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3월 프로그램 소개 / 전시품의 다양한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시간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큐레이터의 상세한 전시품 해설과 함께 전시품을 관람하는 프로그램이다. 3월에는 새 단장을 마치고 성황리에 운영되고 있는 선사고대관(2.14.)을 비롯한 다양한 상설전 전시품의 이야기를 풍성하게 즐길 수 있다.
먼저, 지난 2월 재개관한 선사고대관은 인류의 등장부터 고대 국가의 출현에 이르는 긴 역사를 삶의 흔적이라는 주제 아래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어 관람객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고 있다. 특히 새로운 발굴 자료 공개와 고도화된 연출 기법은 관람객의 전시품 이해도를 한층 높여주었다. 이에 3월 첫째 주에는 <청동기시대 지배자의 출현>과 <고구려를 바라보는 창, 무덤벽화>를, 셋째 주에는 <고구려 사람들의 집>을, 넷째 주에는 <선사인의 도구-돌도끼 이야기>라는 주제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큐레이터의 친절한 전시 설명을 통해 인류의 기나긴 역사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역사의 길에 자리한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와 경천사 십층석탑에 대한 큐레이터와의 대화도 들을 수 있다. 둘째 주에 진행되는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에서는 광개토대왕릉비의 표면 질감과 비문까지 생생하게 복원한 과정에 대해 만나볼 수 있다. 더불어 <또 다른 전시 탁본>에서는 최대 높이 6.39m의 돌 4면에 1,775자가 새겨진 광개토대왕릉비의 탁본에 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전시품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주에 마련된 <경천사 십층석탑>에서는 탑의 조성 배경과 수많은 조각의 아름다움, 석탑의 수난사 등을 접할 수 있어 전시품의 이모저모를 살펴볼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주제들을 마련했다. 서화관에서는 3월 5일 <새해 송축용 그림, 세화>를, 3월 19일 <조선시대 산수화>를, 3월 26일 <조선시대 초상화>를 진행한다. 박물관에 소장된 다양한 화목의 회화들을 만나볼 수 있다.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에서는 3월 12일 <양산 출토 반가사유상>을, 3월 19일 <불복장과 불상>에 대해 들을 수 있다. 3월 5일 세계문화관 일본실에서 <일본 회화 감상>을, 3월 26일 기증관 기증 2실에서는 <기증의 가치와 문화유산>을 진행한다. 중·근세관 대한제국실에서는 <문화유산과 홍보>가 진행되어 박물관의 소장품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을 것이다.

(세부 일정 붙임 참조) * 박물관 사정에 따라 큐레이터, 주제, 장소 등이 변경될 수 있음.
[국립중앙박물관 야간개장 “큐레이터와의 대화” 프로그램 운영]
○ 일시: 매주 수요일 18:00~18:30 / 19:00~19:30
* 공휴일이 수요일인 경우에는 “큐레이터와의 대화” 없음.
○ 참여방법: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현장에서 참여 가능(정원 제한 없음.)
○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실[선사·고대관, 중·근세관, 기증관, 서화관, 조각·공예관, 세계문화관, 역사의 길, 특별전시실 2] 특별전시실 1 및 야외 전시장
○ 관람료: 상설전시관(무료), 단 특별전시는 관람료 별도
○ 셔틀버스 운영: 단체 20명 이상(편도), 무료, 버스예약(02-2077-9042)
'최근미술계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페이지갤러리] 세계 3대 아트페어 ‘2025 마스트리흐트’ 참가 (0) | 2025.03.12 |
---|---|
[MMCA] <2025 미술은행·정부미술은행 작품 구입 공모> (0) | 2025.03.12 |
[김아영] 2025 ‘LG 구겐하임 어워드(LG Guggenheim Award)’ 수상 (0) | 2025.02.26 |
[MMCA] '올해의 작가상 2025' 김영은, 김지평, 언메이크랩, 임영주 선정 (2) | 2025.02.24 |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재개관: 전시면적: 1613.38㎡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