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전시행사소개

[MMCA] '미술관에 書: 한국 근현대 서예전', 대만시립미술관과 주최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은 지난 2020년 큰 호응을 받았던 미술관에 : 한국 근현대 서예전을 대만타오위엔시립미술관과 공동주최로 76()부터 1021()까지 순회 개최한다.

오수환, 〈Variation〉, 2008, 캔버스에 유채, 259×194cm, 개인 소장

순회전은 국립현대미술관이 2020년 코로나19로 사상 최초 온라인 개막했던 미술관에 : 한국 근현대 서예전을 대만타오위엔시립미술관 관계자들이 온라인으로 접하고 즉시 전시 초청을 제안하여 성사되었다. 이전까지 교류가 없었던 양 기관이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MMCA TV) 온라인 전시 영상을 통해 인연을 맺고 공동주최 전시를 개최하게 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전시는 대만타오위엔시립미술관에 위치한 대만 유일의 서법(서예)형산서법예술관에서 개최되는 첫 대규모 한국서예전이다. 한국 근현대 미술에서 서예가 담당하고 있는 역할과 의미를 조망하고 한국 근현대 서예 대표작들을 대만에 최초 소개하는데 의미가 있다. 해방 후 왕성한 활동을 펼쳤던 한국 1세대 근현대 서예가 10인의 작품을 비롯하여 총 37인의 서예, 전각, 회화, 미디어아트 등 작품 90여 점을 선보인다. 2000년대 전후 나타난 현대서예와 디자인서예 등 다양한 형태로 분화하는 서예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피고 특히, 서예와 다른 미술 장르와의 관계를 풀어내며 미술관에서 ()’가 전시되는 의미를 전달한다. 2020년 덕수궁관에서 개최된 전시 대비 한글서예의 비중을 확대하여 24점을 새로 선보인다. 소전 손재형의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와 여초 김응현의 <광개토대왕비 임서> 등 한국의 역사와 함께 글씨를 대만에 소개하며 특히 한글서예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고자 한다.

전시는 글씨가 그 사람이다: 한국 근현대 서예가 1세대들’, ‘다시, 서예: 현대서예의 실험과 파격’, ‘서예를 그리다 그림을 쓰다’, ‘디자인을 입다 일상을 품다4개의 주제로 구성된다.

1글씨가 그 사람이다: 한국 근현대 서예가 1세대들에서는 한국 1세대 근현대 서예가 10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통 서예에서 변화된 근대 이후 서예 문화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10인의 작가는 손재형, 현중화 등으로 대부분 오체(五體: ····)에 능했다. 이들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등 격동기를 거치며 서예의 현대화에 앞장서, 자신의 예술세계를 확립한 인물들이다. 각자 자신이 살아온 행보와 성정을 반영하여 자신만의 특장을 서예로 발휘해 온 이들의 작품을 통해서 글씨가 그 사람임을 알 수 있다.

2다시, 서예: 현대서예의 실험과 파격에서는 국전 1세대들에게서 서예 교육을 받았던 2세대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현대서예의 새로운 창신과 실험을 살펴본다. 권창륜, 박원규, 황석봉을 비롯하여 서예의 다양화와 개성화가 시작된 현대 서단에서 서예의 확장성과 예술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전통서예가 문장과 서예의 일체를 기본으로 하는 반면, 현대서예는 문장의 내용이나 문자의 가독성보다는 서예적 이미지에 집중함으로써 읽는 서예가 아닌 보는 서예로서의 기능을 더 중시한다. 이는 오늘날 현대미술의 흐름을 반영한 것으로 타 장르와 소통하고 융합하는 순수예술로서의 서예를 보여준다.

3서예를 그리다 그림을 쓰다에서는 서예가 회화나 조각 등 다른 장르에 미친 영향들을 살펴봄으로써 미술관에서 ()’를 조명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서예가 또 다른 형태의 미술임을 말하고자 한다. 2개의 소주제 문자추상서체추상으로 나눠 현대미술과 서예의 관계를 이우환, 이강소 등의 작품을 비롯하여 총체적으로 살펴본다. ‘문자추상에서는 서예의 결구(結構)와 장법(章法)을 기반으로 구축된 문자적 요소가 각각의 화면 안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되었는지를 검토한다. ‘서체추상에서는 서예의 모필(毛筆)이 갖고 있는 선질(線質)과 지속완급, 리듬, () 등의 특질들이 작품에서 어떻게 발현,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한다.

4디자인을 입다 일상을 품다는 김종건, 이상현 등의 작품을 통해 디자인을 입은 서예의 다양한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일상에서의 서예 문화, 현대 사회속의 문자에 주목한다. ‘손 글씨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감성적인 시각예술로 서예 영역의 확장을 보여주는 캘리그래피(calligraphy)와 가독성을 높이거나 보기 좋게 디자인한 문자를 일컫는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는 실용성과 예술성을 내포하며 상용되고 있다.

한편, 76()에는 김이순(전 홍익대 교수), 김현권(대구간송미술관 학예실장), 문정희(대만국립타이난대학교 부교수), Shen Yu-Chang(대만국립타이난대학교 조교수), Huang Bo-hao(대만국립타이베이교육대학 조교수) 등 한국과 대만의 연구자 5인이 함께하는 전시 연계 국제포럼 아시아의 서() 예술: 근대와 현대의 경계(亞洲藝術現代與當代的交匯)”가 분관인 타오위엔아동미술관에서 개최된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중국의 서법(書法), 일본의 서도(書道)와 달리 예술성을 중시한 한국의 서예(書藝)만의 독창성을 세계인들에게 보여주는 전시라며, “한국서예 대표작들과 함께 한국 역사와 한글서예의 아름다움과 우수성까지 해외에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일반인 전화문의: 02-2022-0600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대표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