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전시행사소개

[국제갤러리] '함경아' 개인전 '유령 그리고 지도' 11월 3일

함경아전 국제갤러리 <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국제갤러리, 830일 함경아 개인전 유령 그리고 지도개최 / 전시기간: 2024830()113() / 전시장소: 국제갤러리 K1, K3, 한옥

국제갤러리는 오는 830일부터 113일까지 K1, K3 및 한옥에서 함경아 개인전을 개최한다. 유령 그리고 지도라 명명한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자신이 바라보고 경험하는 오늘날의 사회를 세 개의 악장으로 꾸려 공유한다. ‘유령이란 이 사회를 작동시키는 모든 지시들과 욕망을 환영으로 치환해 총체적으로 지시하는 것으로, 함경아 작업 전반을 설명하는 데 주요한 개념어로 자리잡은 표현이다. 지난 2015년도 국제갤러리 전시에서는 Phantom Footsteps, ‘유령 발자국이라는 제목으로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 사이의 역학을 고찰했다면, 이번 전시를 통해서는 그 발자국들이 그리는, 즉 실체가 있는 세상과 없는 세상 사이를 끝없이 횡단하며 작가가 그려 나가는 세계(지도)를 선보이고자 한다.

K1에는 함경아의 자수 프로젝트작품들이 소개된다.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선보이기 시작한 그의 자수 프로젝트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자탄 폭발 버섯구름 사진을 흑백의 자수로 번안하는 등 그 모티브의 선택에서부터 여러 층위의 사회정치적 함의를 적극적으로 포용해왔는데, 그 제작 과정 또한 이 사회의 다양한 차원들을 아우른다. 작가는 자수 도안을 디자인하고, 중개인을 거쳐 그 도안을 북한의 수공예 노동자들에게 전달한다. 예측할 도리 없는 기한의 시간이 흐른 후 이 도안은 다시 제3자를 통해 자수의 형태로 작가에게 돌아온다. 작가는 이 자수 파편들을 갈무리하고 자신이 그 위에 손수 자수를 더하는 등 작품을 완성시켜 캔버스에 엮는다. 작품 캡션에는 이에 투입되는 노동시간이 기입된다. 자수 작업자 한 명당 1,400시간을 썼을 것으로 추산된다는 캡션을 통해, 그리고 그 덕분에 다시 보게 되는 작품 속 수만 갈래의 실타래를 통해 그 익명의 혹은 유령의 존재들이, 그들의 육체노동이 촉각화 된다. 작가에게 있어 자수란 오늘의 물리적 현실이 아닌, 가상의 세계를 통해서만 소통 가능한 대상과 가장 아날로그적인 대화를 이어가는 방식인 셈이다. 실질적인 소통이 불가능한 대상과의 협업이란 끝없는 예측불가능성의 수용을 뜻한다. 작가는 애초에 작품이 완성되리라는 확신을 가질 수 없으며, 남북한 정세에 따라 작품 제작이 기약 없이 유예되는 등 불확실성이 본 작업에 전제된 기본 진행 논리다.

K1에서는 이러한 불안정한 여정을 끝내 완수한 자수 작품들을 볼 수 있다. 일견 내지는 노골적으로 앙리 마티스를 연상시키는 자수 작품 두 점은 마티스가 샤를 보들레르의 시집 악의 꽃을 읽고 33편의 시를 직접 골라 자신의 드로잉 작품을 붙였던 데에 착안, 그 시집과 같은 제목을 입었다. 마티스가 보들레르와의 80여 년의 세월 차를 뛰어넘어 공감하며 인간 본연의 모습을 함께 파고들어 탐구했듯, 함경아는 오늘의 풍경을 그리며 마티스를 떠올린다. 또한 K1에서는 함경아 자수 프로젝트 중 대표적인 SMS시리즈도 볼 수 있는데, 그중 한 작품은 '우린 사랑에 빠졌다'고 전한다. 담백하게 낭만적이기 그지없는 이 대사는 사실 의외의 사건에서 비롯된 인용인데,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이 선거 유세장에서 자신의 외교 성과를 자랑하던 중 북한의 예를 들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자신이 "사랑에 빠졌다(we fell in love)" 표현했던 것이다. 이렇듯 가장 예기치 못한 순간에 느닷없이 시인의 면모를 보인 정치인이 있는가 하면, K1의 작품들은 이 외에도, 이 사회에 대한 작가의 감정적 소회를 추상화해 일련의 시(poetry)로서 관람객과 공유한다.

앞선 전시장에서 (poetry)라 명명된 자수 작품들 속의 추상 언어가 한옥 전시장에서는 마치 그 위에 눈물이라도 떨군 듯 번지는 듯한 모양새의 패턴으로 형상화된다. 손자수 뿐 아니라 매그놀리아 에디션즈(Magnolia Editions)와의 협업으로 제작한 테피스트리 작품군과 함께 꾸려지는 한옥 공간에서는 서로 다른 매체로써 가장 회화적으로 수 놓인 천과 천 사이를 거닐게 된다.

작가는 몇 년 전 평론가와의 대화 중, 자신의 자수 작업 과정에 대해 “1만 걸음이 필요하다면, 그 중 9999걸음은 결정된 것 하나 없고,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고, 어떤 일이 벌어질지 예측이 전혀 불가한 상태로 걷는 것이라 묘사한 적 있다.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제작 문법에 익숙해질 법도 하지만, 최근 몇 년은 팬데믹과 정치 상황의 변동으로 유독 기약 없는 기다림이 길어지는 시간이었다. K1에서 선보이는 유령 그리고 지도 / 01WBL01V1T삼면화 작품에서 작가가 여러 줄의 리본테이프를 횡으로 길게 줄지은 가운데의 패널을 통해서 기다림의 시간을 형상화했다면, K3에서는 그 기다림의 시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해석을 펼쳐 놓는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한 화면인 듯, 직조된 그리드 위의 추상표현주의적 분출인 듯, 다른 차원의 매트릭스를 하나의 캔버스 위에 펼쳐 놓은 듯한 K3의 작품들은 유령 그리고 지도 / “너는 사진으로 왔니 아니면 기차 타고 왔니?”라는 제목으로 엮인다. 이는 존 버거(John Berger)를 인용한 것인데, 7의 인간에서 그는 사진을 수송의 형태이자 부재의 표현이라 설명하며 이렇게 쓴다. “한 친구가 꿈속에서 나를 보러 온다. 멀리서 찾아온 친구다. 꿈에서 나는 그에게 물었다. 너는 사진으로 왔니 아니면 기차 타고 왔니?”

우리가 접하는 디지털 세상 내지는 가상의 세상은 물리적인 현실을 모방하지만, 실은 그 현실과는 별개인 또 다른 하나의 새로운 실체가 되어 존재한다. 그간 꾸려온 자수 프로젝트의 진행 방법상 (이 현실의 세계에서는 닿을 수 없는 대상과 아날로그적 소통을 꾀하는 작업 특성상) 그 누구보다 이 문제에 천착했을 작가는 특히 팬데믹 시기를 거치면서 가상세계 속의 소통과 현실 속 아날로그적 소통 간의 괴리 및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게 된다. 과연 무엇이 진정한 실체인지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작가는 오히려 개인의 감정을 만난다. 물리적인 세상에서 점점 멀어지고 점점 더 가상의, 디지털화된 세상 안을 살아가고 있는데, 이때 우리가 접하는 여러 자극 및 정보 소스들과의 화학작용에서 폭발하는 우리의 감정만큼은 점점 더 원시적이고 아날로그적으로 증폭되어 간다는 것이다. 다양한 패브릭의 리본테이프로 엮은 3관의 작품들은 이렇게 두 가지 영역 내지는 차원이 충돌하는 오늘날의 세상에 대한 작가의 추상적 초상인 셈이다.

작가소개

함경아는 사회적 구조와 현상이 개인적 삶에 개입되는 일련의 사건들을 동시대 미술의 범주 안에 병치할 수 있는 방식을 회화, 설치, 비디오, 퍼포먼스 등을 넘나들며 탐구한다. 특히 SMS당신이 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이다/다섯 개의 도시를 위한 샹들리영 등의 연작으로 대표되는 자수 프로젝트는 화려한 색채, 노동집약적 표면, 미학적 완성도로 표현되는 예술적 아우라의 이면에 보이지 않는 이들의 노동과 통제불가한 과정의 변수가 응축된 작업으로, 현실 시스템 속의 여러 층위를 파고들며 새로운 차원의 소통 가능성을 모색한다.

1966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회화과 졸업 이후 뉴욕 SVA에서 석사학위를 수여 받았다. 초기의 주요 개인전으로는 욕망과 마취(아트선재센터, 서울, 2009), 어떤 게임(쌈지 스페이스, 서울, 2008), 방안에 보이는 전경(대안공간 루프, 서울, 1999)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The Shape of Time: Korean Art after 1989(필라델피아 미술관, 2023, 미니애폴리스 미술관, 2024), Hallyu! The Korean Wave(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런던, 2023, 보스턴 현대미술관, 2024, 샌프란시스코 아시아미술관, 2025), Active Threads(아르테나 재단, 뒤셀도르프, 2021), Remaining: New Perspective(UBS 아트 갤러리, 뉴욕, 2020), Examination of a case(켐니츠 시립미술관, 2020), Paradox(카바치니 현대미술관, 우디네, 2018), 동아시아 문화도시 2017 교토: ‘아시아의 회랑현대미술전(교토예술센터 및 니조 성, 2017), Material Connection(제인 롬바드 갤러리, 뉴욕, 2017), 올해의 작가상 2016(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6), 교감(리움미술관, 서울, 2014), Hyper Real(비엔나 루드비히 현대미술재단 미술관, 2010)과 제1회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 트리엔날레(2020), 10회 타이베이비엔날레(2016), 4회 광저우트리엔날레(2012) 등 다양한 국내외 프로젝트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