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화가이자 개념미술가 로만 오팔카 2011.08.06 서거_Numbers painter Roman Opałka dies]
Roman Opałka, one of the most celebrated Polish painters worldwide, died last Saturday while on holiday in Italy. <source> http://www.thenews.pl/1/11/Artykul/53070,Numbers-painter-Roman-Opalka-dies
Roman Opalka; © photo-PAPOn August 27, the artist would have celebrated his 80th birthday.
Roman Opałka was born in France to Polish parents. He studied at the School of Art and Design in Łod? and at the Academy of Fine Art in Warsaw. He began his project OPALKA 1965/100 in 1965, filling canvases with lines and lines of numbers.The first canvas, white on a black background, is entitled 'Detail' and starts with the number 1, ending with 35327. As time passed, the background became lighter, and his last 'details' with numbers reaching five million, were done in white paint on a white canvas.The art of Roman Opałka aroused controversy, nonetheless his paintings are in the collections of the Museum of Modern Art, the Guggenheim Museum in New York, and Centre Pompidou in Paris. In 2010 an unknown buyer purchased three of his 'details' at Sotheby’s in London for Ł713 250 ? the highest price ever paid for the work of a Polish artist. The first 'Detail' is in the collection of the Art Museum in Łod?, which is also to receive the painter’s last work.
1965년 숫자로 그림을 그리기고 결심하고 첫 작품 1부터 시작해 끝자리가 35327이었다고 합니다. 그는 시간의 시각화를 추구한 개념미술가라고 할 수 있다. 47년간 이 작업을 계속했다고 하니 정말 놀라운 일이죠.
[Life] Opałka was born on August 27, 1931, in Abbeville-Saint-Lucien, France, to Polish parents. The family returned to Poland in 1946 and Opałka studied lithography at a graphics school before enrolling in the School of Art and Design in Lodz. He later earned a degree from the Academy of Fine Arts in Warsaw. He moved back to France in 1977.[1] Opałka lived in Teille, near Le Mans, and Venice.[2] He died at age 79 after falling ill while on holiday in Italy. He was admitted to a hospital near Rome and died there a few days later, on August 6, 2011, three weeks before his 80th birthday. The final digit he painted was an 8.
[참고사이트] http://chungwoo.egloos.com/3718831
[Work] In 1965, in his studio in Warsaw, Opałka began painting a process of counting ? from one to infinity. Starting in the top left-hand corner of the canvas and finishing in the bottom right-hand corner, the tiny numbers were painted in horizontal rows. Each new canvas, which the artist called a 'detail', took up counting where the last left off. Each 'detail' is the same size(196*135 cm), the dimension of his studio door in Warsaw. All details have the same title, "1965-1 ? ∞"; the concept had no end, and the artist pledged his life to its execution: 'All my work is a single thing, the description from number one to infinity. A single thing, a single life.' Typically he would paint around 400 figures a day. Brush and paint never varied. His figures were roughly a centimetre tall, most made with two deliberate strokes of the brush, and allowed to fade away as his paint ran out.
[관련 오마이뉴스기사] 숫자로 작업하는 개념미술가 오팔카를 추며하며_공간의 무한 확대와 동서미술의 조응 http://bit.ly/c7DYyn 로만 오팔카 작가는 2008년 4월 학고재갤러리에서 전시회를 가진 적이 있다.
로만 오팔카 '1965/1-∞ Detail 487512', '1965/1-∞ Detail 489231', '1965/1-∞ Detail 4914800' 196×135cm. 단순미의 극치다. 그림 안에도 숫자가 깨알처럼 적혀 있다. 피나는 기록전쟁에서 승리자가 되다.
폴란드 출신의 프랑스 작가 로만 오팔카(1931~). 캔버스에 숫자를 1부터 차례로 써나가는 길고도 지루한 작업을 하는 게 바로 그의 그림이다. 그 작업은 죽는 날까지 중단되지 않을 것 같다. 그의 단순한 작업의 반복은 바로 세월의 무상함을 무화시키는 방식이고 그의 예술을 완성시키는 한 과정이다.검정바탕에 숫자는 흰색으로 쓰고 숫자의 크기는 다 같다. 이 세밀화(detail)는 196×135cm로 규격이 같다. 그는 작업하면서 숫자 읽은 목소리도 녹음한다. 그뿐만 아니라 자신의 얼굴을 같은 머리모양과 복장을 하고 사진까지 찍는다.
이 세상의 모든 숫자를 없애기나 하려는 듯 그는 숫자를 쓴다. 이는 작가로서 시간을 잡아내는 처절한 싸움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예술의 특징 중 하나인 기록성에 반복성이라는 장치를 합하여 뭔가를 남기는 것이다. 이는 바로 이 작가만의 생존방식이기도 하다. 그는 이렇게 매순간마다 시간을 기록하고 규정한다. 다시 말해 삶의 덧없음과 쉴 새 없이 전쟁을 치르면서 결국 승리자가 되고자 한다. - 공간의 무한 확대와 동서미술의 조응 중에서
작가는 숫자가 너무 길어지면서 숫자 적기에 오류를 없애기 위해서 녹음기를 도입하기도 했다
'과거중요전시행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에 쌓인 억겁의 시간들, 장엄한 물결로 파도치다! (0) | 2018.12.09 |
---|---|
김환기 청자빛 유전자 고려청자에서 왔나 (0) | 2018.12.09 |
[국립현대미술관] 프랑스현대미술전 외 양혜규전 (0) | 2018.12.09 |
[분청사기뉴욕전] 품격과 자유분방함 그 융합의 미 (0) | 2018.12.09 |
미국미술, 그 참신한 카타르시스 (0) | 2018.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