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갤러리] 함경아의 개인전 '팬텀과 지도' 2024년 11월 3일까지
국제갤러리는 8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 K1, K3, 한옥 에서 함경아의 개인전 '팬텀과 지도'를 선보입니다. 3개의 장으로 구성된 함경아의 전시는 '팬텀'이라는 용어의 선택으로 시작하여 오늘날 사회에 대한 그녀의 해석을 보여줍니다. 함경아의 작업을 구현하는 핵심 용어인 '팬텀'은 사회를 구동하고 문화의 환상을 구성하는 모든 보이지 않는 신호와 연결을 의미합니다. 함경아가 2015년 갤러리와 함께 한 전시 ' 팬텀 풋스텝' 에서 탐구했던 주제에 따라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사이의 역동성을 숙고한 팬텀과 지도는 이러한 '발자취'가 기록한 세상에 대한 더 깊은 명상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작가가 이 세상의 현실과 비현실적 차원 사이를 끊임없이 이동하면서 그리는 지도입니다. 함경아는 K1에서 시작하여 2008년부터 시작된 그녀의 상징적인 자수 프로젝트 시리즈의 작품을 설치했습니다. 자수 프로젝트
그녀는 공유된 사회정치적 기억과 의미의 다양한 층을 적극적으로 수용합니다.예를 들어, 그녀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버섯 구름을 흑백 자수로 번역했습니다.그녀가 사용하는 복잡한 생산 과정은 또한 한국 사회의 복잡하고 위태로운 차원을 함께 엮습니다.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함은 먼저 스케치를 만든 다음 비밀 중개인을 통해 북한의 장인에게 전달하여 작품을 디자인합니다.미리 예측할 수 없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휩싸인 기간이 지난 후, 완성된 자수 작품은 다시 중개인을 통해 아티스트에게 반환됩니다.대부분의 경우, 초기 디자인은 각각 다른 장인이 만든 조각난 조각으로 돌아오고, 그 후 함은 조각을 완성된 작품으로 결합해야 합니다.이를 통해 아티스트는 캔버스 프레임에 직물을 장착하면서 자신의 터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각 작품은 캡션에서 작업에 투입된 수작업 시간을 인정합니다. 한 사람당 1,400시간이 걸린다고 추정되는 대규모 자수에 직면하여, 우리는 완성된 이미지를 구성하는 수십만 개의 실과 익명의 유령의 수작업을 새롭게 바라본다. 작가에게 자수는 물리적 세계가 아닌 가상 세계를 통해서만 소통이 가능한 사람들과 소통하는 가장 아날로그적인 수단이다. 예측 불가능성을 수용하는 것은 매우 가깝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촉이 엄격히 금지된 이웃들과의 협업을 위한 전제 조건이다. 어떤 작품도 완성될 것이라는 보장이 없는 이 제작의 가장 근본적인 논리, 또는 그녀의 제작 과정에서 확실한 약속 하나는 두 개의 한국 사이의 끊임없이 변하는 정치적 기후로 인해 확립된 일련의 예측할 수 없는 지연이다. K1은 이 험난한 여정을 완료한 자수 작품을 선보인다.
앙리 마티스를 연상시키는 두 작품은 샤를 보들레르의 시집 Les Fleurs du Mal에서 고인이 된 작가가 선택한 삽화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 같은 제목을 공유한다. 마티스가 보들레르와 인간 본성에 대한 공통 관심사를 언급하면서 80년이라는 시간적 간격을 뛰어넘었던 것처럼, 함은 오늘날의 풍경을 그리는 마티스를 생각한다. K1에는 또한 그녀의 대표적인 SMS 시리즈의 작품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도널드 트럼프가 북한 지도자 김정은에 대해 말하는 말을 재현한 것이다. 전 미국 대통령은 외교 기록을 자랑하면서 김정은과의 관계를 "환상적인 관계"라고 언급했고, 2018년 선거 유세에서는 "우리는 사랑에 빠졌다"고 선언하기까지 했다. 정치인이 시인인 것처럼 낭만적인 말을 하는 것을 제외하면, K1의 작품들은 오늘날 사회에 대한 예술가의 감상적인 인상을 추상화한 것으로 시를 진정으로 구성한다.
K1의 시라 는 부제로 묶인 자수 작품의 추상적 언어는 한옥 으로 이어지며 , 한옥의 작품은 자수 작품일 뿐만 아니라 Magnolia Editions와 협업하여 제작된 태피스트리 작품이기도 합니다. 이 작품에서 형식화된 구성적 제스처는 눈물과 얼룩을 연상시키는 패턴으로 합쳐져 한옥 공간을 채우고 관객이 그림처럼 짜여진 직물을 순수하게 시각적으로 경험하도록 합니다.
함은 자신의 자수 제작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과정에 10,000걸음이 필요하다면, 나는 10,000걸음 중 9,999걸음을 아무것도 확정되지 않은 채, 어디로 향하는지 전혀 모른 채, 무슨 일이 일어날지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채 걷습니다." 그녀가 이 독특하고 매우 예측 불가능한 과정에 익숙해졌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최근의 세계적 팬데믹과 불안정한 정치 상황으로 인해 북한과의 접촉이 불안정해졌습니다. K1의 삼부작 Phantom and A Map / Poetry 01WBL01V1T 의 가운데 패널은 수평으로 구성된 컬러 리본을 통해 기다림의 기간을 형식화하는 반면, K3의 작품은 그 시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해석을 보여줍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나 추상 표현주의를 연상시키는 K3 작품에 묘사된 격자와 복잡한 차원의 행렬의 엮인 그물은 Phantom and A Map / "사진으로 왔니, 기차로 왔니?"라는 제목으로 그룹화됩니다. 이는 존 버거의 The Seventh Man 에서 인용한 내용 으로, 작가는 사진을 교통 수단이자 부재의 표현으로 묘사하면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친구가 꿈에 나를 찾아왔습니다. 멀리서요. 그리고 꿈에서 그에게 물었습니다. '사진으로 왔니, 기차로 왔니?'"
우리가 매일 마주치는 디지털 세계, 즉 가상 세계는 우리의 물리적 현실을 모방하지만 독립적인 실체로 존재합니다. 이와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Embroidery Project 의 제작 논리는–작가가 실제로 만날 수 없는 사람들과 아날로그적 소통을 모색하는 곳–은 자연스럽게 함씨가 현실과 가상 사이의 관계에 집착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팬데믹 시기를 겪으면서 그녀가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소통 사이의 분리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하게 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현실의 진정한 본질이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작가는 개인적인 감정에 직면하고 이를 옹호하게 됩니다. 우리가 물리적 현실에서 점점 더 멀어지고 디지털 세계에 더 몰두함에 따라, 서로 다른 자극과 정보원 사이의 화학 반응 속에서 폭발하는 우리의 감정은 원시적인 '아날로그'적 의미에서 더욱 증폭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직물의 리본 테이프로 짠 K3 작품은 두 가지 차원과 영역이 끊임없이 충돌하는 오늘날의 세계를 추상적으로 묘사한 작품입니다.
작가 소개
함경아는 현대 미술의 맥락에서 사회적, 정치적 역학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작가는 회화, 설치, 영상,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작업하지만, 함은 SMS 와 What you see is the unseen / Chandeliers for Five Cities 시리즈 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 두 작품 모두 그녀의 자수 프로젝트에 속합니다. 생동감 넘치는 색채, 정교하게 만들어진 표면, 시각적으로 놀라운 복잡성이 특징인 이 자수 그림은 본질적으로
단일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작용하는 눈에 띄는 요소와 눈에 띄지 않는 요소 간의 역동성을 강조합니다. 그녀는 현실의 다양한 층을 탐구함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소통을 발견하고자 합니다.
1966년 태어난 그녀는 서울대학교에서 회화 전공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고, 나중에 The School of Visual Arts New York City(SVA NYC)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그녀의 초기 개인전으로는 Room with a View (대안공간 루프, 서울, 1999), Such Game (쌈지스페이스, 서울, 2008), Desire & Anesthesia (아트선재센터, 서울, 2009) 등이 있다. 또한, 그녀는 The Shape of Time: Korean Art after 1989 (필라델피아 미술관, 2023, 미니애폴리스 미술관, 2024); Hallyu!The Korean Wave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 런던, 2023, 보스턴 미술관, 2024,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2025); We Do Not Dream Alone— the 1st Asia Society Triennial(아시아 소사이어티 현대미술관, 뉴욕, 2020); Active Threads (KAI10/아르테나 재단, 뒤셀도르프, 2021); 남은 것: 새로운 관점 (UBS 미술관, 뉴욕, 2020); 사례 조사(Kunstsammlungen Chemnitz, 2020); Paradoxa (Casa Cavazzini, Udine, 2018); Culture City of East Asia 2017 Kyoto: Asia Corridor Contemporary Art Exhibition (Kyoto Art Center & Nijo Castle, 2017); Material Connections (Jane Lombard Gallery, New York, 2017); Korea Artist Prize 2016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6); Gestures and Archives of the Present, Genealogies of the Future —the 10th Taipei Biennale (Taipei National Museum of Art, 2016); Asia Time —the 1st Asia Biennale and the 5th Guangzhou Triennial (Guangdong Museum of Art, Guangzhou, 2015); Beyond and Between (리움미술관, 서울, 2014), Hyper Real (Museum Moderner Kunst Stiftung Ludwig Wien, Vienna, 2010).
닫다 / 국제갤러리는 오는 8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 K1, K3 및 한옥에서 함경아 개인전을 개최한다. 《유령 그리고 지도》라 이야기한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자신이 겉모습과 관련하여 때로는 사회를 세세하게 악장으로 꾸려 공유한다. '유령'이란 이 사회를 작동시키는 모든 불안들과 만족을 반영하여 전체적으로 유해함을 느끼는 것을, 함경아 작업을 설명하는 데 주요한 개념으로 자리잡은 표현이다. 2015년에 국제갤러리 전시에서 《Phantom Footsteps》, '유령 범위'라는 제목으로 분류하고 비시적인 것 사이의 것을 고찰했다면, 이번 전시를 이해하는 것은 그 부분들에 대해, 즉 큰 범위가 있는 세계와 없는 세계 사이를 끝없이 기다리며 작가가 되어 세계를 지도하고 있다고 합니다.
K1에는 함경아의 '자수 프로젝트'가 소개된다. 2008년부터 컨테이너로 컨테이너 그의 자동화 프로젝트는 히로시마와 외곽 사키의탄 폭발구름 사진을 컨테이너의 자수로 번안하는 등 그 옆의 선택 외에 여러 층위의 사회정치적 함의 범위로 포용해 규칙, 그 제작 과정 또한 이 사회의 다양한 거리를 두고 있습니다. 작가는 자수 패턴을 디자인하고, 중개인을 접촉하여 그 패턴을 비밀리에 수공예품들에게 전달합니다.
도할리 없는 기한의 시간이 흐른 후 이 패턴은 다시 제3자를 통해 자수의 형태로 작가에게 돌아왔다고 예측했습니다. 작가는 이 자수 의상을 갈무리하고 자신이 최고의 손수 자수를 더하는 것과 같은 작품을 완벽하게 캔버스에 뜨개질하는 것입니다. 로봇 캡에는 참여하는 시간이 등록됩니다. 자수능한 명당 1,400시간을 처리하는 곳 추산되는 캡션을 통해, 그리고 그 덕분에 다시 이동할 수 있는 물체 속 수만 갈래의 실타래를 통해 그 익명의 또는 유령의 존재들이, 그들의 예외적인 노동이 촉각화됩니다. 작가에게 있어 자수란 오늘의 특별한 현실이 아닌, 가상의 세계를 가질 수 있는 소통하는 대상과 가장 유사한 대화를 이어가는 방식에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이 방해가 되는 대상과의 관계는 끝없는 예측불가능성을 수용할 수 있다고 한다. 작가는 애초에 작품이 완전한 되리라는 확신을 가질 수는 없으며, 내부적인 정세에 따라서 작품 제작이 기약 없이 유예되는 등이 본 작업에 속한 기본적으로 진행되는 논리다.
K1에서는 이러한 휴가를 떠나고 완수한 자수 동물을 볼 수 있습니다. 일견 안쪽은 노골리 앙리 마티스를 불러오는 자수 로봇 두 점은 마티스가 샤를 보들레르의 시집 『악의 꽃』을 이해하고 33편의 시를 직접 접근하여 자신의 프로젝트 모듈을 확장하는 데에 연결안, 그 시집과 같은 제목을 입었다. 마티스가 보들레르와 80년의 구름 차를 뛰어넘어 이해하며 인간 본연의 모습을 함께 파고들어 추구했듯, 함경아는 오늘의 풍경을 그리며 마티스를 린다. 또한 K1에서는 함경아 자수 프로젝트 중 유일 〈SMS〉 시리즈도 볼 수 있고, 북극성에는 '우린 사랑에 다'고 전한다. 담백하게 유명한 이기 그지없는 이 대사는 사실 의외의 사건에 속한 것인데,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이 유세장에서 자신의 외교적 업적을 자랑하는 북중 예를 들면서 북해 의장과 자신이 “사랑합니다” 우리는 사랑에 빠졌어요”라고 표현했습니다. 이 정도도 가장 부족한 순간에 느닷없이 시인의 면모를 보인 분량이 있고, K1의 별들은 이 외에, 이 사회에 대한 작가의 감정적회를 추상화해 나누는 시(시)로서 소수과 공유한다.
앞선 전시장에서 〈시(poetry)〉라 싸인된 자수 실체들 내부 추상 언어가 한옥 전시장에서는 마치 그 위에 눈물이라도 나게 군것 같게 번지는 새의 모양으로 형상화된다. 손수만이 아니라 매그놀리아 에디션즈(Magnolia Editions)와 관련이 있어 제작한 테피스트리트군과 함께 꾸려지는 한옥 공간에 밖 다른 매체로 가장 회화할 수 있는 천과 사이를 거닐게 됩니다.
작가는 몇 년 전 평론이 대화하는 중, 자신의 자수 과정에 대해 “1만 떼이 필요하다면, 그 중 9천9백9십9걸음은 결정된 것을 하나로서,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있는지, 어떤 일 이 예측질지 예측이 전혀 불가능할 상태로 걷는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제작 방식에 감동하는 법도 있지만, 최근 몇 년은 팬데믹과 정치적 상황의 변화로 인해 기약 없는 기다리림이 울리는 시간이었습니다. K1에서 〈유령 그리고 지도 / 시01WBL01V1T〉 삼면화 아트에서 작가가 여러 줄의 리본테이프를 횡으로 줄지은 중앙의 패널을 기다림의 시간을 형상화했다면, K3에서는 그 기다림의 시간에 대한 더 많은 것을 다루었습니다 을 확장하다. 프로그래밍의 한 화면인 듯, 직조된 그리드 위의 추상 표현주의 적 분출인 듯, 다른 거리의 매트릭스를 하나의 캔버스 위에 펼쳐져 있을 것 같습니다. K3의 물체들은 〈유령 그리고 지도 / "너는 사진으로 돌아오거나 존재하는 것입니다. ?”> 제목으로 연결됩니다. 존 버거(John Berger)를 말한다는 것인데, 『제7의 인간』에서 그는 사진을 축소하는 자라고 표현이라 설명하며 이렇게 말합니다. “한 친구가 꿈 속에서 나를 보러 옵니다. 멀리서 찾아온 친구다. 꿈에서 나는 그에게 질문했습니다. 당신은 사진으로 왔니 아니면 전하고 있었나요?”
우리가 존재하는 디지털 세계는 가상의 세계는 모인 현실을 모방하지만, 실은 그 현실을 보고 또 다른 하나의 새로운 청소년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간 꾸려온 자수 프로젝트의 처리 방법상(이 현실의 세계에서는 닿을 수 없는 대상과 동적 통신을 처리하는 작업상) 그 누구보다 이 문제에 천착한 작가는 특히 팬데믹 십대를 함께 하면서 가상 세계 내부 통신과 현실적으로 반대측에 대해 괴리 및 속셈에 대해 고찰하게 됩니다. 정말 어떤 그룹인지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작가는 개인의 감정을 느꼈습니다. 메모리얼 세상에서 점점 더 가상의, 디지털화된 세계 안을 고심하는 것, 현대 우리가 만족하는 수면 및 정보 소스들과의 화학 반응에서 폭발하는 우리의 감정만큼은 점점 더 원시적이고 생명체가 존재하는 것입니다. 이다. 다양한 패브릭의 리본테이프로 연결은 K3의 작품들 이렇게 두 가지 범위 내에서 경계하는 것이 결국에는 세상에 대한 작가의 유일하게 초상인에 이다.
작가 소개
함경아는 사회적 구조와 변화가 활동하는 삶에 참여하는 부분의 사건들을 여러 대의 개체의 범주 안에 병치할 수 있는 방식을, 그림 설치, 비디오, 활동 등을 많이 나들며 쫓아온다. 특히 〈SMS〉와 〈당신이 볼 수 없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다섯 개의 도시를 장식하는 장식〉 등의 연작으로 대표되는 자수 디자인은 화려한 테두리, 노동 집약적 표면, 미학적 완벽하게 표현되는 예술적인 아우라의이면에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의 노동과 통제불가한 과정에서 축소된 작업으로, 현실 시스템 내부의 여러 위치를 파고들며 새로운 타인의 커뮤니케이션 가능성을 거부합니다.
1966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그림과 졸업 이후 뉴욕 SVA에서 학생학위를 수여할 수 있습니다. 초기의 개인전 방식 《욕망과 주요한》(아트선재센터, 서울, 2009), 《어떤 게임》(쌈지 스페이스, 서울, 2008), 《방안에 보이는 겉모습》(대안공간 루프, 서울, 1999) 등 최근에는 《The Shape of Time: Korean Art after 1989》(필라델피아 앤, 2023, 미니애폴리스 앤, 2024), 《한류! The Korean Wave》(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런던, 2023, 그나마 현대 미술관, 2024, 위치 아시아 미술관, 2025), 《Active Threads》(아르테나 재단, 뒤셀도르프, 2021), 《Remaining: New Perspective》(UBS 아트 갤러리 , 뉴욕, 2020), 《사례검토》(켐니츠 시립미술관, 2020), 《Paradox》(카바치니현대미술관, 벗기네, 2018), 《동아시아 문화도시 2017 교토: '아시아의 회랑' 현대미술전 》(교토예술센터 및 니조 성, 2017), 《Material Connection》(제인 롬바드 갤러리, 뉴욕, 2017), 《올해의 작가상 2016》(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6), 《교감》(리움미술관, 서울 , 2014), 《Hyper Real》(비엔나 루드비히현대미술재단 및, 2010)과 제1회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트리엔날레(2020), 제10회 거대한비엔날레(2016), 제4회 몫트리엔날레(2012)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