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 연계 - 라운드테이블 “상형청자, 전통의 재해석과 확장” 개최 ㅇ 일시: 2025. 2. 8.(토) 4:00~16:10 ㅇ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제1강의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2월 8일(토) 교육관 제1강의실에서 라운드테이블 “상형청자, 전통의 재해석과 확장”을 개최한다. 이 행사는 국립중앙박물관이 2024년 1월 26일(화)부터 2025년 3월 3일(월)까지 진행하는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를 계기로 마련한 자리이다.
상형청자象形靑磁는 고려시대에 인물·동물·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를 말하며, 우리나라 전통 공예문화의 정수로 손꼽힌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고려시대 상형청자라는 전통 장르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어떻게 재해석하고 그 의미를 확장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원탁(圓卓)을 뜻하는 라운드테이블은 자리의 순서나 지위에 상관없이 서로 대등한 관계에서 자유롭게 발언하는 형식의 회의로서, 이번 행사에는 박물관의 도자 전문가를 비롯하여 전통과 현대를 접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문화예술인 등이 참여한다. ‘고려 상형청자’를 매개로 각자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의견을 나눔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담론을 펼칠 예정이다.
라운드테이블은 박물관 전문가 2명과 외부 전문가 3명의 발제 및 자유토론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애령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이 ‘고려 상형청자, 전통의 재해석’을 주제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상형청자에 담겨있는 고려 사람들의 개방적이고 유연한 문화적 자세와 창의적 변용에 주목하여, 당시의 중국 자기 등 조형 예술품을 수용하고 그것을 자기화(自己化)한 과정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고려 상형청자의 예를 통해 오늘날 서구화 된 일상 속에서 우리 도자문화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지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강경남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은 ‘고려 상형청자에 대한 미술사적 시각’을 주제로, 그동안 미술사학 분야의 연구 성과와 방향,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조사와 전시를 짚어봄으로써 상형청자의 도자사적 위치를 진단하고 연구의 중요성을 환기시킨다.
유의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도예작가로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등을 비롯하여 다수의 단체전시에 참여하고 개인전도 개최하였다. 유 교수는 ‘도예 창작에서의 전통 계승과 확장’을 주제로 과거의 오래된 도자기가 지닌 가치와 오늘날 창작 대상에 내재된 무한한 가능성에 대하여 풍부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견해를 들려줄 계획이다.
임미선 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은 경기도세계도자비엔날레와 청주공예비엔날레 감독을 맡는 등 공예전문 전시기획자이자 연구자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임 감독은 ‘비엔날레에서의 현대와 전통 공예의 접점’을 주제로 현대 작가들이 전통을 어떻게 인식하고 응용하는지, 전통의 의미와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에 대해 비엔날레 감독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정구호 문화크리에이터는 대중적 성공을 거둔 주요 브랜드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디자인 전문가이다. 이번 발제에서는 ‘고려 상형청자의 문화적 가능성’을 주제로 기술적·조형적으로 정교한 고려 상형청자의 연구와 홍보의 필요성을 짚는다. 또한 앞으로 다양한 시대의 조형성과 예술적 성취를 위해 전통미술의 미학적 스펙트럼을 확장하고, 균형 있게 조명하는 논의의 필요성을 상형청자를 통해 제시할 예정이다.
이처럼 고려 상형청자를 매개로 전통의 재해석과 확장에 대해 전문가 5명의 발제와 토론이 끝나면, 관람객의 질의응답 등 참가자 모두가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라운드테이블은 별도의 신청절차 없이 누구나 참여하여 들을 수 있다. 다양한 담론이 펼쳐질 이번 행사가 고려 상형청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창작자들에게는 영감을 제공해주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 더 나아가 우리 공예문화에서 전통의 단절 문제를 극복하고 창의적이며 발전적인 계승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과거와 현재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소통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붙임 1. 라운드테이블 홍보 포스터 1부
2. 라운드테이블 발제자 프로필 1부
라운드테이블 발제자 이애령(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2020~2023)
국립광주박물관 관장(2023~2024)
국립중앙박물관 청자실, 분청사기·백자실 개편, 특별전 <고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어느 수집가의 초대>(2022년) 등 총괄
강경남(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과 학예연구관)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등 근무(2005년~현재)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천하제일 비색청자>(2012년), 청자실 개편(2022) 담당
「도자공예 전시개편 사업의 성과와 의미」(『동원학술논문집』25, 2024) 등 논문 집필
유의정(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Hot Rookies’ 선정(2013)
<Naked>(2021, 갤러리 퍼플)
<도자산책>(2023, 더 트리니티 갤러리) 등 개인전 및 단체전
임미선(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
청주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2021)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예술감독(2024)
올해의 공예상 수상(2024)
정구호(문화크리에이터)
아시아패션연합 한국협회 디자인 디렉터상 수상(2005)
제13회 코리아패션대상 대통령 표창(2020)
제16회 공예트렌드페어 총감독(2021~)
'최근전시행사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CA] 미술은행 2025년 <나눔미술은행> 시작 (0) | 2025.02.10 |
---|---|
[국립중앙박물관] '컴퓨터 단층촬영(CT) 문화유산의 이해'발간 (0) | 2025.02.10 |
[백남준] 서거 19주기 추모:백남준아트센터 2025년 주요 사업] (0) | 2025.01.23 |
[백남준] 로봇 아카이브전 'Human tech for future' 2025년 1월 23일-2월 28일 (0) | 2025.01.16 |
[MMCA] 국립현대미술관 2025년 전시계획 및 주요사업 공개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