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위원] 김성은(백남준아트센터 관장), 백지숙(서울시립미술관 관장), 다니엘 번바움(영국 어큐트 아트 디렉터), 디터 다니엘스(독일 라이프치히 시각예술대학교 미술사 및 미디어 이론 교수), 유진 탄(싱가포르 미술관, 내셔널 갤러리 싱가포르 관장) *추천위원 아래 참고
[심사위원장인 디터 다니엘스 독일 라이프치히 시각예술대학 교수] 캠프가 백남준의 ‘글로벌 그루브’, ‘임의접속정보’ 개념에 나타나는 “과정 중심의 태도를 계승, 확장”한다는 점에 주목. 캠프는 “전기와 에너지, 교통과 운송, 감시 시스템, 아카이브, 영화, 비디오, 라디오,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미디어’의 문턱을 낮추는 참여적 개념을 제시하면서, 오픈 액세스를 바탕으로 공공의 영역에 개입”함으로써 “전지구적 자본권력에 저항”하는 작업을 해 왔다고 평가하였다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 심사위원회는 2020년 제7회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 수상 작가로 캠프(CAMP, 인도)를 선정하였다. 캠프는 샤이나 아난드(Shaina Anand), 아쇼크 수쿠마란(Ashok Sukumaran), 산제이 반가르(Sanjay Bhangar)가 주축이 되어 2007년 뭄바이에서 결성한 스튜디오이다. 여러 작가들의 협업체로 움직이는 캠프는 연구, 개입, 발표, 기록으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기술을 다루며, 필름과 비디오, 전자 매체, 공공 예술의 형태로 작업하고 이를 오픈 소스로 공유한다. 수상이 결정된 후 캠프는 전지구적 감염병으로 “외상적 불안이 배가되면서 더욱 일상이 된 미디어 상호작용이 도처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재, 백남준의 이름으로 상을 받게 되어 영광”이라 말하고, “역사적으로 살아 숨 쉬며 여러 시공간을 만나게 하는 우정과 발명이야말로 이 상에 담긴 정신이라 여기고 그 가치를 이어갈 것이다.”라고 수상 소감을 전해 왔다.
추천위원인 베트남의 조 버트 팩토리 컨템포러리아트센터 예술감독은 “몸으로 직접 부딪히며 행하는 기술 실험을 통해 생존의 전략을 재고하는 현장이자 결합체”라 할 수 있는 캠프의 작업은 “사회적 영역으로서 질문을 던지는 예술”에 대한 믿음에 바탕을 둔다고 설명한다. 여기에는 “지배 권력과 그 도구들에 맞서기 위해 협력과 교류가 필수적이며, 이와 같은 예술에 대한 신념은 작업의 방법론에 나타날 뿐만 아니라 [...] 다양한 인식의 형태에 열려 있는 캠프의 개방적인 이웃성에서도 중요하게 드러난다.“고 추천 사유를 밝혔다..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김성은 관장은 “‘참여적’ ‘관계적’과 같은 말이 한때의 유행어처럼 힘을 잃어 가고 있는 세태 속에서, 손에 흙을 묻히고 사람들과 부대끼기를 마다하지 않는 캠프의 작업 방식”을 강조하였다. “신자유주의의 완력을 거스르며 진정한 연결과 연대를 찾아 공공·공동·공유의 개념을 재설계해 나가는 캠프의 작업은 팬데믹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네트워크 미디어 문화에 특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덧붙였다. 심사위원들은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이 캠프로 인해 이제 더욱 뚜렷한 성격의 계보를 이루게 되었다고 입을 모았다.
수상자에 대한 시상식은 오는 11월 온라인으로 열리며 관련 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수상자로 선정된 캠프는 오천만원의 상금을 받게 되며 2021년 하반기 백남준아트센터에서 개인전을 개최할 예정이다.
2020년 제7회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의 추천, 심사위원회는 다음과 같다. 천위원회: 나탈리 벨 (미국 매사추세스공과대학교 리스트 시각예술센터 큐레이터)미첼 반 다르텔 (네덜란드 로테르담 브이투 언스테이블미디어 연구소 디렉터)배명지 (국립현대미술관 퍼포먼스 및 비디오 큐레이터)스튜어트 코머 (미국 뉴욕현대미술관 미디어 및 퍼포먼스 수석큐레이터)안젤름 프랑케 (독일 베를린 세계 문화의 집 시각예술 및 필름 수석큐레이터) 조선령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 교수)조 버트 (베트남 호치민시 팩토리 컨템포러리아츠센터 예술감독)페트릭 플로레스 (필리핀대학교 예술연구 교수, 호르헤 바르가스 미술관 큐레이터) 백남준아트센터 학예팀
[수상자 소개] 캠프는 뭄바이 기반 협업 스튜디오이다. 이름인 ‘캠프(CAMP)’는 네 단어의 무작위 조합에 따라 달라지는 약자로서, ‘메타 실천으로서 비판적 예술(Critical Art as Meta Practices)’, ‘비주류 정치 속 시민들(Citizens Among Marginal Politics)’, ‘은유적 공공을 고려하는 커먼스(Commons Allowing for Metaphorical Publics)’, ‘마법 같은 가능성에 대한 캠페인(Campaign Around Magical Promises)’ 등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으면서 몸으로 직접 부딪혀 테크놀로지를 다루는 캠프의 프로젝트는 에너지, 통신, 운송, 감시 시스템, 항구, 선박, 아카이브 등 다양한 사회적, 기술적 집합체를 다룬다. 캠프는 고정된 기능이나 운명을 지닌 기술이 아니라 불안정하고 빈틈이 있으며 논쟁적인 기술의 면들을 보여주며 테크놀로지를 예술적 활동의 매체와 무대로 삼는다.
캠프의 작업은 인도 국내뿐만 아니라 뉴욕 현대미술관, 테이트 모던, 베를린 세계문화의 집,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앤솔로지 필름 아카이브, 샤르자 비엔날레, 카셀 도큐멘타, 뮌스터 조각프로젝트 등 세계 유수의 미술 현장에 소개되었다. 여러 도시의 시장과 거리에서도 작품을 선보였으며, 근거지인 뭄바이 추임마을에서는 14년 동안 옥상 극장을 운영하고 있고 온라인 아카이브 파드마(Pad.ma)와 인디안시네마(Indiancine.ma)도 공동 운영하고 있다. 공식 홈페이지 https://studio.camp/
'최근미술계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현대미술관] '2021' 주요 전시 개략 소개 (0) | 2020.12.24 |
---|---|
[제7회 경기공연예술페스타: NEXT WAVE] (0) | 2020.11.23 |
[백남준] 아트센터 '소장품 하이라이트' 발간 (0) | 2020.10.25 |
[금천예술공장] '11기 오픈 스튜디오' (0) | 2020.10.20 |
[국현] 과천 Project 2020, 내년 5월 30일까지 (0)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