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마이블로그복원

[국립현대_최정화] 가을하늘 도시 숲에 핀 별꽃

[국립현대미술관(MMCA) 현대차 시리즈 2018: 최정화_, ]MMCA 서울관 마당과 5전시실에서 201895()부터 2019210()까지 <관련기사http://www.hani.co.kr/arti/PRINT/863385.html 

박영란 학예관과 최정화 작가 

국립현대미술관현대차 시리즈 2018: 최정화_숲 전시가 MMCA 서울관 미술관 마당과 5전시실에서 2018년 9월 5()부터 2019년 2월 10()까지 열린다.

최정화(1961-) 그는 '미끼 삐끼'관객을 제대로 유혹할 줄 아는 작가다플라스틱 바구니 풍선빗자루돼지저금통 등 일상에서 소비되는 흔하고 소재 혹은 저렴하고 버려진 물건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설치작품을 선보이다그는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의 경계를 허물고 급격한 경제성장을 빚어낸 90년대 소비사회 낳은 가장 많이 쓰이는 일상용품을 주워모아 풍자적인 신풍속화를 설치예술의 형식으로 시각화시킨 작가이다.

그는 거기에 작가에 혼과 기와 넋을 담아 다시 살려낸 것이다이것을 흔히 예술적 전문어로 발견한 오브제라고 한다그는 자신도 잘 모르면서 하여간 40년간을 이런 것을 모아 이번에 활짝 전시의 꽃을 피운 것이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ulsong21&logNo=221390474683 

현대자동차 이대형 아트디렉터의 인사말 

박영란 연구관과 최정화 작가 기자간담회 모습 

기자간담회 최정화 작가 작품 소개 영상 

백남준이 1963년에 그의 첫 전시에 도입한 발견한 오브제(les objets trouves)21세기적 발현이다. 그가 수집한 물건은 사실 거의 쓰레기 취급하는 만물상 같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세계 10대 큐레이터의 전시 성공에 대해 의견을 물었더니 지금 세계적으로 성과를 내는 전시는 사실 20-30년에 전에 가장 치열한 논쟁을 일으킨 주제라면서 그렇게 고민한 주제가 오늘날의 미술의 테마로 실현되었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하고 있는데 20-30년 간 현대미술에 대해 고민한 최정화작가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지난번 현대자동차가 지원한 이불 작가(2013)의 경우를 보면 국립전시 4년 반 후에 그 효과가 나타나 이불 작가는 헤이오드(?) 재개관전이 열렸고 또 다시 독일 베를린 마틴-그로피우스-바우 유명미술관에서도 이불전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50대가 한국에서는 나이로 역차별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20-30년 고민한 것이 50대에 피어날 수 있기에 무한한 가능성을 발휘할 것으로 최정화작가에서 보게 될 것이다 [개인의견] 최정화 작가 5년후에 테이트모던에서 전시가 열릴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잠시 해 보았다.

언론사 기자들 취재현장 

국립현대미술관이 주최하고 현대자동차가 후원하는 MMCA 현대차 시리즈는 2014년부터 10년간 매년 1인의 우리나라 중진작가를 지원하는 연례 프로젝트이다. 한 작가에게 10억에 가까운 작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런 프로그램으로 현대자동차(2013년부터 시작)는 해외에서 발언권을 얻을 수 있게 되고 대기업으로써 그 위상을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외국에서 아트에 투자하지 않는 기업은 완전히 왕따를 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대자동차는 이 연례 프로젝트와 관객에게 좋은 문화이미지를 심어주는 다리 역할도 하게 된 것이다. 

[현대미술은 쓰레기통에서 나온다] 

Lost and Found(Lost property)라고 하지만 이 사진을 베를린 잃어버린 물건 찾아주기 창고다 여기서 나온 미술이론이 바로 발견한 오브제인 것이다. 이런 관점을 백남준은 1960년대부터 플럭서스 활동을 하면서 시도했는데 이번에 한국판으로 멋지게 최정화작가 한국관객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재미있고 흥겹게 조형예술으로 꽃을 피우다. 

현대미술은 역사와 철학과 디지털 첨단기술로는 도무지 풀 수가 없다. 그것을 푸는 열쇠는 역시 고고학과 문화인류학적인 접근이다. 사실 역사를 기록에 의존하다보니 인류의 살 전체를 담을 수 없다. 철학도 그 한계가 있고 첨단 테크놀로지 역시 마찬가지다 인류학이 역사보다 더 큰 그릇인 것은 역시 인류학은 태초의 세상으로부터 시작하고 우리가 알 수 없는 무한대의 미래도 내다보기에 보기에 그 그릇이 큰 것이다. 

오늘날처럼 복잡한 현대인의 살을 담은 예술이란 결국 고고학적인 혹은 인류문화적인 방식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런 것은 가장 대중적으로 코믹하게 풀어난 한국의 작가는 역시 최정화다 그는 40년을 내다보니 40년 전부터 온갖 쓰레기를 모으기 시작했고 그의 예술의 출발점은 놀랍게도 1971년 일본관광객이 한국에 와서 사진을 찍은 것을 보고 영감을 얻어 예술은 뭔가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진을 찍은 것과 같다고 본 것이 바로 최정화의 천재성이다. 

제목 '민들레(Dandelion)' 2018, 생활그릇, 철 구조물(Used Kitchenware, Steel structure), 

최정화에게 예술이란 만드는 것이 아니고 삶의 온기와 일상의 흔적이 묻어 있는 모든 사물을 모으는 것이다 그 중에서 작가에게 가장 큰 영감을 준 것은 바로 어머니가 맛있는 음식을 끊어준 바로 그 찌그러진 냄비인 것이 이번의 그의 작품은 바로 어머니의 사랑에 대한 오마주인 셈이다. 이런 관점은 그냥 나온 것이 아니라 바로 뒤샹의 미학이기도 하다 뒤샹은 예술이란 그리는 것이 아니고 가져다놓는 것이다라고 했는데 둘은 오브제아트라는 점에서 상통한다. 

<가을하늘 도시의 숲에 핀 꽃이자 큰 별이다 우리에게 뭔가 산다는 고마움에 대한 희망을 준다> 기자가 농담으로 머리가 뜨겁지 않나요 하니 그의 재치 있는 대답은 "따뜻해요" 최정화 제 작품을 통해서 여러분의 이야기 숲을 가지고 가세요. 최정화 작가는 이 작품을 사모곡 즉 어머니에게 바치는 노래가 하는군요 눈물겨운 어머니의 사랑과 손길이 묻어 있는 냄비가 바로 이 작품의 주재료인 셈이다. 

최정화(1961년생)는 플라스틱 바구니, 돼지저금통, 빗자루, 풍선 등 일상에서 소비되는 흔하고 저렴한 소재 혹은 버려진 소모품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설치작품을 선보이는 작가이다.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소비재를 예술로 재탄생시키는 그의 작업방식은 고급예술과 대중문화의 경계를 허물며 급속한 경제성장이 빚어낸 199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모습을 은유한다. 

꽃과 숲 혼합재료 가변설치 2016-2018 

최정화의 힘은 그의 작품을 통해 모든 사람을 예술가로 만든다는 점이다. 사진기자나 매체 기자도 예술가가 되고 관객도 예술가가 되고 갤러리 직원들도 예술가가 되고 관객도 예술가가 된다. 요셉 보이스의 모든 사람은 예술가라는 그의 명제가 자연스럽게 전시를 통해서 구현되는 것이다 이런 경험을 몸으로 체득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주저함이 없이 전시장을 자주 찾게 될 것이다. 

작품에 대해서 소개하는 최정화 작가 이 작품 아래 그가 어머니에게 바치는 돌판에 쓰인 시도 보인다(아래사진) 

이런 작품을 한국 사회의 단면을 잘 보여주는 우스꽝스러운 모습릏 하고 있다. 여기에는 한국 사회에 대한 풍자와 함께 한국 사회에 대한 연민도 같이 읽어낼 수 있다 키치적이면서도 흥미롭다 우리가 이런 풍경은 결혼식장이나 호텔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유럽적(서구적)인 것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담겨 있는데 이런 한국인의 정서를 다 나쁘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 

세기의 선물(Present of Century), 2016, 철구조물, FRP, 크롬도장 Steel Structure, FRP, Chrome coating), 가변설치(Dimension variable) 

코린트식 주두부가 잘려져 뒤섞인 이 작품은 본래 작가가 결혼식장의 장식에서 착안해 제작한 작품이다. 오늘날 서양문화를 선호하는 소비경향에 맞춰 결혼식장 곳곳에서 코린트식 기둥을 볼 수 있는데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이러한 소비 현상을 제시하고 동시에 과거와 현재, 동서양의 구분을 모호하게 한다. 형태나 색상의 확연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 역시 시공을 뒤섞는 작업방식과 상통한다. 

이 정도되면 경지에 도달한 것이다. 여기에는 청동기 것도 있다고 한다. 물론 고려시대 조선시대 유물도 있다. 그가 40년간 모은 것이다. 그는 무의식적으로 뭔가 모은다. 일종의 물건 헌팅이다. 그것을 가지고 나중에 무엇을 하게 된 지 생각하지 않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 40년이 지나니 이 하찮아보이는 만물상이 예술품이 변모하게 되었는데 누구 그것을 예상할 수 있으랴. 

꽃과 숲 혼합재료 가변설치 2016-2018 

미켈란젤로는 "돌 속에서 영혼을 꺼낸다"는 말을 남겼는데 이런 점을 이번 최정화 작품에서 엿볼 수 있다. -최정화전 박영란 학예연구관 

최정화의 키워드는 바로 3 가지 염원과 애도와 축제다 한국인의 DNA에는 염원을 실현하고자 하는 경력한 에너지가 있다 그것을 알 수 있는 것은 탑 을 쌓는 문화다 여기서 그런 점을 잘 읽을 수 있다 한국인의 집단무의식을 보여준다 인류학적으로 접근하면 더욱 이해가 쉬워진다 탑을 세우는 방법은 주로 3가지 가운데 봉을 사용하거나 그냥 쌓겨나 아니면 구멍을 내고 붙이거나 등등 

상 올라간 것 보에서 아찔하죠. 그래서 끝까지 쌓아 올리는 게 또한 한국인의 특징이다.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 

다보탑이 따로 없다. 한국의 간절한 염원을 읽을 수 있다 뭐가 그렇게 비는 것이 그리도 많은지 한이 많은 민족이라는 뜻이겠죠. 

꽃의 향연(Feast of Flower), 2015, 생활그릇, (Used Kitchenware), 75.5x122x290cm 

최정화 작가가 주로 사용해온 작품의 재료는 돼지머리, 플라스틱 바구니, 플라스틱 대야, 제사용 과자, 조화 등으로 미술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는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를 활용하여 천박하다고 여겨졌던 소재로부터 발견된 아름다움을 제시해왔다. 최근에는 됫박, 제기, 배틀, 촛대, 사발, , , 폐타이어, 장승, 원시 토템 상 등 지난 세대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소모품을 소재로 작가 특유의 시선을 담아내고 있다. 

사물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작가의 태도로부터 비롯된 <꽃의 향연>은 획일적으로 대량 생산되었으며 동시에 어느 가정주부가 신혼부터 사용한 삶의 흔적을 내포한 식기가 탑을 이루어 예술작품으로 재탄생된다. 

어린 꽃(Young Flower), 2016-2018, 플라스틱 왕관, 철 구조물(Plastic crown, Steel structure), 가변설치(Dimension Variable) 그의 3대 주제 중 하나인 '애도' <세월호추모작> 

<어린꽃>은 금빛, 은빛의 화려한 유아용 플라스틱 왕관을 활용한 작품으로 눈부신 거울면 위에 설치되어 7미터를 힘겹게 오르고, 떨어지기를 반복한다. 작가는 끝내 오르지 못하는 이 왕관을 통해 세월호 침몰로 희생당한 어린 생명을 추모한다. 반짝이는 미러 시트 위에 놓인 왕관은 작가가 어린 생명에게 씌어 주고 싶은 마음에서 선택한 소재로 슬픔과 안타까움을 담은 추모의 의미가 다른 일체의 언급이나 수사대신 최정화 특유의 방식으로 재현된다. 

[그의 작품은 관객참여형이다] 작품 가이드를 위해서 관객에게 서비스하는 코너 작가의 말

그의 작품이 관객참여형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은 관객들이 이 작품을 위해서 냄비 등 버린 물건을 모아주었기에 가능했다 그래서 나는 내 모든 예술을 관객에게 돌려주고 싶다. 관객이 각자 내 예술을 즐기게 되기를 바란다 각자 관객이 자기 나름의 신화를 만들어내게 하려고 나는 작품을 한다 -최정화 I make an art work so that every one(viewer) can create his own myth - Choi Jung Hwa 

전 작업을 한 것이 없어요. 일단 모으는 것만 해요. 그러다 보면 작품이 나에게 따라와요. 그래서 그것이 나중에 저절로 작품이 된다. 미술가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물으니 미술만 하지 마라 미술에 갇혀 버린다 -최정화 

꽃과 숲 혼합재료 가변설치 2016-2018 

최정화는 자신의 예술을 아낌없이 나눠주는 것을 좋아한다 그것이 전해져 삶의 축제가 되기를 바란다. 그런 면에서 보살 아티스트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런데 관음보살은 사실 불교에서 최고의 부처다 그런데 여성이다 귀가 열리고 눈이 열린 가톨릭으로 말하면 성모마리아에 해당한다 천개의 손을 가진 보살 '천수보살' 중생이 아품을 아무리 쓰다듬어도 손이 모자란다. 백남준의 천수보살이라는 작품도 있다. 

1최정화의 키워드 중 하나는 미끼와 삐끼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고. 미끼는 보드리야르의 키워드인 유혹이다. 삐기는 더 적극적으로 유혹하는 것이다. 예술은 유혹의 기술이다 유혹은 그 자체가 최고의 예술인 셈이다 보들레르의 악의 미학이라는 유혹의 기술은 서구현대시에서 최상급이다 그에게 있어 미끼와 삐끼란 관객을 즐겁게 하기 위한 미학적 유혹인가(?) 

전시자 입구 최정화전 소개글 이 부분만 잘 읽어도 최정화의 예술세계를 파악할 수 있다. 

[1] 일상을 꽃피우는 작가 최정화의 대규모 개인전 [2] 공공미술프로젝트와 연계한 대형 신작 공개 [3] 집에서 쓰던 식기 7,000여개가 모여 탄생한 9m 대작 민들레등 버려진 사물에 의미와 생명을 부여하는 작업으로서의 예술 탐색 관객참여형 프로젝트 , , 워크숍방식이다. 

늙은 꽃(Grand Flower), 2015, 혼합재료(Mixed media), 가변설치(Dimension variable) 

요즘 거의 사라진 빨래판 구하느라고 고생을 많이 했겠죠. 중국에 가서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스틱 빨래판과 바꾸기도 잘못하면 사람들의 오해를 사기에 그들과 친하기 소통하기가 우선이고 그것이 되면 나무빨패판 얻기가 쉽단다. 

<늙은 꽃> 근접 촬영 

역시 일상의 오브제에 대한 작가의 일관된 관심을 드러내는 작품이다. 중국 각지에서 수집한 나무빨래판은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갖고 있다. 작가는 이 빨래판을 반복적으로 배열하여 <중국식백과사전>으로 명명하였으며, 이번 전시에는 <늙은 꽃>으로 작품의 명제를 바꾸었다. 이 작품의 개명 역시 일상의 오브제를 발견하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작업태도를 반영한다. 

알케미(Alchemy), 2016, 혼합재료(Mixed media), 가변설치(Dimension variable) 

인도의 항아리 등도 돋보인다 플라스틱, 일회용품과 같은 일상의 오브제를 다루던 작가가 시공을 넘나드는 오브제를 쌓아 올려 만든 작품이다. 트럭의 바퀴, 무쇠솥과 인도의 항아리, 밥그릇, 막걸리 잔이 탑을 이룬 이 형상은 어느 시절 어느 곳에서 흔하게 사용된 물건을 찾아 새롭게 바라보게 함으로써 작가가 의도한 과거 현재 미래를 공존하게 하고 관객과 소통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작가의 다 듣지 못한 진솔한 목소리는 밥을 같이 먹어야 나온다 여기서 좋은 기삿거리를 잡아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시간이다. 

"나의 작품은 우주적 비빔밥(혹은 한정식 밥상)이다" "나의 작품은 성속이 없다", "작가가 작품을 만들고 나면 작가의 것이 아니고 관객의 것이다" "나는 묵히고 익힌 물건이 나에게 말을 걸면 그때부터 작품을 시작한다" -최정화 

최정화의 기발함은 가짜경찰의 쓸모없어지자 버린 가짜경찰을 다시 발굴해 작품화하다. 그의 미술의 시작은 일본 관광객이 한국에 와서 사진을 찍은 것을 보고 착안해 그의 예술이 시작되었다는 점이 특이하다. 그에게 예술을 만드는 것도 아니고 그리는 것도 아니고 일단 사진을 찍고 재료를 모으는 데서 시작한 것이다. 

현대미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발견된 오브제(objets trouves)'는 전에 보이지 않던 모든 것은 새롭게 보게 하는 방식이다. 모든사람들 예술가가 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 것이 나의 예술이다. "앞으로는 우리들이 알고 있는 예술은 다 없어질 것이다" "일상이 예술보다 더 중요하다." -최정화 

기자들 작가와 뒷풀이 시간을 가지다 최정화 풀어놓는 이야기는 별빛과 같이 빛나는 너무 유쾌하고 즐거운 꽃다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