많아짐에 따라 백남준 절체절명의 위기감을 느끼면서 예술가가 될 수밖에 없었다. 마이너스 미학이라는 무소유철학을 기반으로 전자 아트를 창안하고자 했다. 지구촌 모든 사람들이 예외없이 정보와 지식을 거의 공짜로 공유하는 인터넷 공동체(Commune) 아트를 열망했는지 모른다.

1963년

1963년 백남준 첫 전시는 '입으로 맛보는 음악' 같은 미술이다.

<1963년 백남준 첫 전시> 보들레르(빛, 소리, 향기 등등 모든 사물의 조응 [correspondance 이 말은 이우환도 많이 애용하다] 을 중시한)의 영향을 받은 백남준은 오감의 예술을 시도했죠. 요즘 말로 다원예술을 말한다. 귀로 보고 눈으로 듣는 선불교식 융합적 개념의 영향이기도 하고요. 그런데 여기서는 더 나아가 아래에서 보듯 입으로 음악을 듣는 예술 그런데 여기서 백남준이 입에 물고 있는 물체는 콘돔이라고 설명했는데 그게 아니고 사실은 모조 페니스인데 실수. 아주 쉽게 말하면 듣는 음악이 아니라 보는 음악이다. 입으로 맛보는 음악이죠. 기존의 음악의 고정관념을 완전히 뒤집는 것이다. 이것은 백남준이 구음악(alt musik)에서 신음악(neue musik)을 실험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오늘 칠월 칠석(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번 극적으로 만나는 날 견우(소)는 농업의 남신이고, 직녀(베틀)는 산업의 여신. 쌀과 옷을 인간이 존재하는데 필수적 요소) 백남준 <1984년 굿모닝 미스터오웰> 작품을 구상할 때 칠월칠석에서 가져왔다고 고백하다. 여기서는 두 남녀가 주인공이지만 1984년 작품에서는 지구촌 모든 남녀가 주인공이 된다. *‘칠석’의 명칭이 시경(詩經)에 처음 등장하여, 춘추전국시대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견우직녀에 관한 전설은 한국, 중국, 일본 모두 비슷하다.

바르트가 말하는 '스투디엄'과 '푼크툼'을 이렇게 쉽게 설명한 글은 처음 보다.

시뮬라크르 이론(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가짜 미디어)을 펼친 '장 보드리야르'는 80년대부터 미디어 선정주의를 비판해 왔고, 신문중독자(매일 '뉴욕 타임스' 등 여러 개의 해외신문 몇 시간씩 탐독) 백남준은 거짓 정보와 가짜 뉴스를 보다 못해 짜증이 난 듯 59세 때(1991년) '허위 미디어(가짜뉴스)'에 대해 혹독한 비판을 가했다. 백남준은 미디어의 5가지 특징이 1. 섹스 sex 2. 폭력 violence 3. 탐욕 greed 4. 허영 vanity 5. 속임수 deception'라고 규정했다

서양은 스피노자, 니체, 샤를 보들레르를 알면 답이 보인다. 동양은 공자와 맹자, 노자와 장자, 백남준을 알면 답이 보인다

백남준은 누구하고나 대화를 즐겼다 중국작가들과 대화하는 모습

"나에게 백남준 선생님은 백남준 선생님이 우리와 영원히 함께 하시며 선생님과 직접 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백남준 선생님께서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을 좋아하셨습니다. 그 사람이 나이가 많든 적든, 유명인이던 길을 지나던 평범한 사람이던, 부자이건 가난하건 간에 그 누구와도 대화를 하고 싶어 하셨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당신이 만나셨던 모든, 정말 그 모든 사람들 한분 한분한테서 무언가를 배우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선생님은 모든 사람을 똑같이 대하셨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누군가에게 잘보이기 위해서 차려입는 일도 없으셨습니다. 이것은 대통령도 포함해서입니다. 선생님께는 그러한 것이 전혀 중요치 않으셨습니다. 선생님께서 가치 있다고 생각하신 것은 새로운 생각과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였습니다.이는 예술 뿐만 아니라, 과학, 역사, 대중문화 등 모든 분야에 해당되는 것이였습니다. 선생님께서는 그야말로 모든것에 관심을 두셨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당신이 만나는 그 어떤 사람이라도, 처음 보는 낯선 사람, 동네 꼬마 아니, 또는 지하철에서 부딪힌 사람까지도 모두 인연이라고 생각하셨으며 또한 그 사람들로부터 무언가를 꼭 배웠다고 생각하셨습니다. 백남준씨는 모두의 스승이였으며, 모두가 그의 스승이였습니다" - 백남준조카 Ken PAIK Hakuta,

유럽 예술이 발달한 것은 결국 어둠 때문이다. 흐린 날씨 덕분(?).미국은 어둠이 없어 생각이 좀 단순하고 깊이가 없다. 위대한 문화란 어두운 향수(dunkle Schnsucht)에서 나온다. 나에게도 이 어두운 향수가 좀 있다. 내가 몽골족이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팔리지 않는 나의 작품은 다 그 속에 어두운 향수가 있기 때문이다. 미국인들은 그걸 슬프고 더러운 작업이라고 본다. -백남준 "내가 첨 뮌헨에 도착했을 때, 첫 느낌은 내가 저녁(해질녘)의 나라 왔구나 하는 것이었다. 낮이나 밤이나 어두웠어요. 다 어두웠어요. 하늘이 너무 무거워 미칠 것 같았다" -백남준

[평] 나도 전에는 잘 몰랐는데 2017년 유럽에 40일간 있었을 때, 유럽은 너무 어두워 사람 살 곳이 못 되는구나 하는 걸 깨달았다. 머리가 돌 것 같았다. 어디를 가나 어둡고 침침했다. 이들이 촛불을 즐겨 쓰는 이유인가. 그래도 이탈리아는 좀 괜찮았다. melancolie 이런 단어가 그냥 나온 게 아니다. 그러나 melancolie없다면 유럽예술은 탄생하지 못했을 것 같다

모든 예술가는 놀이의 달인이다. 백남준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그는 지구촌을 놀이터로 삼고 모든 오브제를 장난감으로 신나게 놀다가 갔다. 백남준 못지않게 잘 노는 사람이 둘 있는데 피카소와 앤디 워홀이다. 또 있다. 뒤샹이 그랬다. 잘 놀 줄 아는 사회는 문화와 예술이 발전할 잠재력이 매우 높다. 논다는 것은 높은 지능지수를 요구하는 인간만의 창조행위이다. 모든 인간은 노는 꿈속에서 창조적 예술이 나올 수 있다. 동물 중에서 고래만이 잘 놀 줄 안다고 하네요.

기계의 인간화 백남준이 줄기차게 주장한 말이다. 백남준은 1982년 나는 TV속에 인간의 뇌를 이식하고 싶다고 했는데 인공지능을 말하는 것인데 백남준은 기계를 항상 사람의 인격체처럼 가볍지 않게 대했고 일부사람들처럼 전혀 적대시 하지 않았다 오히려 친구처럼 장난감처럼 친근감을 가지고 대했다 앞으로 우리는 그런 태도를 가지고 기계와 공존할 보다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Nam June Paik endeavors to humanize technology and electronic media, a pursuit evident throughout his prolific, complex, and visionary career. He champions technology’s powerful potential to foster interactivity within our increasingly global society. Paik’s writings of nearly 40 years ago demonstrate his prescient awareness of the significance of TV, satellites, and rapid interactive communication well before advances in computer technology and the creation of the Internet. Paik recognized that TV’s pervasiveness renders it almost invisible; he sought to create alternatives to TV’s capacity to lull, to entertain, and to make passive consumers of its audience. He set out as an artist to demystify the medium, and in doing so, he transformed the video image into a tool capable of redefining the parameters of sculpture and installation art.

백남준 미국 인터넷(전자초고속도로)

돈은 가장 적게 들고 속도는 가장 빠르게 온 인류가 소통하는 방식이 없을까를 1960년대 백남준은 생각을 했는데 그것이 바로 전자초고속도(일렉트로닉 슈퍼하이웨이)라는 아이디어다. 백남준은 30년 후에 그 아이디어를 미국인에게 맞게 고쳐 선물로 기부했다.Nam June Paik, Electronic Superhighway: Continental U.S., Alaska, Hawaii, 1995, fifty-one channel video installation (including one closed-circuit television feed), custom electronics, neon lighting, steel and wood; color, sound, 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 Gift of the art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