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견자-사상가

[철학논쟁] 푸코와 촘스키, 두 석학의 토론

<A debate between M. Foucault & N. Chomsky on the question of human nature 1971년 두 사람은 네덜란드 TV 토론 프로그램에 초대 받다. 인간본성에 대한 토론> 노엄 촘스키는 창조성의 씨앗과 정의를 추구하는 태도가 인간의 본성에 깔려 있다고 주장했고, 미셸 푸코는 인간 본성과 정의라는 관념 자체가 역사적 생산물이라고 주장했다> 푸코와 촘스키 세계적인 두 석학의 인간본성에 대한 토론 두 분의 입장이 서로 너무나 다르면서도 어딘지 같은 것 같다. 영어와 프랑스로 말해도 서로 완벽하게 이해하니 좋네요 // 인문학 산맥을 반대 방향에서 오른 두 철학자, “경험이나 외부의 영향과는 무관한 ‘타고난’ 인간 본성이라는 것이 있는가?” “과연 ‘정의’란 무엇이며 우리는 정의를 이룩할 수 있는가?”

www.youtube.com/watch?v=3wfNl2L0Gf8

<네덜란드 방송 두 석학의 토론의 자리를 마련하다>

두 사람의 대화는 언어학과 인지 이론에서 시작하여 과학의 역사를 거쳐서 창조성, 자유, 정의를 위한 투쟁으로 뻗어나간다. 촘스키는 창조성의 씨앗과 정의를 추구하는 태도가 인간의 본성에 깔려 있다고 주장했고, 푸코는 인간 본성과 정의라는 관념 자체가 역사적 생산물이라고 주장했다. 촘스키의 말대로 “저(촘스키)의 관심사는 (인간의) 정신에 내재하는 특성이고, 반면에 푸코 씨는 사회적, 경제적, 기타 조건들의 특정 배열에 더 관심을 둔”(56쪽) 것이다. 푸코는 두 사람의 접근 방법이 다른 까닭을 “과거의 언어학 분야에서는 ‘창조하는 주체’ 혹은 ‘창조적인, 말하는 주체’의 중요성을 배제했습니다. 반면에 저와 같은 세대의 사람들이 연구하기 시작한 과학의 역사는 개인의 창조성을 중시하면서 집단적 규칙들을 배제”(56~57쪽)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곧 촘스키는 언어학 분야에서 홀대해왔던 주체 문제를 전면에 들고 나온 것이고, 푸코는 역사 분야에서 홀대해왔던 사회적 규칙과 제약에 초점을 맞추었다. 두 사람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기존의 학문 체계를 혁신한 것이다.

인간에 대한 긍정, 사회와 역사에 대한 의심. 이날의 토론에서 드러난 논지와 관점은 바로 노엄 촘스키와 미셸 푸코, 두 사람이 평생을 갈고 닦은 사상의 기본이자 정수다. 이 책에는 두 사람이 토론 후 1976년에 각자의 견해를 좀 더 자세하게 밝힌 자료(2~4장)가 실려 있다. 5장은 푸코가 1978년에 스탠퍼드 대학에서 강연한 내용으로 4장에서 제기한 문제를 더 깊이 탐구한 것이고, 6장은 푸코가 사망 직전(푸코는 1984년 6월 25일에 사망했다) 프랑스 신문 《리베라시옹(Liberation)》에 게재한 성명서로 인간 사회에 대한 푸코의 진심을 전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