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외아트페어

[국현] 개관 50주년 '광장: 1900-2019'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5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미술 100년을 조명하는 대규모 기획전 《광장: 미술과 사회 1900-2019》를 개최한다.

국립현대미술관은 1969년 10월 20일 개관 이래 국내 유일의 국립미술관으로서 한국미술의 연구․수집․전시 및 해외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수행해 왔다. 개관 50년을 맞아 지난 50년 역사를 돌아보고 한국미술과 미술관이 나아갈 미래를 국민과 함께 그려본다는 취지 아래 20세기 여명부터 현재까지 격동의 한국사와 미술사를 살펴보는 기획전 《광장: 미술과 사회 1900-2019》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한국미술 100년을 대표하는 회화, 조각, 설치 등 450여 점의 작품을 시대별 1·2·3부로 구성한다. 1900년부터 1950년대를 다루는 1부는 덕수궁관에서, 1950년대부터 현재를 통사적으로 바라보는 2부는 과천관에서, 동시대 한국 사회의 이슈를 다루는 3부 전시는 서울관에서 각각 진행한다. 9월 7일(토) 서울 전시 개막에 이어, 덕수궁과 과천은 10월 17일(목) 동시 개막한다.

또한 개관 50주년 기념일인 10월 20일(일)에는 국민과 함께 50돌의 기쁨을 나누기 위해 덕수궁, 과천, 서울 3관을 무료 개방한다(청주관은 상시 무료).

《광장》1부. 1900-1950

《광장》1부 (덕수궁관 2019.10.17~2020.2.9.)는 1900~1950년의 시기를 다룬다. 19세기말 개화기에서부터 일제강점기와 해방을 거치면서 격동하는 시대의 파고 속에서도 ‘의로움’을 지켰던 역사적 인물과 그들의 유산을 살펴본다. 오래도록 후세에 기억되어야 할 올곧은 인물들의 유묵(遺墨)에서부터, 망국(亡國)의 시대에도 한국인의 정체성을 고민했던 예술가들의 고민의 흔적을 만날 수 있다. 전시는 “의로운 이들의 기록”, “예술과 계몽”, “민중의 소리”, “조선의 마음” 4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시대의 변화에 따라 예술에 관한 다양한 시각과 입장이 공존한 역동적인 한국 근대사를 조망한다. 채용신, 오세창, 안중식, 김용준, 김환기, 이쾌대 등 작가 80여 명 작품 130여 점과 자료 190여 점을 선보인다.

을사늑약 체결 후 낙향하여 우국지사의 초상화를 주로 그린 채용신의 대표작 <전우 초상>(1920), 의병 출신 화가의 지조와 절개를 보여주는 김진우의 <묵죽도>(1940), 3·1운동 참여 후 수배를 피해 중국을 거쳐 미국에서 유학한 임용련의 <십자가>(1929) 등을 선보이며, 이중섭만큼 그 성품과 화격을 인정받았던 인물이었으나 월북하면서 잊혀진 작가 최재덕의 <한강의 포플라 나무>(1940년대)와 <원두막>(1946)이 이번 전시를 통해 처음 일반에 공개된다.

현채가 저술하고 안중식이 삽화를 그려 애국계몽운동 시기 애용된 아동용 교과서 『유년필독(幼年必讀)』(1907), 3·1운동 이후 창간된 대표적인 문학 동인지 『백조(白潮)』창간호(1921), 프롤레타리아 문예운동이 활발하던 시기 당대 문인들이 참여한 『신소년(新少年)』(1930), 『별나라』(1934) 등 미술 작품 뿐 아니라 근대기 신문, 잡지, 문학, 연극, 영화 자료 등 시대상을 보여주는 다양한 매체들이 총망라되었다.

《광장》2부. 1950-2019

《광장》2부 (과천관 2019.10.17~2020.3.29)는 1950년부터 현재까지 예술이 삶과 함께하는 의미를 모색하는 전시다. 한국 현대미술의 역사를 한국사회와 광장을 통해 되돌아본다. 전시장은 최인훈의 소설 『광장』(1961)에서 빌려 온 “검은, 해”, “한길”, “회색 동굴”, “시린 불꽃”, “푸른 사막”, “가뭄 빛 바다”, “하얀 새”등 총 7개의 주제로 구성된다. 소장품을 중심으로 각 시대별 주요 작품들과 디자인, 공예 및 생활 오브제들이 함께 선보이며 역사와 이념, 시대를 넘어 개인과 공동체를 포괄하는 공간으로 제시된다. 특히 문학, 음악, 연극 등 분야별 전문가들과 협업한 자료 발굴을 통해 한국미술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여준다. 변월룡, 박수근, 이중섭, 이응노, 박서보, 신학철, 서도호, 이불,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등 작가 200여 명의 작품 300여 점과 자료 200여 점을 선보인다.

김환기의 대표작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1970)와 작품에 영감을 준 달항아리와 청자매병을 한자리에 선보인다. 동백림사건으로 수감된 윤이상, 이응노가 각각 옥중에서 작곡한 <이마주(image)>(1968) 육필 악보와 그림 <구성>(1968)이 함께 전시된다. 또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1980년대 오윤의 걸개그림 3점이 최초 공개된다. 1980년대 광장의 거리를 재현한 중앙홀에는 최병수 외 학생·시민·화가 35인이 그린 대형 걸개그림 <노동해방도>(1989), 이한열 열사의 운동화(1987) 등을 선보여 당시 시위가 진행되었던 공간을 작품으로 재해석하여 구성했다. 관람객의 참여로 완성되는 직조생활의 <노란 빛>과 11월 2일(토) 열리는 파트타임스위트의 <13평 클럽의 행진댄스> 퍼포먼스는 역동적인 오늘날의 광장을 보여준다.

《광장》3부. 2019

《광장》3부 (서울관 2019.9.7~2020.2.9)는 2019년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광장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민주화 투쟁의 역사, 촛불집회를 통해 광장은 역사성과 시의성을 모두 지니며 장소성을 초월하는 특별한 단어가 되었다. 3부 전시는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광장을 움직인 공동체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개인이 맞닥뜨리는 문제와 상황은 어떤 것인지, 어떻게 극복해나갈 수 있을지 살펴본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전시와 공연, 온라인 공간, 단편소설집 등 미술관 안팎의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펼쳐진다. 오형근, 송성진, 함양아, 홍승혜, 에릭 보들레르, 날리니 말라니 등 작가 12명의 작품 23점을 선보인다.

또한 소설가 7명(윤이형, 박솔뫼, 김혜진, 이상우, 김사과, 이장욱, 김초엽)이 전시를 위해 ‘광장’을 주제로 집필한 단편 소설 7편을 묶은 소설집 『광장』(워크룸프레스)이 출간되었다. 동시대 젊은 세대의 모습을 담은 오형근의 초상 사진 신작 7점과 알레고리를 통해 복잡한 현대 사회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조망하는 함양아의 신작 영상 <정의되지 않은 파노라마 1.0>(2019), <주림>(2019)이 최초 공개된다.

《광장》연계 학술세미나

11월 13일 수요일에는 과천관 대강당에서 문학, 역사, 사회, 미술사 등 분야별 전문가 12명을 초빙하여 《광장》전과 한국 미술 100년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명하는 학술 세미나가 개최된다. 1900년부터 1950년까지를 다룬 1부 세미나에서는 역사, 문학, 미술 전문가들이 발제를 맡아‘역사적 광장’을 주제로 암울했으나 뜨거웠던 역사적 순간에서 미술과 사회가 주고받은 영향을 살펴본다. 1950년부터 2019년까지를 다룬 2부에서는‘사회적 광장’을 주제로 문화연구자, 현대미술 전문가들이 자유와 민주화를 향한 격동적 사회 변화 물결의 연장선에서 한국 미술의 주요한 장면과 세계 미술 속 한국 미술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오늘의 미술을 조망하는 3부에서는 미술, 미술관, 사회뿐 아니라 미술관의 미래, 다가올 미래 사회의 변화까지 확장하여 전망해 본다. 이번 학술 세미나는 다층적인 관점으로 전시를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참여 신청은 전시 개막일인 10월 17일부터 홈페이지(mmca.go.kr)를 통해 할 수 있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50주년을 맞아 기획된 《광장》전은 20세기 여명부터 현재까지 ‘광장’을 뜨겁게 달군 한국 근현대사와 미술을 조명하는 기념비적인 전시”라며, “이번 전시를 계기로 국내․외 대중과 미술계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미술관으로서의 역할과 위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mmca.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