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전시행사소개

[최명영전] 선택적 반복 속, 평면 회화 추구

[최명영 崔明永 CHOI MYOUNG YOUNG_CONDITIONAL PLANES] 더페이지 갤러리(성동구 서울숲 2길)에서 2019년 6월 21일-7월 28일까지 <사계절처럼 시시각각 달라지는 수 없는 선택의 반복성 속에서 수평과 수직의 균형감이 살아 있는 평면 회화를 평생 추구> <수정중>

*더페이지 갤러리(서울시 성동구 서울숲 2길 32-14, 갤러리아 포레 G205)

이번 최명영 전시는 삼성리움미술관 수석 큐레이터 출신인 <김용대> 큐레이터가 기획, 그는 윤형근(오른쪽)과 최명영을 추사 김정희 전승으로 묶어서 2010년 기획전시를 열기도 했다.

최명영 화백 그가 60년간 해온 창작 과정과 뒷이야기를 듣다 보니 마치 한국의 근현대사 미술사 강의를 듣는 것 같다. 김환기, 이경성, 최순우, 조요한, 이기영 선생 등 내로라하는 미술사 나오는 인사들 다 호명이 되는군요.

하종현과 박서보와 같은 시기 오랜 친구로 같이 활동한 최명영 화백 단색화 작가 그의 나이 80(1941년생)이 다 되었다니 믿어지지 않는다. 대학교 4년 때 그의 선생은 김환기 그를 회고하면 자신에게 한 말이 기억이 난다고 "10년 목수한 사람과 1년 목수한 사람과는 다르다". 최명영 화백이 1976년 프랑스 칸 국제회화제에 참가했을 때, 도록도 보여준다. 이 안에는 이우환 등 지금은 너무나 유명해진 작가의 작품도 있다.

그의 단색화에서는 색의 온도가 느껴진다. 물론 그 온도는 볼 때마다 다르다. 색채가 풍기는 미묘한 뉘앙스와 단백하고 정제된 우아함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다.

매한 매우 촉각적인 단색화다 그런 촉각은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무한히 편안하고 따뜻한 어머니 등에 업혀 자란 사람만이 창조할 수 있는 그런 촉각적인 감각인 것이다. 한국인은 blue를 표현할 때 푸르뎅뎅하다고 한다. 무슨 소리인가 서양처럼 단정적인 푸른색이 아니다 그런 색과는 전혀 다르다는 소리다.

내가 사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는 최명영 화백의 작품은 이거다. 90년대 후반 작품이다. 이런 색감의 섬세하고 융합적이면서도 신비한 색을 그 어느 나라 사람들 표현하지 못한다. 그런데 그것의 급이 낮은 것이 아니라 고품격이라는데 있다. 3번째 사진 색채를 보면 이건 어느 나라 작가도 모방할 수 없고 디카로 찍을 수 없는 컬러다.

이번 전시는 그간 공개되지 않았던 ‘수직수평’ 시리즈를 중점으로 선보임으로써 최명영 작가의 60여 년의 작품세계를 아우르는 데 있다. 특히 1990년대-2000년대 사이에 제작된 작품을 대거 전시함으로써 작가의 완숙기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크다.

<평면 조건 Conditional Planes>이 도출될 수 있게끔 단초를 마련한 70년대 초, 중반의 <등식 Signs of Equality> 시리즈를 함께 전시함으로써 작가의 미적 논리의 발전 과정을 한눈에 조망하고자 한다.

대학 재학 중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끊임없이 궁금하던 그는 1962년 동료들과 함께 오리진(Origin) 협회를 창설하였고, 이어 1969년 화가, 조각가, 비평가 등 당시 한국 미술계를 지탱하던 다양한 분야의 구성원들과 함께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를 결성하는 등 당대 한국미술이 지향해야 할 새로운 조형질서를 모색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탄생한 최명영의 작품세계의 근본적인 지향점은 “평면으로서의 기본적인 존재 방식”의 탐색이다. 그는 특히 회화 평면 위 비조형성에 주목한다. 이러한 비조형성은 회화 속 형상과 이미지의 안티테제(antithesis, 반정립)로서 이해하기보다는 평면 위에서 벌어지는 반복되는 행위의 결과라고 보는 것이 더 적합하다.

최명영의 반복적 수행성은 행위의 주체를 배제한 채 무미건조하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작가 본인이 일상 속 맞닥뜨리는 내, 외부의 자극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 다시 말해 최명영이 평면상에서 일궈내는 모든 행위는 작가의 내면세계와 일상의 리듬과 호흡에 궤를 같이하고 있으며, 이는 곧 질료로 대변되는 물질성이 정신적인 차원으로 환원되는 순간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최명영의 “평면 조건”의 시기는 다음과 같다. 70년대 중반에는 색면 위에 지문의 흔적을 반복적으로 남김으로써 평면을 형성하는 작업으로, 작가는 이를 통해 반복을 통한 물성의 정신화와 내면 공간의 확장을 꾀했다. 70년대 후반의 롤러 시리즈는 캔버스 평면 위에 질료를 도포하는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평면의 확장과 같은 새로운 층위를 형성했다.

80년대 중, 후반 이후 시작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수직-수평’작업은 씨줄과 날줄의 반복적인 직교로 실존적 지평을 형성해내고, 90년대 이후까지 이어진 ‘수직-수평’ 작업을 통해 ‘몸을 드리는’ 수행적 층위까지 확장한다. 2015년 이후 최명영은 그간 시도해온 “평면조건”을 다시 불러들이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물질과 정신의 화학적 결합을 머금은 부동성을 탐구한다.

최명영은 그의 화업이 장장 50여 년에 달하지만, 여전히 회화가 지닐 수 있는 평면적 존재가치를 탐구하는 데에 매진하고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작가의 치열한 사유의 흔적은 보는 이로 하여금 삶 속 매 순간 자세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마련한다. 

수행성과 미학성의 관계 시와 음악에서 반복성이 매우 중요하듯이 단색화에서 반복성은 가장 큰 특징이다. 그런다면 단색화의 반복성은 기계적이다. 그것이 아니다 반복을 하기를 하지만 선을 하루를 그릴 때 작가의 선택이 들어간다.

그것은 마치 24시간 하루의 빛과 바람과 물기가 다르듯 매 순간 전혀 다른 선택을 통해서 하는 반복성이라는 것이다. 작가의 설명이다. 그의 작품이 또한 우리의 마음에 와닿는 것, 그림에 숨결이 물결처럼 흐른다는 것 그림에 여울이 있다. 그런 틈과 그 틈이 내는 빛은 우리의 삶에 서광을 비추고 삶의 한 모퉁이에서 여백과 여운을 남긴다는 것 그것이 또한 최명영 화백의 차별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