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미술계소식

[MMCA] 필름앤비디오 2025년 '창작의 순간-예술가의 작업실' 개최

[국립현대미술관, MMCA 필름앤비디오 2025창작의 순간-예술가의 작업실] 개최 백남준, 파블로 피카소, 안젤름 키퍼 등 예술가 다큐멘터리 영화 8편 상영 - 앙리-조르주 클루조, 빔 벤더스 감독 등 연출, 예술가의 창작 과정을 담은 영화 - 1956년 칸영화제 특별심사위원상 수상작 <피카소의 비밀>(1956) - 상영기간 내 분야별 내·외부 전문가 대담 형식 연계프로그램 개최 - 214()부터 524()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MMCA영상관

알토 2020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2025MMCA 필름앤비디오의 첫 번째 프로그램으로 창작의 순간-예술가의 작업실을 선보인다. 상영은 214일부터 524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MMCA영상관에서 진행된다.

창작의 순간-예술가의 작업실은 예술가들이 새로운 작품을 창조하는 과정과 그 속에서 일어나는 혁신의 순간을 다룬 주제기획 영화들로 구성된다. 예술은 단순한 표현의 수단이 아니라, 작가의 독창적인 생각과 감정이 녹아드는 복합적인 여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새로운 예술이 탄생하는 창작의 과정은 그 자체로서 매혹적인 경험이며, 이는 각 예술가가 그들의 상상력과 창조성을 바탕으로 형성하는 고유한 세계관을 제시한다. 이러한 예술의 창작 과정을 탐구한 영화 8편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미술, 건축, 무용, 문학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업실을 깊이 있게 볼 기회를 제공한다.

첫 번째 상영작인 앙리-조르주 클루조 감독의 <피카소의 비밀>(1956)은 끊임없는 생각들을 자신의 화폭에 담아가는 피카소의 작업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이다. 이 영화는 1956년 당시 칸영화제에서 특별심사위원상을 수상하였다.

이어지는 <알토>(2020)는 핀란드를 대표하는 건축가 겸 디자이너 알바 알토와 건축가인 그의 아내 아이노 알토의 삶과 창작의 과정을 탐구한다. 이 영화는 그들이 건축 철학과 디자인을 통해 인간 중심적인 공간을 창조하며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했던 여정을 따라간다. 안제이 바이다 감독의 유작 <애프터이미지>(2016)는 폴란드 아방가르드의 선구자 스트르제민스키와 그의 제자들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영화로 작가의 고난이 어떻게 예술적 저항으로 전환되는지를 다룬 작품이다.

빔 벤더스 감독의 영화 <안젤름>(2023)은 동년배 화가 안젤름 키퍼의 작업실에서 그의 예술적 근원을 탐구한 3D 영화로, 문학, 철학, 신화 등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 존재와 역사의 순환성을 탐구하는 키퍼의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그 밖에도 무용, 음악 등의 분야에서 창작의 순간에 대한 탐구는 이어진다. <어느 날 피나가 말하길...>(1983)은 무용과 연극이 결합된 탄츠테아터(Tanztheater) 양식의 표현주의 기법을 발전시킨 독일의 무용가 피나 바우쉬와 그녀의 무용단 부퍼탈을 감독 샹탈 아커만의 시선으로 바라본 작품이다. 무대 리허설과 짧은 인터뷰가 번갈아 등장하는 이 다큐멘터리는 창작의 순간이 지닌 전율을 담아낸다.


<
수퍼 에이트 시절>(2022)2022년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인 아니 에르노가 아들과 함께 제작한 영상으로 1972년에서 1981년 사이에 기록한 홈 비디오 영상을 재구성한 영화이다. 이는 한 가정의 기록을 넘어, 당시 한 사회 계층의 생활 방식과 열망, 그리고 시대 정서를 보여준다.


리사 로브너 감독의 <일렉트로니카 퀸즈: 전자 음악의 여성 선구자들>(2020)은 오늘날 우리가 음악을 제작하고 듣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여성 작곡가들의 이야기로, 이들은 기계를 이용한 급진적인 실험으로 음악의 경계를 재정의한 선구적 여성들을 중심으로 전자 음악의 새로운 역사를 그려낸다.

백남준  달은 가장 오래된  TV

마지막 상영작인 어맨다 킴 감독의 <백남준: 달은 가장 오래된 TV>(2023)는 예술가란 직업에 남다른 개념과 목적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길을 개척한 백남준의 삶의 궤적을 추적한다.

참여 방법 위 내용 참조

상영과 함께 각 분야 전문가들이 영화 속 예술가들의 창작 방식과 작품 세계를 깊이 탐구하는 스크리닝 & 토크 연계프로그램도 마련된다. 영화학자 이윤영(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건축가 박희찬(스튜디오 히치 디렉터), 헤레디움 함선재 관장, 신유진 작가, 어맨다 킴 감독 등과 국립현대미술관 내부 전문가가 함께 대담 형식의 강연으로 영화 속 창작의 과정과 그와 맞물린 시대적 맥락에 대해서 논할 예정이다(세부일정 및 참여방법 붙임 참조).

어맨다 킴 감독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올해 국립현대미술관 필름앤비디오의 첫 프로그램으로 동시대 영화 거장들이 그려낸 미술, 건축, 음악, 무용, 문학 등 다양한 분야 예술가들의 창작과정과 예술적 고뇌를 다룬 영화들을 상영한다, “앞으로도 국립현대미술관 필름앤비디오에서는 예술의 심미적인 깊이를 경험할 수 있는 영화들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일반인 전화 문의: 02)-3701-950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피카소] <피카소의 비밀>은 피카소의 작업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로 1956년 당시 칸영화제에서 특별심사위원상을 수상하였다. 피카소의 유연하고도 단단한 선이 영화 스크린을 캔버스 삼아 그려지고, 거친 목탄의 소리만이 남는다. 그림이 서서히 형태를 갖추어 앞으로 탄생할 수십 점의 예고가 되는 순간, 음악이 흐르며 예술 창작의 신비로운 여정이 펼쳐진다. 이는 처음으로 작업 중인 화가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은 장면으로, 관객을 피카소 예술의 느리고도 치열한 탄생 과정으로 이끈다.

[알토] 알토는 현대 건축의 거장 알바 알토의 삶과 작품을 따라가는 매력적인 다큐멘터리이다. 이 영화는 아내이자 건축가였던 아이노 알토와 그의 내밀한 러브 스토리를 최초로 공개하며, 그들의 창작 과정과 전 세계에 남긴 상징적인 건축물을 탐방하는 영화적 여정으로 관객을 이끈다. 감상자는 영화를 통해 핀란드의 건축물부터 러시아의 도서관, MIT의 학생 기숙사, 파리 근교의 미술품 수집가의 저택, 베네치아의 전시관 등 알토 부부가 설계한 다양한 공간을 만나게 된다.

[After Image] 전후 폴란드의 저명한 화가 블라디슬라브 스트르제민스키는 우치국립예술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친다. 2차 세계대전 이전부터 널리 알려진 예술가인 그를 학생들은 여전히 현대 회화의 메시아로 여기지만, 대학 당국과 문화부의 시선은 전혀 다르다. 자신의 예술에 대해 타협하지 않는 스트르제민스키는 당의 규정을 따르기를 거부했고, 결국 대학과 예술인 협회에서 제명당하기에 이른다. 그럼에도 스트르제민스키의 제자들은 계속해서 그를 지지하고 그의 시각 이론을 기록한다. 그러나 일자리를 잃고 한쪽 팔과 다리가 없는 신체적 장애를 가진 스트르제민스키는 곧 극심한 빈곤과 건강 악화에 시달리게 되며, 공산주의 정권의 지속적인 탄압으로 점점 더 고립되어 간다.

[안젤름] 안젤름에서 감독 빔 벤더스는 우리 시대의 가장 혁신적이고 중요한 화가이자 조각가 중 한 명인 안젤름 키퍼의 초상을 그려낸다. 3D6K 해상도로 촬영된 이 영화는 키퍼의 작품 세계를 영화적 감각으로 담아내며 문학, , 철학, 과학, 신화, 종교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 존재와 역사의 순환성을 탐구하는 그의 예술을 깊이 있게 조명한다. 벤더스는 키퍼의 고향인 독일에서 현재 살고 있는 프랑스까지 2년이 넘는 기간 동안 그의 삶의 궤적을 추적하며, 반세기에 걸친 그의 예술 창작 여정에 얽힌 본질적인 장소들을 연결해 나간다.

[일렉트로니카 퀸즈] 일렉트로니카 퀸즈: 전자 음악의 여성 선구자들은 오늘날 우리가 음악을 제작하고 듣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여성 작곡가들의 이야기로, 이들은 기계와 그 해방적인 기술을 받아들여 전자 음악의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 영화는 클라라 록모어, 다프네 오람, 베베 배런, 폴린 올리베로스, 델리아 더비셔, 마리앤 아마허, 일레인 라디그, 수잔 치아니, 로리 스피겔 등 기계를 이용한 급진적인 실험으로 음악의 경계를 재정의한 선구적 여성들을 중심으로 전자 음악의 새로운 역사를 그려낸다.

[백남준] “비디오 아트의 조지 워싱턴”, “문화 테러리스트”, “전자 고속도로의 출발점으로도 불렸던 백남준. 그렇다면 20세기 미국 아방가르드의 기둥이자 현대사에서 가장 유명한 한국인 예술가로 꼽히는 백남준은 실제로 어떤 인물이었을까? 감독 어맨다 킴은 모두가 자신의 TV 채널을 갖게 될 것이다라는 그의 노스트라다무스와 같은 미래 예견에 주목한다. 소셜 미디어 덕분에 백남준이 예견한 미래는 이제 우리의 현재가 되었고, 백남준: 달은 가장 오래된 TV는 그 과정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