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에 대한 경의(Homage to Nam June Paik)> '2006.06.22~09.10' / 삼성미술관 Leeum은 비디오아트의 창시자로서 새로운 예술세계를 창조한 故 백남준 선생을 추모하는 특별전, '백남준에 대한 경의'전을 6월 22일부터 9월 10일까지
<백남준 리움 전시 2006년 참관 올해 알았는데 리움이 백남준 작품 굉장히 많이 소장하고 있었다(아래 맨 마지막 사진). 깜짝 놀라다. 당시에 백남준 작품이 그렇게 비싸진 않았을 것 같다. 그러나 리움을 그 작품의 가치를 읽고 있었다. 가격 상승은 당연하다>
이번 전시는 지난 1월 29일 향년 74세로 타계한 故 백남준 선생을 기리기 위해 삼성미술관 Leeum의 소장품으로 구성된 특별전시로 1980년대 초반부터 아티스트와 후원자 관계로 삼성과 특별한 관계를 이어 온 백남준 선생의 작품세계를 추모하고 그와의 인연을 회고하고자 기획된 전시이다.
한국에서 음악공부를 시작했던 백남준 선생(1932~2006)은 일본을 거쳐 1956년 독일에 유학하여 아방가르드 음악과 퍼포먼스를 본격적으로 연구했다. 당시 서구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플럭서스(Fluxus)운동에 가담한 그는 '동양에서 온 테러리스트'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탁월한 퍼포먼스를 실행, 유럽 전위예술계의 총아가 된다.
예술의 관습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정신은 1964년 뉴욕으로 이주한 이후에도 첼리스트 샬럿 무어만과의 협력을 통해 지속하였으며 일생을 통해 그의 작품세계의 근간이 된다. TV와 비디오를 예술 매체로 활용한 그의 혁명적인 실험은 1963년 그의 첫 개인전 <음악의 전시-전사 텔레비전>을 통해 시작되어 오늘날 비디오아트의 눈부신 발전에 기여했다.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추구하는 그의 예술세계는 현대미술의 화두를 일찌감치 제시하고 실현한 선구적인 업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인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했다. 그는 말년에 가장 순수한 인공광원이라 할 수 있는 레이저 작업을 통해 21세기의 새로운 매체 예술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대중매체의 테크놀로지를 미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비디오아트의 창시자로서 현대미술의 역사에서 중요한 전기를 마련한 故 백남준 선생은 세계 예술의 중심지에서 인류의 문명에 대해 숙고하며 당대의 첨단 매체를 다루었음에도 늘 어린아이와 같은 긍정적인 마음으로 삶과 죽음에 대해 즐거운 명상을 하였다.
이번 전시는 기계와 자연이 동화하고 삶과 죽음이 연결돼 있다는 동양적 세계관을 간직했던 그를 기리며 생명의 탄생과 소멸, 그리고 그 이후라는 이야기 구조 속에서 현재 삼성미술관 Leeum에서 상설 전시되고 있는 '나의 파우스트 3점'(1989-91)외에 비디오 작품 "알"(1994), "20세기를 위한 32대의 자동차-모차르트의 진혼곡을 조용히 연주하며 中 일부"(1997)와 캔버스 회화 작품 "소문만복래"(1996) 등 총 작품 14점을 소개한다.
스키타이 왕 단군
특히 45회 베니스 비엔날레에 출품되었던 작품 "스키타이 왕 단군"(1993)은 국내에서 처음 선보이다.
전 생애를 통해 전위 예술의 모험에 온전히 헌신할 수 있었던 행운아이자 이상주의자였던 故 백남준 선생의 명복을 빌면서 이번 전시에서 작가의 작품세계를 추모하고 국내에서는 생소했던 백남준 선생의 전위 영상 예술들을 제대로 감상할 기회가 되길 바란다. 또한, 이번 전시는 국내 처음 소개하는 작품이 다수 포함되어있어 그의 예술세계를 본격적으로 볼 수 있는 뜻깊은 행사가 될 것이다.
백남준 전 작품 캡션
작품명 : TV 물고기 TV Fish 연도 : 1994 재료 : 어항, 물고기, TV 6대, 1 채널 비디오 aquariums, live fish, 6 TV sets, 1-channel video 크기 : 184×312×70cm
'라인골드(Rheingold 바그너 <니벨룽의 반지> 중 첫 번째 전야제 악장)' 네온관, 소니 TV, 워크맨 세트 1993-1995 연도 : 1995 재료 : 혼합매체, 네온 튜브, TV 3대, 1채널 비디오 1-channel video sculpture with mixed media, neon tubes, 3 Sony 5" watchman TV sets 크기 : 109×99×48cm
연도 : 1995 재료 : 혼합매체, 네온 튜브, TV 3대, 1 채널 비디오 1-channel video sculpture with mixed media, neon tubes, 3 Sony 5" watchman TV sets 크기 : 109×99×48cm
백남준 전시 작품 설명
TV 알 : 비디오아트란 본질적으로 시간을 매개로 하여 성립되는 분야인 만큼 백남준은 시간이라는 주제에 지속적인 관심을 표명해 왔다. 그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시간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해 달이나 달걀처럼 성장하고 변화하는 대상에 주목했는데, 결과적으로 이 작품들은 흔히 테크놀로지 아트에서는 기대하기 힘들었던 사물의 존재론에 대한 철학적인 통찰을 보여주게 되었다.
작품명 : 달걀 Egg 연도 : 1994 재료 : 폐쇄회로 비디오 및 1채널 비디오 설치, 알, TV 15대, 비디오카메라 1대, 조명 1대 closed-circuit video and 1-channel video installation with egg, 15 TV sets, 1 video camera, 1 spotlight 크기 : 300×1000×300cm
이 작품은 초생달에서 만월에 이르기까지 12단계의 달의 크기 변화를 비디오로 연출한 <달은 가장 오래 된 텔레비전이다>와 같은 맥락에 속하는 작품으로 일련의 모니터들이 기단 위에 올려져 있고, 그 첫 번째 모니터에는 실제 알 하나를 폐쇄 회로 카메라가 찍은 이미지가 나타나며 그다음 모니터부터 마치 알의 속을 들여다본 것 같은 이미지들이 동영상으로 나타나는 작품이다.
마치 자궁 속 태아의 성장처럼 한 생명이 잉태되고 자라나는 것을 여성의 몸의 움직임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작가의 매우 서정적이고 시적인 정신세계를 보여주며 백남준의 예술철학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인간화된 기술'의 전형을 소개한다.
[TV 물고기] 백남준은 1950년대 말에 만난 존 케이지를 통해 서구 문명의 대안으로서 동양의 선불교를 새롭게 인식하게 된 것처럼, 1960년대에는 미국의 철학자 노버트 위너의 매체 철학에 심취하면서 기술을 인간화할 방법을 찾는데 몰두하게 되었다. 백남준의 작품 중 걸작으로 손꼽히는 것들은 모두 매체의 형식적 특성과 진보성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 및 자연과의 동화를 추구한 것이다.
그 중 는 TV 모니터에 이물질을 부가하여 화면의 시각적 변화를 가져온 작품이다. 어른의 가슴 높이까지 오는 기단 위에 줄지어 TV 모니터를 배치한 후 그 앞에 물고기가 든 어항을 배치함으로써 비디오 이미지에 공간적 깊이를 부여하고 더 나아가 기계적 이미지를 자연적이며 실제적인 것으로 변화시켰다. 모니터에서 방영되는 것은 각양각색의 이미지들이 빠른 편집으로 콜라주 된 이미지들이다. 이들은 실제 어항 속에서 유영하는 물고기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더욱 역동적이고 추상적인 이미지로 전환하게 된다.
스키타이 왕 단군 Tangun, as a Scythian King 연도 : 1993 재료 : 구형 TV 캐비닛, 철 vintage television cabinet, metal 크기 : 300×170×210cm
테크놀로지 개발과 관련해서 인류가 공통적으로 갖는 관심이 있다면 그것은 테크놀로지가 지능이나 감성 면에서 어떻게 인간과 유사해질 수 있는가의 문제일 것이며, 이에 대하여 과학자들은 사이보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개발해 왔다.
백남준의 로봇 개발은 196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제2회 아방가르드 페스티벌에 출연한 K-456 로봇은 걷고 말하고 노래하며 배설도 하는 것으로 20채널짜리 라디오로 조정되는 것이었다. 1986년 이후 신시네티의 칼 솔웨이 화랑과 공동 개발한 로봇들은 테크놀로지의 부산물을 이용해서 만든 것으로 형상의 측면에서 개별적인 인간들의 나이나 성별, 그리고 각자의 개성을 얼마나 차별적으로 표현하는가의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낡은 라디오나 TV의 겉 케이스를 조합해서 만든 인물상 속에 풍부한 표현력과 익살을 담은 그의 로봇작품들은 할아버지와 할머니에 이어 부모, 삼촌, 이모, 아기를 포함하는 <로봇 가족 연작>으로 발표되었는데, 이 연작은 한국의 대가족사회에 존재하는 가족 관념을 뚜렷이 이야기해주는 작품이다. 이후 역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유명한 위인이나 자신과 가까웠던 지인들의 초상으로 발전시키다.
<단군>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의 독일관에 출품되었던 작품으로 <선덕여왕>, <장영실>과 같은 한국적 소재를 모티프로 한 작품 중 하나이다. 스키타이족의 왕으로 표현된 단군은 커다란 눈과 지팡이, 표현적인 순간의 행동을 통해 역사적 인물에 대한 작가의 기발한 상상력을 보여준다.
나의 파우스트
작품명 : 나의 파우스트-민족주의 My Faust-Nationalism 연도 : 1989-91 재료 : 3 채널 비디오 조각, 모니터 25개 three-channel video sculpture with 25 monitors 크기 : 260×144×85cm
<나의 파우스트> 연작 13점은 모두 뾰족한 탑 모양의 구조물 안에 TV 모니터를 쌓아 올린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V 화면에는 3개의 채널을 통해 현대사회의 12가지 문제점을 보여주는 수많은 장면이 일그러진 영상으로 압축되어 전송된다. 구조물 주변에는 갖가지 일상적인 오브제가 부착되어 있다. 비디오 조각 <나의 파우스트>의 전체 형상은 첨탑이 달린 고딕 성당의 외관을 닮았으며, 세부 디테일은 성당 내부의 제단이나 회랑을 장식하는 교회 건축의 장식적 디자인을 조합하였다.
이것은 전통 문화에 대한 향수 어린 찬미로서 과거 건축의 잔재를 복구하려는 신고전주의 경향에 따른 포스트모던한 유희로 볼 수 있다. 백남준은 각양각색의 오브제와 모니터로 제단을 뒤덮어 교회 건축의 원래 구조를 파편화시킨다. 각각의 작품은 기술이라는 새로운 종교로 찬미 되는 현대문화의 신고전주의 취향과 키치적 모조품으로 재구성되었다.
20세기 위한 32대 자동차
작품명 : 20세기를 위한 32대의 자동차-모차르트의 진혼곡을 조용히 연주하며 中 일부 8 cars from 32 Cars for the 20th Century-Play Mozart's Requiem Quietly 연도 : 1997 재료 : 자동차 8대, 오디오 기기, CD 1개 / 8 antique cars, audio equipment, 1 CD
20세기를 위한 32대의 자동차-모짜르트의 진혼곡을 조용히 연주하며 中 일부 <8 cars from 32 Cars for the 20th Century-Play Mozart's Requiem Quietly (1997)>
1997년 독일 뮌스터의 조각 프로젝트에 출품되었던 이 작품은 쇠와 중력, 하드웨어를 중심으로 하는 20세기 문명의 종말을 선언한 작품이다. 작품의 구성은 1924년형 윌리 자동차로부터 1959년형 뷰익에 이르기까지 20세기 테크놀로지의 발전사를 증명한다고 할 수 있는 자동차 32대로 되어 있다.
작가는 20세기의 문화의 대표적인 특징을 조직적인 폭력과 대중매체, 그리고 자동차 물신숭배로 정의한 바 있는데, 이 작품에서는 그 중 자동차를 작품의 소재로 채택한 것이다. 백남준은 자동차의 표면을 은색의 칠감으로 칠한 뒤 8대씩 짝을 지어 원형, V형, ×형, 지그재그형으로 배치함으로써 본래의 기능을 박탈당한 채 장식적인 오브제로 치환된 모습을 제시했다.
또한 자동차의 내부에는 폐기된 TV 모니터를 쌓아 놓고 모차르트의 진혼곡을 연주함으로써 20세기 문명과 기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개진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원형을 구성하는 8대 자동차만을 선보인다.
보이스 자동차: 나는 에스키모, 카자크는 한국인
이 작품은 작은 버스의 열린 뒷문에서 여러 대의 모니터가 밖으로 나와 설치되는 작품으로 그 각각의 모니터에는 요셉 보이스의 모습이 동영상으로 나타난다.
작품명 : 보이스의 자동차: 나는 에스키모, 카자크는 한국인 Beuys Car(+30): I am Eskimo, Khazaks are Koreans 연도 : 1995 재료 : VW 버스 1대, TV 18대, 3채널 비디오, 케이블 박스, 디스크 박스 외 1 VW Bus, 18 TV sets, 3-channel video, cable box, disk box 크기 : 190×280×720cm
현대미술사에서 또 하나의 큰 별이었던 요셉 보이스는 2차 세계대전 중 공군기 조종사로 출정했다가 추락하는 비운을 맞았지만 몽고 족의 일족인 타타르인들에게 극적으로 구조되어 인위적인 약물없이 온몸에 지방을 바르고 담요를 감은 채 수일간을 극진히 간호받음으로써 생명을 구하게 되는데 이때의 경험은 그의 전 생애와 예술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보이스는 미술을 인류를 치유하고 구원할 수 있는 도구로 생각했으며, 미술가는 치유와 구원의 영매인 무당(샤먼)과 같은 존재라고 설파했다. 백남준은 무명시절에 보이스를 만나 이후 지속해서 깊은 우정을 나누면서 함께 공연했고, 정신적 유대관계를 이어 왔다.
보이스 사후 백남준은 샤머니즘적 방법론으로 그를 추모하는 퍼포먼스를 여러 차례 행한 바 있다. 이 작품에서 요셉 보이스와의 깊은 정신적 유대감과 텔레파시는 버스가 상징하는 이동의 의미 속에 표현되어 있으며, 요셉 보이스를 기념하는 비디오 프로젝션은 지난 세월 동안 예술적 동료로서 교류했던 요셉 보이스를 추모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과거중요전시행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박물관][탕탕평평-글과 그림의 힘] 연계 학술심포지엄 (0) | 2024.02.22 |
---|---|
[MMCA] 2023 '문화접근성' 향상 세미나 서울관, 7월 20일 오후1시 (0) | 2023.07.14 |
[김마저展: 무각형(Non Angular Form] 리뷰, 11월 20일까지 (0) | 2022.11.23 |
[갤러리현대] 강익중 작가 개인전 '달이 뜬다' 12월 11일까지 (0) | 2022.10.28 |
[MMCA] 한중수교 30주년 심포지엄: '중국미술과 리얼리즘' (0) | 2022.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