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The Art of Korean Empire-The Emergence of Modern Art)] 덕수궁 전관(2, 3층)에서 2018년 11월 15일~2019년 2월 6일까지
대한제국시대(1897-1910)의 궁중미술을 재조명하는 전시다. 다시 말해 고종(1852-1919)과 순종(1874-1926) 시기의 궁중미술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불행하고 매우 짧고 쇠락하는 시기(1890-1926)였다 하지만 훌륭한 전통을 어떻게 계승할까 많이 고민했다. 미술의 새로운 혁신을 촉발시키려 노력했다.
과도기(역사적으로도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혁명의 시기)인 만큼 앞이 잘 보이지 않는 시대였다. 그러니 이 시기가 없었다면 한국의 근대미술도 그 족보를 찾을 수 없을 것이다.
<특별홍보대사 배우 이승준> 한편 이번 《대한제국의 미술-빛의 길을 꿈꾸다》전에는 배우 이승준이 특별 홍보대사를 맡았다. 최근 종영된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에서 굳은 심지로 근대 국가를 만들려던 고종을 연기한 이승준은 가이드 투어를 통해 대한제국 미술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관람객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전할 이승준의 가이드 투어는 국립현대미술관 모바일 앱(App)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신축진연도병(辛丑進宴圖屛)
신축진연도병(辛丑進宴圖屛)은 1901년 7월 고종황제의 오순(50세)을 기념하여 거행된 진연(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에 궁중에서 베풀던 잔치)을 그린 8폭의 병풍이다. 2010년 6월 17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306호로 지정되다. 19세기 궁중행사기록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이번 전시는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제국의 미술’에서는 조선이 대한제국으로 바뀌며 발생한 미술의 변화와 전개를 살펴본다. 2부는 ‘기록과 재현의 새로운 방법, 사진’은 고종을 비롯한 황실 인물과 관련된 사진으로 구성된다. 3부는 ‘공예, 산업과 예술의 길로’는 고종, 순종시기의 각종 공예품의 전반적인 양상과 변화를 조명한다. 4부는 ‘예술로서의 회화, 예술가로서의 화가’에서는 과거 기능적 장인에 가까웠던 화원 화가가 예술가적인 성격의 화가로 변모하는 양상을 조명한다.
전傳 채용신, <고종 어진>
전傳 채용신, <고종 어진>, 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180x10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서양식 명암법을 사용해 사실적으로 묘사하다.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1898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1898) 규장각 한국한 연구원 소장. 명성황후 시해 후 일본친일내각의 간섭을 피해 미루다가 황제국의 어법으로 국장을 거행하다. 그때의 행사를 사실적으로 그려 보관하다.
<1부 '제국의 미술'> 1897년 조선왕조가 대한제국으로 전환되면서 궁중미술에도 변화가 온다. 황제가 된 고종의 위상에 맞춰 황제와 황후에게만 허용되는 황색(황금빛)의 용포(龍袍)와 의장물이 어진과 기록화에 새로이 등장하는 등 달라진 면모를 볼 수 있다. 궁중장식화는 본격적인 ‘그림’이라기보다 궁궐의 치장을 위한 일종의 ‘물건’으로까지 여겨졌다. 그러나 고종시기에 이르러서는 서양 및 일본 미술 등의 사실적이고도 세밀한 화풍을 수용, 변화를 꾀했다.
<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 1902년 호놀룰루미술관 소장
<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 1902년 추정, 비단에 채색과 금박, 12폭병풍, 길이 228m, 호놀룰루미술관 소장 / 12폭의 대형 병풍으로, 조선 전통에서는 보기 드문 화려한 채색과 금박을 활용하여 새벽녘의 구름과 복숭아 도원 위를 나는 10마리의 학을 그렸다.
금가루으로 쓴 ‘이 작품이 임인년 여름, 황실에 바쳐진 그림임을 알려준다. 특히 1902년 여름은 고종 황제의 완숙한 시개를 기념한 향연이 열렸다. 화면 전면에 활용된 금박은 대한제국과 황실의 번영을 축수하는 의미로 고안됐을 것이다. 이 작품은 역사의 부침 속에서 1922년 도미타 기사쿠(1859-1930)와 야마나카 상에 팔려 1927년 미국 하와이에 소재한 호놀루루 미술관이 소장하게 됐다. 대한제국 황실의 흥망성쇠가 고스란히 녹아 든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 부분화
부분화 <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 1902년 추정, 비단에 채색과 금박, 12폭병풍, 길이 228m, 호놀룰루미술관 소장 / 12폭의 대형 병풍으로, 조선 전통에서는 보기 드문 화려한 채색과 금박을 활용하여 새벽녘의 구름과 복숭아 도원 위를 나는 10마리의 학을 그렸다. 부분화 복숭아 강조하다.
<신중도神衆圖> 1907
<신중도神衆圖> 문성, 만총, 정연 외 10인, 면에 채색, 181.7x171.2㎝, 공주 1907 신원사 소장.
근대화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신식군인(위 사진 하단 왼쪽에서 3번째)이 보인다. 불화의 형식을 통해서 대한제국의 힘을 보여주려는 그림이다 . 신중도는 불법을 수호하는 신의 무리를 그린 불화이다. 여기서 대한제국황실의 불교미술 후원과 근대화된 불화의 형식을 엿볼 수 있다.
보통 무장을 한 호법신의 경우 장수의 모습으로 표현하지만, 이 그림에서는 앞 열 중앙의 호법신이 대한제국기의 군복과 군모를 착용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특히 푸른색의 상의를 입은 호법신은 군모, 그리고 상의의 꽃무늬 장식과 어깨 견장의 태극무늬까지 대한제국 군복을 구체적으로 표현했다.
이 불화는 대한제국 군복이미지의 확산에 따른 영향과 더불어 근대기 불교회화의 제작자가 전통적인 밑그림과 표현에서 벗어나 새로운 불화를 추구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대한제국시기 새롭게 출현한 신식 군인의 강력한 힘으로 수호받기를 원했던 바람과 생생한 현실감을 담은 작품으로 주목된다.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樂圖>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소장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樂圖>, 19세기 말-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10폭 병풍, 139.6×366cm, 함부르크 민족학박물관 소장
그림의 주인공인 곽분양(697-781)은 중국 당나라 때 사람으로 출세와 장수의 상징이다. 조선시대에는 곽분양이 노년에 은퇴하여 수많은 손자에 둘러싸인 모습이 자주 병풍으로 꾸며졌다.
현재 남아 있는 곽분양 주제의 그림들은 40여 점이 넘는데 대부분 곽분양 부부의 거처를 병렬로 배치한 모습이다. 반면 이 작품은 사선 구도를 활용한 유일한 작품으로 주목된다. 이 작품은 하인리히 마이어Heinrich C. E. eyer, 1841-1926가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에 기증한 것으로, 마이어는 1883년 조선 최초의 외국계 회사인 '세창양행'을 세운 인물이다.
그는 독일영사로도 활약하는 등 조선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이 때문에 마이어 컬렉션의 대부분은 대한제국 시기의 우수한 작품들로 수집될 수 있었다.
'최근전시행사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숨 막히는 시공간에 틈과 구멍을 펑펑 내다 (0) | 2018.12.02 |
---|---|
[강주리전] 욕망되고픈 욕망 The Desire to be Desired (1) | 2018.12.01 |
문경원, 전준호 영국 테이트 리버풀에서 첫 개인전 (0) | 2018.11.27 |
초원의 문화와 문명이 숨 쉬는 카자흐스탄 (0) | 2018.11.26 |
프랑스 몰입형 미디어아트 '빛의 벙커' 개막 (0) | 2018.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