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미술계소식

[2022 제주비엔날레] '움직이는 달, 다가서는 땅' 11월 16일 개막

제주도립미술관, 2022 3회 제주비엔날레개최 - 움직이는 달, 다가서는 땅(Flowing Moon, Embracing Land) 주제로 1116일 개막, 2023212일까지 89일간 진행된다. 여간해서는 자연에 말을 잘 걸지 않는 인간 자연이 하는 말을 잘 듣지 못한다. 그러나 이번에 비엔날레를 통해 우리가 자연에게 적극적으로 말을 걸면서 다가가면서 소통을 시도하려고 한다. 움직이는 달에게 솟아오르는 땅에게 삶의 생기와 예술적 영감과 우주의 기운을 받으려고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립미술관(관장 이나연)은 제주도립미술관과 제주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10여 곳에서2022 3회 제주비엔날레를 오는 1116일부터 2023212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3회 제주비엔날레의 주제는 움직이는 달, 다가서는 땅(Flowing Moon, Embracing Land)’으로, 인류세 등 새로운 지질학적 시기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는 가운데 대안적 아이디어를 예술적으로 살펴보는 데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제주도립미술관 관장 이나연

전시의 주제인 움직이는 달, 다가서는 땅은 자연공동체로서의 인류의 생존을 위한 삶의 태도와 예술적 실천에 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 ‘움직이는 달(Flowing Moon)’은 자연의 시간과 변화의 속성을 포착한 것으로, 쉼 없이 흐르며 객체들을 잇게 한 순환의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인공지능 시대에 불어 닥친 전염병은 과학기술의 연대 필요성뿐 아니라 전 지구적 공생을 위한 자연의 순리(順理)에 주목하게 한다. 태양과 지구 사이에서 절기(節氣)를 만들고 생동하는 생명을 이어가는 자연의 시간은 움직이는, 흐르는 달로 개념화했다.

제주비엔날레 예술감독 박남희

<2022 제주비엔날레 기자간담회 박남희 예술감독 이번 주제해설>

[움직이는 달(Flowing Moon)] 자연의 시간과 변화의 속성을 포착한 것으로, 쉼 없이 흐르는 객체들을 잇게 한 순환의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인공지능의 시대에 불어 닥친 전염병으로 인류가 과학기술의 연대와 더불어 전 지구적 공생을 위한 자연 질서 회복을 강조하며, 이를 움직이는 흐르는 달로 구체화하였다.

[다가서는 땅(Embracing Land)] 자연에서 호흡하는 객체들의 생기 있는 관계적 겸손함을 함의 한다. 자연의 일부로서 인류는 물질이 역사와 신화를 만들고, 또 다른 행성으로 이어짐을 마주하며, 물리적 지층이자 시대적 공간, 역사적 장소로서 땅의 몸짓에 주목해야 한다. 고른 숨소리와 유연한 걸음으로 이어지는 생동하는 물질의 행위이자 지평을 '다가서는 땅'으로 의미화하였다.

이러한 개념 아래 비엔날레 전시는 자연, 인간, 신화, 우주 등을 동등한 객체로 보고 그 사이 만남과 떨림, 소통과 공존의 경험을 권한다. 발이 땅을 딛고 걷는 일과 숨을 크게 들이켜 호흡하는 일과 같이, 달의 흐르는 시간과 땅의 호응하는 순간들이 자연공동체 인류의 찰나와 영겁의 대안임을 말하는 것이다.

3회 제주비엔날레의 개최 장소는 주제관인 제주도립미술관과 제주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제주시 원도심부터 제주 남쪽 가파도까지 제주 전체를 아우르며 10여 개의 전시장에서 펼쳐질 예정이다.

제주비엔날레 예술감독 박남희

하나, 제주도립미술관(제주시 11002894-78) · 제주문화예술을 대표하는 제주도립미술관은 제3회 제주비엔날레의 주요 배뉴(venue)이자 주제관으로, 미술관 내부 전시실뿐 아니라 야외공원까지 미술관 전체를 전시장으로 활용된다.

둘, 제주현대미술관(제주시 한경면 저지1435) ·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잘 보전된 중산간 마을 저지리 저지문화예술인마을 중심부에 위치한 제주현대미술관은 제주도립미술관과 함께 제3회 제주비엔날레의 주제관으로 사용된다.

셋, 제주국제평화센터 ·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서귀포에 위치한 제주국제평화센터는 세계평화의 섬으로 제주를 보게 하는 장소이다. 위협 요소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로 평화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미를 지녔으며 비엔날레 위성 전시장으로 사용된다.

넷, 가파도(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 제주도의 부속 도서 중 네 번째로 큰 섬인 가파도는 우리나라 최남단 마라도와 제주도 본섬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제주 본섬에서 약 10분 정도 배를 타고 들어가야 하는 섬 속의 섬이다.

여기에는 ‘가파도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12(gapadoair.kr)에 있다. 아름다운 자연환경 속에서 작업에 몰입할 수 있도록 예술가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창작 공간으로 출발한 지역재생 프로젝트 일환으로 구축된 국제 레지던시다. 2021년부터 제주문화예술재단이 현대카드에서 이어받아 운영하기 시작했고, 이번 비엔날레 위성 전시장으로 사용된다.

또한 퍼포먼스, 큐레이터 심포지엄, 예술 융합 포럼 등 다양한 부대 행사를 마련한다. 특히, 누구나 행할 수 있는 걷고 호흡하고 낭독하는 행위를 중심으로 한 퍼블릭 프로그램을 통해 시대 담론을 공동체적 실천으로 확장해 비엔날레의 순기능을 실천할 예정이다.

박남희 예술감독은 “자연공동체의 신화와 역사를 만들어온 양생(養生)의 땅 제주에서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부여받은 본래의 생명 가능성을 예술로 사유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이번 비엔날레를 통해 모든 객체가 함께 살기 위해 달의 우주적 관용과 땅의 자연적 공명을 실험하는 예술의 장을 열겠다”고 전했다.

이나연 제주도립미술관장은 “5년 만에 다시 열리는 제3회 제주비엔날레를 박남희 예술감독과 함께 충실하게 준비해 제주비엔날레가 제주도민뿐 아니라 모두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제주문화예술의 활력소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020년 제3회 제주비엔날레 참여 작가] 강이연, 김주영, 박광수, 박형근, 최선, 윤향로, 이승수, 자디에 사(Zadie Xa), 레이첼 로즈(Rachel Rose), 왕게치 무투(Wangechi Mutu), 리크릿 티라바니자(Rirkrie Tiravanija), 팅통창(Ting Tong Chang) 16개국 60여 명() 국내, 국외 작가 참여 비율은 각각 약 60%, 40%이며 대륙별로는 한국 및 아시아(40여 명), 북미(3), 유럽(10), 남미(3), 아프리카(1) 등이다 

[2022년 제주도 비엔날레 참여작가] 강이연 작가

강이연 작가 무한 Infinite 2021

그녀는 한국 미디어 아티스트로서 영상과 사운으로 공간을 빚어내는 작가다. 2006년 서울대학교에서 서양화 학사, 2009UCLA에서 디자인 미디어 아트 석사를, 2017년 영국 왕립예술학교(RCA)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Shenzhen 뉴미디어 아트 페스티벌,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등 주요 국제 행사에 작품을 선보이며 국립현대미술관, V&A의 아티스트 레지던스를 마치고 글로벌 현대미술 프로젝트에 유일한 한국 작가로 참여했다.

[2022  제주도 비엔날레 참여작가] 김주영 작가

1972년 홍익대학교 서양학사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1986년 프랑스에서 파리 8대학에서 조형예술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파리에서부터 시작으로 노마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인도, 네팔, 몽골, 티벳, 중국, 일본, 이탈리아, 스페인, DMZ와 청주 미호천까지 거의 매년 프로젝트를 했다. 작가는 퍼포먼스와 설치 주요 작업을 하며 아픔이 있는 역사와 정치, 사회적 유목민에 대한 이야기를 작가의 퍼포먼스로 풀어낸다. 스님의 명상(1992, 파리), 떠도는 무명의 영혼들이여: 등잔불 (2000, 남대문시장, DMZ) 등 세계 각지에서 여러 차례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작가는 기획전 김주영 - 되살린 기억(권진규 아틀리에, 2021) 에 참여하고 2021년 제6회 박수근 미술상을 수여받았다.

[2022년 제주도 비엔날레 참여작가] 박광수 작가 1984

[2022년 제주비엔날레 참여작가] 박광수 작가는 주로 흑백 드로잉의 작업을 하지만 다양한 색깔들도 쓰는데 이성과 무의식 사이에 모든 사물이 공정하게공존하는 작품을 만든다. 풍경과 대상의 경계가 서로 녹아들거나 풍경에 숨기는작품을 한다. 2008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조형예술과 학사를 졸업하고 2010년 동대학원 조형예술과 석사를 취득했다. 주요 개인전은 크래커(카탈로그, 2021), 영영 없으리(학고재, 2020)를 개최했으며 대다수의 단체전 '38℃》(학고재, 2021) 기대는 그림(누크 갤러리, 서울, 2019)에 참여했다.

[2022년 제주도 비엔날레 참여작가] 박형근 작가 1973

박형근작가 2002년 광주대학교 사진학과를 나오고 2004~2005년까지 골드 스미스 컬리지 런던 시각미술대학원을 졸업했다. 작가는 그의 주관과 본능에 의해 설정된 사진을 선보이며 의식과 감각의 경계를 흔들며 현실 이면의 독특한 모습을 보이는 작품을 선보인다. 주요 개인전은 중중무진(한미사진미술관, 2022), 차가운 꿈 Bleak Island(대안공간 루프, 2021), 주요 단체전은 경기 포토 페스티벌2022,(경기도, 2022)와 프랑스 포토 케이 비엔날레, 그리스 국립현대미술관 등에 참여했다

[2022년 제주도 비엔날레 참여작가] 최선 작가 1973

2003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한 최선 작가는 예술의 의미와 사회의관계를 탐구하며, 그 안팎에 존재하는 위계질서를 고민한다. 전통적인 회화의 방식을새롭게 확장시키면서 현대성을 드러낼 수있는지 고민한다. 작가의 주요 개인전은독선회화(아트센터 예술의시간, 2021)딸꾹질(Hiccup)(이천로갤러리, 2020)을개최하며 주요 단체전은악의 사전: 2018강원국제비엔날레(강원,2018) Flatland(금호미술관, 2018)에 참여했다. 2017년에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프로그램에 참여했다.

[2022년 제주비엔날레 참여작가] 윤향로 작가 1986

이 작가는 2009년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그 이후 2013년에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평면조형전공 석사를 졸업했다. 작가는 대중문화에서 발자취한 이미지 파일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변형 후 인쇄하거나 그 위에 회화로 그려내는 작업을 한다. 주요 개인전은 캔버스들(Canvases)(학고재,2020)서플랫픽터(Surflatpictor)(P21,2018), 주요 단체전은 Cold Pitch, ‘Drive to the Moon’(BB&M갤러리, 서울, 2022)2015 광주비엔날레(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15)에 참여했다.

[2022년 제주비엔날레 참여작가] 이승수 1977

이승수 작가는 현재 제주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바다와 가까이 사는 작가는 바다와 관련된 소재들로 자연과 인간의 동시적 공존을 이야기하며 현대 사회의 본질과 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작업을 만든다. 주요 개인전은 사이(제주앤트러사이트,2020), 어디로 가야 하는가(아라동 갤러리 카페, 제주, 2019)을 개최하고 150회의 단체전에 참여하며 최근 2022 백록담전, 제주대학교 미술학과 교수단체전(제주도문예회관, 2022)에 참여했다

[2022년 제주도 비엔날레 참여작가] 한국계 캐나다 작가 '자디에 사(Zadie Xa)' 1983년생

그는 조각, 회화, , 소리 및 다양한 퍼포먼스 아트를 결합하는 작가는 작품들을 통해 한인 디아스포리 아 내에서 경험과 태평양 북서부의 환경, 문화적 맥락을 탐구하며 표현한다. 주요 개인전은 Long ago when tigers smoked(The Box Plymouth, UK, 2022), Moon Poetics 4 Courageous Earth Critters and Dangerous Day Dreamers(Leeds Art Gallery, UK, 2021), 주요 단체전은 The New Bend, curated by Legacy Russell(Hauser and Wirth, NYC, 2022), Bodies of Water, 13th Shanghai Biennale(Shanghai, 2021) 등에 참여했다.

 

Zadie Xa, Moon Poetics 4 Courageous Art Critters and Dangerous Day Dreamers, 2021, installation view at Leeds Art Gallery,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artist Benito Mayor Vallejo. Courtesy: the artist; photograph: Stuart Whipps

 

Zadie Xa’s Ecological Allegory

At Leeds Art Gallery, the artist's multimedia installation follows the shamanic goddess Princess Bari and a host of avatars on a hero’s journey through climate collapse and renewal

www.frieze.com

Zadie Xa, Moon Poetics 4 Courageous Art Critters and Dangerous Day Dreamers, 2021, installation view at Leeds Art Gallery,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artist Benito Mayor Vallejo. Courtesy: the artist; photograph: Stuart Whipps

Zadie Xa, Moon Poetics 4 Courageous Art Critters and Dangerous Day Dreamers, 2021, installation view at Leeds Art Gallery,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artist Benito Mayor Vallejo. Courtesy: the artist; photograph: Stuart Whipps

전시작품 중간 중간에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미디어 같은 안테나 같은 '솟대'가 보이네요. 아래 전시 시와 달(Moon Poetics)의 서사적 초점은 거시와 미시, 종말과 행복 사이를 끊임없이 전환한다.

[2022년 제주도 비엔날레 참여작가] '레이첼 로즈(Rachel Rose)' 1986년 생, 미국작가

1986년생으로 현재 뉴욕에서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RosePond Society Shanghai를 포함한 기관에서 많은 전시를 하였다. Lafayette Anticipations, 파리; Fridericianum, 카셀, 독일; LUMA 재단, 아를, 프랑스; 필라델피아 미술관, 펜실베니아; 폰다지오네 산드레토 레바우덴고, 이탈리아; Kunsthaus Bregenz, 독일; Museu Serralves, 포르투; 아스펜 미술관, 콜로라도; 휘트니 미국 미술관, 뉴욕; 서펜타인 갤러리, 런던; Castello di Rivoli, Turin, Italy. 그녀는 Future Fields wardFrieze Artist Award를 수상했다

[2022년 제주도 비엔날레 참여작가] '왕게치 무투(Wangechi Mutu)' 1972년생 아프리카 작가

그녀는 1972년 케냐의 나이로비에서 태어나 1990년 뉴욕으로 이주했다.

1996년 쿠퍼유니언에서 순수미술 학사를 취득하고 2006년 예일대학교에서 조소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아프리카 전통, 국제정치, 공상과학, 패션계 등 영감을 받아 흑인여성 인종, (gender), 식민지주의, 전쟁에 대한 작품을 만든다. 주요 개인전은 Wangechi Mutu(Storm King Art Center, NY, 2022), The New Ones, will free Us(Metropolitan Museum of Art, NY, 2019)을 개최하며 Whitney Biennial(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NY, 2019), All the World’s Futures: 56th International Art Exhibition(Venice Biennale, Venice, 2015) The African Continuum, United Nations(New York Incheon Women’s Biennale, 인천, 2011)등 다양한 비엔날레와 단체전에 참여했다.

[2022년 제주도 비엔날레 참여작가] 리크릿 티라바니자(Rirkrit Tiravanija) 1961년생 태국작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난 티라바니자는 1984년 온타리오 예술 및 디자인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1986년 시카고예술 학교에서 미술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부터 1986년까지 휘트니 독립 학습 프로그램. 그는 Absolut Art Award(2010), Hugo Boss Prize(2004), Lucelia Artist Award(2003), Gordon Matta Clark Foundation Award(1993) 등을 비롯한 수많은 보조금과상을 수상했다. 텍사스 포트워스 현대미술관(2014), 샌프란시스코 예르바 부에나 예술 센터(2013), 테이트 모던, 런던(2013), 싱가포르 미술관, 싱가포르(2012), 파리 퐁피두 센터(2012), MoMA(현대미술관), 뉴욕(2012), Bonnierskonstall, 스톡홀름(2011) 등에서 전시했다

제주도립미술관 관장 이나연 컬럼

 

“비엔날레란 무엇인가” 되물어라

[서울 말고] 이나연 | 제주도립미술관장 김영민 교수는 유명한 칼럼 ‘추석이란 무엇인가 되물어라’에서 “정체성을 따지는 질...

www.hani.co.kr

064 749 5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